KR0168952B1 -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952B1
KR0168952B1 KR1019950002711A KR19950002711A KR0168952B1 KR 0168952 B1 KR0168952 B1 KR 0168952B1 KR 1019950002711 A KR1019950002711 A KR 1019950002711A KR 19950002711 A KR19950002711 A KR 19950002711A KR 0168952 B1 KR0168952 B1 KR 0168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opening
handle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32A (ko
Inventor
로버트 웨인 보그만
게리 데이비드 브리
로이드 워커 제이알 로저스
Original Assignee
마이클 죤 덴턴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죤 덴턴,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클 죤 덴턴
Publication of KR95002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4Lost motion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7Disconnectable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걸림쇠 개방폐쇄장치(4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410는 승객용 도어(10), 덮개, 데크(deck) 덮개 및 걸림쇠 잠금부와 같은 유사형 상부에 관한 걸림쇠(14)의 개방장치(12(14)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41)는 걸림쇠(14) 또는 잠금 개방자치(12)를 폐쇄함으로서 상기 걸림쇠(14)의 걸림쇠 벗김 또는 열림을 방지하는데에 유용하다, 상기 장치(41)는 전기조정수단(25)에 응답하고, 원격으로 작동(31)(71)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 쇠 잠금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차량 개폐문의 개략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검림쇠 잠금장치의 정사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본발명에 따른 걸미쇠 잠금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걸림쇠잠금장치가 연결된 채 걸림쇠 벗김위치로 움직인 상태를 나타낸 구서도
제5도는 본발명에 따른 걸림쇠 잠금장치가 분리된 채 걸림쇠벗김 위치로 움직인 사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문 11 : 잠금장치
14 : 걸림쇠 20 : 손잡이링크(link)
21 : 손잡이레버(lever) 27 : 걸림쇠 벗김 레버(lever)
31 : 원격조정 스위치(switch) 32 : 위치 스위치(switch)
33 : 전달장치 40 : 본체부
41 : 우희레버(lever) 42 : 코일(coil)조립부
45 : 스프링(spring) 71 : 키이 실린더(key cylinder)
본발명은 걸림쇠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작동되는 잠금장치를 마련함으로서 불핌요하게 걸림쇠가 해체되지 않도록 한 차량용 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방 개폐문이 후방의 내부 손잡이에 의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개폐문이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한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걸림쇠의 작동을 차단하는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차다형의 장치는, 어떤 힘이 상기 손잡이에 미칠 때, 상기 장치에 가해진 하중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상기 하중을 받을 때, 상기 걸림쇠의 작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한힘을 가지는 장치를 사용할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교적 중량의 차단장치가 개폐문의 열림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쇠장치에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전형적으로 이러한 차단 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표준형의 걸림쇠장치를 재설계할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걸림쇠차단장치는 수동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된다.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기 차단장치를 움직이고, 소정의 위치에 자리잡게 하기 위해서 비교적 중량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차량개폐문의 걸림쇠를 위한 데드볼트(deadbolt)잠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 구동부가 운전석의 개폐문에 있는 외부 키이 실린더(key cylinder)와 결합되어 이용되고 있다.
데드볼트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가 열림위치로 움직여진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 개폐문의 걸림쇠을 벗기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유용하다.
개폐문 걸림쇠의 벗김을 막는 장치는 추가적인 차단 장치 및 구동부를 부착하기 위해 개폐문 걸림쇠 장치의 비교적 복잡한 재설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는 개폐문 손잡이에 의해서 걸림쇠 장치에 가해지는 힘을 견디어 낼수 있는 차단 장치와 비교적 큰힘을 낼수 있는 구동부를 필요로 한다.
본발명은 개방구동부로부터 걸림쇠를 폐쇄하려는 개선된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제1항에 정의된 바와같은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쇠조립부가 손잡이의 힘을 받지 않는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상기 잠금장치는 걸림쇠벗김장치를 원격으로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걸림쇠 벗김장치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같은 개방구동부에 걸림쇠를 연결시킨다.
상기 개방구동부는 종합적으로 개폐문(door)이라고 일컬어지는 승객용 개폐문, 본넷(bonnet), 덮개(boot) 또는 이와 유사한 덮개를 개방하기 위해 걸림쇠를 벗김 또는 해체 하는데에 사용된다.
한편, 감지수단은 상기 개방구동부의 작동을 감지하는데에 적용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원격스위치 수단에 의해 닫치도록 작동될 때, 상기 개방구동부가 정상적으로 상기 걸림쇠를 벗기는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함으로서 상기 걸림쇠로 부터 상기 개방구동부의 연결을 풀기위해서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걸림쇠벗김 장치를 분리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걸림쇠벗김 장치가 분리될 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걸림쇠가 벗김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도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 걸림쇠 벗김 위치로 움직이게 하는 데에 어떠한 영항도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 걸림쇠 벗김장치를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손잡이에 미치는 힘을 받는 구성부품의 수를 현저하게 줄이게 한다.
상기 걸림쇠 잠금장치가 유용하도록 특별하게 적용된 일예에 있어서, 차량 후방 승객의 개폐문 내부에 위치된 손잡이들은 상기 후방 개폐문들의 걸림쇠가 벗겨지지 않도록 폐쇄될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 개폐문 걸림쇠 잠금장치는 후방 개폐문을 잠그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념은 걸림쇠가 벗김 위치로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내부 후방개폐문 손잡이들로 부터 상기 후방 개폐문의 걸림쇠벗김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개폐문들을 원격으로 잠글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개폐문걸림쇠 잠금장치가 작동될 때, 정상적인 개폐문 걸림쇠벗김 위치로 향한 상기 후방 개폐문 손잡이의 움직입은 후방 개폐문의 걸림쇠를 벗기지 못한다. 그대신, 상기 손잡이를 당길 경우, 손잡이 장치의 위치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고, 분리 장치로 하여금 개폐문 의 걸림쇠벗김 장치를 동작시키지 말라고 하는 신호를 번갈아 보내게 된다.
상기 걸림쇠 벗김 장치로 부터 상기 손잡이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서, 어떠한 힘도 상기 개폐문의 걸림쇠에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내부 손잡이를 사용하더라도 열려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원격 개폐문 걸림쇠 잠금장치는 데드볼트(dead bolt) 잠금방식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상기 잠금장치는 운전자의 개폐문 키이 실린더(key cylinder)나 기타 원격수단에 의해서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이 실린더가 감시장치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감시장치가 데브볼트 작동위치로 상기 키이 실린더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한다. 일단 상기의 데브몰트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면, 개폐문 손잡이의 동작은 상기 감지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분리 장치에 걸림쇠 벗김 장치를 폐쇄하라는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은 키이 실린더를 사용하는 장치를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할때까지 손잡이를 사용하는 개폐문의 열림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가 작동될 때, 걸림쇠 개방 장치는 폐쇄될 것이고, 상기 손잡이는 개폐문을 열리게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방구동부의 움직임이 걸림쇠를 벗기자 않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걸림쇠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폐쇄된채 유지될수 있는 각종 다양한 차량몸체의 구성부에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중앙 잠금장치의 일부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중앙잠금장치가 작동될때에도, 비활동중인 어떠한 전류 방출도 할수 없게 한다. 상기 구조는 비교적 낮은 출력을 갖춘 전기구동부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에 의하면, 차량 승객용 개폐문이 도시되어 있고, 걸림쇠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같취진 구성부들을 보여주고 있다. 개폐문(10)_은 차량(미도시함)의 도어 장치에 적용된 것이다.
원격으로 작동되는 개폐문 걸림쇠 잠금장치(11)는 내부개방손잡이 (개방구동부)(12)와 개폐문걸림쇠(14)의 주변 부착물로서 상기 개폐문(10)내부의 편리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 레버(Lever)(구동부재)(21)와 손잡이 링크(link)(20)는 상기 손잡이(12)와 상기 잠금장치(1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손잡이 레버(21)는 상기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 링크(20)의 운동을 상기 잠금장치(11)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직선운동으로 안내된다. 상기 손잡이(12)는 개폐문의 걸림쇠걸림조건에 대응한 상시 해제위치(a normally released position)와 상기 걸림쇠(14) 의 벗김 조건에 대응한 걸림쇠 벗김 위치( an unlatch position)의 사이에서 작동된다.
전달장치(전달수단)(33)는 제2도에 도시한 상기 잠금장치(11)의 걸림쇠벗김 레버(연걸장치)(27)와 상기 걸림쇠(14)의 사이에서 연결되고, 상기 걸림쇠(14)를 선택적으로 벗기도록 상기 잠금장치(11)로 부터 상기 럴림쇠(14)에 기계적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달장치(33)는 일반적으로 봉이나 케이블(cable)의 형태로 이루어진 기계적 링크를 제공한다.
상기 기계적 요소는 , 손잡이(12)가 손잡이 링크(20), 손잡이 레버(21), 잠금장치(11), 걸림쇠 벗김 레버(27) 및 전달장치(33)의 상호 연걸된 구조를 통하여 상기 걸림쇠(14)를 개방하는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11)는 상기 걸림쇠(14)를 손잡이(12)가 선택적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33) 케이블로서 도시되어 있다.
원격 조정스위치는 (스위치 수단)(31)는 상기 잠금장치(11)로 부터 떨어져서 차량 운전자의 편리한 위치에서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3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잠금장치(11)에 장착되는 상시 개방( normally open )위치 스위치(감지수단)(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스위치 (32)는 도시되지 않은 수단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릴레이(relay)(2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31),(32) 및 상기 릴레이(전자기부)(25)는 차량 전지(미도시함)와 직렬로 연걸됨으로서, 상기 릴레이(25)는 상기 스위치 (31)(32)가 온 될 때 전압을 인가받는다.
제2도에는 상기 잠금장치(11)의 조립부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40)는 상기 잠금장치(11)의 기타 구성부품이 장착되는 기본틀을 제공하고, 차량내에 용이하게 실장하도록 단위 조립체로서의 역할은 한다. 본체부(40)는 상기 잠금장치(11)가 이용되는 특별한 적용예에 관련하여 제한적인 범위내에 적합하도록 설계될것이자만, 상기 본체부(40)의 기본적 형상은 승객용 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된 것이다.
조건에 맞는 구조적 단일체의 대체 재료가 상기 잠금장치(11)에 적합한 본체를 제공하는데에 용이하계 이용될 수도 있지만, 상기 본체부(40)는 금형에 의한 종합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상기 본체부(40)내에서 직선운동을 하도록 안내받으며, 상기 본체부(40)로 부터 제1도에 도시한 상기 내부 개폐문 손잡이(12)에 부착되어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 손잡이 링크 장치에 적용하는데에 있엇,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케이블에 부착될 목적으로 상기 본체부(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수단으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대체가능한 기계적 연결장치가 상기 손잡이(12)와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사이에서 사용 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손잡이 레버(21)에 대한 적절한 부착 장치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상기 손잡이(12)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링크(20)에 연결되어 있다.
돌기부(23)는 상기 손잡이 레버(21)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잠금장치(11)에 출력을 제공하는 장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적절한 표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편향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편항부(24)는 위치 스위치(32)와 연결하도록 상기 손잡이 레버(21)를 따라 적절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스위치(32)는 상기 편향부(24)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위치스위치(32)는 상기 손잡이(12)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손잡이(12)가 상시 해제 위치에 있는지, 또는 걸림쇠벗김 위치에 있는지를 분별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레버(21)와 연동하고 있는 것은 연결부재이며, 즉 본실시예에 있어서 걸림쇠벗김 레버(27)이다.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는 제1 걸림부(28)를 갖추고, 상기 제1 결림부(28)는 상기 걸림쇠(14)에 상기 손잡이(12)와의 정상적인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돌기부와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상기 제1 걸림부(28)가 상기 돌기부(23)에 연결(介入)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걸림부(28)로 부터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의 타단측에는 출력연결부(29)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출력연결부(29)는 전달장치(33)에 연결되고, 기계적운동을 전달한다. 볼(ball)(36)은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의 출력연결부(29)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달장치(33)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 벗김 레버(27)는 상기 출력연결부(29)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 레버(21)와 연계하여 직선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는 캠(can) 표면부(22)를 갖추고 있다. 상기 캠표면부(2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가 정상적인 위치에 자리잡도록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돌기부(23)와 연동한다. 상기 손잡이(12)는 해제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걸림쇠(14)의 걸림위치에 대응하는 정상적인 위치에 있다. 상기 손잡이 레버(21)가 정상적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돌기부(23)는 제2 걸리부(26)와 인접한 상기 캠표면부(22)와 접촉하여 상기 정상적 위치로 상기 걸림쇠벗김레(27)가 상기 출력연결부(29)의 일담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이는 분리된 상태의 상기 걸림쇠 벗김 레버(27)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우회 레버(by-pass lever)(분리장치)(41)는 코일(coil)조리부(42)와 함께,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의 정상적 위치를 선택적으로 유지 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회레버(41)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우회레버(41)는 상기코일조립부(42)와 근접하여 장착되어 있고, 회전중심(44)에 대해 일정한 회전각도 만큼 회전할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우회레버(41)는 상기 손잡이 레버(21)에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를 연결하도록 스프링(spring)(편향수단)(45)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력지지 되어 있다. 상기 우회레버(41)는 제3 걸림부(43)를 갖추고, 상기 제3 걸림부(43)는 상기 우회레버(41)와 상기 걸림쇠벗김레버(27)의 사이에서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일 조립부(42)는 전압을 인갑받을 때, 상기 스프링(45)에 의한 지지힘을 극복하고 상기 회전중심(44)에 대한 회전을 이루도록 하는 전자기력을 상기 우회레버(41)상에 가하여, 상기 제3 걸림부(43)가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를 당기거나 고정하도록 하고, 제5도에서 도시한 분리 상태에 두게 한다.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의 위치는, 제5도에서 분리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도에서는 거의 정상적인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회레버(41)의 역할은 상기 손잡이 레버(21)로부터 상기 걸림 쇠 벗김레버(27)를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유지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의 정상적 위치가 유지될 때,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운동은 상기 돌기부(23)가 상기 캠표면부(22)와의 접촉 으로 부터 떨어짐으로서 분리상태를 유발한다. 이러한 분리상태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에 가해진 힘은 단지 상기 걸림쇠 잠금장치를 통하여 상기손잡이 레버(21)까지에만 전달된다. 이는 상기 손잡이 레버(21) 하류측의 걸림쇠 장치 구성부가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 장치 구성부는 상기 힘을 지지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없고, 상기 손잡이(12)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걸림쇠(14)는 벗겨지지 않는다.
상기 우회레버(41)는 상기 손잡이 레버(21)와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사이에서 연결부재로 재형성될 수 있거나,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에 일체화 될 수 있다. 그장점은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도어 걸림쇠(14)와 결합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에 상기 손잡이 레버(21)를 연결하지 않게 하는 상기 우회레버(41)의기능에 있다. 상기 우회레버(41)의 설계에 있어서 얻을수 있는 다양성은 보다 소규모화된 단일품으로 축소화된 장치를 만들 수 있음으로서, 차량 승객용 개폐문의 사용가능한 공간보다 제한적인 공간에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상기 잠금장치(11)는 상기 손잡이 레버(21)로 부터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를 연결하지 않음으로서,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걸림쇠(14)를 개방하는 것으로 부터 선택적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이용될 수 있다.
실제작동에 있어서, 원격 구동(조정)스위치(31)가 장착되어 제어계통을 동작시키고, 상기 위치 스위치(32)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위치 스위치(32)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운동에 즉시 응답하도록 대기하고 있는 상기 위치 스위치(32)가 상기 분리장치를 구동한다.
상기 모드에는, 상기 위치 스위치(32)에 의한 비활동전류의 누설은 없게 된다.
상기 손잡이(12)가 걸림쇠 벗김위치로 움직일 경우, 그결과로서 상기 손잡이 링크(20) 및 손잡이 레버(21)의 대응운동이 발생한다.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위치 스위치(32)는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편향부(24)의 운동을 감지하고, 여기에서, 상기 위치스위치는 상기 편향부(24)에 의해 닫힌다. 상기 위치스위치(32)는, 비교적 작은 초기의 손잡이(12) 운동이 상기 스위치로부터 응답을 발생시켜 상기 돌기부(23)가 상기 제1걸림부(28)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코일조립부(42)를 동작시키도록 위치하고 있다.
기계적 운동에 응답하는 다른 형태의 장치가 상기 위치스위치(32)에 대체되어 본 장치의 작동을 이루도록 효과적으로 사용될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원격조정스위치(31)가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하도록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스위치(32)의 닫힘은 릴레이(25)를 닫으라는 신호를 보내어 상기 코일 조립부(42)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코일 조립부(42)는 상기 우회레버(41)상에 가해지는 자기력을 유도하고, 상기 손잡이 레버(21)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가 분리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도록 당기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우회레버(41)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는 상기 우회레버에 장착된 전기자(電機子)를 갖춘 솔레노이드(solenoid)와 그 등가장치 등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힘을 유도하는데에는 비교적 작은 용량을 갖춘 상기 전자기 코일 조립부(42) 및 상기 우회레버(41)만으로도 충분하다는 특징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가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돌기부(23)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우회레버(41)는 일반적으로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를 빠르게 재위치를 시키는 것보다는 상기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큰힘을 생성시킬수 있는 구동부가 필요없게 된다.
더구나, 본 장치는 상기 돌기부(23)가 상기 제1 걸림부(28)에 연결되는데에 필용한 직선운동과 관련하여, 제2도에서 도시한 정상적 위치와 제5도에서 도시한 분리 상태 위치에서 거의 일치하여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2)에 가해진 과격한 작동은 상기 분리장치에 충격을 가하거나, 개폐문의 걸림쇠를 벗기는 데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않는다.
제5도는 분리 조건하의 상기 잠금장치 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12)는 상기 걸림쇠(14)를 개방시키는데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걸림부(28)는 상기 돌기부(23)의 운동경로로 부터 이탈됨으로서,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가 상기 우회레버(41)에 의해 정상적 위치로 유지되면,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직선운동은 상기 걸림쇠벗김레버(27)에 운델을 전달하는데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쉽게 알수 있다.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가 분리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12)에 의해 상기 손잡이 레버(21)상에 가해진 힘은 상기 걸림쇠(14)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14)는 힘이 상기 손잡이(12)에 의해서 가해질 때, 상기 힘을 지지할 필요가 없고,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갖출 필요가 없다.
상기 원격 조정스위치(31)가 상기 잠금장치(11)를 작동시키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12)는 다시 상기 걸림쇠(14)를 벗기도록 작동될수 있다.
상기 손잡이(12)가 걸림쇠 벗김 위치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손잡이 레버(21)는 응답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23)가 상기 제1 걸림부(28)를 향하여 움직이게 되는 경우, 상기 우회레버(41)가 정상적 위치에서 더 이상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를 유지 시켜 주지 못하게 되면, 상기 캠표면부(22)는 상기 돌기부(23)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레버(21)가 더욱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캠표면부(22)는 상기 돌기부(2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돌기부(23)는 상기 제1 걸림부(28)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손잡이(12)를 상기 개폐문 걸림쇠(14)에 효과적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갖추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11)는 상기 스위치(31)에 응답하헤 설계됨으로서, 상기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원격조정신호에 응답하는데에 용이하게 적용될수 있다. 또한, 상기 특성은 상기 장치가 전자적으로 조정되는 중앙잠금장치의 구성부로서 사용되는데에 용이하게 적용될수 있도록 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잠금장치(11)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제4도에 있어서도, 상기 장치는 연결상태에 있다. 제4도는, 상기 연결장치가 걸림쇠 벗김 위치로 움직일때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돌기부(23)는 상기 제1 걸림부(28)를 움직이게 하고, 결국 상기 걸림쇠 벗김레버(27)를 벗김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이는 상기 전달장치(33)의 운동을 발생시키고, 잠궈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걸림쇠(14)를 개방시키며, 결국 상기 개폐문(10)이 열리도록 한다.
제2도는 상기 돌기부(23)가 상기 캠표면부(22)와의 상호 작동에 의해 형성된 상기 걸림쇠벗김레버(27)의 정상적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조립부(42)가 전압 을 인가받고, 상기 장치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설정된 대응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상기 분리 장치가 걸림쇠벗김 위치로 움직이게 될 때의 결과상태를도시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23)는 상기 제1 걸림부(28)를벗어나 움직이고, 따라서, 상기 걸림쇠벗김레버(27)는 걸림위치로 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걸림쇠(14)의 잠금 또는 열림 조건에 상관없이 상기 걸림쇠(14)가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됨을 보여준다.
상기에서는 잠금장치(11)의 용도를 승객용 개폐문 잠금장치에 적용 시켜 설명해 왔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자동차내에 장착되는 기타 다수의 걸림쇠 잠금장치에 적용시킬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전차량의 시건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또는 봉, 또는 상기와 유사한 전달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모든 장치를 폐쇄할수 있도록 용이하게 적용될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원격으로 후방개폐문을 폐쇄함에 있어서, 개폐문들이 걸림쇠 벗김 상태에 있지 못하도록 차량의 손잡이부 내부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편리한 위치에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원격으로 후방개폐문의 배부 손잡이를 폐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차량장치의 데드볼트 잠금 또는 열림방식에 이용될 수 있다. 잠금성 및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예기치 않은 개폐문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종래의 개폐문 잠금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잠금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드볼트 잠금방식은 손잡이에 의해 수동으로 어떠한 차량의 개폐문이라도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잠금 장치가 개폐문 걸림쇠 장치의 내부에 장착될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장치가 작동될 때 상기 개폐문의 걸림쇠를 벗길 수 없다.
또한, 개폐문의 잠금 개방장치를 폐쇄하는데에 사용되도록 유사하게 구성된 장치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스럴수 있다. 이는 잠금 손잡이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잠금개방장치의 위치를 변환시킴으로서 상기 개폐문의 열림을 방지해줄 것이다.
데드볼트 장치는,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키이 실린더(71)를 통하여 차량의 외부에서 연결 및 분리된다.
데드볼트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키이 실린더가 수직으로부터 수평으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키이(key)는 제거된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장치가 작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데드볼트의 기능을 기타 걸림쇠 및 잠금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시켜 기재할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승객용 개폐문 걸림쇠 잠금장치의 내부 손잡이와 관련하여 기재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데드볼트장치가 작동될때, 상기 내부 개폐문 손잡이(12)의 작동은 상기 손잡이 레버(21)를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위치 스위치(32)는 상기 손잡이 레버(21)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코일조립부(42)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릴레이(25)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우회레버(41)가 상기 걸림쇠벗김 레버(27)를 분리 상태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의 작동은 상기 걸림쇠(11)를 개방하는데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데드 볼트장치는 키이를 삽입시키고, 수평으로 부터 일정각도 만큼 열림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키이를 수직으로 역회전 시킴으로서, 상기 키이 실린더(71)를 통해 분리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키이는 제거되고, 차량은 데드볼트방식에 의해서 잠궈지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 열려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장치는 원격 동작성능을 지닌 대체 형태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쇠 잠금장치는 승객용 개폐문 걸림쇠 잠금장치에 적용되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작동원리는 걸림쇠 및 걸림쇠 개방장치를 사용하는 기타 차량장치에 용이하게 적용될수 있다는 것을 당해기술의 숙련자들은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걸림쇠를 작동시키는 개방 구동부(12)로부터 상기 걸림쇠(14)를 폐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동부에 상기 걸림쇠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와 : 상기 연결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장치를 패쇄하도록 상기 개방 구동부의 운동에 응답하는 분리장치(25),(41)와 : 상기 분리 장치를 작동 및 비작동시키는 스위치(switch) 수단(31)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개방구동부의 운동에 응답하는 구동부재(21)와 상기 걸림쇠를 작동시키는 전달수단(33)에 부착된 연결 부재(27)를 갖추고, 상기 구동 부재(21)가 상기 연결부재(27)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걸림쇠벗김 위치로의 상기 개방구동부의 운동이 상기 걸림쇠를 개방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31)을 통하여 분리장치(25)(41)가 작동되면 상기 개방구동부(12)가 움직일 때 상기 연결부재(27)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걸림쇠(14)로 부터 상기 개방구동부(12)의 연결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동부(12)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작동되는 감지수단(32) : 과 상기 연결장치를 폐쇄하도록 상기 감지 수단(32)에 응답하는 분리장치 : 를 :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32)이 상기 개방구동부의 초기 작동에 의해 닫히는 상시개방(normally open) 스위치(32)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스위치가 닫힐 때 코일조립부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된 코일 조립부(42) 및 수단(2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4. 제1항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가 상기 걸림쇠로 부터 상기 개방구동부의 연결을 풀기 위해 상기 연결장치(27)를 분리시키도록 된 우회레버(41)를 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페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연결장치를 분리시키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우회레버(41)를 해제하여 상기 우회레버(41)를 움직이도록 하는 전자기부(25)와, 상기 우회레버(41)가 해제될 때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개방구동부 및 걸림쇠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위치로 상기 우회레버(41)가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편향 수단(4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21)는, 상기 개방구동부가 걸림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연결부재(27)를 분리 상탱에 대응하는 정상적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튀치 수단이 원격제어스위치(3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 또는 제 5항, 또는 제 7항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키이 실린더(key cylinder)(71)를 포함하고, 상기 키이 실린더의 작동에 상기 분리장치가 응답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키이 실린더가 데드볼트(dead bolt)위치로 이동될때 작동가증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잠금장치.
  10. 개폐문 걸림쇠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이 상기 분리장치를 작동 및 비작동시키도록 차량의 전방좌석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는 원격조정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항내지 베10항중 어느한항에 따른 걸림쇠 잠금장치를 포함한 차량.
KR1019950002711A 1994-02-14 1995-02-14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폐쇄장치 KR0168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95,521 US5511838A (en) 1994-02-14 1994-02-14 Remote latch release disabling device
US8/195,521 1994-02-14
US08/195,521 1994-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32A KR950025232A (ko) 1995-09-15
KR0168952B1 true KR0168952B1 (ko) 1999-03-20

Family

ID=2272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711A KR0168952B1 (ko) 1994-02-14 1995-02-14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폐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11838A (ko)
EP (1) EP0667434B1 (ko)
KR (1) KR0168952B1 (ko)
DE (1) DE695091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3268A1 (en) * 1995-07-11 1997-01-30 Stoneridge, Inc. Adjunct actuator for vehicle door lock
US5909918A (en) * 1997-06-27 1999-06-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let block out for deck lid latch
JP3151170B2 (ja) * 1997-07-10 2001-04-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トランクのロック装置
IL122301A0 (en) * 1997-11-25 1998-04-05 Brody Engineering Ltd Sensor actuated hood lock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lock
US6158789A (en) * 1998-07-29 2000-12-1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nti-theft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199923B1 (en) 1999-06-10 2001-03-13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DE10131412B4 (de) * 2000-11-17 2008-08-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tür
GB0031062D0 (en) * 2000-12-20 2001-01-3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arrangement
GB0122634D0 (en) * 2001-09-20 2001-11-14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release and engagement mechanism
US7175209B2 (en) * 2002-02-25 2007-02-13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Clip for holding a release lever of a vehicle latch during shipping
CA2444516C (en) * 2002-10-10 2011-12-20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Outside release handle
US20060226660A1 (en) * 2005-04-11 2006-10-12 Ting-Pin Wu Lock with a status indicator
GB0522668D0 (en) * 2005-11-07 2005-12-1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arrangement
JP7124756B2 (ja) * 2019-02-20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キー操作機構
CN116397974B (zh) * 2023-04-28 2024-05-1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门把手的控制系统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9127A (en) * 1966-01-28 1967-03-14 Ferro Mfg Corp Automobile door lock
US3744285A (en) * 1971-04-05 1973-07-10 Security Tech Inc Ignition & hood lock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US4073527A (en) * 1977-01-12 1978-02-14 Schlage Lock Company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DE2847589A1 (de) * 1978-11-02 1980-05-14 Fichtel & Sachs Ag Sicherungseinrichtung fuer tueren o.dgl. a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JPS6217567Y2 (ko) * 1981-02-05 1987-05-07
US4492395A (en) * 1981-08-07 1985-01-08 Mitsui Kinzoku Kogyo K.K. Automotive door latch system including a childproofing mechanism
JPS5833679A (ja) * 1981-08-19 1983-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防盗装置
SE442420B (sv) * 1984-08-01 1985-12-23 Wso Cpu System Ab Las
FR2569641B1 (fr) * 1984-08-31 1991-05-03 Kiekert Gmbh Co Kg Dispositif de securite contre l'utilisation non autorisee d'un vehicule automobile
US4929007A (en) * 1987-03-30 1990-05-29 Magna International Inc. Latch mechanism
FR2614643B1 (fr) * 1987-04-29 1989-07-28 Rockwell Cim Ensemble de serrure de porte et d'un dispositif de condamnation anti-vol et anti-agression de cette serrure et serrure faisant partie de cet ensemble
DE3802107C1 (ko) * 1988-01-26 1989-05-03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4858971A (en) * 1988-03-07 1989-08-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vehicle door lock/unlatch control
GB2217380B (en) * 1988-04-16 1992-03-04 Rockwell Automotive Body Co Vehicle door lock actuator.
US5054300A (en) * 1988-11-09 1991-10-08 Ohi Seisakusho Co., Ltd. Vehicle door lock system
JP2576017Y2 (ja) * 1989-03-24 1998-07-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ツク装置のチヤイルドプロテクター機構
US4946211A (en) * 1989-04-24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tch control arrangement
JPH0784828B2 (ja) * 1989-07-31 1995-09-13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US5054826A (en) * 1991-02-04 1991-10-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rtment latch remote release with folding member for disabling the remote release
US5085475A (en) * 1991-06-03 1992-02-04 Von Duprin, Inc. Exit-delaying mechanism, for a panic exit device
JPH0619239U (ja) * 1992-02-13 1994-03-1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
DE4228233A1 (de) * 1992-08-25 1994-03-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rnsteuerbares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US5228730A (en) * 1992-09-02 1993-07-20 Security People, Inc. Apparatus for converting mechanical locks to operate electrically using momentary power
US5263751A (en) * 1992-11-16 1993-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latch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7434B1 (en) 1999-04-21
KR950025232A (ko) 1995-09-15
DE69509151D1 (de) 1999-05-27
US5511838A (en) 1996-04-30
DE69509151T2 (de) 1999-08-12
EP0667434A1 (en) 199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952B1 (ko) 차량개폐문의 걸림쇠 폐쇄장치
US6112564A (en)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US6550826B2 (en) Door lock apparatus
US5961163A (en)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protection
US5683021A (en) Locked gun case for vehicle
EP1296010B1 (en) Door release and engagement mechanism
CA2039072C (en) Low effort remote latch actuator
GB2292768A (en) A motor vehicle door lock
EP0281340A2 (en) Electromagnetic garage door locking apparatus
US6045168A (en) Door latch with improved double lock
US20070252407A1 (en) Latch arrangement
CN110993420A (zh) 一种开关柜的安全联锁装置
WO1989002967A1 (en) Electrically controlled locks
CN109680464B (zh) 一种洗衣机门锁以及洗衣机
US11306518B2 (en) Vehicle door lock, especially tailgate lock
CN115552089A (zh) 用于具有旋转展开臂的车辆开启部件的备用进入装置
US5941578A (en) Impact resistant safety door latch mechanism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EP0408169B1 (en) Latch apparatus of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US4157478A (en) Automobile theft prevention system
SE464201B (sv) Reglingsanordning foer ett doerrlaas i ett motorfordon
US6622605B1 (en) Fail safe arming unit mechanism
CN112352085A (zh) 用于解锁车辆的机罩的方法
JPH07317384A (ja) 電気錠
US5379015A (en) Latching block for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