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91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8891B1 KR0168891B1 KR1019940033025A KR19940033025A KR0168891B1 KR 0168891 B1 KR0168891 B1 KR 0168891B1 KR 1019940033025 A KR1019940033025 A KR 1019940033025A KR 19940033025 A KR19940033025 A KR 19940033025A KR 0168891 B1 KR0168891 B1 KR 01688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air
- passage
- air conditioning
- conditioning du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눈막힘이 진행해도 필터의 하류에서 필요최소한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고, 필터의 눈막힘에 기인하는 불합리를 회피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터(10)내에 필터(12)를 설치하고, 공조덕트(10)에 흡입된 공기를 필터(12)의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필터(12)의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를 설치하며, 바이패스통로는 바람직하게는 필터(12)에 설치한 관통구멍(18)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조덕트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덕트에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공조덕트 내의 통로의 전체면을 집진용필터로 덮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62-137222호 공보, 일본국 실개평 2-25015호 공보 참조).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필터의 눈막힘의 진행에 동반하여 필터의 통과풍량이 저하하고 필터의 보수관리를 게을리하면 최종적으로는 필터의 거의 전체면이 눈막힘되어 공기조화가 불가능하게 될 염려가 있다.
또 공조덕트의 필터 보다도 상류위치에 분기덕트를 설치하여 공조덕트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특정한 곳으로 인도하는 경우 필터의 눈막힘에 의해 분기덕트에 대한 공기분배가 증가하여 생각지 않은 문제를 초래하는 일도 있다. 예를 들면 분기덕트에 흡입된 공기를 블로어팬모터의 외주로 인도하여 그 냉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눈막힘이 진행하면 공조덕트에 침입한 분설이 블로어모터의 주위에 다량으로 밀어넣어져 모터록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필터의 하류에 증발기 및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체를 설치하고, 감열체의 검출온도가 소정값 이하인 때에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등 각종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 필터의 눈막힘이 진행하면 감열체 주변의 풍량이 부족하여 정확한 온도검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증발기의 동결과 압축기로의 액냉매의 되돌아감 등의 불합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눈막힘이 진행해도 필터의 하류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고, 필터의 눈막힘에 기인하는 불합리를 회피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장치의 제3도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장치의 제3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장치의 개략단면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바이패스율과 블로어모터 냉각덕트로의 분설(粉雪)침입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바이패스율이 10%인 때의 차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필터의 바이패스율이 20%인 때의 차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필터의 한쪽 측에만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바이패스율을 10%로 설정했을 때의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장치의 개략단면도.
제9도는 도 8의 필터를 동일도면의 IX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필터의 바패스율과 감열체의 감도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덕트 12, 21 : 필터
12b, 21b : 필터의 집진부 13 : 증발기
17 : 블로어모터 냉각덕트 18, 23 : 필터에 설치된 관통구멍
22 : 감열체
제1도 ∼제3도에 대응하여 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내에 필터(1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적용되고, 공조덕트(10)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12)의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필터(12)의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서는 필터(12)의 집진부(12b)를 끼워서 서로 마주보게 한 한쌍의 측테두리부에 바이패스통로(18)를 설치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서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바이패스통로(18)의 단면적을 공조덕트(10)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205미만으로 설정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은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에서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가 분기되고 이 분기위치 보다도 하류에 필터(1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공조덕트(10)에 흡입된 공기를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를 필터(12)의 집진부(12b)를 끼워서 마주보게 한 한쌍의 측테두리부에 설치하고 바이패스통로(18)의 단면적을 공조덕트(10) 내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15%이상 20%미만으로 설정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또,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은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내에 필터(21)가 설치되고 , 이 필터(21)의 하류측에 열교환기(13)와, 이 열교환기(13)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체(2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공조장치에 흡입된 공기를 필터(21)의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열교환기(13)의 감열체(22)와의 대향영역의 상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23)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목적을 달성한다.
제1도∼제3도,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특허청구범위 제 6항의 발명은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로부터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가 분기되고, 이 분기위치 보다도 하류에 필터(12,21)가 설치되고 이 필터(12,21)의 하류측에 열교환기(13)와 이 열교환기(13)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체(2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공조덕트(10)로 흡입된 공기를 필터(12, 21)의 집진부(12b,21b)로부터 우회시켜서 필터(12, 21)의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 23)를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통로(18, 23)를 필터(12)의 집진부(12b,21b)를 끼워서 서로 마주보게 한 한쌍의 측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제1통로(18)와, 필터(12, 21)의 집진부(12b,21b)를 우회한 공기를 열교환기(13)의 감열체(22)와의 대향영역의 상류측으로 인도하는 제2통로(23)를 구성하고, 공조덕트(10) 내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에 대하여 제1통로(18)의 단면적을 15%로, 제2통로(23)의 단면적을 5% 이하로 설정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제6항의 발명에 있어서, 필터(12, 21)에 형성한 관통구멍(18, 23)에 의해 바이패스통로를 구성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이패스통로, 제1통로 또는 제2통로가 복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통로의 단면적의 합계값이 상기한 바이패스통로의 단면적, 제1통로의 단면적, 제2통로의 단면적에 상당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제3항의 발명에서는 필터(12)의 집진부(12b)의 눈막힘이 진행해도 바이패스통로(18)에 의해 항상 일정량 이상의 공기가 필터(12)의 하류측으로 인도된다. 이 때문에 필터(12)보다도 상류에서의 공기분배량의 변화와 필터(12)의 하류에서의 공기유량의 감소가 억제된다. 특허청구범위 제2, 3항의 발명에서는 필터(12)의 집진부(12b)의 한쌍의 특테두리로부터 필터(12)의 하류측으로 동등하게 공기가 인도되어 필터(12)의 하류측에서의 유량분포의 치우침에 의한 공조성능의 악화가 억제된다. 특히 특허청구범위 제 3항의 발명에서는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이 바이패스통로(18)가 없는 종래장치와 같은 정도로 억제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서는 바이패스통로(18)의 단면적을 공조덕트(10)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15% 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필터(12)의 집진부(12b)의 대략 전체면이 눈막힘되어도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대한 분설 등의 이물질의 침입량이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억제된다. 필터(12)의 집진부(12b)를 끼워서 서로 마주보게 한 한쌍의 측테두리부에 바이패스통로(18)를 설치하고 그 단면적을 공조덕트(10) 내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20% 미만으로 했기 때문에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이 바이패스통로(18)가 없는 종래장치와 같은 정도로 억제된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서는 필터(21)의 집진부(21b)의 눈막힘이 진행해도 바이패스통로(23)에 의해 항상 일정량 이상의 공기가 열교환기(13)를 거쳐 감열체(22)로 인도된다.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서는 필터(21)의 집진부(21b)의 눈막힘이 진행해도 제2통로(23)에 의해 열교환기(13)를 거쳐 감열체(22)로 확실하게 공기가 인도된다. 공조덕트(10)의 필터부착 위치에서의통로단면적에 대하여 제1통로(18)의 단면적을 15%로 하고, 제2통로(23)의 단면적을 5%이하로 했기 때문에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 에 대한 분설 등의 이물질의 침입량이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억제되는 동시에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이 바이패스통로(18, 23)가 없는 종래장치와 같은 정도로 억제된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서는 필터(12, 21)에 설치한 관통구멍(19, 23)으로 바이패스통로를 구성했기 때문에 공조덕트(10)를 변경하는 일 없이 바이패스통로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바이패스통로의 길이가 필요 최소한에 머물고 바이패스통로 증설에 의한 공조성능의 악화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작용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시예의 도면을 이용했지만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공조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 중 부호10은 공기흡입구(10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도시하지 않은 차 실내로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 11은 공조덕트(10)의 하류측(도면 중 우측)으로 송풍하는 블로어팬, 12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13은 공조덕트(10)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증발기, 14은 공조덕트(1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 15는 축(15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히터코어(14)를 통과하는 공기와 히터코어(14)의 측방의 냉풍통로(C)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유량비를 조정하는 에어믹스도어이다. 히터코어(14) 및 냉풍통로(C)를 통과한 공기는 공조덕트(10)의 하류에서 합류하고, 이후 도시하지 않은 분배기를 통하여 차 실내의 복수의 토출구(도시하지 않음)에 분배된다. 공조덕트(10)의 필터(12) 보다도 상류측에는 공조덕트(10)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블로어모터(16)의 외주로 인도하기 위한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가 접속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 필터(12)는 수지 등으로 성형된 테두리(12 a)에 집진부(12b)를 부착한 것으로 공조덕트(10)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필터착탈구를 통하여 공조덕트(10)내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테두리(12a)의 외형은 공조덕트(10)의 내면과 밀착가능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12)의 집진부(12b)를 끼워서 서로 마주보게 한 한쌍의 측테두리부에는 테두리(12a)를 두께방향(제1도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8)이 필터(12)의 한 변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일정폭(A)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공조덕트(10)의 통로단면적에 대한 2개의 관통구멍(18)이 단면적의 비율(이하 바이패스율이라 함)은 15% 이상 20%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18)을 집진부(12b)의 양측에 설치한 점 및 상기의 수치범위에 대해서의 이유는 후술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13)와 공조덕트(10)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증발기(113)의 외주로부터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재(19)가 빈틈없이 충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공조장치에서는 공기흡입구(10a)로부터 공조덕트(10)내로 분설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는 상황하에서 필터(12)의 집진부(12b)의 눈막힘이 진행하면 필터(12)의 공기통과저항이 차츰 증가하여이물질이 제3도에 화살표(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2)의 상류로 밀려 되돌아가게 되어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침입한다. 이 침입량이 크면 블로어모터(16)의 주위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모터록이 발생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필터(12)의 집진부(12b)의 전체면이 눈막힘되어도 관통구멍(18)을 통하여 일정량의 공기가 증발기(13)측으로 흘러 가고 필터(12)의 공기통과저항의 증가가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에 따라서 제한된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대한 이물질 침입량을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18)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필터(12)의 전체면이 눈막되어도 필요 최소한의 공조성능이 확보된다.
여기에서 바이패스율의 수치범위 및 관통구멍(18)의 배치에 대하여 제4도∼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과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대한 분설의 침입량의 관계를 집진부(12b)의 눈막힘이 없는 경우와 집진부(12b)의 전체면이 눈막힘된 경우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율 0%는 관통구멍(18)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며 바이패스율 100%는 필터(12)를 공조덕트(10)로부터 떼어낸 경우이다.
제4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대한 분설침입량은 바이패스율 30% 이하에서 증가하기 시작하고 15% 보다도 저하하면 분설의 침입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 때문에 바이패스율은 15% 이상 필요하다. 또한 이 값은 분설과 동등한 이물질에 대해서도 타당하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부(12b)의 양측에 관통구멍를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과 차 실내의 토출구(예를 들면 밴트토출구)에서의 토출온도의 흐트러짐과의 관계를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를 변경하면서 조사한 결과의 한 예를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다. 제5도는 바이패스율 10%, 제6도는 바이패스율 20%에서의 조사결과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조사대상의 토출구내에서 검출된 최고온도를 점선으로, 최저온도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이들의 온도차가 클수록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이 큰 것이 된다.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는 히터코어(14)의 전체면을 덮는 전체 닫힘위치(제3도의 위치(Ps))를 「0/6」, 히터코어(14)의 전체면을 개방하는 전체 열림위치(제3도의 위치(Po))를 「6/6」으로 나타냈다.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의 목표값은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 「3/6」(제3도의 실선위치)을 경계로하여 전체닫힘방향으로 8℃이내, 전체열림방향으로 13℃이내로 했다. 이들의 목표값은 필터(12)를 제거한 경우의 동일 토출구에서의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을 기준으로 하여 종래와 동등한 온도조정성능을 보증할 수 있는 값으로서 설정했다.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율이 10%인 경우에는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가 3/6이하의 영역에서 최대온도차가 6℃, 열림정도가 3/6을 넘는 영역에서 최대온도차가 13℃가 되어 어느 쪽도 목표값 이내였다. 그런데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율을 20%까지 증가시키면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가 3/6이하의 영역에서 최대온도차가 10℃, 열림정도가 3/6을 넘는 열역에서는 최대온도차가 14℃가 되어 어느 쪽도 목표값을 넘는다. 이 때문에 바이패스율은 20% 미만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필터집진부(12b)의 한쪽 측만에 관통구멍(18)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과 차 실내의 특정한 토출구(예를 들면 벤트토출구)에서의 토출온도의 흐트러짐과의 관계를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를 변경하면서 조사한 결과의 한 예를 제7도에 나타낸다. 또한 제7도는 바이패스율을 10%로 설정했을 때의 결과이다.
제7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18)을 집진부(12b)의 한쪽 측만에 설치하면 바이패스율이 10%이어도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가 3/6이하의 영역에서 최대온도차가 10℃, 열림정도가 3/6을 넘는 영역에서는 최대온도차가 17℃가 되어 어느 쪽도 목표값을 넘어 버린다. 따라서, 관통구멍(18)은 집진부(12b)의 양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관통구멍(18)을 양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관통구멍(18)을 통과한 공기가 필터집진부(12b)의 양측으로부터 동등하게 증발기(13)측으로 흘러들기 때문에 필터(12)의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유량분포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증발기(13)와의 열교환과 에어믹스도어(15)에서의 공기의 분배가 종래와 똑같이 실시되는 것에 대하여 집진부(12b)의 한쪽 측만에 관통구멍(18)을 형성했을 때는 필터(12)의 하류로 불균일하게 공기가 인도되어 유량분포의 흐트러짐이 확대되고 증발기(13)에서의 열교환과 에어믹스도어(15)에서의 공기의 분배에 치우침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7도에서는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에 대해서만 설명했는데 필터(12)의 집진부(12b)의 양측에 관통구멍(18)을 설치했을 때에는 필터(12)의 하류에서의 유량분포의 흐트러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에어믹스도어(15)의 열림정도의 변화에 대한 토출온도의 변화특성과 히터코어(14)의 발열량의 변화에 대한 토출온도의 변화특성 등의 공조성능을 좌우하는 여러특성이 관통구멍(18)을 한쪽 측만에 설치하는 경우 보다 개선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필터(12)의 전체둘레에 관통구멍(18)을 설치해도 좋다.
[실시예 2]
제8도∼제10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예와의 공통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및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필터(21)의 하류측에 증발기(13) 및 감열체(22)가 배치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 필터(21)의 감열체(22)에 대한 바로 상부 위치에 원형단면의 관통구멍(23)을 형성하고 관통구멍(23)을 통과한 공기를 증발기(13)의 감열체(22)와의 대향영역의 상류측으로 인도하도록 한 것이다.
필터(21)는 수지 등의 테두리(21a)에 집진부(21b)을 부착했기 때문에 공조덕트(10)의 도시하지 않은 필터착탈구를 통하여 공조덕트(10)내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감열체(22)는 증발기(13)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통상은 서미스터가 이용된다. 감열체(22)의 검출온도가 소정값 보다도 낮으면 증발기(13)의 동결방지를 위해 압축기의 구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등 감열체(22)의 검출온도를 기초로 하여 각종 제도가 실행된다.
이상의 구성의 장치에서는 증발기(13)를 통과한 공기가 감열체(22)에 닿지 않으면 증발기(13)의 온도가 실제 보다도 높게 검출되고, 그 결과 증발기(13)가 동결하기까지 냉매의 공급이 계속되거나 증발기 (13)로부터 압축기로 되돌아가는 냉매가 과냉에 의해 액화되어 압축기가 파괴될 염려가 있다. 그런데 본실시예에서는 필터(12)의 집진부(12b)가 전면적으로 눈막힘되어도 관통구멍(23)을 통하여 일정량의 공기가 증발기 (13)의 온도를 항상 정확히 검출하여 온도를 오검출에 동반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관통구멍(23)의 단면적은 감열체(22)가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공기유량이 확보되도록 정한다. 제10도는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공조덕트(10) 내의 통로단면적에 대한 관통구멍(23)의 단면적의 비율(이하 제1실시예와 똑같은 바이패스율이라 함)과 감열체(22)와의 감도의 관계를 나탸내는 것이다. 제10도에 따르면, 바이패스율이 3.8%이상의 영역에서 감도가 대략 일정하게 된다. 또한 바이패스율 3.8%를 감열체(22)상에서의 통과풍량으로 환산하면 약 0.5㎥/min이 된다. 바이패스율을 과도하게 크게 하면 관통구멍(23)의 필터(21)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제7도의 예와 똑같이 필터(21)의 하류에서의 공기의 유량분포에 치우침이 발생하여 공조성능이 악화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바이패스율은 필요최소한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발기(13)의 핀에 감열체를 부착하고 공기를 통하지 않고 직접 온도를 검출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관통구멍(23)이 불필요하게 되는데 증발기(13)와는 별도로 감열체(22)를 배치하는 본 실시예쪽이 감열체(22)의 고장시에 일일이 증발기(13)를 공조덕트(10)로부터 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와 제1실시예를 조합하여 단일 필터에 관통구멍(18, 23)을 동시에 형성해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에 대한 이물질의 침입방지의 관점에서 관통구멍(18)의 바이패스율을 15%로 하고, 필터의 하류에서의 공기의 유량분포의 치우침 방지의 관점에서 관통구멍(23)의 바이패스율을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필터(12, 21)에 관통구멍(18, 23)을 형성하여 필터하류로 공기를 인도했지만 공조덕트(10)에 필터(12, 21)를 벌리듯이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해도 좋다. 다만 필터(12, 21)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쪽이 바이패스통로의 길이를 단축하여 바이패스통로의 증설에 의한 흐름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공조성능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에서 유리하다. 또 공조덕트(10)의 변경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공조장치에도 필터교환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와 특허청구범위와의 대응에 있어서, 관통구멍(18, 23)이 특허청구범위 제1항, 제6항, 제7항의 바이패스통로를, 관통구멍(18)이 특허청구범위 제2항, 제3항, 제4항의 바이패스통로 및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제1통로를, 관통구멍(23)이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바이패스통로 및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제2통로를 , 증발기(13)가 열교환기를 각각 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범위 제1항∼제3항의 발명에서는 필터의 집진부의 눈막힘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일정량 이상의 공기를 필터의 하류측으로 인도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집진부의 전체면이 눈막힘되어도 필요최소한의 공조성능을 확보 할 수있었다. 또 필터 보다도 상류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분기한 경우에도 공기분배량의 과잉 변화를 억제하여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하류의 필요한 곳에 필요한 양의 공기를 확실하게 인도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필터의 하류측에서의 공기의 유량분포의 치우침을 방지하여 바이패스통로의 증설에 의한 공조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고, 특히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서는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의 확대를 방지하여 쾌적성이 높은 공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서는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블로어모터 냉각덕트에 대한 분설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여 모터록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서는 필터의 집진부의 눈막힘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열교환기를 거쳐서 감열체로 공기를 확실하게 인도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온도를 항상 정확하게 검출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공조장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서는 차 실내에 대한 토출온도의 흐트러짐의 확대를 방지하면서 블로어모터 냉각덕트에 대한 분설의 침입을 방지하여 모터록의 염려를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를 거쳐서 감열체로 공기를 확실하게 인도하여 열교환기의 온도를 항상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공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서는 공조덕트를 변경하는 일 없이 바이패스통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공조장치에 대해서도 필터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용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 바이패스통로의 길이를 짧게 하여 바이패스통로의 증설에 동반하는 공조성능의 악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7)
-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내에 필터(12)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10)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필터(12)의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필터의 하류 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가 상기 필터의 집진부(12b)의 측테두리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8)가 상기 필터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의해 구성되며 그 관통구멍이 상기 필터가 설치된 공조덕트(10)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필터로 연장된 위치에서 바깥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8)의 단면적이 상기 공조덕트(10) 내의 상기 필터설치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2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로부터 블로어모터 냉각덕트(17)가 분기되고 이 분기위치 보다도 하류에 상기 필터(1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에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의 집진부(12b)로부터 우회시켜서 상기 필터의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18)가 상기 필터의 상기 집진부(12b)가 끼워져 있는 마주 대향하는 한쌍의 측테두리부(12a)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8) 의 단면적이 상기 공조덕트 내의 상기 필터설치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의 15% 이상 20%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10)내에 필터(12)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공기 흐름의 하류측에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체(22)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21)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21b) 와 공기를 그대로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3)이 설치되며 상기 감열체(22)가 상기 관통구멍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차 실내로 공기를 인도하기 위한 공조덕트에서 블로어모터 냉각덕트가 분기되고, 그 분기위치 보다 하류에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의 공기 흐름의 하류측에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감열체가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덕트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필터의 집진부로부터 우회시켜서, 필터의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하고, 그 바이패스통로는 상기 필터의 상기 집진부를 끼우는 한쌍의 측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제1통로(18)에 상기 감열체에 대향하는 영역에 설치된 제2통로(23)로 구성되고, 상기 공조덕트 내의 상기 필터부착 위치에서의 통로단면적에 대하여 상기 제1통로의 단면적이 15%로, 상기 제2통로의 단면적이 5%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형성한 관통구멍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통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320382 | 1993-12-20 | ||
JP32038293A JP3206262B2 (ja) | 1993-12-20 | 1993-12-20 | 車両用空調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7310A KR950017310A (ko) | 1995-07-20 |
KR0168891B1 true KR0168891B1 (ko) | 1999-01-15 |
Family
ID=1812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3025A KR0168891B1 (ko) | 1993-12-20 | 1994-12-07 | 차량용 공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206262B2 (ko) |
KR (1) | KR01688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219B1 (ko) * | 2004-03-18 | 2011-04-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41485B2 (ja) * | 2012-02-28 | 2015-07-0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バッテリ冷却用ダクト内の埃捕集構造 |
KR102228651B1 (ko) * | 2019-07-17 | 2021-03-17 | 조한재 | 집진장치 |
KR102228606B1 (ko) * | 2019-07-17 | 2021-03-17 | 조한재 | 집진장치 |
CN113510130B (zh) * | 2021-06-08 | 2024-06-21 | 天津中鑫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 均流器 |
-
1993
- 1993-12-20 JP JP32038293A patent/JP3206262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12-07 KR KR1019940033025A patent/KR01688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219B1 (ko) * | 2004-03-18 | 2011-04-27 | 한라공조주식회사 |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7310A (ko) | 1995-07-20 |
JP3206262B2 (ja) | 2001-09-10 |
JPH07172163A (ja) | 1995-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97837B2 (en) | Seal and drain structure for a front and rear integrated HVAC system | |
US7503383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006082725A (ja) | 空調装置 | |
US20040165984A1 (en) | Centrifugal air blower unit having movable portion | |
JP6958222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US20070144120A1 (en) |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 |
KR0168891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EP1297978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with air duct system | |
US10569621B2 (en) | Casing for air conditioning unit | |
JP3723805B2 (ja) |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 |
JP2011121430A (ja) | 車両用空気調和装置 | |
KR101648124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JP4967900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JP3617143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20130026661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2720063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450597B1 (ko) |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 |
KR101659875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US20050051320A1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WO2011037082A1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1899368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US10723204B2 (en) |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050111251A (ko) | 자동차용 공조장치 | |
KR101779369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JP3169671U (ja) | 加熱器温度検出手段の配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