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06B1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06B1
KR102228606B1 KR1020190086644A KR20190086644A KR102228606B1 KR 102228606 B1 KR102228606 B1 KR 102228606B1 KR 1020190086644 A KR1020190086644 A KR 1020190086644A KR 20190086644 A KR20190086644 A KR 20190086644A KR 102228606 B1 KR102228606 B1 KR 10222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dy
bypass
duct
fluid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722A (ko
Inventor
조한재
Original Assignee
조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재 filed Critical 조한재
Priority to KR102019008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집진성능이 향상된 개선된 구조의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집진장치는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및 덕트 외측의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덕트와 연통되고 내부에 우회로가 형성되어 제1필터체 및 제2필터체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와 제2우회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우회로는, 일단부에 덕트의 일 측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덕트의 타 측에 연결되어 우회로를 통과한 유체를 덕트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제1우회로형성부에서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은 제2우회로형성부와 교차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성능이 향상된 개선된 구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지 등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종래 집진설비 등을 요구하지 않던 산업시설에도 오염물질의 처리가 가능한 집진장치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기체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시설에 대해서도 오염물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복합화력발전시설 등에서도 집진장치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집진장치는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분진{일반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산화아연, 흄(fume), 목분, 솜, 원면(原綿), 대패밥, 곡분, 털, 연분(鉛粉) 등}을 필터에 의해 공기와 분리하여 분진이 분리된 청정 공기만을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집진장치 내부에 설치된 필터는 필터 표면에 분진이 결착되어 적층되면 유체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유체의 투과 속도가 낮아지고 집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고속으로 유체를 투과할 경우 차압에 의해 필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내부에 복수 개의 필터를 설치하는 방식의 집진장치와 같은 경우(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2621호 등),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면 운전 중 차압이 더 커져 필터 손상의 염려 등이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2621호, (2013. 02. 05.), 명세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성능을 향상시킨 개선된 구조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는,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및 상기 덕트 외측의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고 내부에 우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와 제2우회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로는, 일단부에 상기 덕트의 일 측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덕트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우회로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덕트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우회로형성부에서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은 상기 제2우회로형성부와 교차하지 않는다.
상기 유입구의 면적은 상기 배출구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회로를 개폐하는 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판은, 상기 유입구에 배치되는 유입측차폐판, 및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배출측차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여 개폐되되, 상기 유입측차폐판은 상기 우회로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덕트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덕트 내부에 상기 유동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필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필터체는 상기 제2필터체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필터체는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 중 적어도 하나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제1필터체와 상기 제2필터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체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공극을 갖는 충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체, 상기 제2필터체, 및 상기 충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체, 상기 제2필터체, 및 상기 충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정전기력을 발생시키는 대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에 의해 효과적인 집진이 가능하다. 특히, 필터를 투과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압력손실을 줄이며 유동 속도를 확보하면서도 유체 내의 오염물질들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유동량이 많거나 유속이 빠른 악조건에서도 유체를 용이하게 여과할 수 있으며, 유체 여과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필터의 손상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를 Z-Z'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집진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유체'는 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여러 기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유체의 '투과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필터를 통과한 유체의 유량을 필터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 '전단'과 '후단'은 유체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로, 전단은 유체가 각 구성부로 유입되는 측을 말하고 후단은 유체가 각 구성부에서 유출되는 측을 말하며, 각 구성부와 인접한 직전 위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를 Z-Z'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우회로를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포함한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공극을 통하여 유체 내 오염물질을 유입하고 포집할 수 있으며, 체거름(sieving), 관성충돌(inertia impaction), 확산(diffusion), 차단(interception)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처리할 수 있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A) 내부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덕트(A) 내부의 유체가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덕트(A)는 배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발전시설 등의 보일러 자체, 보일러 내부, 배기관, 또는 연돌 등의 유체 이동이 가능한 여러 형태의 통로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면 상에는 덕트(A)가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집진장치(1)가 적용되는 처리시설의 크기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가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참조)의 수직방향으로 덕트(A) 내에 개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경사를 이루며 개재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덕트(A)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체가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배치된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가 서로 밀착되어 있지 않아 유체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고,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 예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되거나,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 전단(도 2에서 좌측)에 제2필터체(20)가 추가로 배치되거나,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 후단(도 2에서 우측)에 제1필터체(10)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여과 방식에 의해 유체 중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인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시판 또는 제조되는 필터일 수 있다.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부직포, 직포, 및 발포성 폼(foa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는 각종 섬유, 금속, 고분자 화합물 등 공극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필터체(10)의 공극의 크기와 제2필터체(20)의 공극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필터체(10)의 공극의 크기와 제2필터체(20)의 공극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여 유체의 유동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고, 보다 균일한 집진을 유도할 수 있다.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가 배치된 덕트(A)에는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bypass,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가 배치된다.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는 덕트(A)와 연통되고 내부에 우회로(30)가 형성되어 덕트(A) 내 유체의 일부를 우회시킨다.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는 덕트(A)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덕트(A) 내 유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를 우회하는 유체의 흐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집진장치(1)는, 덕트(A) 내부에 제1필터체(10)가 배치되고 제1필터체(10)와 대응하는 위치의 덕트(A) 외측에 제1우회로형성부(3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유체의 오염물질이 제1필터체(10)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제1필터체(10)가 갖는 공극이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되거나 처리대상인 유체의 유량이나 유속이 증가하여 제1필터체(10)에 미치는 압력이 커지더라도, 제1필터체(10) 전후단의 덕트(A)를 관통하는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해 유체가 우회하여, 제1필터체(10) 전체에 미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우회로형성부(31)에 의해 전체적인 유체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켜 제1필터체(10)의 차압(필터 전후단의 압력차, 즉, 압력손실) 증가 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압력 증가에 의해 제1필터체(10)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등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는 제1필터체(10)를 통과한 유체에 비해 오염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어, 전체적인 집진 효율이 감소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집진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체(10) 후단에 제2필터체(20)가 배치되고, 제2필터체(20)와 대응하는 위치의 덕트(A) 외측에 제2우회로형성부(32)가 배치된다. 제2우회로형성부(32)는, 내부에 제2필터체(20)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고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가 제2우회로형성부(32)로 이동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도 1 및 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제1우회로형성부(31)에서 덕트(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E)이 제2우회로형성부(32)와 교차하지 않도록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배치한다. 즉,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가 마주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가 가능한 제2우회로형성부(32)보다 제2필터체(20)를 통과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에 의해,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을 더 많이 포함하는 유체가, 주로 제2필터체(20)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제1필터체(10)를 통과한 유체와 같은 정도로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유체 중 입자상 오염물질을 여과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여과 중 발생할 수 있는 압력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 등도 피할 수 있다.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 내부에 형성된 우회로(30)에는,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30a)와 유체를 덕트(A)로 배출하는 배출구(30b)가 형성된다. 유입구(30a)는 우회로(3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덕트(A)의 일 측에 연결되며, 배출구(30b)는 우회로(30)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덕트(A)의 타 측에 연결된다. 이때, 덕트(A)의 일 측은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의 전단을 의미하고, 덕트(A)의 타 측은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의 후단을 의미할 수 있다. 덕트(A)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 중 일부가 유입구(30a)로 유입되고 우회로(30)를 통과한 후 배출구(30b)로 배출되어,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통과하지 않도록 우회할 수 있다.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우회로(30)의 유입구(30a) 면적(a)과 배출구(30b) 면적(b)의 비를 조절하여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는 유입구(30a)의 면적(a)이 배출구(30b)의 면적(b)보다 작을 수 있다. 유체를 우회로(30)로 유입하는 유입구(30a)의 면적(a)보다 유체를 덕트(A)로 배출하는 배출구(30b)의 면적(b)이 넓게 형성되면, 유입구(30a) 측의 유체 속도보다 배출구(30b) 측의 유체 속도가 느려져 우회로(30)를 통과한 유체가 낮은 속도로 덕트(A)에 배출되므로, 우회로(30)를 통과한 유체가 덕트(A)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가능한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회로(30)의 유입구(30a) 면적(a)을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유입구(30a)를 통해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줄이고, 보다 많은 유체가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를 통과되도록 할 수 있어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집진장치(1)는 기존에 설치된 덕트(A)를 활용하는 방식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기존에 설치된 덕트(A)에서,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의 유입구(30a)와 배출구(30b)가 배치되는 위치의 덕트(A) 부분을 제거하고,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덕트(A) 내부에 설치한 후,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설치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집진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경우 제1우회로형성부(31), 제2우회로형성부(32), 및 덕트(A)를 일체로 형성하여 집진장치(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는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가 각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체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둥근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우회로형성부(31), 제2우회로형성부(32)는 각각 정면을 기준으로 제1필터체(10)의 좌측과 제2필터체(20)의 우측에 배치되어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필터체(10)의 우측과 제2필터체(20)의 좌측, 제1필터체(10)의 상측과 제2필터체(20)의 하측, 제1필터체(10)의 좌측과 제2필터체(20)의 하측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덕트(A)의 높이와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의 높이가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체의 분포 등에 따라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가 각각 덕트(A)의 상부, 하부 또는 중앙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집진장치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집진장치(1)는 덕트(A) 내에 배치되는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 및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대응하는 위치의 덕트(A)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우회로(30)를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포함하고,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집진장치(1)에 유체가 유입되면, 대부분의 유체는 제1필터체(10)를 통과하여 유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유체의 일부는 제1우회로형성부(31)의 우회로(30)를 통과하여 제1필터체(10)를 우회한다. 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제1필터체(10)의 공극이 오염물질에 의해 폐쇄되어 저항이 커질 수 있고, 제1필터체(10)의 저항이 커지면, 제1우회로형성부(31)로 유도되는 유체의 유량이 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1우회로형성부(31)가 제1필터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체의 유량이 갑자기 증가하여 제1필터체(10)에 발생하는 압력이 갑자기 커지더라도, 증가된 유체가 제1우회로형성부(31)로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여 역시 제1필터체(10) 전체 압력을 감소시켜 제1필터체(10)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피할 수도 있다. 이때, 우회로(30)의 유입구(30a) 면적을 배출구(30b) 면적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우회로(30)를 통과한 유체가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후, 제1필터체(10) 또는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의 대부분은 제1필터체(10)의 후단에 위치한 제2필터체(20)를 통과하고, 유체의 일부는 제2우회로형성부(32)의 우회로(30)를 통과하여 제2필터체(20)를 우회한다. 제1필터체(10) 및 제1우회로형성부(31)와 동일하게, 제2필터체(20)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제2필터체(20)에 발생하는 압력이 커지더라도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보다 증가하게 되어 제2필터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제2필터체(20)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제2우회로형성부(32)는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하여 오염물질을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는 유체가 제2우회로형성부(32)로 이동하는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제2필터체(20)를 상대적으로 많이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 역시 제2필터체(20)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는 제2우회로형성부(32)보다 제2필터체(20)를 통과하도록 유도되므로, 최종적으로 제1필터체(10)를 통과한 유체와 유사한 흐름을 가질 수 있어, 유체 전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장치(1)는 유체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면서 유체의 오염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도 1의 집진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제1변형례인 집진장치(1-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1변형례인 집진장치(1-1)는 우회로(30)를 개폐하는 차폐판(40)을 포함한다. 도 4의 (a)는 차폐판(40)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차폐판(4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차폐판(40)은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 내부에 형성된 우회로(30)에 설치되어 우회로(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우회로(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고, 덕트(A) 내부의 유체 흐름 역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폐판(40)이 덕트(A)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이 진행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차폐판(40)은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등 우회로(30)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차폐판(40)은 우회로(30)의 유입구(30a), 배출구(30b), 또는 유입구(30a)와 배출구(3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입구(30a)에 배치되는 유입측차폐판(40a), 및 배출구(30b)에 배치되는 배출측차폐판(4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은 덕트(A) 내 유체의 유압, 유량, 또는 유속이 낮을 경우 우회로(30)를 폐쇄하여, 유체가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므로,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입측차폐판(40a)은 덕트(A) 내 유체의 유압, 유량, 또는 유속이 높을 경우 유입구(30a)를 개방하여, 유체를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로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배출측차폐판(40b)은 유입구(30a)가 개방되어 유체가 우회로(30)를 통과할 경우 배출구(30b)를 개방하여, 우회로(30)를 통과한 유체를 덕트(A)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측차폐판(40b)은 유체가 우회로(30)를 통과하지 않을 경우 배출구(30b)를 폐쇄하여, 역류하는 유체가 우회로(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측차폐판(40b)이 덕트(A) 내에 위치하지 않게 하여 덕트(A) 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은 일단부가 덕트(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회동하여 유입구(30a)를 개폐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은 우회로(30)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어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우회로(30)로 유체를 유입할 수 있다. 배출측차폐판(40b)은 일단부가 덕트(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회동하여 배출구(30b)를 개폐할 수 있다. 배출측차폐판(40b)은 덕트(A)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어 우회로(30)를 통과한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역류하는 유체가 우회로(30)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의 타단부와 배출측차폐판(40b)의 타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측차폐판(40a)의 타단부와 배출측차폐판(40b)의 타단부는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은 타단부가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보다 유체가 우회로(30)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배출측차폐판(40b)은 타단부가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보다 우회로(30)로 역류하는 유체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일단부가 덕트(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외팔보(cantilever,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필름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체에 의해 구부러져 우회로(30)를 개폐할 수도 있다.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구부러지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어, 우회로(30)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덕트(A) 내에 저압의 유체가 유동할 경우,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구부러지지 않거나 약하게 구부러지므로 유체가 우회로(30)보다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덕트(A) 내에 고압의 유체가 유동할 경우,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강하게 구부러지므로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에 의한 유동 저항을 줄여 우회로(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가능한 피하고 유체가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를 보다 용이하게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압 유체에 의해, 유입구(30a) 또는 배출구(30b)가 최대로 개방됨으로써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제2변형례인 집진장치(1-2)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제1변형례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2변형례인 집진장치(1-2)의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일단부가 덕트(A)에 힌지 결합된다.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덕트(A)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체에 의해 밀려 우회로(30)를 개폐할 수 있다. 덕트(A) 내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밀리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어, 우회로(30)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덕트(A) 내에 저압의 유체가 유동할 경우,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밀리지 않거나 약하게 밀리므로 유체가 우회로(30)보다 제1필터체(10) 또는 제2필터체(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덕트(A) 내에 고압의 유체가 유동할 경우,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이 강하게 밀리므로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측차폐판(40b')에 의한 유동 저항을 줄여 우회로(3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가능한 피하고 유체가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를 용이하게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유체에 의해 유입구(30a) 또는 배출구(30b)가 최대로 개방됨으로써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함께 보조필터체를 배치하여 여과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제3변형례인 집진장치(1-3)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일 실시예의 제3변형례인 집진장치(1-3)는 보조필터체(50)가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필터체(50)는 공극을 통하여 유체 내 오염물질을 유입 및 포집할 수 있으며, 체거름(sieving), 관성충돌(inertia impaction), 확산(diffusion), 차단(interception) 등의 메커니즘을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처리할 수 있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1-3)는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통해 유체가 우회하도록 하여 전체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면서도, 보조필터체(50)에 의해 전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조필터체(50)는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A) 내부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덕트(A) 내부의 유체가 보조필터체(5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보조필터체(50)가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덕트(A) 내에 개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경사를 이루며 개재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필터체(50)는 덕트(A)의 길이방향으로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필터체(50)가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에 밀착되어 있지 않아 유체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고,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조필터체(50)는 제1필터체(10)의 전단,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 의 사이, 및/또는 제2필터체(2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조필터체(50)가 제2필터체(20)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1우회로형성부(31) 및/또는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유체를 보조필터체(50)가 여과시킴으로써, 전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조필터체(50)는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 중 적어도 하나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극을 가질 수 있다. 보조필터체(50)가 갖는 공극(c)의 크기가 제1필터체(10)가 갖는 공극(a)의 크기 및/또는 제2필터체(20)가 갖는 공극(b)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다 작은 크기의 오염물질까지 상대적으로 공극의 크기가 작은 보조필터체(5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가 갖는 공극(a)의 크기와 제2필터체(20)가 갖는 공극(b)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을 보다 안정시킬 수 있고, 보다 균일한 집진을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와 함께 충전체를 배치하여 여과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제4변형례인 집진장치(1-4)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4변형례인 집진장치(1-4)는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 사이에 충전체(60)가 배치된다. 충전체(60)는 공극을 통하여 유체 내 오염물질을 유입 및 포집하고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체(60)가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후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므로,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한 유체가 제2필터체(20)로 유도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에 의해, 제1우회로형성부(31)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오염물질을 더 많이 포함하는 유체가 제2우회로형성부(32)보다 제2필터체(20)를 통과하게 되어 보다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1-4)는 제1우회로형성부(31)와 제2우회로형성부(32)를 통해 유체가 우회하도록 하여 전체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면서도, 충전체(60)에 의해 전체 여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체(60)는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 사이에 개재되어 충전체(60)를 최대한 넓은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유체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충전체(60)는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직포, 부직포, 발포성 폼(foam)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체(60)는 각종 섬유, 금속, 고분자 화합물 등 공극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체(60)는 제1필터체(10)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공극을 가질 수 있다. 충전체(60)가 갖는 공극(d)의 크기가 제1필터체(10)가 갖는 공극(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필터체(10)를 통과한 유체의 흐름이 충전체(60)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가능한 피할 수 있어, 원활한 유체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가 점착성을 갖도록 하여 필터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제5변형례인 집진장치(1-5)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일 실시예의 제5변형례인 집진장치(1-5)는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 충전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70)를 포함한다. 점착부(70)의 점착성에 의해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를 통과하는 유체에 함유된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1-5)는 전술한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로 유체를 우회시켜 압력부하를 낮추는 동시에 점착부(70)의 점착성에 의해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의 집진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충전체(60)에 점착부(7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점착부(70)는 상대적으로 공극이 큰 충전체(60)에 적용되어 유체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면서도 점착성에 의해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공극이 작은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에 적용되어 점착성에 의해 집진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점착부(70)는 제1필터체(10), 및/또는 제2필터체(20)의 표면은 물론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점착부(70)는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나,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점착성을 갖는 점착물질을 용제 등으로 희석하여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를 반복적으로 침지하는 딥 코팅(dip-coating) 등의 방법으로 점착부(70)를 형성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의 공극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한 두께로 점착부(70)의 두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점착부(70)의 분포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집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필터체에 동일한 방식으로 점착부가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가 하전을 갖도록 하여 필터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제6변형례인 집진장치(1-6)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일 실시예의 제6변형례인 집진장치(1-6)는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 충전체(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정전기력을 발생시키는 대전부(80)를 포함한다. 대전부(80)의 정전기력에 의해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를 통과하는 유체의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장치(1-6)는 전술한 제1우회로형성부(31) 및 제2우회로형성부(32)로 유체를 우회시켜 압력부하를 낮추는 동시에 대전부(80)의 정전기력에 의해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의 집진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충전체(60)에 대전부(8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대전부(80)는 상대적으로 공극이 큰 충전체(60)에 적용되어 원활하게 유체를 통과시키면서도 정전기력에 의해 오염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공극이 작은 제1필터체(10) 및 제2필터체(20)에 적용되어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 효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대전부(80)는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의 표면은 물론 내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대전부(80)는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나,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및/또는 충전체(60)를 하전 장치에 의하여 하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전기(양전하 및/또는 음전하)를 보유할 수 있고, 유체의 오염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또한, 집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필터체에 동일한 방식으로 대전부가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예의 변형례들의 특징을 조합하여 또 다른 변형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제7변형례인 집진장치(1-7)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제1변형례, 제2변형례, 및/또는 제4변형례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7변형례인 집진장치(1-7)는 차폐판(40) 및 충전체(60)를 포함하며, 충전체(60)는 차폐판(40)이 회동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차폐판(40)이 우회로(30) 내측으로 회동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덕트(A) 내측으로 회동하는 경우에도 충전체(60)에 의해 유체 내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40)은 유입구(30a)에 배치되어 우회로(30)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는 유입측차폐판(40a)과 배출구(30b)에 배치되어 덕트(A)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는 배출측차폐판(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우회로형성부(31)의 배출구(30b)에 배치된 배출측차폐판(40b)의 가동범위가 덕트(A) 내측으로 제한되므로, 충전체(60)는 제1우회로형성부(31)의 배출측차폐판(40b)이 회동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보다 많은 유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충전체(60)가 제1필터체(10)와 제2필터체(20) 사이 영역 중 배출측차폐판(40b)이 회동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전체에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다 단순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판(40)은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덕트(A)에 힌지 결합하는 등 우회로(30)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여과 효율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필터체(50)를 더 포함하거나, 집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필터체(10), 제2필터체(20), 보조필터체(50), 및/또는 충전체(60)가 점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으며, 점착부(70) 대신 또는 점착부(70)에 추가로 대전부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1-2, 1-3, 1-4, 1-5, 1-6, 1-7: 집진장치
10: 제1필터체 20: 제2필터체
30: 우회로 30a: 유입구
30b: 배출구 31: 제1우회로형성부
32: 제2우회로형성부 40: 차폐판
40a, 40a': 유입측차페판 40b, 40b': 배출측차폐판
401: 힌지축 50: 보조필터체
60: 충전체 70: 점착부
80: 대전부 A: 덕트
E: 연장선

Claims (14)

  1.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및
    상기 덕트 외측의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고 내부에 우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와 제2우회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로는, 일단부에 상기 덕트의 일 측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덕트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우회로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덕트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우회로형성부에서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은 상기 제2우회로형성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유입구의 면적은 상기 배출구의 면적보다 작은 집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회로를 개폐하는 차폐판을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유입구에 배치되는 유입측차폐판, 및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배출측차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회동하여 개폐되되,
    상기 유입측차폐판은 상기 우회로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고,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가동범위가 제한되는 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타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집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집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측차폐판과 상기 배출측차폐판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덕트에 힌지 결합되는 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부에 상기 유동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필터체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체는 상기 제2필터체 후단에 배치되는 집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체는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 중 적어도 하나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극을 갖는 집진장치.
  12.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 내부에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배치되는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 및
    상기 덕트 외측의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고 내부에 우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체 및 상기 제2필터체를 우회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제1우회로형성부와 제2우회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로는, 일단부에 상기 덕트의 일 측에 연결되어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덕트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우회로를 통과한 유체를 상기 덕트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우회로형성부에서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은 상기 제2우회로형성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제1필터체와 상기 제2필터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체가 갖는 공극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공극을 갖는 충전체를 더 포함하는 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체, 상기 제2필터체, 및 상기 충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점착성을 갖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체, 상기 제2필터체, 및 상기 충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에 정전기력을 발생시키는 대전부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KR1020190086644A 2019-07-17 2019-07-17 집진장치 KR10222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44A KR102228606B1 (ko) 2019-07-17 2019-07-17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644A KR102228606B1 (ko) 2019-07-17 2019-07-17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22A KR20210009722A (ko) 2021-01-27
KR102228606B1 true KR102228606B1 (ko) 2021-03-17

Family

ID=7423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644A KR102228606B1 (ko) 2019-07-17 2019-07-17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0229A1 (en) * 2022-05-27 2023-11-30 Bendb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il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430A (ja) * 1992-09-02 1994-07-12 Hakubunshiya:Kk 排ガス中の微粒子捕集方法及びフィルター
JP3206262B2 (ja) * 1993-12-20 2001-09-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H08332334A (ja) * 1995-06-08 1996-12-17 Tsuchiya Mfg Co Ltd エアフイルタ
KR20130012621A (ko) 2011-07-26 2013-02-05 이진호 탈부착이 가능한 집진 필터
KR101385116B1 (ko) * 2012-05-08 2014-04-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정식 전극이 적용된 공기정화용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22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3160B2 (en) Airflow reducing and redirecting arrangement for industrial baghouse
US7947123B2 (en) Impact filter with grease trap
US64510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issions control through continuous filtration system
KR101196355B1 (ko) 대용량 여과집진기 탈진 장치 및 방법
JP2012163096A (ja) 吸気システム用の水分分離装置および方法
BRPI0807629A2 (pt) Ciclone com entrada de classificação e derivação de particulas pequenas
KR102228606B1 (ko) 집진장치
KR20080025234A (ko) 집진장치
KR101267522B1 (ko) 집진기용 배플장치
JP2023501887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フィルタ装置の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KR102105600B1 (ko) 이중사이클론 집진청소기
EP0296753A2 (en) Gas stream diffusing and distribution apparatus
KR102228651B1 (ko) 집진장치
KR102342643B1 (ko) 집진 시스템
KR102228620B1 (ko) 집진장치
CN103041659A (zh) 用于清洁袋式集尘室过滤器的装置和方法
RU2283165C2 (ru) Фильтр рекуператора установки нанесения полимерных порошковых покрытий
KR102613617B1 (ko) 지속 가능한 항균 집진기
JPS5855024A (ja) 流体を用いた連行微粒物質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51015A (ko) 집진 장치
CA1277929C (en) Device for removing particulates from a gas stream
KR102342646B1 (ko) 집진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210495544U (zh) 一种油烟机油烟处理系统
KR101525033B1 (ko) 원심분리형 축류식 집진장치
KR200288785Y1 (ko) 역기류 탈진식 여과집진 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