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38B1 - 안구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안구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38B1
KR0168838B1 KR1019900021255A KR900021255A KR0168838B1 KR 0168838 B1 KR0168838 B1 KR 0168838B1 KR 1019900021255 A KR1019900021255 A KR 1019900021255A KR 900021255 A KR900021255 A KR 900021255A KR 0168838 B1 KR0168838 B1 KR 0168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rug
housing member
treatment device
eye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289A (ko
Inventor
파이 다니엘
Original Assignee
파이 다니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452,782 external-priority patent/US4981479A/en
Application filed by 파이 다니엘 filed Critical 파이 다니엘
Publication of KR91001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7Gate valves; Slid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눈에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안구 치료 장치가 내부 케이싱과 내부 케이싱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외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아이컵은 내부 케이싱의 한쪽 끝단에 지지되며, 이 아이컵은 눈주위의 안면부에 일치되게 맞물리는 형상으로 된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안약병은 내부 케이싱내에 지지되는데, 이 안약병은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약물을 수용하게 된다.
눈꺼풀 이동부재는 내부 케이싱을 통하여 외부 케이싱에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설치되는데, 이 눈꺼풀 이동부재는 눈아래 안면부와 맞물려지는 누름기구탭을 포함하는데, 이 누름기구탭은 외부 케이싱을 내부 케이싱쪽으로 이동시킬때 안면부와 맞물리게 되어서,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켜 눈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게 된다.
약물 방출부재는 외부 케이싱에 적용되는데, 이 약물방출부재는 외부 케이싱을 내부 케이싱쪽으로 이동시킬 때 안약병을 작동시키게 되어서 약물을 노출된 눈의 결막원개위로 방출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안구 치료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치료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취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안구 치료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치료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안구 치료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눈 위에 놓여진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치료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9도는 눈위에 놓여진 제8도의 장치의 측면도이며 안구 부분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는 눈으로 액체약물 방울을 투입하는 것을 도시하는 제8도의 장치의 측면도이며 또한 안구 부분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1도는 제8도의 장치의 안구 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치료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장치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며 약물을 눈으로 투입할 때의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4도는 제12도의 장치의 내부 케이싱의 상단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내부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제16도는 제14도의 내부 케이싱의 측면도이다.
제17도는 제14도의 내부 케이싱의 하단 확대 평면도이다.
제18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아이컵의 하단 평면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아이컵의 평면도이다.
제20도는 제18도의 아이컵 부분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제18도의 아이컵의 상단 평면도이다.
제22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외부 케이싱의 하단 확대 평면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의 외부 케이싱의 측면도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외부 케이싱의 A-A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제25도는 제22도의 외부 케이싱의 누름 기구 마운트의 B-B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제26도는 제12도의 장치의 눈꺼풀 누름 기구의 평면도이다.
제27도는 제26도의 눈꺼풀 누름 기구의 평면도이다.
제28도는 제12도의 장치의 탬퍼-레지스턴트 링의 측면도이다.
제29도는 제28도의 탬퍼-레지스턴트 링의 평면도이다.
제30도는 제29도의 탬퍼-레지스턴의 링의 C-C선을 따라 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31도는 제12도의 장치의 덮개의 평면도이다.
제32도는 제31도의 덮개의 하단 평면도이다.
제33도는 제32도의 덮개를 위한 잠금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4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안약병의 확대 단면도이며, 좌측에는 약물이 방출될 때의 안약병의 위치를 나타내고, 우측에는 약물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작동될 때의 안약병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5,110,200 : 안구 치료 장치 11 : 관 형상 하우징
12,134,138,212 : 안약병 13 : 전면개구부
14,124,258 : 관측구멍 15 : 눈꺼풀 이동 기구
16 : 후면 개구부 18,140 : 안약병 노즐
19 : 눈 20 : 맞물림체
21 : 구동부재 22 : 아래눈꺼풀
25,242 : 슬롯 26 : 구동핀
30 : 약물방울 32 : 수직구동축
33,217,402 : 스프링 51,111 : 외부 하우징
112 : 내부 하우징 114,216 : 외부 하우징
116 : 원통부 120 : 아이피스
122 : 개구단 123,234,240,400 : 채널
132,236 : 보울 136 : 안약병 몸체
142 : 공동 148 : 약물이동부재
156 : 완충부재 160 : 깔푸기
210 : 내부 케이싱 214 : 아이컵
216 : 외부 케이싱 218 : 눈꺼풀 누름 기구
220 : 덮개 222 : 탬퍼-레지스턴트 링
224,311 : 상단벽 228 : 원통벽
230,233,262 : 오목부 232 : 직사각형구멍
252 : 원통구멍 256,342,410 : 노치
264,346,384 : 플랜지 268 : 사각만운팅 탭
270 : 마운팅 노치 272 : 모서리진 탭
274 : 베요네트 마운트 276 : 리브
278 : 누름기구 안내면 280,330,360 : 밀폐단
282,332,358 : 개방단 286 : 파지부
288 : 손가락 형상부재 296 : 누름기구마운트
304 : 레그 306 : 누름기구 탭
308 : 반구형 외부면 314 : 가이드 스트립
316 : 바닥벽 322 : 탭
324 : 경사면 326 : 덮개링
328 : 깨어지기 쉬운 부분 344 : 잠금부재
348 : 스템 350 : 베요네트
354 : 외부 몸체 356 : 내부몸체
364 : 마운팅 너브 366,382,394,396 : 오리피스
372 : 밸브 380 : 약물통
406 : 뚜껑
본 발명은 안구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체약물 방울을 눈에 안전하고 쉽게 투입할 수 있는 안구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눈에 안약을 투입하는데에 곤란함을 겪어 왔다.
왜냐하면 눈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물 방울이 눈으로 투입될 때 반사적으로 눈이 깜박이는 것을 제어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안약은 사용하는 사람은 종종 시력이 나쁘기 때문에, 눈 위에 안약병의 끝단을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종종 약물 방울이 부정확하게 코 또는 뺨에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나이가 많이든 사람들은 종종 안약병을 안정되게 잡고 있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적당한 양의 약물을 눈에 투입하기 위하여 안약병을 짜는데도 어려움을 겪었다.
비록 액체 약물이 적당하게 각막에 투입되었다 할지라도, 약물의 효과는 제한된다.
한번에 안구와 접촉될 수 있는 액체 약물 투입량의 최대량은 약 30마이크로 리터인데, 보통 더 많이 투입된 양은 눈꺼풀 위로 흘러 넘쳐서 뺨으로 흐르게 된다.
안약 방울이 안구의 표면에 투입될 때, 눈 깜빡임과 자연스럽게 흐르는 눈물이 결합하여 액체 약물이 효과적으로 남아있는 시간은 수분 정도로 제한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약물이 결막의 결막원개에 투입된다면, 약물은 더 오랜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남아있게 되어서 눈에 액체 약물을 투입하는 효과를 최대로 하게된다.
미합중국특허 제4,543,096호에는 안약을 투입하는 동안 눈꺼풀을 서로 떨어뜨려 펼치기 위하여 안약병 전면에 부착된 손가락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장치가 기술되고 도시되었다.
하나의 가동성 손가락형상 돌출부는 레버를 누르기 위하여 레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시에 안약을 안약병으로부터 투입하는 동안 눈꺼풀을 떨어뜨려 펼치게 된다.
그러나, 미합중국특허 제 4,543,096호에 기술된 장치는 안구를 적당하게 안정시키지 못할뿐만 아니라 결막원개를 노출시키지도 못한다.
또한, 손가락 형상의 돌출부는 만약 사용자가 우연히 상기 돌출부 중의 하나를 가지고 자기의 각막과 접촉시키게 되면 눈이 손상되게 된다.
유사하게, 미합중국특허 제4,531,944호에는 눈위에 안약병의 끝단을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눈의 주위를 흩뜨리는 관측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결막원개를 노출시키는 장치를 갖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래 눈꺼풀을 눌러지지 하지도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안구를 안정시키는 것과, 약물 투입방향을 맞추는 것과, 약물을 투입하는 것과 그리고 결막원개를 노출시키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안구 치료 장치가 요구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구 치료 장치가 안약병으로부터 액체 약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장치는 안와 주위의 안면부 형상과 일치되는 제1의 개방단을 가진 관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 하우징은 액체 약물을 수용하는 안약병을 수용, 지지 및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정렬되어진다. 관측구멍이 하우징이 포함되어서 적절히 눈의 방향을 맞추어서 액체약을 방울이 눈으로 투입될 때 사용자의 눈의 주위를 흩뜨러 뜨린다.
눈꺼풀 이동기구가 관측구멍과 대향된 직경 방향의 위치에서 하우징의 제1 개방단에 지지된다.
이 눈꺼풀 이동 기구는 아래 눈꺼풀을 바깥으로 뒤집어서 결막원개를 노출시킨다.
관측구멍에 초점이 맞춰진 눈과 바깥으로 뒤집혀진 아래 눈꺼풀과의 결합 작용에 의해 결막원개가 노출됨으로써 눈으로 투입된 약물 방울이 좀더 쉽고 직접적으로 결막원개에 또는 결막원개 근처로 도포되게 되어서, 약물이 일시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작용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약물이 안구를 치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 눈꺼풀이 뒤집혀져서 액체 약물의 투입이 용이하게 됨에 따라 아래 눈꺼풀 이동 기구는 동시에 약물 방울이 안약병으로부터 나와서 결막원개로 들어가게끔 한다.
따라서, 결막원개로의 약물 투입이 더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 또는 액체 약물을 눈으로 투입하기 위한 안구 치료 장치는 그 자유단에 아이피스 부분을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부재를 구성으로 하고 있다.
아이피스부는 눈 주위의 안면과 적합하게 맞물리기 위한 형상으로 된 원주 가장자리를 그 내부에 가진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 부재는 눈에 약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액체 약물병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외부 하우징 부재는 아이피스 부와 대향하는 내부 하우징 부재의 끝단 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되는 개방 자유단을 가지고 있다.
이 외부 하우징 부재는 자유단과 대향하는 끝단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하여 내부 하우징 부재의 몸체 부분안으로 돌출되는 약물 배출 부재를 형성한다.
이 배출부재는 약물을 약병으로부터 아이피스 부의 구멍을 통하여 눈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부재를 아이피스를 향하여 미끄러뜨림으로써 내부 하우징 부재의 몸체내에 수용된 유연성 있는 약병에 대해 내리눌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약병으로부터 방출된 약물이 눈의 결막원개로 도포되도록 아래 눈꺼풀을 뒤집기 위하여 눈의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곡률이 진 형상을 가진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완충부재는 완충부재의 자유단이 아이피스부의 내부면과 사람의 안면부 사이에 놓여지도록 아이피스부의 원주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된다. 완충부재의 다른쪽 끝단은 순차적으로 외부 하우징 부재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된 유연성 바아에 연결된다.
이 유연성 바아는 약물을 안구의 결막원개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외부 하우징 부재가 아이피스부를 향하여 내부 하우징 부재위로 이동될 때 완충부재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아래 눈꺼풀을 뒤집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약물을 수용하는 내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약물을 눈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내부 케이싱은 눈 주위의 안면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된 제1 표면을 형성한다.
이 내부 케이싱은 또한 거기서 통하여 뻗어지는 제1 구멍을 형성한다.
약물은 제1 구멍을 통하여 눈안으로 방출되어진다.
본 발명 장치의 외부 케이싱은 내부 케이싱에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 장치는 또한 안구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눈의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아래 눈꺼풀 이동장치는 외부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외부 케이싱 내에 수용된 약물을 노출된 안구의 결막원개 위로 투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약물투입장치는 외부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적 실시예에서, 내부 케이싱은 그 한쪽 끝단에 지지된 아이컵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내부 케이싱은 제1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아래 눈꺼풀은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외부 케이싱에 연결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이동부재는 눈아래의 안면부에 맞물려지는 제2 표면을 형성한다.
이 제2표면은 내부 케이싱에 대하여 외부 케이싱을 이동시킴으로써 안면부와 맞물려질 수 있게 되어서 안면부를 이동시켜서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키게 된다.
내부 케이싱은 최소한 하나의 거기서 통하여 뻗어지는 제2구멍을 형성하는데, 이 제2구멍은 이동 부재를 수용하게 된다.
내부 케이싱은 또한 이동 부재를 눈아래의 안면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최소한 하나의 안내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내부 케이싱 내에 지지된 안약병을 포함하는데, 이 안약병은 약물을 수용하며 외부 케이싱이 내부 케이싱에 관하여 이동될 때 약물 투입을 위한 장치에 반응하여 약물을 방출시킨다.
이 약물 방출 장치는 외부 케이싱에 지지된 최소한 하나의 손가락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 손가락 형상 부재는 외부 케이싱이 내부 케이싱에 대하여 이동될 때 안약병에 맞물려져서 약물을 방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 장치는 또한 외부 케이싱과 안약병 사이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이 코일스프링은 외부 케이싱을 내부 케이싱에 관하여 누르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내부 케이싱은 거기서 통하여 뻗어지는 2개의 제2의 구멍과 2개의 안내 표면을 형성하며 이동 부재는 제1 레그 및 제2 레그와 거기에 지지된 누름탭을 형성한다.
이 누름탭은 눈 아래의 안면부와 맞물리는 제2의 표면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레그는 각각 2개의 제2구멍 내에 수용되어지며, 각 레그는 차례로 외부 케이싱의 한쪽 끝단에 연결된다.
누름탭은 외부 케이싱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눈아래의 안면부와 맞물려질 수 있어서 누름 레그를 제2구멍을 통하여 이동시킨다.
2개의 안내 표면은 차례로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안내함으로써 누름 탭이 눈아래의 안면부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약물을 눈에 투입하기 위한 또다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그 한쪽 에 아이피스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 아이피스는 눈 근처의 안면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된 제1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장치는 또한 약물을 눈안으로 투입하는 제1하우징 부재내에 지지된 약물 수용을 위한 안약병을 포함하고 있다.
제2하우징 부재는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2하우징 부재는 거기에 지지된 약을 투입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약물 투입부재는 제2하우징 부재를 제1하우징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안약병과 맞물려지게 되어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되게 된다.
본 발명장치는 또한 제2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며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눈꺼풀 누름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눈꺼풀 누름기구는 제2하우징 부재를 제1하우징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킬 때는 눈 아래의 안면부와 맞물려지는 제2표면을 형성한다.
이동된 안면부는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키고,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약물은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눈으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간단히 본 발명장치를 눈위에 배치시킴으로써 아이피스가 눈 주위의 안면부에 자라잡게 된다.
일단 아이피스가 자리잡혀지면, 본 발명 장치는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어서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장치를 눈 위에 안정시키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와 같은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안구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킴으로써, 약물을 눈에 투입할 때 반사적인 눈 깜빡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으로 제거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장치가 안구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약물이 직접 결막원개에 투입될 수 있어서, 약물의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고 환자에게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하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명백해진다.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안구 치료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가 10으로 지시된다.
이 안구 치료장치(10)는 안약병(12)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정렬된 관 형상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이 관 형상 하우징(11)은 눈 주위의 안면부에 일치되는 전면 개구부(13)를 포함한다.
안구 치료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안구를 적당하게 방향을 맞추기 위하여 전면 개구부(13) 근처의 관 형상의 하우징에 관측 구멍(14)이 설치된다. 15로 지시된 아래 눈꺼풀 이동기구는 관측구멍(14)과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1)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기구(15)는 아래 눈꺼풀을 움츠려뜨려서 약물을 안약병(12)으로부터 투입하는 동안 동공 아래의 안구 표면을 노출시키게 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은 안약병(12)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고 정렬된다.
그러나, 이 하우징은 드로퍼, 단일의 의약 드로퍼 바이얼, 가압추진 장치, 또는 액체 약물을 저장하고 눈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어플리케이터 등을 수용하도록 변형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은 안약병(12)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된 후면 개구부(16)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하우징(11)은 안약병(12)의 목부분을 수용하고 풀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칼라(17)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1)은 안약병(12)의 세로축이 실질적으로 하우징(11)의 세로축과 평행하고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면 개구부(13)는 안와 주위의 안면부에 자리잡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면 개구부(13)는 안구 치료 장치(10)가 눈위에 놓여져서 안약병 노즐(13)의 끝단이 눈(19) 위에 정확하게 위치되면서 안구 치료 장치(10)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전면 개구부(13)가 눈주위에 위치되며 사람이 머리를 뒤로 젖힐 때, 노즐(18)로부터 떨어지는 약물 방울이 중력에 의해 눈(19)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15로 지시된 눈꺼풀 이동 기구는 아래 눈꺼풀을 안정하고 편안하게 움츠려뜨리기 위하여 안구치료 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약물이 내부 결막원개로 흘려서 약물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눈꺼풀은 후방 아래로 미끄러뜨리는 것은 결막의 민감하지 않은 부분인 결막원개를 노출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눈꺼풀 이동기구(15)는 맞물림체(20)와 구동 부재(21)를 포함하는데, 이 맞물림체(20)는 전면 개구부(13)가 눈 주위에 위치될 때 아래 눈꺼풀(22)과 접촉되는 곡률진부재이며, 이 맞물림체(20)는 축(23)에 의해 전면 개구부(13)에서 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곡률진맞물림체(20)가 부분적으로 회전되어 질 때, 맞물림체는 아래 눈꺼풀(22)을 뒤집어서 결막원개를 노출시킨다.
맞물림체(20)의 곡률진디자인은 몇가지 중요한 잇점을 제공한다. 맞물림체(20)의 곡률진 면과 아래 눈꺼풀(22)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당히 커서, 눈꺼풀을 적장히 뒤집는데 도움을 주며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눈꺼풀을 적당히 뒤집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주게된다.
넓은 맞물림 면은 또한 맞물림체(20)를 덜 위험하고 정확하게 위치 시키게 된다.
맞물림체(20)의 곡률진면은 또한 눈꺼풀을 뒤로 미끄러 뜨리기 위한 기구가 이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방지하게 된다.
안구 치료 장치(10)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맞물림체(20)가 아래 눈꺼풀(22)에 기대어지면서 전면 개구부(13)가 눈위에 위치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구동부재(21)는 그 다음에 맞물림체(20)를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구동 부재(21)의 제1끝단은 피봇핀(24)에 의해 하우징(11)에 피봇 연결되며, 구동부재(21)의 제2끝단은 슬롯(25)에서 맞물림체(20)에 미끄러질 수 있게 피봇 연결되며, 슬롯(25)은 구동핀(26) 주위에 위치된다.
구동부재(21)는 제1끝단과 제2끝단 중간에 돌출부(27)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부재(21)가 하우징(11)을 향하여 이동될 때 돌출부(27)가 하우징 슬롯(28)으로 통과되어 안약병(12)을 누르게 되어서 액체 약물 방울(30)이 노즐(18)로부터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1)은 돌출부(27)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후면 개구부(16)를 통하여 하우징 슬롯(28)을 형성한다.
구동부재(21)가 하우징(11)을 항하여 이동함에 따라, 슬롯(25)의 측면이 구동핀(26)을 눌러서 맞물림체(20)를 부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래 눈꺼풀(22)을 움츠려뜨림과 동시에 약물 방울(30)이 노즐(18)로부터 눈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관측 구멍(14)이 전면 개구부(13) 근처에 설치되어서 정확히 눈의 방향을 맞추게 됨으로써 결막원개를 노출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가 어떤 물체가 자기의 노출된 눈으로 접근해 오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반사적으로 눈을 깜박이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관측구멍(14)은 곡률진 맞물림체(20)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인 전면 개구부(13) 근처의 하우징(11)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자기 아래 눈꺼풀이 뒤집혀 질 때 윗쪽으로 회전된 상태로 자기 눈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결막원개를 적절히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30°인 각 A정도만큼 윗쪽으로 눈의 방향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관측구멍(14)이 전면 개구부(13) 근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에서 각 A는 35°보다 크다.
사용자에 의해 감지된 빛만이 관측구멍(14)을 통과하기 때문에, 시력이 나쁜 사람도 안구의 방향을 적절히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다음에,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로하면, 45로 지시된 본 발명 안구 치료 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이 구체적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곡률진 맞물림체(20), 전면 개구부(13), 관측구멍(14) 및 칼라(17)르르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맞물림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안약병(12)은 시트(50)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자리잡게 되며, 시트(50)는 외부 관 형상 하우징(51)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스프링(33)에 의해 윗쪽으로 기울여진다.
수직구동부재(32)는 2개의 끝단을 가지고 있는데, 제1끝단은 핀(52)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시트(50)에 피봇 연결되며, 수직구동 부재(32)의 제2끝단은 곡률진 맞물림체(20)에 구동핀(53)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게 피봇 연결된다.
안약병(12)이 하우징안으로 끼워 넣어져서 스프링(33)을 압축하게 될 때, 수직구동부재(32)는 곡률진 맞물림체(20)를 부분적으로 회전시켜서, 아래 눈꺼풀(22)를 뒤집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안구 치료 장치(45)의 전면 개구부(13)을 눈위에 놓고 아래 눈꺼풀을 맞물림체(20)와 접속시키게 된다.
액체약물 방울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시 관측구멍(14)를 응시하게 된다.
아래 눈꺼풀을 뒤집기 위하여, 안약병(12)의 끝단(31)이 하우징 안으로 밀려져서, 수직구동 부재(32)가 곡률진 맞물림체(2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구체적 실시예는 아래 눈꺼풀을 뒤집는데 필요한 힘을 맞물림체(20)와 아래 눈꺼풀(22) 사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시키게 된다.
이것은 미끄럼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켜서 아래 눈꺼풀(22)이 뒤집혀지는 것을 보증하게 된다.
스프링(33)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액체 약물을 눈에 투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구 치료 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의 장점들이 관찰된다.
안약병은 정확하게 방향이 맞춰져서 눈위에 안정되게 위치되어진다; 아래 눈꺼풀을 뒤집는 동안 안구를 윗쪽 응시 방향으로 방향을 맞추는 것과의 결합에 의해 결막의 결막원개는 노출된다; 아래 눈꺼풀이 눌려진 위치로 유지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관측 구멍을 통과하는 빛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써 무의식적인 눈깜박임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약물이 결막원개로 흘러서 약물 효과의 반 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도록 액체 약물의 방울이 눈에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제8도 내지 제11도에서는, 본 발명의 안구 치료 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가 110으로 지지되었다.
이 안구 치료 장치(110)는 외부 하우징(114)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112)은 개구단(118)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인 부분(116)과 아이피스부(120)을 포함하고 있다.
아이피스부(120)의 원주 가장자리는 눈 주위의 안면부의 윤곽에 일치되는 형상으로 된 개구부(122)을 형성하고 있다.
아이피스부(120)는 윗벽에 관측구멍(124)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관측구멍(124)을 아이피스부의 개구단(122) 근처에 위치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관측구멍(14)와 같은 방법으로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눈의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관측구멍(124)은 눈이 최소한 30°인 각 A를 통하여 위쪽으로 방향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유사하게 위치된다.
아이피스부(120)가 눈 주위의 안면부에 놓여질 때, 아이피스부의 원주 가장자리 형상은 빛이 아이피스와 안면부 사이로 통과하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눈으로 들어오는 모든 빛은 실질적으로 관측 구멍(124)을 통하여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안구 치료 장치(110)의 내부 하우징(112)은 안구 치료 장치의 축방향으로 뻗어지는 외부 벽에 길다란 채널(128)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 하우징(112)의 개구단(118) 근처의 채널(128)의 끝단은 보올(132)을 위하여 채널(128)에 오목하게 들어간 시트(130)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 보올(132)은 바람직하기로는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안구 치료 장치(110)가 눈위에서 회전되어 정렬될 때, 이 보올(132)은 오목하게 된 시트(130)로부터 굴러나와서 채널(128) 안으로 구르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보올(132)은 채널(128) 아래로 굴러서 바닥벽에 부딪히게 된다.
보올이 채널의 바닥벽을 때리게되는 작용은 진동을 안구 치료 장치(110)의 벽을 통하여 사람의 안면 피부와 뼈에 전달되게 된다.
이 방법으로 사람은 보올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느끼고 들을 수 있게되어서 안구치료 장치가 눈위에 적절히 정렬되었을 때를 알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시력이 나쁘거나 귀머거리인 사람도 구르는 보올의 진동을 간단히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에게도 특히 유용하다.
안구 치료 장치(110)는 또한 실질적으로 액체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안약병(134)을 수용하게 된다.
안약병(134)은 내부 하우징(112)의 원통부(116)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 안약병은 액체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136), 목부(138), 및 액체 약물 방울을 방출시키기 위한 노즐(140)을 포함하고 있다.
안약병의 몸체(136)는 스냅피드를 성형하는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내부 하우징 원통부(116)에 부착되며, 유사하게 내부 하우징 원통부(116)는 내부 하우징(112)과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140)의 형상은 공지되어 있는데, 전술한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된 노즐(13)과 같은 것으로 될 수도 있다.
안약병의 몸체(136)는 안구치료장치(110)와 동축상이며 몸체(136)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 뻗어지는 공동(142)을 그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42)의 밀폐된 끝단은 목부(138)의 개구부 근처에 위치된다.
안약병(138)은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와같이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며, 공동(142)의 밀폐된 끝단은 약물을 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안구 치료 장치(110)의 외부 케이싱(114)은 내부 케이싱(112) 위에 개방단(144)을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연결되며, 또한 외부 하우징(114)은 밀폐단(14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안구 치료 장치(110)와 동축상인 이동부지(148)와 밀폐단(146)을 형성하고 있다.
제1로브(150)는, 내부 하우징(112)의 외부 벽에 형성되며, 제2로브(152)는 제1로브(150) 아래의 외부 하우징(114)의 내부 벽에 형성되어서, 외부 하우징(114)과 내부 하우징(112)이 미끄러져서 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14)을 아이피스(120) 쪽으로 누름으로써,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이동부재(148)는 공동(142)의 밀폐단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제3로브(154)는 바람직하기로는 제1로브(150) 아래의 내부 하우징(112)의 외부 벽에 형성되어서, 외부 하우징(114)의 하향 스트로크를 제한함으로써 단지 소정량의 약물만을 노즐(140)을 통하여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안구 치료 장치(118)는 또한 유연성 있는 폴리머릭재로 형성된 완충부재(156)을 포함하고 있는데, 제8도 내지 제10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완충부재(156)는 아이피스(120)의 가장자리 둘레에 일치되며 아이피스(120)의 내부면과 사람의 안면부 사이에 자리잡게 되는 곡률진 형상을 가진 패드(158)을 포함하고 있다.
제11도에서는 아이피스(120)는 또한 그 표면에 형성되며 관측구멍(124)에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부분에 있는 원주 가장자리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뻗어지는 깔쭈기(16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58)의 자유단은 아이피스(120)의 가장자리 둘레에 깔쭈기(160)을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맞추어진다.
패드(158)의 다른쪽 끝단을 외부 하우징(114)의 개방단(144)의 가장자리에 연결시키는 완충부재의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바아(164)의 한쪽 끝단에 연결된다.
완충 부재의 바아(164)는 초음파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외부 하우징(114)에 부착된다.
완충부재(156)가 약물이 내부 결막원개로 흐르도록 아래 눈꺼풀을 아래쪽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움츠러뜨리기 위하여 제공됨으로써, 사람에게 편안감을 증대시키고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아이피스(120)가 눈위에 놓여질 때 패드(158)의 자유단은 아래 눈꺼풀(22)과 접촉하게 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 하우징(114)이 아이피스(120) 쪽으로 눌려질 때,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바아(164)는 패드(158)를 깔쭈기(160)에 대해서 누름으로써, 패드를 부드럽게 패드를 아래쪽으로 눌러서 아래 눈꺼풀(22)를 뒤집어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게 된다.
누르는 힘이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때,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바아(164)는 외부 하우징(114)을 원래 위치를 향하게 후방으로 밀게 되어 내부 하우징(112)으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안구 치료 장치(10)를 이용하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이피스(120)가 눈 주위의 안면부와 일치되게 맞물리도록 아이피스(120)가 눈위에 놓여진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관측구멍(124)를 통하여 응시하여 적절하게 눈의 방향을 맞추고,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치료 장치(110)가 수직위치를 향하여 회전되도록 머리를 기울인다.
보올(132)이 보올시트(130)로부터 이동되어 채널(128)의 바닥벽을 때릴때 사용자는 안구 치료 장치가 충분히 회전되었다는 것을 알게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외부 하우징(114)을 아이피스(120)를 향하여 누른다.
이어서, 이동부재(148)는 동시에 공동(142)의 밀폐단을 노즐(140)을 향하여 힘을 가하여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약물을 노즐(140)을 통하여 눈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외부 하우징(114)의 하향 스트로크는 동시에 플라스틱 바아(164)가 패드(158)를 깔쭈기(160)에 대해서 누름으로써 패드를 아래쪽으로 부드럽게 눌러 아래 눈꺼풀(22)을 뒤집어서 결막원개를 노출시켜 액체 또는 고체 약물을 수용하게 된다.
여러 가지 변형예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구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안구 치료 장치(110)의 안약병(134)은 가압하에서 이동부재(148)를 사용하지 않고 약물을 방출시키는 분무용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2도 내지 제13도에서는 본 발명의 안구 치료 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가 200으로 지시되었다.
이 안구 치료장치(200)는 내부 케이싱(210), 내부 케이싱(210) 내에 설치된 안약병(212)(개략적으로 도시됨), 및 내부 케이싱(21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 아이컵(214)를 포함하고 있다.
안구 치료 장치(200)는 또한 내부 케이싱(210) 위에 설치된 외부 케이싱(216)과, 외부 케이싱(216)에 연결되며 내부 케이싱(210)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눈꺼풀 누름 기구(218)을 포함하고 있다.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은 외부 케이싱(216)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며, 코일 스프링은 외부 케이싱(216)과 안약병(212) 사이에 설치된다.
덮개(220)은 아이컵(214) 위에 장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에 연결되어 안구 치료 장치(200)의 끝단을 덮게 된다.
안구 치료 장치(200)의 여러 가지 구성 부재는 바람직하게 약학적인 용도에 적합하게 폴리머릭재로 제조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치료 장치(200)는 약물을 안약병(212)에 노출된 눈의 결막원개 위로 방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제13도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이 아이컵(214)은 눈 주위의 안면부 위에 놓여지며, 외부 케이싱(216)은 내부 케이싱(210)을 향하여 이동된다.
이어서 외부 케이싱(216)의 이동을 눈꺼풀 누름기구(218)을 아래쪽으로 밀계되며, 그 다음에 눈꺼풀 누름기구(218)는 눈 아래의 안면부와 부드럽게 맞물림으로써,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켜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게 된다.
일단 눈의 결막원개가 노출되면 외부 케이싱(216)의 이동은 또한 안약병(212)을 작동시켜 약물의 방울을 방출시킨다.
제14도 내지 제17도에서는, 내부 케이싱(210)이 더 상세히 도시되는데, 이 내부 케이싱(210)은 상단 벽(224), 바닥끝단(225), 및 거기서 통하여 뻗어지는 구멍(226)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멍(226)은 내부 케이싱(210)의 세로축 x와 동심적으로 되어 있으며, 상단 벽(224)와 바닥끝단(225) 사이에서 뻗어지는 실질적으로 원통벽(228)에 의해 형성된다.
4개의 오목부(230)는 원통벽(228)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230)는 서로 등 간격으로 사이가 띄워지며, 각각의 오목부 x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원통벽(228)의 축 길이를 따라 뻗어진다.
이 원통벽(228)은 안약병을 수용하도록 치수 설계 되었으며, 각 오목부(230)는 안약병을 제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내부 케이싱(210)은 또한 2개의 정사각형 구멍(232)을 형성하는데, 각 구멍은 상단 벽(224)을 통하여 뻗어지며, 두 개의 오목부(233)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끝단(225)의 가장자리 안으로 뻗어진다.
직사각형 구멍(232)과 오목부(233)은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눈꺼풀 누름기구(218)가 거기서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내부 케이싱(210)은 또한 상단벽(224)과 바닥끝단(225) 사이에서 통하여 뻗어지는 2개의 채널(234)을 형성하고 있는데,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234)은 상단벽(224)으로부터 내부 케이싱(210)의 축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나사선 형상으로 뻗어있다.
각 채널(234)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축 x에 대하여 약 40°정도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강철 보올을 수용하게끔 치수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치료 기구(210)가 수평축에 대하여 약 40°정도 회전될 때, 강철 보올(236)은 채널(234)을 통하여 미끄러져서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마이컵(214)의 바닥면에 부딪히게 된다.
내부 케이싱(210)은 또한 외부 케이싱(216)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된 형상으로 된 외부벽(238)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벽(238)은 각각의 4개의 모서리를 따라 뻗어지는 4개의 채널(24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채널(240)은 내부 케이싱(210) 위에서의 외부 케이싱(216)의 미끄럼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내부 케이싱(210)은 또한 상단벽(224)를 통하여 뻗어지는 4개의 손가락형상의 슬롯(242)을 형성하고 있다.
각 손가락 형상의 슬롯(242)은 끝단벽(244)에 형성되며, 각 끝단벽(244)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 케이싱(210)의 세로축 x에 대하여 각 B 정도만큼 경사져지는데, 각 B는 바람직하게는 약45°이다.
제18도 내지 제21도에는, 아이컵(214)이 더 상세히 도시된다.
이 아이컵(214)은 눈 주위의 뼈 골격을 덮는 안면부와 일치되게 맞물리는 형상으로 된 원주 가장자리(248)를 형성한다.
돔 형상 벽(250)은 원주 가장자리(248)로부터 윗쪽으로 뻗어서 사용자의 눈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아이컵(214)은 또한 거기서 통하여 뻗어지는 실질적으로 원통인 구멍(252)을 형성하는데, 이 원통구멍(252)은 실질적으로 원통인 내부벽(254)에 의해 형성되며 세로축 x와 동심적으로 되어 있다.
한쌍의 사각 노치(256)가 원통 내부 벽(254) 내에 형성되며, 이 노치(256)들은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며 x축 방향으로 원통 내부벽(254)를 따라 뻗어진다.
내부벽(254)과 노치(256)는 하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덮개(220) 위에 있는 잠금부재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관측구멍(258)은 동형상 벽(250)을 통하여 뻗어지는데, 이 관측구멍(258)은 빛이 통과하도록 위치되어진다.
아이컵(214)이 눈위에 놓여지고 사용자가 관측구멍(258)을 응시할 때, 눈은 윗쪽으로 방향이 맞추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안약병(212)으로부터 방출된 약물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눈의 노출된 결막원개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아이컵(214)은 또한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주 가장자리(248)로부터 윗쪽으로 뻗어지며 돔 형상 벽(250)으로부터 떨어져 간격이 띄워진 외부 벽(260)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오목부(262)는 외부벽(26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사각 마운팅 팁(263)을 따라 형성된다.
2개의 사각 마운팅 팁(268)은 외부벽(266)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데, 이 마운팅 탭(268)은 내부 케이싱(210) 위에 있는 2개의 대응하는 오목부(230)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설계 되어서, 내부 케이싱에 대해 아이컵(214)을 위치시키게 된다.
마운팅 노치(270)는 제20도에 되시된 바와같이 외부벽(266)의 바닥내에 형성되어 내부 케이싱(210)을 아이컵(214)에 장착시키게 된다.
이 내부 케이싱(210)은 바닥끝단(225)의 내부면 위에 모서리진 탭(272)을 형성하는데, 이 모서리진 탭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26) 안으로 돌출된다.
아이컵(214)은 플랜지(264)를 원통벽(238) 안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내부 케이싱(210)에 설치되어서, 마운팅 탭(268)이 오목부(230) 안으로 끼워 넣어지게 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모서리진 탭(272)은 외부 벽(266) 위에서 밀려지며 마운팅 노치(270) 안으로 스냅됨으로써, 아이컵(214)을 내부 케이싱(2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이컵(214)은 또한 플랜지(264) 내에 2개의 베요네트 마운트(274)를 형성하고 있는데, 각 베요네트 마운트(274)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각각의 4각 노치(256)의 상단에 위치되어서 덮개(220)를 아이컵(214)에 로크시키게 된다.
한쌍의 리브(276)가 플랜지(264)의 직경 방향 대향측의 외부벽(260) 안쪽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뻗어진다.
이 리브(276)는 아이컵(214)이 내부 케이싱(210)에 설치될 때 각 리브(276)가 각각의 채널(234)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강철 보올(236)이 채널(234)를 통하여 미끄러질 때, 각 보올은 각 리브(276)을 때리게 된다.
그러므로 강철 보올(236)은 아이컵의 가장자리(248)를 통하여 눈 주위의 안면 피부와 뼈로 진동을 전달시킨다.
아이컵(214)은 또한 플랜지(264)의 양쪽에서 돔 형상 벽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누름 기구 안내면(274)을 형성하고 있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누름 기구 가이드인 리브(276)는 약간의 곡률 반경 R을 가진 안내면(278)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곡률반경 R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안내면(278) 눈꺼풀 누름기구(218)를 눈 아래의 안면부를 아래쪽으로 안내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제22도 내지 제25도에는, 외부 케이싱(216)이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 외부 케이싱(216)은 밀폐단(280), 개방단(282), 및 외부벽(28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외부벽(284)은 외부 케이싱(216)의 대향측에 위치된 2개의 파지부(286)을 형성하고 있는데, 각 파지부(286)는 밀폐단(280)에서 개방단(282)으로의 방향으로 세로축 x에 대하여 윗쪽으로 경사져 있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지부(286)는 사용자가 외부 케이싱(216)을 잡고 외부 케이싱을 내부 케이싱(210)에 관하여 미끄러뜨리는데 편리한 표면을 제공하게 된다.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 케이싱(216)은 또한 밀폐단(280)의 내부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손가락 형상부재(288)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4개의 손가락 형상부재(288)는 안구 치료 장치의 세로축 x에 대하여 서로 등거리로 간격이 띄워져 있다.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손가락 형상부재(288)는 모서리진 끝단(290)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바이얼 탭(292)은 아이컵(214)을 향하여 외부 케이싱(216)을 미끄러뜨림으로써 안약병(212)에 맞물리게 된다.
이어서 손가락 형상부지(288)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안약병(212)을 누르게 되어 안약병을 작동시켜 약물을 방출시킨다.
외부 케이싱(216)은 또한 개방단(282)의 외부면을 따라 뻗어진 팁(294)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팁(294)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탬퍼-레지스턴트 링(222) 안으로 스냅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216)은 또한 밀폐단의 내부 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누름기구 마운트(296)를 포함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누름기구 마운트(296)는 제25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각각의 누름기구 마운트(296)는 자유단을 통하여 뻗어지는 구멍(298)과 구멍(298) 둘레에서 뻗어지는 립(300)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멍(298)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눈꺼풀 누름기구(218)의 자유단을 수용하여서 눈꺼풀 누름기구를 외부 케이싱(216)에 연결시키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제26도 내지 제27도에는, 눈꺼풀 누름기구(218)가 상세히 도시되는데, 이 눈꺼풀 누름기구(218)는 크로스바아(312)와 크로스바아(302)의 양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레그(304)를 포함하고 있다.
이 2개의 레그(304)는 서로 평행하게 안구 치료 장치(200)의 x축 방향으로 뻗어진다.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레그(304)는 크로스바아(302)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곡률저 있으므로, 눈꺼풀 누름기구(218)가 외부 케이싱(216)에 의해 밀려질 때,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이 눈꺼풀 누름기구가 눈 아래의 안면부를 향하게 된다.
누름기구탭(306)은 레그(304)의 반대방향으로 크로스 바아(302)의 중앙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데, 이 누름 기구탭(306)은 반구형 외부 면(308)을 형성하며 눈 아래의 안면부와 맞물리게 된다.
이 누름 기구 탭(306)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아래의 안면부와 맞물릴 때 안쪽으로 굽혀질 수 있도고 유연성 있는 폴리머릭 재로 제조된다.
스폰지 같은 폴리머릭 재로 제조된 안면 완충 체(도시되지 않음)는 누름 기구 탭(306)위에 놓여질 수 있어서 눈아래 안면부를 부드럽게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레그(304)는 그 자유단 근처에 오목부(312)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오목부(312)는 외부 케이싱(216) 위에 있는 각각의 누름기구 마운트(296)의 팁(300)을 그 내부에 수용하게 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눈꺼풀 누름기구(218)는 또한 한쌍의 가이드 스트립(314)를 포함하는데, 각 가이드 스트립은 각각의 레그(304)의 자유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가이드 스트립(314)은 레그(304)의 자유단을 누름 기구 마운트(296)의 구멍(298) 안으로 안내하도록 제공된다.
눈꺼풀 누름기구(218)는 가이드 스트립(314)를 각각의 구멍(298)안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외부 케이싱(216)에 연결되게 된다.
그 다음에 레그(304)는 구멍(298)을 통하여 눌려지므로써,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누름 기구 마운트(296)에 있는 팁(300)이 각각의 레그(304)의 각 오목부(312) 내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래그(304)는 누름기구 마운트(296)에 연결되어 내부 케이싱(210)의 직사각형 구멍(232)과 각 오목부(233)을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되어진다.
제28도 내지 제30도에는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이 상세히 도시되는데, 이 링(222)은 외부 케이싱(216)의 개방단(28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바닥벽(316)을 포함하고 있다.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벽(311)은 바닥벽(316)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며 거기서 안쪽으로 돌출하는 팁(320)을 형성하고 있다.
이 팁 320은 외부 케이싱(216)의 개방단에 있는 팁 294을 수용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케이싱(216)은 그 개방단(282)을 링(222)안으로 누름으로써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에 연결되게 되므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팁 294은 팁 320 아래의 공간으로 스냅되게 된다.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은 또한 서로 간격이 띄워지며 바닥벽(316)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탭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바닥벽(316)은 구멍의 세로축 x에 대하여 각 C 정도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면(324)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각 C는 바람직하게는 약30°이다.
덮개링(326)은 경사면(32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고리형상의 깨어지기 쉬운 부분(328)에 의해 경사면(324)에 연결된다.
이 깨어지기 쉬운 부분(328)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덮개링(326)이 용이하게 경사면(324)로부터 떨어져 스냅될 수 있도록 비교적 약한 단면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31도 내지 제32도에는, 덮개(220)가 상세히 도시되는데, 이 덮개(220)는 밀폐단(330), 개방단(332), 및 그 사이에서 뻗어지는 외부벽(33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외부 벽(334)은 아이컵(214)의 외부벽(260) 위에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의 덮개링(326)은 또한 제1용접립(336)을 형성하는데, 이 제1용접립은 덮개(220)의 개방단(332)에 형성된 제2 용접립(33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덮개(220)의 개방단(332)는 제12도 내지 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용접 또는 가열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에 고정된다.
안약병(212)이 안구 치료 장치(200) 내에 끼워 넣어진 후에 덮개(220)가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에 용접되며, 안구치료장치는 제약회사와 같은 제조자에 의해 선적되게 된다.
다음에 이 덮개(220)는 탬퍼-레지스턴트 링(222)이 깨어지기 쉬운 부분(328)을 통하여 깨어지지 않는다면 안구 치료 장치(200)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된다.
이 깨어지기 쉬운 부분(328)은 외부 케이싱(216)을 잡고 덮개(220)의 바닥을 단단한 면에 대해 때리는 것에 의해서 깨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 케이싱(216)의 개방단(282)은 4개의 탭(322)에 대해 내리눌려지게 된다.
탭(322)에 대해 눌려지는 힘은 깨어지기 쉬운 부분(328)을 깨어지게 하는 덮개링(326)에 대해 경사면(324)에 의해 전달된다.
덮개(220)는 또한 원통면(340)에 의해 형성된 구멍(338)을 포함하는데, 이 원통면(340)은 밀폐단(330)을 통하여 뻗어지며 세로축 x와 동심적으로 되어있다.
원통면(340)은 덮개(220)의 축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으로 돌출되며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한쌍의 노치(342)를 그안에 형성하고 있다.
원통면(340)과 노치(342)는 제33도에서 344로 지시된 잠금부재를 수용하게 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이 잠금 부재(344)는 플랜지(346)와 거기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종공 스텝(348)을 포함하는데, 이 중공시템(348)은 자유단에 한쌍의 마운팅 베요네트(350)를 형성하고 있다.
이 베요네트(350)는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며, 세로축에 수직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이 베요네트(350)는 노치(256)내에 수용되며 아이컵(214)의 베요네트 마운트(274) 안으로 회전 가능하게 로크되도록 치수 설계 되어있다.
한쌍의 마운팅탭(352)이 스템(34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플랜지(346)의 바닥면 바로 아래에 간격이 띄워져 있다.
마운팅 탭(352)은 덮개(220)의 밀폐단(330)에 있는 노치(342)를 통하여 맞추어지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부재(344)는 구멍(338)을 통하여 끼워 넣어지며, 그 다음에 플랜지(346)는 마운팅탭(352)이 잠금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되어 진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348)의 자유단은 덮개(220)의 개방단(332) 아래로 위치된다.
따라서, 덮개(220)가 안구 치료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어 우연히 떨어진다 하더라도, 스템(348)은 지면 또는 다른 오염된 표면에 쉽게 접촉되지는 않게 된다.
이 덮개(220)는 베요네트(350)를 아이컵에 있는 노치(256)를 통하여 미끄러뜨림으로써 아이컵(214)에 로크되어진다.
그 다음에, 일단 베요네트가 베요네트 마운트(274) 안으로 끼워 넣어지게되면 플랜지(346)가 회전됨으로써, 베요네트(350)가 베요네트 마운트(274) 안으로 로크되게 된다.
따라서, 일단 잠금부재(344)가 제자리에 로크되면, 어린아이가 덮개를 떼어내기 위해서는 플랜지(34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덮개를 아이컬(214)으로부터 잡아당겨야만 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348)는 아이컵(214) 내에 있는 안약병(212)을 위한 구멍 위에 자리잡게 됨으로써, 잠금부재(348)와 덮개(220)는 오염물질이 안약병(21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약병(212)은 무균환경 아래서 제약회사에 의해 약물이 충전되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다음에 안약병(212)은 캡(353)으로 덮어지게 된다.
일단 안약병(212)이 캡(253)으로 덮어지게되면, 그 다음에 약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안약병이 무균환경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게된다.
그 다음에 안약병(212)은 내부 케이싱(210) 안으로 끼워넣어지게 되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353)은 중공스템(348) 안으로 밀어넣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 덮개(220)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때, 캡(353)은 스템(348) 안쪽의 덮개와 함께 제거된다.
제34도에는, 안약병(212)이 상세히 도시되는데, 이 안약병(212)은 강체 외부몸체(354)와 외부몸체(354) 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된 강체 내부몸체(356)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 몸체(354)는 개방단(358), 밀폐단(360) 및 그 사이에서 뻗어진 외부벽(362)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벽(362)는 내부 케이싱(210)의 원통벽(228)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설계된 실질적인 원통면(363)을 형성하고 있다.
한쌍의 마운팅 너브(364)가 세로축 x에 직각방향으로 원통면(36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이 마운팅 너브(364)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내부 케이싱(210)에 있는 2개의 대응하는 오목부(230) 내에 맞추어지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안약병(212)은 밀폐단(360)을 구멍(226)과 원통벽(228)안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내부 케이싱(210) 내에 설치된다.
안약병(212)이 원통벽(228) 내에 위치됨으로써 마운팅 너브(364)는 대응하는 오목부(230) 내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 밀폐단(360)이 아이컵(214)의 플랜지(264)에 대하여 자리가 잡힐 때까지 안약병(212)은 안쪽으로 밀려진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약병(212)의 밀폐단(360)이 아이컵(214)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밀폐단이 오염된 표면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안약병(212)의 외부몸체(354)는 또한 세로축 x와 동심적인 밀폐단(360)을 통하여 뻗어지는 노즐오리피스(366)를 형성한다.
제1밸브시트(367)는 밀폐단(360)의 내면에 있는 노즐 오리피스(366) 둘레에 뻗어진다.
원통벽(368)은 밀폐단(360)의 내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며 거기서 통하여 연장된 밸브쳄버(370)를 형성한다.
이 밸브 챔버(370)는 세로축 S를 따라 방향이 맞추어지며 노즐 오리피스(366)와 유체가 연통될 수 있게끔 연결된다.
밸브(372)는 밸브 챔버(370) 내에 자리잡게 되는데, 이 밸브(372)는 상단로브, 하단로브(375) 및 그 사이에서 뻗어지는 2개의 유연성 있는 부재(377)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밸브(372)는 또한 하단로브(375)의 외부면을 따라 뻗어지는 몇 개의 그루우브(379)를 형성하고 있다.
하단 로브(375)는 노즐 오리피스(366)를 덮도록 제1밸브 시트(367) 내에 자리 잡게끔 치수 설계되어 있다.
그루우브(379)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그루우브를 통하여 노즐 오리피스(366)를 통하여 흐르도록 제공되어있다.
내부 몸체(356)는 개방단(374), 밀폐단(376), 및 그 사이에서 뻗어진 외부벽(378)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외부벽(378)은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354)의 원통면(363)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되도록 치수 설계되어있다.
따라서, 외부벽(378)은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약물통(380)을 형성하고 있다.
내부 몸체(356)는 또한 밀폐단(376)을 통하여 뻗어지며 세로축 X와 동심적인 오리피스(382)를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384)는 밀폐단(376)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여 오리피스(382)를 둘러싸게 된다.
플랜지(384)는 떨어져 간격이 띄워지며 오리피스(382) 둘레에 뻗어지는 원통면(386)을 형성함으로서, 그 내부에 드롭 캐비티(388)를 형성한다.
안약병(212)은 또한 한쪽 끝단에 원통헤드(392)를 형성하는 축(39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축(390)의 다른 쪽 끝단은 오리피스(382)를 통하여 끼워 넣어지며, 외부 몸체(354)의 원통벽(368)의 자유단 내에 나사로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내부 몸체(356)는 헤드(392)와 원통벽(368)의 자유단 사이에서 축(390)을 따라 외부 몸체(354)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축(390)는 또한 헤드(392)의 바로 아래에 측면벽을 통하여 뻗어지는 제1오리피스(394)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2오리피스(396)는 축(390)의 자유단을 통하여 뻗어지며 세로축 X와 동심적으로 되어 있다.
축(390)의 자유단은 또한 제2오리피스(396) 주위에 제2밸브시트(398)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제2밸브시트(398)는 밸브(372)의 상단로브(373)가 자리잡혀 지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축(390)은 또한 제1오리피스(394)와 제2오리피스(396) 사이에서 뻗어지며 약물이 통하여 흐르게 되는 채널(400)을 형성하고 있다.
안약병(212)은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코일스프링(402)을 포함하는데, 이 코일 스프링(402)은 내부 몸체(356)의 밀폐단(376)과 외부 몸체(354)의 밀폐단(360)의 내면 사이에 자리잡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34도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356)는 헤드(392)에 대하여 통상 스프링 바이어스 되어 있다.
안약병(212)은 또한 내부 몸체(356)의 개방단(374)안으로 끼워 넣어지는 캡(404)을 포함하고 있다.
이 캡(404)은 약물통(380) 내의 약물이 캡(404)과 외부벽(378)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그 형상이 제조된다.
약물이 약물통(380)으로부터 방출될 때, 캡(404)은 약물통(380)내에서 흡인력 아래서 하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약물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안약병(212)은 또한 내부 몸체(356)의 개방단(374) 위에 설치된 뚜껑(406)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뚜껑(406)은 상단벽을 통하여 뻗어지며 구멍(408)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멍(408)은 캡(404)이 약물통(380) 내에서 흡인력 아래서 하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406)은 상단 가장자리가 외부케이싱(216)의 손가락 형상 부재(288)에 있는 바이얼탭(292)에 대하여 맞닿도록 치수설계되어 있어서, 이 바이얼 탭(292)은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내부몸체(356)를 안쪽으로 밀기 위하여 사용되어서 안약병(212)을 작동시키게 된다.
내부 몸체(356)는 또한 외부벽(378)의 외부표면에 노치(410)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노치(410)는 뚜껑(406) 바로 아래에 위치되며 외부벽(378)의 둘레를 따라 뻗어진다.
이 노치(410)는 내부 몸체(356)를 외부 몸체(354) 안에서 누를때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안약병(212)은 제34도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356)를 스프링(402)에 대하여 외부 몸체(354)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약물을 방출시키게끔 작동된다.
그 다음에 약물통(380)의 약물은 드롭 캐비티(388)안으로 흘러서 채널(400)안으로 흐르게된다.
내부 몸체(356)로부터 압력이 제거될 때, 제34도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02)은 내부 몸체(356)를 최초의 위치로 위쪽으로 밀게된다.
따라서 원통면(386)은 해드(392)위로 밀려지게 되어서, 드롭 캐비티(388)내의 약물은 압력이 가해져서 제1오리피스(394)를 통하여 채널(400)안으로 보내진다.
채널(400)내의 가압된 약물은 제2오리피스(396)안으로 흘러서 밸브(372)의 상단로브(373) 위로 흐르게 된다.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에 가해진 압력은 유연성 부재(377)를 바깥쪽으로 굽혀지게 하여서, 상단 로브(373)가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제2오리피스(396)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압된 약물은 밸브챔버(370)안으로 흐르게 된다.
이어서 가압된 약물은 하단로브(375)에 있는 그루우브(379)를 통하여 노즐 오리피스(366) 안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가압된 방출 약물은 노즐 오리피스(366)를 통하여 뒤집혀진 결막원개 안으로 보내진다.
이 가압된 방출 약물은 중력이 작아서 약물 방울이 눈안으로 떨어질 수 없게되는 중력이 작은 환경에서 안구 치료장치를 사용할 때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드롭 캐비티(388)는 안약병이 작동될 때마다 정확한 양의 약물이 방출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다.
일단 가압된 약물이 방출될 때 상단로브(373)는 유연성 부재(377)에 의해 윗쪽으로 이동되어 제2밸브시트(398)안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밸브(372)는 약물통(380)내의 약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공기 또는 다른 불순물질이 채널(400)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른 형식의 안약병도 본 발명의 장치와 함께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부분으로 참조로서 수록된 미합중국특허출원 제07/322,761호(1989. 3. 13)에 도시되고 기술된 안약병도 본 발명의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미합중국특허출원 제07/322,761호에 도시된 안약병을 위하여 또는 본 발명의 장치에 필요한 변형예가, 서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이들 장치를 위한 필요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의 지식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안구치료장치(200)의 작동에서,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덮개(220)를 분리시키고 아이컵(214)의 원주 가장자리(248)를 눈주위의 안면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관측구멍(258)을 응시함과 동시에 머리를 뒤로 젖히고 안구치료장치(200)를 눈위에서 윗쪽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강철 보올(236)이 아이컵(214)을 때리는 진동을 감지할 때, 안구치료장치(200)는 적절히 위치되어서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안약병(212) 내의 약물이 내부 케이싱(210) 위에 있는 외부 케이싱(216)을 누름으로써 방출된다.
외부 케이싱(216)의 미끄럼 운동은 동시에 눈꺼풀 누름기구(218)를 내부 케이싱(210)에 있는 구멍(232)과 오목부(233)를 통하여 밀게 된다.
이어서 눈꺼풀 누름기구(218)는 누름기구 가이드(276)의 안내면(278) 위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누름기구 탭(308)은 눈 아래 안면부와 부드럽게 맞물려서, 외부 케이싱(216)이 더 눌려짐에 따라 안면부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안면부는 이어서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켜서, 결막원개를 노출시켜 약물방울이 수용되게 된다.
외부 케이싱(216)이 내부 케이싱(210) 위에서 눌려질 때, 손가락 형상부재(288)는 안약병(212)의 뚜껑(406)과 맞물리며, 손가락 형상 부재의 끝단(290)은 뚜껑(406)의 가장자리 위에 눌려진다.
그 다음에, 외부 케이싱(216)이 더 눌려짐에 따라, 바이얼 탭(292)은 뚜껑(406)과 맞물려서 내부 몸체(356)를 외부몸체(354)쪽으로 밀게된다.
그 다음에, 제34도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356)가 거의 완전히 눌려질 때, 손가락 형상부재(288)의 상단(290)은 내부 케이싱(210)에 있는 경사면(244)과 맞물리게 된다.
그 다음에 손가락 형상 부재의 끝단(290)은 경사면(244)을 따라 바깥쪽으로 눌려지며, 따라서 바이얼탭(292)은 또한 안약병(212)의 뚜껑(406)으로부터 떨어져 바깥쪽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 다음에, 제34도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바이얼탭(292)이 뚜껑(406)으로부터 떨어져 뻗어지면, 스프링(402)은 내부몸체(356)를 윗쪽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약물은 오리피스(366)를 통하여 노출된 눈의 결막원개 안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장점은, 아래 눈꺼풀을 이동시켜 눈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킴으로써 약물이 노출된 결막원개 위로 방출되어서, 그 결과 약물의 효과가 최대로 되게 되는 것이다.
눈의 결막원개는 비교적 덜 민감하고 눈물이 덜나는 부위이다.
눈은 통상 윗 눈꺼풀로 깜박이게 되어 눈물을 각막위에 위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약물은 눈의 결막원개에 위치시킴으로써 환자가 눈을 깜박이게 되는 반응을 최소화 하게 된다.
그렇지만 비록 환자가 눈을 깜박인다 하더라도, 눈깜박임은 실질적으로 약물을 아래 눈꺼풀 아래로 이동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구 치료 장치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해서, 약물은 용이하게 희석되지 않게되고 눈안에서의 체류 시간이 증대되어 약물의 효과를 최대로 하게된다.
약물이 눈 안으로 투입된 후에, 사용자는 안구치료장치(200)를 눈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안구치료장치(200)가 눈으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때,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17)은 외부 케이싱(216)을 내부 케이싱(210)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최초의 위치로 되돌려 밀게 된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216)은 눈꺼풀 누름 기구(218)를 내부 케이싱(210)을 통하여 뒤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안구치료장치(200)는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른 약물 방울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눈에 약품을 넣는 장치에 있어서, 눈 근처의 안면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된 제1표면을 형성하고 눈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1하우징 부재;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안면부와 맞물리는 제2표면을 형성하여서 아래 눈꺼풀(22)이 눈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게 되는 눈꺼풀 이동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수용된 약물을 방출시키며, 아래 눈꺼풀(22)을 이동시킬 때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눈꺼풀 이동부재에 연결된 제1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단이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에 연결된 약물 방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지지되며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며 약물 방출 부재와 맞물려서 약물 방출 부재의 운동에 대응하여 약물을 방출시키게 되는 안약병(2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약병(212)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지지된 외부 몸체(354)와 외부 몸체(354)내에 수용된 내부 몸체(356)를 포함하며, 내부 몸체(356)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내부 몸체(356)를 수용하기 위한 약물통(38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치료 장치.
  2. 눈에 약품을 넣는 장치에 있어서, 눈 치료용 약물을 수용하며 눈 근처의 안면부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된 제1표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부재;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안면부와 맞물리는 제2표면을 형성하여서 아래 눈꺼풀(22)이 눈의 결막원개를 노출시키게 되는 눈꺼풀 이동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수용된 약물을 방출시키며, 아래 눈꺼풀(22)을 이동시킬 때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눈꺼풀 이동 부재(15)에 연결된 제1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수단이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에 연결된 약물 방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지지되며 눈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그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며 약물 방출 부재와 맞물려서 약물 방출 부재의 운동에 대응하여 약물을 방출시키게 되는 안약병(2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단이 약물 방출 부재에 의해 한쪽 끝단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형성 부재(28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형상 부재(288)의 다른 쪽 끝단이 약물 방출부재를 이동시킬 때 안약병(212)과 맞물려져서 상기 제1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눈꺼풀 이동 부재(15)가 약물을 안약병(212)으로부터 방출시키게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약병(212)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지지된 외부 몸체(354)와 외부 몸체(354)내에 수용된 내부 몸체(356)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몸체(356)가 약물을 수용하여 약물통(380)을 형성하며 손가락 형상 부재(288)와 맞물려져서 대응하여 움직이게 되어 약물을 약물통(380)으로부터 방출시키게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약물을 눈의 노출된 결막원개 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안구치료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제2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채널내에 자리잡혀진 접촉부재인 보올(132, 236)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인 보올(132, 236)이 상기 채널을 통하여 이동되어 노출된 눈의 결막원개 안으로 약물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위치될 때 그 표면을 때리게 되어서 상기 접촉 부재인 보올(132, 236)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를 통하여 눈 근처의 안면부와 뼈로 진동을 전달시키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부재가 거기서 관통하여 뻗어진 관측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측 구멍이 사용자가 관측 구멍을 응시할 때 눈의 각막이 아래 눈꺼풀(22)로부터 떨어져 위쪽으로 방향이 맞추어지도록 위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상기 제1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며 거기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진 제2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 부재가 약물 방출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약물 방출 부재가 제2하우징 부재를 제1하우징 부재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게 되는 안약병(212)과 맞물려지며,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가 제2하우징 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아래 눈꺼풀(22)을 이동시키게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가 상기 제2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제1레그(304)(304); 상기 제1레그(304)(304)로부터 떨어져 간격이 띄워지며 상기 제2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제2레그(304); 및 상기 제1 및 제2레그(304)로부터 지지되며, 눈 근처의 안면부와 맞물리기 위한 제2표면을 형성하는 누름기구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부재와 제2하우징 부재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스프링으로 편향시키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치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을 눈의 노출된 결막원개 안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안구치료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제2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채널내에 자리잡혀진 접촉부재인 보올(132, 236)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인 보올(132, 236)이 상기 채널을 통하여 이동되어 노출된 눈의 결막원개 안으로 약물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위치될 때 그 표면을 때리게 되어서 상기 접촉 부재인 보올(132, 236)이 상기 제1하우징 부재를 통하여 눈 근처의 안면부와 뼈로 진동을 전달시키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부재가 거기서 관통하여 뻗어진 관측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관측 구멍이 사용자가 관측 구멍을 응시할 때 눈의 각막이 아래 눈꺼풀(22)로부터 떨어져 위쪽을 방향이 맞추어지도록 위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치료 장치가 상기 제1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며 거기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진 제2하우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 부재가 약물 방출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약물 방출 부재가 제2하우징 부재를 제1하우징 부재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약물을 눈안으로 방출시키게 되는 안약병(212)과 맞물려지며,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가 제2하우징 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아래 눈꺼풀(22)을 이동시키게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눈꺼풀 이동부재가 상기 제2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제1레그(304)(304); 상기 제1레그(304)(304)로부터 떨어져 간격이 띄워지며 상기 제2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제2레그(304); 및 상기 제1 및 제2레그(304)로부터 지지되며, 눈 근처의 안면부와 맞물리기 위한 제2표면을 형성하는 누름기구 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치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부재와 제2하우징 부재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스프링으로 편향시키도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치료 장치.
KR1019900021255A 1989-12-19 1990-12-19 안구 치료장치 KR0168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2782 1989-12-19
US07/452,782 US4981479A (en) 1987-11-06 1989-12-19 Ocular treatment apparatus
SG14495A SG14495G (en) 1989-12-19 1995-01-26 Ocular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89A KR910011289A (ko) 1991-08-07
KR0168838B1 true KR0168838B1 (ko) 1999-01-15

Family

ID=2666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255A KR0168838B1 (ko) 1989-12-19 1990-12-19 안구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437953B1 (ko)
JP (1) JP3113289B2 (ko)
KR (1) KR0168838B1 (ko)
AU (1) AU627418B2 (ko)
CA (1) CA2031960C (ko)
DE (1) DE69012304T2 (ko)
DK (1) DK0437953T3 (ko)
ES (1) ES2060969T3 (ko)
NO (1) NO179477C (ko)
SG (1) SG1449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822A (en) * 1993-07-26 1995-02-21 Merck & Co., Inc. Packaging vial for a liquid product in particular medicinal or cosmetic
US5453096A (en) * 1993-07-26 1995-09-26 Merck & Co., Inc.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successive doses of a fluid product-in particular medicinal or cosmetic-contained in a vial
US6196993B1 (en) * 1998-04-20 2001-03-06 Eyelab Group, Llc Ophthalmic insert and method for sustained release of medication to the eye
BR0209372A (pt) * 2001-05-02 2004-06-29 Medical Instill Tech Inc Aplicador de lente de contato e cartucho usado em conexão com o mesmo
EP2446866A1 (en) * 2010-11-02 2012-05-02 Fovea Pharmaceuticals Apparatus for injection into an eye
JP2014502861A (ja) * 2010-11-29 2014-02-06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眼科用薬物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薬用モジュール
KR101842468B1 (ko) * 2016-04-14 2018-03-27 윤숙희 소파 침대 겸용 매트리스
KR101761706B1 (ko) *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US11628089B2 (en) * 2018-10-15 2023-04-18 Alejandro GAMBOA BURGOS Applicator for ophthalmic solutions in single-dose containers and a kit containing same
PE20220686A1 (es) * 2019-11-05 2022-05-03 Burgos Alejandro Gamboa Kit para soluciones oftalmicas en frascos de gotas con tapa rosca
KR102446920B1 (ko) * 2020-10-27 2022-09-2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마이봄샘 기능부전의 증상 완화를 위한 초음파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25304A (fr) * 1950-09-29 1953-04-14 Perfectionnement apporté aux compte-gouttes et appareils destinés à verser des gouttes dans les yeux
US3279466A (en) * 1963-06-19 1966-10-18 Dwain E Mings Eye drop aid for administering ophthalmic solution without excessive head tilting
US4131115A (en) * 1976-09-20 1978-12-26 Peng Sung S Eyelids-turning and eye-washing fixture
US4543096A (en) * 1983-08-05 1985-09-24 Thomas Keene Eyedrop dispenser with eyelid opening means
US4733802A (en) * 1986-11-05 1988-03-29 Sheldon Gerald M Eye drop dispensing system
US4792334A (en) * 1987-11-06 1988-12-20 Py Daniel C Occular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79477B (no) 1996-07-08
NO905357D0 (no) 1990-12-12
ES2060969T3 (es) 1994-12-01
JPH04208160A (ja) 1992-07-29
CA2031960C (en) 2002-05-28
AU627418B2 (en) 1992-08-20
CA2031960A1 (en) 1991-06-20
KR910011289A (ko) 1991-08-07
NO179477C (no) 1996-10-16
DE69012304T2 (de) 1994-12-22
DK0437953T3 (da) 1995-02-13
SG14495G (en) 1995-06-16
NO905357L (no) 1991-06-20
EP0437953A1 (en) 1991-07-24
JP3113289B2 (ja) 2000-11-27
EP0437953B1 (en) 1994-09-07
AU6798490A (en) 1991-06-27
DE69012304D1 (de) 199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1479A (en) Ocular treatment apparatus
US5133702A (en) Ocular treatment apparatus
JP2930312B2 (ja) 眼科処理装置
US4946452A (en) Ocular treatment apparatus
EP0347084B1 (en) Ophthalmic device
US3934590A (en) Ocular positioning droplet dispensing device
US5387202A (en) Eye drop dispensing device
KR0168838B1 (ko) 안구 치료장치
US20190358083A1 (en) Apparatus for eye treatment
US9526655B2 (en) Eye dropper positioning and guiding apparatus
US200902592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Eye Drops
US5673822A (en) Device for dropwise delivery of a fluid contained in a flexible vial
JPH0337066A (ja) 目薬用点眼具
KR100555606B1 (ko) 안구용 유체 도포기
KR101789278B1 (ko) 안약 투약기
US11826281B1 (en) Eye drop dispenser
US5020526A (en) Eye bottle
US5342327A (en) Eye bottle
US20050043693A1 (en) Easy drop
JP2001129054A (ja) 点眼用アダプタを備えた目薬容器
EP3813743A1 (en) A dispenser for a single drop administration of liquid for a pharmaceutical application, being registered as medicine or being a medical product, especially of an ophthalmic liquid, a dispensing set,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