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762B1 -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762B1
KR0168762B1 KR1019950020017A KR19950020017A KR0168762B1 KR 0168762 B1 KR0168762 B1 KR 0168762B1 KR 1019950020017 A KR1019950020017 A KR 1019950020017A KR 19950020017 A KR19950020017 A KR 19950020017A KR 0168762 B1 KR0168762 B1 KR 016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emory
unit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343A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762B1/ko
Publication of KR97000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신호의 3색을 하나의 메모리부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처리하여 동일수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디지탈 신호처리부는 표본화된 데이타신호 흐름을 하나로 하여 색신호에 대해 메모리를 1/2로 절감하므로서 전체대비 메모리 절감률은 1/3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된 영상신호의 3색을 하나의 메모리를 통해 메모리 압축률을 2/3로 하여 디지탈신호로 처리시켜 동일수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영상처리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 처리장치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신호의 3색을 하나의 메모리부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처리하여 동일수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탈 영상처리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NTSC신호에 포함된 신호중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1)와, 상기 검파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와 색신호(R-Y,B-Y) 정보를 분리하여 수상관(3)에 출력되게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2)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5)에 출력시키는 음성증폭부(4)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디지탈 신호처리부(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를 표본화된 휘도신호(Ys)인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A/D변환부(6)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색신호(R-Y,B-Y)를 표본화된 디지탈 색신호(Rs)(Bs)로 변환 출력시키는 제2 및 제3A/D변환부(6A)(6B)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7)와,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메모리시간 제어부(8)와, 상기 메모리시간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1A/D변환부(6)에서 표본화되어 출력된 휘도신호(Ys)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9)와, 제2 및 제3A/D변환부(6A)(6B)에서 표본화되어 출력된 색신호(Rs)(Bs)를 제2메모리(9A)에 전달시키는 멀티플렉서(10)와, 멀티플렉서(10)에서 출력된 색신호(Rs)(Bs)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9A)와, 상기 제1메모리(9)에서 출력된 휘도신호(Ys)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시키는 제1D/A변환부(11)와, 제2메모리(9A)에서 출력된 색신호(Rs)(Bs)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D/A변환부(11A)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디지탈 영상처리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된 영상신호중 색신호(R-Y,B-Y)가 갖는 정보량은 휘도신호(Y)의 정보량에 비해 절반이내 이므로 데이타를 표본화하여 데이타 이송시 색정보를 1/2정도로 전달하여 재현하도록 한 것으로, 영상신호가 입력될때 동기신호 검출부(7)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메모리시간 제어부(8)에 인가하면, 제1A/D변환부(6)는 메모리시간 제어부(8)의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신호에 포함된 휘도신호(Y)를 디지탈 변환시켜 표본화된 휘도신호(Ys)를 제1메모리(9)에 저장시키고, 제2 및 제3A/D변환부(6A)(6B)는 입력된 영상신호중 색신호(R-Y,B-Y)를 디지탈 변환시켜 표본화된 색신호(Rs)(Bs)를 멀티플렉서(10)에 인가하므로서 상기 멀티플렉서(10)는 제4도에서와 같이 표본화된 색신호(Rs)(Bs)를 합성하여 제2메모리(9A)에 저장시킨다.
이와같이, 제1메모리(9)에서 출력된 표본화된 휘도신호(Ys)와, 제2메모리(9A)에서 출력된 표본화된 색신호(Rs)(Bs)가 제1D/A변환부(11)와 제2D/A변환부(11A)에서 표본화된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복원된 R.G.B신호로 출력시킨다.
즉, 영상신호에 포함된 색신호(R-Y,B-Y)를 디지탈 변환시켜 표본화된 색신호(Rs)(Bs)로 출력시 표본화속도로 교차 멀티플렉싱하여 데이타를 코딩하고, 최종 데이타 합성 및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D/A변환부(11)(11A)에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신호와 대비하여 색신호를 추출한다.
그러나, 종래 디지탈 신호처리부는 표본화된 데이타신호 흐름을 하나로 하여 색신호에 대해 메모리를 1/2로 절감하므로서 전체 대비 메모리 절감률은 1/3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된 영상신호의 3색을 메모리를 통해 메모리 압축률을 2/3으로 하여 디지탈신호로 처리시켜 동일수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종래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 구비된 신호처리부의 블럭도.
제3도는 종래 디지탈 신호처리부의 데이타 흐름표.
제4도는 종래 멀티플렉서의 데이타 출력표.
제5도는 본 발명 디지탈 신호처리부의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 디지탈 신호처리부의 데이타 흐름표.
제7도는 본 발명 멀티플렉서의 데이타 출력표.
제8도의 (a) 내지 (f)는 본 발명 디코드된 데이타를 보호하는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디지탈 신호처리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 및 색신호(R-Y,B-Y)를 표본화된 디지탈신호(Ys,Rs,Bs)로 변환 출력시키는 A/D변환부(11)(11A)(1B)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12)와,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메모리시간 제어부(13)와, 상기 메모리시간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탈 변환된 데이타(Ys,Rs,Bs)를 합성하는 멀티플렉서(14)와, 멀티플렉서(14)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한 경로로 코딩하기 위해 저장되는 메모리부(15)와, 상기 메모리시간 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신호데이타(Ys,Rs,Bs)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시키는 D/A변환부(16)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 및 색신호(R-Y,B-Y)가 A/D변환부(11)(11A)(11B)를 통해 표본화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멀티플렉서(14)에 입력될때, 제7도에서와 같이 상기 휘도신호의 데이타량의 기존의 데이타(제4도 참조)와 비교하여 1/2이 되므로 A/D변환부(11)를 통해 휘도신호를 표본화된 디지탈신호로 변환 출력시 표본화주파수를 기존의 2배로 하여 양자화 에러율을 줄이고, 다시 A/D변환부(11)(11A)(11B)를 통해 표본화 디지탈 데이타(Ys,Rs,Bs)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채널의 경로로(Ys→Rs→Ys→Bs…) 멀티플렉서(14)에 인가되어 합성되므로 한 화소시간은 기존대비 1/2인 표본화시간을 갖는다.
또한, 동기신호 검출부(12)는 휘도신호(Y)로 수평/수직동기신호로 검출하여 메모리시간 제어부(13)에 인가하므로서 메모리시간 제어부(13)는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므로서, 상기 멀티플렉서(14)에서 출력된 표본화된 데이타(Ys,Rs,Bs)는 하나의 메모리부(15)에 저장되어 데이타 엑세스가 가능하다.
이때, 멀티플렉서(14)에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2개인 경우(22=4개), 3개 이상인 데이타 코딩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표본화된 데이타(Ys,Rs,Bs)를 합성한다.
이와같이 데이타 엑세스가 가능하도록 메모리부(15)에 저장된 데이타(Ys,Rs,Bs)가 출력될때, D/A변환부(16)는 합성된 신호데이타(Ys→Rs→Ys→Bs…)를 본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시간 제어부(13)에서 출력된 클럭신호(Ycrk,Rcrk,Bcrk)를 입력받아 상기 합성된 신호데이타를 1/2분주된 클럭으로 위상시프트시켜 데이타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출력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 입력시 휘도신호를 저하시키지 않고, 색신호로 하나의 메모리부와 D/A변환부를 통해 원래의 신호로 복원 출력시키므로서 동일수준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와 색신호(R-Y,B-Y) 정보를 분리하여 수상관에 출력되게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와,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출력시키는 음성증폭부로 구성된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처리부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신호(Y) 및 색신호(R-Y,B-Y)를 표본화된 디지탈신호(Ys,Rs,Bs)로 변환 출력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와, 검출된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메모리시간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시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탈 변환된 데이타(Ys,Rs,Bs)를 합성하는 멀티플렉서와,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한 경로로 코딩하기 위해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시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호데이타(Ys,Rs,Bs)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시키는 D/A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KR1019950020017A 1995-07-07 1995-07-07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KR016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17A KR0168762B1 (ko) 1995-07-07 1995-07-07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017A KR0168762B1 (ko) 1995-07-07 1995-07-07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43A KR970009343A (ko) 1997-02-24
KR0168762B1 true KR0168762B1 (ko) 1999-03-20

Family

ID=1942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017A KR0168762B1 (ko) 1995-07-07 1995-07-07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7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43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1457C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plural images contained in broadcasting signals of mutually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KR940026916A (ko) 티브이 일체형 브이씨알
CA1216657A (en) Component companding in a multiplexed component system
US7196736B2 (en) Method of YC separation of YC separation filter
JPH10304317A (ja) ビデオ信号のスキャン方式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0168762B1 (ko) 디지탈 영상처리장치
JPS63269690A (ja) テレビジョンにおける改善
US20090180760A1 (en) Providing multiple audio streams to an audio device as a single input
JP2550573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JPS6370682A (ja) コンポ−ネント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JPS63252083A (ja) 画像符号化伝送装置
JP2523859Y2 (ja) A/d変換装置
KR100320171B1 (ko) 동시디지탈방송용방송장치
JPH0759092A (ja) 画像信号の伝送装置
KR100198542B1 (ko) 영상신호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960003878B1 (ko) Muse 디코더
JP3246084B2 (ja) 画残りを防止したmuseデコーダ
KR900008891B1 (ko) 배밀주사 디지탈 tv의 분리 영상신호 처리회로
JP2789584B2 (ja) 高能率符号化装置
JPH1093977A (ja) 画像信号処理装置とその方法
KR940003384A (ko) 종합정보 통신망에서 칼라 동영상신호의 출력회로 및 방법
JPH0584113B2 (ko)
JPH08322025A (ja) 異種映像方式互換符号化装置
KR930015831A (ko) 실시간 칼라 정지 화상 압축회로
JPH0457581A (ja) 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