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510B1 - 타이어 가황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510B1
KR0168510B1 KR1019950026339A KR19950026339A KR0168510B1 KR 0168510 B1 KR0168510 B1 KR 0168510B1 KR 1019950026339 A KR1019950026339 A KR 1019950026339A KR 19950026339 A KR19950026339 A KR 19950026339A KR 0168510 B1 KR0168510 B1 KR 016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ss
tire
tire vulcaniz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30A (ko
Inventor
이타루 아마노
가시로 우레시노
가츠미 이치카와
다쿠미 미조카와
고 다카쿠라
마사키 나오이
야스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Publication of KR96000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37/0007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using means operable from outside the mould for moving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로더에 의한 그린타이어 이송이나 언로더에 의한 가황 완료 타이어 이송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장치를 제공한다.
타이어 가황프레스(1)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프레스 군을 따라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타이어 가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이어 가황프레스(1)는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상하프레스 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80,81)를 죔 가능하게 수용하고, 주위에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조종기(2)는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31)를 승강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의 센터에서 상기 몰드(80,81)의 센터로 그린타이어를 이송하는 로더(32)와 상기 몰드(80,81)의 센터에서 상기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의 센터 또는 그 부근의 센터로 가황 완료 타이어를 이송하는 언로더(3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종기(2)에 소망하는 타이어 가황프레스(1)에 대하여 정지후의 위치결정수단(34)이 설치되고, 상기 로더(32) 및 언로더(33)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위치결정수단(34)에 의한 정지위치 오차를 흡수하는 센터링 보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장치 상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 가황장치 측면도.
제3도는 조종기 정면도.
제4도는 조종기 측면도.
제5도는 조종기 상면도.
제6도는 연결수단 정면도.
제7도는 연결수단 측면도.
제8도는 위치결정수단 표시도.
제9도는 제3도의 A-A 단면도로서 로더 및 언로더 상면 표시도.
제10도는 로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V-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10도의 W-W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X-X 단면도.
제14도는 언로더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Y-Y 단면도.
제16도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주요부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C-C 단면도로서, 로크장치 표시도.
제18도는 로크장치 주요부 상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D-D 단면도.
제20도는 제3도의 B-B 단면도로서, 상프레스 부재에 설치된 각 장치의 설치관계 표시도.
제21도는 분할 몰드 조작장치와 연결되는 제3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2도는 몰드 높이 조정장치와 연결되는 제2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3도는 상부 몰드 착탈장치와 연결되는 제1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4도는 상부 몰드 착탈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5도는 하부 몰드 착탈장치와 몰드 교환대차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6도는 언로더 및 로더에 있어서의 센터링 보정수단의 블록도.
제27도는 언로더에 있어서의 센터링 보정수단의 흐름도.
제28도는 로더에 있어서의 센터링 보정수단의 흐름도.
제29도는 집중관리 컴퓨터의 시스템 구성도.
제30도는 집중관리 컴퓨터의 실시 항목도.
제31도는 조종기 콘트롤부의 실시 항목도.
제32도는 프레스 콘트롤부의 실시 항목도.
제33도는 다른 타이어 가황장치 측면도.
제34도는 또다른 타이어 가황장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 가황 프레스 2 : 조종기
3, 4 : 레일(주행경로) 5,6 : 레일(직각 주행로)
7 :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8 :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9 : 집중관리 컴퓨터 10 : 조종기 콘트롤부
11 : 프레스콘트롤부 31 : 슬라이더
32 : 로더 33 : 언로더
34 : 위치결정수단 35 : 연결수단
36 : 분할 몰드 조작장치용의 제3구동장치
37 : 몰드 높이 조정장치용의 제2구동장치
38 : 몰드 착탈 조정장치용의 제1구동장치
80 : 상하 몰드 81 : 하몰드
82 : 상몰드 91 : 상몰드 착탈장치
92 : 몰드 높이 조정장치 93 : 분할 몰드 조작장치
94 : 하몰드 착탈장치 101,151 : 척
103, 153 : 시각센서 201 : 몰드유니트
202 : 상돔(상프레스부재) 203 : 하돔(하프레스부재)
204 : 프레스 베이스(하프레스부재) 205 : 상측링크(상프레스부재)
206 : 로크장치(걸거나 벗김 자재수단) 225 : 유압실린더(죔수단)
A, B, C, D, E : 기준마크 O3 : 몰드 센터
O4 : 림센터(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센터) S1 : 제1후퇴 스테이션
S2 : 제2후퇴 스테이션 S3 : 제3후퇴 스테이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한, 이른바 멀티식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범용적인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1조 또는 2조의 상하 몰드에 대하여, 상하 몰드의 개폐장치, 그린타이어를 몰드센터로 이송하는 로더, 가황이 끝난 타이어를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또는 그 부근의 센터로 이송하는 언로더, 몰드 높이 조정장치, 몰드 착탈장치 등이 구비되고, 그 자체로 타이어 가황이 가능한 자기완결형 프레스로 되어 있다.
그러나, 타이어 가황공정에 있어서의 사이클타임 대부분이 상하 몰드를 죈채로 가열하는 가황시간으로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황전 후에서 작동하는 상기 상하 몰드의 개폐장치, 로더, 언로더 등의 기기의 작동시간이 사이클타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적은 것이 된다.
예컨대, 승용차용 타이어를 가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전체 사이클타임이 10∼15분인데 비하여 가황 전후의 기기의 작동시간은 1분 이하이다. 트럭·버스용 타이어를 가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전체의 사이클 타임이 40∼1시간인데 비하여 가황 전후의 기기의 작동시간은 1∼2분 이하이다. 즉, 사이클 타임중의 기기는 대부분 정지되어 있고, 놀고 있는 꼴이 된다.
이같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사이클 타임의 특성을 감안하여 다수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대하여 상기의 기기를 갖는 조종기가 순번대로 작동하는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가 오래전부터 제안되어 있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고정적으로 1열로 설치되고, 조종기가 주행하는 타입(일본 특공소 52-44795호 공보, 일본 특공소 46-24774호 공보, 일본 특공소 58-44473호 공보 참조)이나, 원주상에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조종기가 회전주행하는 타입(일본 특개소 49-130471호 공보, 일본 특공소 46-17578호 공보 참조)이나, 조종기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가 주행하는 타입(일본 특공소 46-32497호 공보, 일본 특개소 62-290507호 공보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는 현실에 있어서는 아이디어로 머물러 있고, 실제의 타이어 가황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 그 이유는 우수한 밸런스 정밀도를 갖는 타이어를 성형하는 타이어 가황장치로 하기 위한 배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령, 우수한 밸런스 정밀도를 갖는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그린타이어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센터에의 고정밀도의 이송, 세이핑시의 고정밀도의 그린타이어 유지, 가황 완료 타이어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에의 고정밀도의 이송 등이 요구되나, 이들을 배려한 것은 눈에 띄지 않는다.
또, 최근의 일본 특개평 4-323010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는 최근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기구를 수용한 것으로, 상기한 오래된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로부터는 전진한 것이다.
이 새로운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1열로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설치된 주행경로상을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경로의 적절한 곳에 몰드 준비 스테이션을 설치한 것으로, 그 주목적은 몰드 교환의 자동화이다.
일본 특개평 4-323010에 있어서의 몰드 교환은 상하 몰드 단독이 아니라 상하에 가열판(상하 프레스프레임의 일부분)을 부착한 상태 그대로 교환하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가열판에 대한 가열유체급배용 배관의 착탈을 수반한 몰드 교환이 된다. 몰드 준비 스테이션에서 예열된 가열판 부착 상하 몰드는 조종기에서 소정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까지 운반된다. 또, 그 몰드 높이 조정장치는 일본 특공소 57-5559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것이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구동장치도 포함하여 완결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가열판 부착 상하 몰드를 고정한 후에 높이 조정이 행해진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일본 특개평 4-323010호 공보의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제1에 우수한 밸런스 정밀도를 갖는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하여 그린타이어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센터에의 고정밀도 이송, 세이핑시의 고정밀도의 그린타이어 유지, 가황완료 타이어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센터에의 고정밀도의 이송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주행자재의 조종기는 큰 문형(門型)의 크레인이고, 그 정지위치 정밀도를 1mm의 1/10의 스케일로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고, 레일등의 주행경로의 부설오차, 주행기구의 오차, 문형크레인 자체의 오차, 각 기기의 오차가 누적되고, 로더 및 언로더에 mm 단위의 이송오차가 생긴다.
제2에, 몰드 교환이 가열판 부착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가열유체급배용 배관의 착탈을 수반하고, 다시 상프레스 부재와 함께 조종기를 이용하여 몰드 준비 스테이션까지 이송하기 때문에 조종기의 구조가 과도하게 복잡해지고,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3에, 현실의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를 생각하면 조종기 점검이나 보전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대상이 된 조종기가 분담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전부가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제1에, 로더에 의한 그린타이어 이송이나 언로더에 의한 가황 완료 타이어 이송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2에, 조종기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기기배치를 적절하게 하여 전체로서 낮은 비용의 타이어 가황장치를 제공한다. 제3에, 조종기 점검이나 보수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가동률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한 타이어 가황장치를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는 청구항 1 및 2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주행 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 자재의 상하 프레스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를 죄어붙임 가능하게 수용하고, 주위에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승강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센터에서 상기 몰드 센터로 그린타이어를 이송하는 로더와 상기 몰드 센터에서 상기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 또는 그 부근의 센터로 가황 완료 타이어를 이송하는 언로더를 구비하고, 상기 조종기에 소망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대하여 정지 후의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로더 및 언로더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한 정지위치 오차를 흡수하는 센터링 보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터링 보정수단은 타이어를 잡고 있는 척을 수평면내에서 선회가능 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하는 2자유도(自由度)의 로더 또는/ 및 언로더를 다시 수평면내에서의 신출자재를 부가하는 3자유도로 하고, 이 로더 또는/ 및 언로더에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몰드 또는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하나 이상에 있어서의 센터와 관련하는 기준을 검지하는 시각센터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는 청구항 3 및 4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자재의 상하 프레스부재 사이에 상하몰드를 죄어붙임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승강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는 상기 상몰드를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대하여 착탈자재로 고정하는 몰드 착탈장치와 상기 상하 프레스 부재내에 높이 치수가 다른 상하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몰드 높이 조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조종기에는 상기 몰드 착탈장치 및 몰드 높이 조정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장치 및 제2구동장치가 연결자재로 설치되고, 몰드 교환을 상기 몰드 착탈장치에 의해 상기 상프레스 프레임에서 상기 상몰드를 해제하여 상하몰드 단독으로 하고, 몰드 교환후에 상기 몰드 높이 조정장치에 의해 몰드 높이를 조정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몰드는 분할 몰드로서,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는 분할 몰드 조작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조종기에는 이 분할 몰드 조작장치를 구동하는 연결자재의 제3구동장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는 청구항 5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1열고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설치된 주행경로상을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경로의 양단에 상기 조종기의 제1과 제2후퇴 스테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경로의 중간정도에 직각 주행로가 설치되고, 이 직각 주행로상에 상기 조종기의 제3후퇴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는 청구항 6 기재의 기타 타이어 가황장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설치된 주행경로상을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 자재의 상하의 프레스 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를 죄어 붙임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승강자재로 구비하고, 상기 각 조종기 운전을 제어하는 조종기 콘트롤부와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 1대 이상의 운전을 제어하는 프레스 콘트롤부가 설치되고, 이 조종기 콘트롤부 및 프레스 콘트롤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집중관리 컴퓨터가 설치되고, 이 집중관리 컴퓨터가 상기 조종기 콘트롤부와 프레스 콘트롤부의 대응관계를 변경가능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작용]
청구항 1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가황이 끝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로 조종기가 주행하여 위치결정수단이 작동하여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소정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하프레스 부재에서 벗어난 상프레스 부재를 슬라이드에 연결하고, 슬라이드가 상승하여 상하 몰드를 개방한다. 다음에, 언로더에 의해 가황 완료 타이어의 몰드 센터에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 또는 그 근방의 센터로 이송되나, 조종기의 정지위치 오차에 의한 센터의 어긋남을 언로더의 센터링 보정수단이 흡수하고,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 또는 그 근방의 센터로 정확하게 이송한다. 다음에 로더에 의해 그린타이어가 얹어놓기대 센터에서 프레스 센터로 이송되지만 조종기의 정지위치 오차에 의한 센터의 어긋남을 로더의 센터링 보정수단이 흡수하고, 몰드 센터에 정확하게 이송하여 세이핑이 행해진다. 그리고, 조종기의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상하 몰드를 닫고, 조종기와 상프레스 부재가 연결이 해제되고, 조종기는 다음 타이어 가황 프레스로 주행한다.
청구항 2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센터링이 수평면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로더 또는/ 및 언로더의 시각센서가 몰드 센터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에 관련하는 기준을 검지하여 정지위치 오차를 산출하고, 수평면내에서 선회자재 또한 신축자재의 로더 또는/ 및 언로더가 산출한 정지위치 오차를 흡수하는 선회와 신축을 행한다.
청구항 3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몰드 교환이 필요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로 조종기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상몰드를 상프레스 부재에 고정하는 몰드 착탈장치를 조종기의 제1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상몰드를 상프레스 부재에서 해제한다. 하프레스 부재에서 벗어난 상프레스 부재를 슬라이드에 연결하고, 슬라이드가 상승하여 상프레스 부재를 올려서 상하 몰드를 아래에 남긴다. 이 상하 몰드를 몰드 교환대차등을 사용하여 교환한다. 새로운 상하 몰드가 부착되면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상프레스 부재를 내리고, 몰드 높이 조정장치를 조종기의 제2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상하 프레스 부재가 닫히도록 조정하고, 몰드 착탈장치를 조종기의 제1구동장치가 구동하여 상몰드를 상프레스 부재에 고정한다.
청구항 4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몰드 교환 후의 분할 몰드 조작은 조종기의 제3구동장치가 행한다.
청구항 5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1열의 주행경로 양단의 조종기에 대하여 점점·보수를 행할 경우, 양단의 제1또는 제2후퇴 스테이션에 후퇴시키고, 나머지 조종기가 후퇴시킨 조종기가 대응해야할 타이어 가황 프레스를 분담한다. 단 이외의 종기에 대하여 점검·보수를 행할 경우, 직각 주행로를 거쳐 제3후퇴 스테이션으로 후퇴시키고, 나머지 조종기의 자유로운 주행을 저해하지 않게 하고, 나머지 조종기가 후퇴된 조종기가 대응해야 할 타이어 가황 프레스를 분담한다.
청구항 6 기재의 기타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가령 특정 조종기의 점검·보수를 위하여 후퇴시킬 경우, 나머지 조종기가 분담할 수 있는 제어를 다시 짜는 것을 집중관리 컴퓨터를 통하여 행한다. 마찬가지로, 집중관리 컴퓨터를 거쳐 기동 건의 설정을 행하여 품종변경을 실행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면 조종기 자체의 정지 정밀도는 보통의 위치결정수단으로 되고, 로더나 언로더의 센터링 보정수단에 의해 그린타이어의 몰드 센터로의 이송이나 가황완료 타이어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 등으로의 이송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자재의 조종기 자체를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또 레일의 부설정도를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없어서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의 고품질 부설정도를 고정밀도로 할 필요가 없어서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의 고품질 가황을 현실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하 2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면, 선회자재 그리고 승강자재의 보통 로더나 언로더에 신축자재의 기구와 시각센서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센터링 보정이 가능하고, 기기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고품질 가황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며, 멀티식 타이어 가황장치라도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서의 몰드 단체(單體) 교환이 실현되고, 프레스 부재에 설치된 가열판의 배관을 그대로 한 몰드 교환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며, 분할 몰드라도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분할 몰드 조작장치의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조종기에 공통의 제3구동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되고,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5 기재의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며, 1열로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에 3대 이상의 조종기를 사용할 경우, 어느 조종기를 정지시키더라도 기타의 조종기가 분담가능하고, 타이어 가황장치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기태의 다른 타이어 가황장치와 같이 구성하면, 조종기 점검·보수시에나 품종 교환에의 대응 등을 간단하게 행하고, 타이어 가황장치 전체로서의 FA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1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상면도, 제2도는 측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타이어 가황장치는 No.1∼No.18 까지의 18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와 #1∼#3 까지의 3대의 조종기(2)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조종기(2)는 직선의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레일(3, 4)상을 자유로이 주행한다. 주행경로 좌단은 #1의 조종기(2)를 위한 제1후퇴 스테이션 겸 홈스테이션(S1)이 되어 있고, 주행경로 우단은 #2의 조종기(2)를 위한 제2후퇴 스테이션 겸 홈스테이션(S2)으로 되어 있고, 주행경로 중앙은 #3의 조종기(2)를 위한 홈스테이션(S4)으로 되어 있다.
이 홈스테이션(S4)의 레일(3, 4)에 대하여 레일(5, 6)이 직각으로 설치되고, 직각주행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직각주행로 끝은 #3의 조종기(2)를 위한 제3후퇴 스테이션(S3)으로 되어 있다. 홈스테이션(S1, S2, S4)은 #1, 2, 3의 조종기(2) 점검·보수의 경우에 다른 조종기(2) 주행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퇴하기 위한 스테이션이다. 또한, 제1, 제2, 제3후퇴 스테이션(S1, S2, S3)에 대한 조종기(2) 수는 3대에 한하지 않고 1대 또는 2대 또는 3대를 초과해도 좋다.
No.1∼No.9까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레일(3, 4) 사이로서, 제1후퇴 스테이션(S1)과 홈스테이션(S4)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1열로 줄지어 설치되어 있다. No.10∼No.18 까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동일하게 레일(3, 4)사이로서, 제2후퇴 스테이션(S2)과 홈스테이션(S4)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1열로 줄지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체로서 1열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형성하고 있다. 통상의 생산공장에서는 이 1열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이 평행으로 다수 줄지어 설치된다.
그리고, #1의 조종기(2)는 No.1∼No.6 까지의 6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담당하고, #2의 조종기(2)는 No.7∼No.12 까지의 6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담당하고, #3의 조종기(2)는 No.13∼No.18 까지의 6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담당한다.
1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한쌍의 몰드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2개의 타이어를 가황하는 트윈(twin)식이다. 그 때문에 1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 전측에 하나의 면에 2개의 그린타이어를 얹어놓을 수 있는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 2개가 바닥면에 똑바로 놓여 있다. 또, 1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 후측에 2대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종기(2)는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몰드를 개폐하고, 몰드에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로 가황완료 타이어를 이송하고,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에서 그린타이어를 몰드로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조종기(2)는 각 타이어 가황기 프레스(1)의 몰드 교환을 반자동 또는 전자동으로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9는 집중관리 컴퓨터이고,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에 대하여 1대 설치되어 있다. 10은 조종기 콘트롤부이고, 각 조종기에 탑재되고, 모두 3대이다. 11은 프레스 콘트롤부이고, 코스트다운을 위하여 3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공통의 것이 설치되어 있고, No.1∼No.18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대하여 6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집중관리 컴퓨터(9)가 3대의 조종기 콘트롤부(10)와 6대의 프레스 콘트롤부를 통괄하여 제어한다. 또한, 조종기 수가 1대 또는 2대일 경우는 거기에 대응하여 조종기 콘트롤부의 수도 적어진다.
즉, 집중관리 컴퓨터(9)가 가령 No.1∼No.6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하여 #1의 조종기(2)가 대응하는 대응관계를 결정하고 있다. #1의 조종기(2)가 고장이나고, 점검을 위하여 제1후퇴 스테이션(S1)으로 후퇴하면, No.1∼No.6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가 전부 정지한다. 그래서, #2의 조종기(2)가 No.1∼No.9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응하고, #3의 조종기(2)가 No.1∼No.18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응하는 것과 같이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해 조종기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대응관계를 임의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일부 조종기의 정지에 의해 타이어 가황장치의 가동효율이 크게 저하하지 않는다. 이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해 3대가 조(組)가 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가황 조건이나 타이어 제원 설정등의 가동조건 설정도 가능하고, 가황의 사이클타임이 다르면 이 사이클타임에 일치한 조종기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적절한 조합을 설정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직선적으로 타이어 가황 프레스(1) 및 조종기(2)의 홈스테이션(S1, S4, S2)을 설치하면 다수열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평행으로 병렬하는 레이아웃이 하기 쉽다. 그 반면, 직선적인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레일(3, 4)의 중간정도의 홈스테이션(4)을 후퇴 스테이션으로 하면 조종기가 버티고 않게 되어 다른 조종기에 의한 대응관계의 변경에 지장을 낳게 한다. 그래서, 레일(3, 4)의 중간 정도의 홈스테이션(4)에는 직각 주행로를 형성하는 레일(5, 6)을 설치하고, 이 직각 주행로에 제3후퇴 스테이션(S3)을 설치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제3후퇴 스테이션(S3)에 점검해야할 조종기(2)를 후퇴시키면 본래의 직선 주행로인 레일(3, 4)상의 나머지 조종기의 자유로운 주행이 확보되고,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한 대응관계의 변경에 제약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의 타이어 가황장치에 있어서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1)로서 2개의 몰드를 갖는 트윈식의 것을 설명하였으나 1개의 몰드를 갖는 싱글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 1대의 조종기(2)가 담당하는 트윈식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6대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한 일로서, 승용차용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경우는 5∼8대가 현실적이고, 트럭·버스용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경우는 20∼25대가 현실적이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7도에 의해 조종기(2)의 주요 구조를 설명한다. 제3도는 조종기 정면도, 제4도는 조종기 측면도, 제5도는 조종기 상면도이다. 또한 제3도는 조종기의 슬라이드가 타이어 가황 프레스와 연결하여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4도는 조종기가 소망하는 닫힌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하여 위치결정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4도의 부호 7은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이고, 부호 8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일부이다.
제4도에서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종기(2)는 평레일(3)과 산형레일(4)상을 주행하는 문형 프레임(21)을 지면 두께방향으로 2개 병렬하여 수평 프레임(22, 23, 24)에서 결합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조종기(1)가 주행하는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한쪽의 평레일(3)은 플로어 레벨(FL)상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25)상에 부설되고, 다른쪽 산형레일(4)은 플로어 레벨(FL)상에 설치된 베이스 부재(26)상에 부설되어 있다. 조종기(2)의 프레임 구조의 하면에는 평레일(3)상을 주행하는 주행차륜(27)과 산형레일(4)상을 주행하는 주행차륜(28)이 축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주행차륜(28)을 모터(29; 제3도 참조)로 회전구동함으로써 조종기(2)는 지면 두께방향의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이 확보된다. 조종기(2)는 고속주행 모드와 저속주행 모드를 가지고 있고, 보통은 고속주행하지만 소망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1) 가까이에 이르면 저속주행하고, 소정위치 부근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은 주행자재 수단을 갖는 조종기(1)의 프레임 구조에, 타이어 가황 프레스(2)의 가황 사이클을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가 부착되어 있다. 그 주된 것은 이하와 같다.
첫째, 몰드 개폐를 위한 슬라이드(31)가 승강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둘째, 그린타이어를 이송하기 위한 로더(32; 제3도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셋째, 가황 완료의 타이어를 이송하기 위한 언로더(33)가 부착되어 있다. 넷째, 조종기(1)의 정지위치를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1)에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1)와의 연결수단(35; 제3도 참조) 및 분할 몰드 조작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3구동장치(36) 등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슬라이드(31)의 승강자재 수단을 설명한다. 제5도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문형 프레임(21, 21) 내측에 4각 앵글(41)을 통하여 4개의 가이드웨이(42)가 상하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31)에 가이드웨이(42)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는 리니어 모션가이드(43)가 부착되어 있다. 또, 수평 프레임(22, 22) 사이에 수직 프레임(29)이 걸려 있다. 제3도와 같이 이 수직 프레임(29)의 중앙에 프레스 개폐 실린더(30)의 핀(30a)이 축지지되고, 이 프레스 개폐 실린더(30)의 선단금속구(30b)가 슬라이드(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프레스 개폐 실린더(30)가 단축되면 슬라이드(31)가 상승하고, 신장되면 슬라이드(31)가 하강한다. 이 슬라이드(31)의 승강에 있어서의 수평도는 중요하며, 승강시의 수평도를 유지하기 위한 평행도 유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이 평행도 유지장치는 한쪽의 수평 프레임(22)의 내측의 상하방향으로 부착된 2개의 랙(44, 44)과, 슬라이드(31)에 축지지되고, 2개의 상기 랙(44, 44)에 맞물리는 피니온(46, 46)이 끼워진 동조 샤프트(45)로 되어 있다. 이 동조 샤프트(45)에 의해 슬라이드(31)의 수평도를 유지한 승강이 확보된다.
위에서 보면 장방형의 슬라이드(31)의 두 긴변에 2개씩 합계 4개의 연결수단(35)이 설치되고, 후기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상프레스 부재와의 연결이 자재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이 연결수단의 구조를 제6도 및 제7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는 정면도, 제7도는 측면도이다.
슬라이드(31) 하면에는 하향 핀(51)을 돌출설치한 수평 보강판(52)을 갖는 브라켓(53)이 부착되어 있다. 이 브라켓(53)의 축(54)에 클릭(55)이 축지지되고, 클릭(55)의 축(56)에 유압 실린더(57)의 선단금속구(57a)가 축지지되고, 유압실린더(57)는 슬라이드(31) 측면에 트라니온브라켓(58)을 통하여 요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후기하는 상프레스 부재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링크(205)에는 수평 보강판(52)에 맞닿는 받이판(59)이 고정설치되고, 받이판(59)에는 핀(51)에 대한 가이드 구멍(59a)이 뚫려 있다. 또, 받이판(59)의 경사면(59b)에 클릭(55)의 경사부(55a)가 닿도록 되어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57)가 단축상태에 있으면 클릭(55)은 2점쇄선과 같이 후퇴하여 연결을 해제한다. 이 2점쇄선의 상태로 슬라이드(31)가 하강하면 핀(51) 선단이 가이드구멍(59a)을 따라 안내되고, 수평 보강판(52)과 받이판(59)이 맞닿는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57)가 신장하면 클릭(55)은 실선과 같이 요동하고, 상부 링크(205)의 경사면(59b)에 클릭(55)의 경사부(55a)가 닿아 받이판(59)을 끼우는 연결상태가 된다.
이 연결수단에 의한 연결을 위해서는 조종기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고, 핀(51) 선단이 가이드구멍(59a)을 따라 안내되는 정도의 정지위치 오차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조종기에 설치된 위치결정수단(34)을 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8도(a)는 정면도, 제8도(b)는 측면도이다.
산형레일(4)이 부설된 앵글 부재(26)의 소정위치(타이어 가황 프레스 중앙위치에 상당)에 4각 블록(61)이 볼트 등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종기의 수평 프레임(24) 측면에 코너브라켓(62)이 고정설치되고, 이 코너브라켓(62) 하면에 T형 브라켓(63)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T형 브라켓(63)의 2개의 축(64, 64)에는 각각 반주(半周) 피니온(65) 부착의 끼움판(66)이 키등을 통하여 끼워져 있다. 또, 반주 피니온(65, 65)에 맞물리는 랙(67, 67)이 에어 실린더(68, 68)에 의해 코너브라켓(62) 하면을 따라 진퇴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조종기 주행중에는 에어 실린더(68, 68)가 신장상태에 있고, 끼움판(66, 66)은 2점쇄선과 같이 열려 있고, 4각 블록(61)과 간섭하지 않는다. 조종기가 원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 앞에서 정지하면, 에어 실린더(68, 68)가 단축하고, 끼움판(66, 66)이 실선과 같이 4각 블록(61)을 끼운다. 그리하면 4각 블록(61)을 중심으로한 위치까지 조종기가 이동하여 위치결정된다.
그러나, 이 위치결정수단(34)은 상기 연결수단(35)의 연결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으나 mm 단위의 정지위치 오차가 생긴다. 그리하면, 후기하는 로더(32)나 언로더(33)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나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에의 이송 정밀도는 그만큼 나빠진다. 이 mm 단위의 정지위치 오차는 성형되는 타이어의 밸런스 정밀도에 큰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대형 크레인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조종기를 1/10mm 단위로 위치결정하는 것은 현실적이 못된다. 그래서, 로더(32)나 언로더(33) 자체가 이 정지위치 오차를 흡수하는 센터링 보정수단은 가지고 있다.
다음에 센터링 보정수단을 갖는 로더(32) 및 언로더(33)를 제9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9도는 제3도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우측의 로더(32) 및 언로더(33)만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에도 중심선에 대칭적으로 동일인 로더(32) 및 언로더(33)가 배치되어 있다. 또, 부호 8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림(8a)의 진출위치를 나타낸다. 이 림(8a)상에 정밀도 좋게 가황 완료의 타이어가 얹어지고 림(8a)이 도시되지 않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중심 위치로 인입된다. 그러나, 제9도의 림(8a)을 이동시키지 않고, 직선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림에 가황 완료의 타이어를 얹어놓을 수도 있다. 즉, 언로더(33)가 이송해야할 위치는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이 림(8a)으로서 이송위치 센터는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또는 그 부근에 존재한다.
제9도에 있어서, 로더(32)는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의 제1센터(01) 또는 제2센터(02)에 있는 그린타이어를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한쪽 몰드의 센터(03) 위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특히 그린타이어를 몰드센터(03)까지 이송하는 정밀도가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0.25mm 이내의 센터링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로더(32)를 척(101)을 지면(紙面) 두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하고, 또한, 화살표 ①의 1점쇄선과 같이 수평면내에서 선회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화살표 ②와 같이 수평면내에서 신축자재로 되어 있다. 센터링 보정의 필요성은 수평면내에 생기는 사실로 인하여 수평면내의 선회가능 또한 신축자재의 구조에 의해 소정의 보정을 실시하기가 가능하게 된다. 즉, 로더(32)는 승강·선회·신축의 3가지 자유도를 가지며, X-Y-Z면의 임의의 위치에 척(101)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센터링에 필요한 보정량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척(101)에 부착된 돌출체(102)에 CCD 카메라 등의 시각센서(103)를 부착한다. 또,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몰드 센터(03)와 관련된 위치에 있는 기준마크(A)를 설치하고,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에 제1센터(01)와 제2센터(02)에 관련된 기준마크 B와 C를 설치한다.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에 2개의 기준마크(B, C)를 설치하여 시각센서(103)에서 기준위치를 관찰촬영하는 것은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7)가 원근의 어긋남 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놓이는 수도 있기 때문이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경우 1개의 기준마크(A)를 관찰촬영하면 척(101)의 센터(05)와 몰드 센터(03)의 센터링 보정량이 X-Y 좌표로서 검지가능하다. 즉, 로터(32)의 센터링 보정수단은 척(101)의 신축자재구조나 시각센서(103) 등의 부가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언로더(33)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몰드 센서(03)에 있는 가황 완료 타이어를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의 림(8a)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특히, 가황 완료 타이어를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중심 또는 그 근방에 있는 림 센터(04)까지 이송하는 정밀도가 중요하며, 바람직하게는 ±0.25mm 이내의 센터링 정밀도가 구하여진다.
이 때문에, 언로더(33)를 척(151)을 지면두께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하고, 또한 화살표 ③의 1점 쇄선과 같이 수평면내에서 선회가능하게 할 뿐아니라 화살표 ④와 같이 수평면내에서 신축자재로 되어 있다. 센터링 보정의 필요성은 수평면내에 생기기 때문에 수평면내의 선회가능 또한 신축자재의 구조에 의해 소정의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언로더(33)는 승강·선회·신축의 3가지 자유도를 가지고, X-Y-Z면의 임의의 위치에 척(151)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센터링에 필요한 보정량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척(151)에 부착된 돌출체(152)에 CCD 카메라 등의 시각센서(153)를 부착한다. 또,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몰드 센터(03)와 관련된 위치에 있는 기준마크(D)를 설치하고,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에 림 센터(04)에 관련된 기준마크(E)를 설치한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기준마크(D)를 관찰 촬영하면 척(151)의 센터(06)와 몰드센터(03)의 센터링 보정량이 X-Y 좌표로서 검지가능하고,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8)의 기준마크(E)를 관찰촬영하면 척(151)의 센터(06)와 PCI 림 센터(04)의 센터링 보정량이 X-Y 좌표로서 검지가능한다. 즉, 언로더(32)의 센터링 보정수단은 척(151)의 신축자재 구조나 시각센서(153) 등의 부가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제10도 내지 제13도에 의해 센터링 보정수단을 갖는 로더(32)의 구체적인 3자유도 로보트 구조를 설명한다. 제10도는 로더(32)의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V-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10도의 W-W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X-X 단면도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조종기의 문형 프레임(21)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뻗는 가이드웨이(105)를 부착하고, 이 가이드웨이(105)를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리니어모션 가이드(106)를 승강체(107)에 부착한다. 또, 수평 프레임(23, 24)에는 나사축(108)이 축받이(109, 110)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나사축(108) 상단에는 서보모터(111)가 접속되고, 나사축(108) 하단에는 브레이크(1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나사축(108)에 나사맞춤하는 암나사(113)가 승강체(107)에 설치된 슬리브(114)내에 끼워넣어지고 있으며, 나사축(108)의 회전과 함께 승강체(107)가 승강한다. 즉, 서보모터(111)로 승강체(107)의 상하위치가 결정된다.
또, 슬리브(114)의 외주에는 축받이 (115)를 통하여 암(116)이 선회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암(116)의 보스부(116a)에는 스프로켓(117)이 끼워지고, 제13도와 같이 체인(118) 및 스프로켓(119)을 통하여 서보모터(1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서보모터(120)로 암(116)의 선회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6)에는 틀체(121)가 고정설치되고, 틀체(121) 중심에 수평의 나사축(122)이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틀체(121) 하면에 2개의 가이드웨이(123, 123)가 부착되어 있고,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웨이(123, 123)를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리니어 모션가이드(124, 124)가 척지지대(12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척지지대(125)는 나사축(122)에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126)가 끼워져 있고, 나사축(122)의 회전과 함께 척지지대(125)가 틀체(121)에 대하여 지면 두께방향(수평방향)으로 신축자재로 진퇴한다. 제10도로 돌아가서, 나사축(122) 일단에는 스프로켓(127)이 끼워지고, 제13도와 같이 체인(128) 및 스프로켓(129)를 통하여 서보모터(13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서보모터(130)로 척지지체(125)의 신축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있다.
척(101)은 척지지체(125) 하면에 부착되어 있고, 그 구조는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그린타이어의 상비드를 내측에서 잡고 있는 척 패들(131) 다수매를 방사상으로 확축자재로 부착한 것이다.
다음에, 제9도, 제14도 및 제15도에 의해 센터링 보정기능를 갖는 언로더(33)의 구체적인 3자유도 로보트 구조를 설명한다. 제14도는 언로더(32)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Y-Y 단면도이다. 또한 부착장소가 다르나, 로더(32)와 같은 3자유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9도에 있어서, 조종기의 문형 프레임(21)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뻗는 가이드웨이(155)를 부착하고, 이 가이드웨이(155)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리니어 모션가이드(156)를 승강체(157)에 부착하고 있다. 제14도에 있어서, 수평 프레임(23, 24)에는 나사축(158)이 축받이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나사축(158) 상단에는 서보모터(161)가 접속되고, 나사축(158) 하단에는 브레이크(162)가 접속되어 있다. 이 나사축(158)에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가 승강체(157)에 설치된 슬리브(164)에 끼워져 있고, 나사축(158) 회전과 함께 승강체(157)가 승강한다. 즉, 서보모터(161)로 승강체(157)의 상하위치가 결정된다.
또, 상기한 슬리브(164)의 외주에는 축받이를 통하여 암(166)이 선회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암(166)의 보스부(166a)에는 스프로켓(167)이 끼워지고, 체인 스프로켓을 통하여 서보모터(17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서보모터(170)로 암(166)의 선회위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암(166)에는 틀체(171)가 고정설치되고,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171)의 중심에 수평의 나사축(172)이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틀체(171) 하면에 2개의 가이드웨이(173, 173)가 부착되어 있고, 가이드웨이(173, 173)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리니어 모션가이드(174, 174)가 척지지대(17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척지지대(175)는 나사축(172)에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176)가 끼워져 있고, 나사축(172)의 회전과 함께 척지지대(175)가 틀체(171)에 대하여 지면두께방향(수평방향)에서 신축자재로 진퇴한다. 제14도로 돌아와서, 나사축(172)의 일단에는 스프로켓(177)이 끼워지고, 체인(178) 및 스프로켓(179)을 통하여 서보모터(18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서보모터(180)에서 척지지체(175)의 신축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있다.
척(151)은 척지지체(175) 하면에 부착되어 있고, 그 구조는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가황 완료 타이어의 상비드를 내측에서 잡고 있는 척패들(181) 다수매를 방사상으로 확축자재로 부착한 것이다.
또한, 로더(32) 및 언로더(33)의 3자유도 로보트 구조가 서보모터로 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서보모터에 한하지 않고, 서보 유압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하, 선회, 신축의 로보트에 한하지 않고 다관절 로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로 돌아가서,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측의 프레스 베이스(204)와 상측의 링크(205) 사이에 2개의 돔로크식 몰드 유니트(201)를 유지하는 트윈식으로 되어 있다. 이 돔로크식 몰드 유니트(201)의 구조를 제16도의 단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몰드 유니트(201)는 상돔(202)과 하돔(203)을 걸거나 벗김 수단으로 한 로크장치(206)로 걸거나 벗김 자재로 한 것이다. 특히, 상돔(202)은 상측링크(205) 하측에 볼트(205a)로 고정된 구조이고, 상측링크(205)와 상돔(202)이 상프레스 부재를 구성하고, 프레스 베이스(204)와 하돔(203)이 하프레스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조는 일본 특공평 1-24050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조이나,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하돔(203)은 수평대(211)와 동일대(同一坮; 211) 주위의 원통상벽(212)에 의해 형성되고, 상돔(202)은 수평판(213)과 동일대(213) 주위의 원통상벽(21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돔(202)은 상측링크(205)에 고정되고, 하돔(203)은 프레스 베이스(204)로부터 세워 설치된 지지봉(216)으로 상하방향 미끄럼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봉(216) 위에는 단열재(217)를 통하여 하부 플래튼 서포트(218)가 볼트(219)로 고정되고, 동서포트(218)의 위에는 가열판으로서의 하부 플래튼(220)이 안열판을 통하여 중합상으로 설치되고, 또한, 같은 플래튼(220) 위에 하몰드(81)가 도시되지 않은 하부 몰드 착탈장치를 통하여 고정된다.
상돔(203)의 수평판(213)에는 중공통(215)이 상하방향 미끄럼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중공통(215) 밑에 수평판(221)이 고정된다. 이 수평판(221)의 밑에 상부 플래튼 서포트(222), 도시되지 않는 단열재 및 상부 플래튼(223)을 통하여 상몰드(82)가 상부 몰드 착탈장치(91)에 의해 고정된다. 또, 수평판(221)은 수평판(213)에 대하여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를 통하여 지지되고, 양 수평판(221, 213)의 간격(H)이 몰드(80)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하몰드(81)의 중심위치의 하측에는 중심기구(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심기구(94)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린타이어 내면에 확축자재로 변형하여 첨가할 수 있는 블래더를 유지함과 동시에 동블래더내에 가압가열원으로서의 스팀을 도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블래더의 그린타이어내에 삽입하는 방식에는 포스트인웰타입이나 스탠딩포스트타입이 있다. 그리고, 상몰드(82)의 중심위치 상측에는 몰드 피스(82a)를 지름방향으로 확축이동시키는 분할 몰드 조작장치(9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부 플래튼 서포트(218)와 하부돔(203)의 수평판(211) 사이에 작용하는 죔 수단으로서의 유압 실린더(225)가 개장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25)의 피스톤로드(225a) 선단은 단열판(226)을 통하여 볼트(227)에 의해 하부 플래튼 서포트(218)에 고정되고, 유압 실린더(225)의 본체(225b)는 연장부재(228) 앞쪽 대판(229)에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225)의 피스톤(225c)이 신장하면, 하돔(203)은 가압하강되고, 걸거나 벗김 수단으로서의 로크장치(206), 상돔(202) 및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를 통하여 상하 몰드(80)가 체결되어 있다.
다음에, 제17도 내지 제19도에 의해 상하돔(202, 203)의 걸거나 벗김 자재수단인 로크장치(205)를 설명한다. 제17도는 제16도의 C-C 단면도, 제18도는 로크장치(205)의 주요부 상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D-D선 단면도이다.
로크링(235) 내면에는 그 최하단에 있어서의 내향으로 돌출된 하연(下緣)과 그 상단에 동일하게 내향으로 돌출된 걸림 가장자리(237)에 의해 내면의 둘레방향으로 순회홈(238)이 성형되고, 동홈(238)이 하부돔(203)에 있어서의 벽(212)에 상단에 가까운 외주면에 외향으로 돌출설치한 끼워맞춤돌기(239)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맞춤으로써 하부돔(203)에 지지된다. 상기 걸림 가장자리(237)와 상연(239) 사이에 같은 내면의 둘레방향으로 순환하는 걸림홈(240)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연(239) 내면에는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이빨(241)과 노치(242)가 번갈아 내향으로 줄지어 설치된다. 이에 대하여 상부돔(202)에 있어서의 벽(214) 하단에는 그 외주면에 상기 링(235)의 이빨(241)을 통과가능한 노치(243)와 상기 링측 노치(242)를 통과가능함과 동시에 이빨(241)과는 결합가능한 이빨(244)을 번갈아 외향으로 줄지어 설치하는 것이다. 또, 로크링(235)의 정역회전을 위해서는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돔(203)의 벽(212) 측에 회전운동용 실린더등의 회전운동부재(245)가 부착된다.
이 로드(245a)가 로크링(235) 측에 연결됨으로써 로크링(235)의 열림위치에 있어서는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235) 측의 이빨(241)이 수직하강해온 상부돔(202)의 벽(214) 측의 노치(243)와 정면으로 마주대하고, 링(235) 측의 노치(242)가 하부돔(203)의 벽(212) 측의 이빨(244)과 정면으로 마주대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벽(212) 하단은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대로 링(235) 측의 로크링(235)을 회전운동시키고, 링(235) 측의 이빨(241)이 벽(212) 측의 이빨(244)상에 겹침으로써 로크가 행해지게 한 것이다.
또한, 상프레스 부재 일부인 상돔(202)과 하프레스 부재 일부인 하돔(203)을 로크장치(206)로 걸거나 벗김 자유롭게 하는 돔로크식에 한정되지 않고, 상돔 대신 4개의 콜럼수하(垂下)한 상프레스 부재를 이용하여 하프레스 부재와 콜럼선단에 로크장치를 설치하는 콜럼로크식의 것이라도 좋다. 또,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수단으로서의 로크장치(206)도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7도와 유사한 클릭을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다음에, 제20도는 제3도의 B-B 단면도로서, 상프레스 부재 일부인 상측링크(205)위에 설치되는 상부 몰드 착탈장치(91), 몰드 높이 조정장치(92) 및 분할 모드 조작장치(93)의 설치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20도에 있어서, 각 몰드의 센터에 분할 몰드 조작장치(93)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몰드를 연결하는 선을 0°로 하면,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는 0°, 90°, 180°, 270°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상부 몰드 착탈장치(91)는 45°, 135°, 225°, 315°의 동심원상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4개소의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는 몰드 중심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여유있게 끼워진 공통기어(311)에 맞물리는 4개의 소기어(312)에 의해 동기적으로 일제히 회전한다. 그러나,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에는 소기어(312)의 구동장치는 장비되어 있지 않고, 다음에 기술하는 조종기측에 제2구동장치로서 장비되어 있다. 동일하게, 분할몰드 조작장치(93)용의 제3구동장치와 상부 몰드 착탈장치(91)용의 제1구동장치도 조종지측에 장비되어 있다.
제21도에는 분할 모드 조작장치(93)와 연결되는 제3구동장치(36)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3구동장치(36)는 슬라이드((31)에 세워 설치된 로드(331)의 상단에 고정된 대판(坮板; 332)에 상향으로 세워 설치된 양로드식 액압 실린더(333)와 대판(332)에서 세워 설치된 부착판(334)에 부착된 회전 액츄에이터(335)로 구성되어 있다. 액압 실린더(333)의 상측로드(333a)는 커플링(336)을 해제하여 회전 액츄에이터(335)에 연결되고, 하측로드(333b)의 하단에는 T형 금속구(337)가 부착되어 있다.
또, 분할 몰드 조작장치(93)의 승강로드(93a) 선단에는 T자 금속구(337)가 들어가는 장방형구멍(93b)가 장방형구멍(93b)의 대각선을 직경으로 하는 구멍(93c)이 연결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종기의 슬라이드(31)가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에어 실린더(333)의 하측로드(333b)가 신장하고, 금속구(337)의 단차부(337a)가 승강로드(93a) 상단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T자 금속구(337)의 선단(337b)이 장방형구멍(93b)을 통과하여, 구멍(93c)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 액츄에이터(335)가 90°회전하면 T자 금속구(337)의 선단(337b)이 단차부(93d)에 걸리고, 제3구동장치(36)와 분할 몰드 조작장치(93)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333)의 하측모드(333b)가 다시 승강함으로써 승강로드(93a)도 승강하고, 분할 몰드를 개폐한다. 다시 회전 액츄에이터의 회전이 승강로드(93a)까지 전해지고, 승강로드(93a)와 분할 몰드의 걸거나 벗김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T자 금속구(337)가 장방향구멍(93b)을 통과하기 위한 정밀도는 mm 단위의 어긋남이 있어도 좋고, 그것을 위한, 제8도와 같은 간단한 위치결정장치(34)라도 충분하다.
제22도는 몰드 높이 조정장치(92)와 연결되는 제2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2구동장치(37)는 조종기 측의 슬라이드(31)에 하향으로 고정설치된 모터(313)의 구동축(313a)의 선단에 커플링편(314)을 끼워넣는 것이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링크(205)에는 제20도에서 설명한 소기어(312) 1개에 맞물리는 구동기어(315)를 수직축(316)의 하단에 끼워넣고, 수직축(316)을 링크(205)에 회전운동 자유롭게로 지지하고, 수직축(316)의 상단에 커플링편(317)을 끼워넣고 있다. 제22도(a), (b), (c)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편(317)에는 끝이 넓어지는 돌조(317a)가 가공되고, 이 끝이 넓어지는 돌조(317a)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는 끝이 넓어지는 홈(318a)을 갖는 중간 커플링(318)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 커플링(318)이 오목홈(318b)에 조종기측의 커플링편(314)의 볼록조(條; 314a)가 결합된다.
조종기의 슬라이드(31)가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조종기측의 커플링편(314)이 볼록조(314a)가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중간 커플링(318)의 오목홈(318b)에 결합한다. 이 결합상태에서는 모터(313)의 구동축(313a) 중심과 조종기측의 수직축(316)의 중심과는 mm 단위오 어긋나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간 커플링(318)의 끝이 넓어지는 홈(318a)과 커플링편(317)으 끝이 넓어지는 돌조(317a)가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중심의 어긋남을 흡수하고, 모터(31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지장이 없다.
또한, 모터(313)의 커플링(314)의 볼록조(314a)의 조종기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0도에 있어서, 1개의 소기어(312)가 회전하면 중간기어(311)를 통하여 4개의 소기어(312)가 동기적으로 회전한다. 제22도로 돌아가서, 상돔의 수평판(213)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된 소기어(312)의 내측에는 암나사(312a)가 가공되어 있고, 이 암나사(312a)에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로드(319)가 소기어(312)의 회전과 함께 승강한다. 나사로드(319) 하단플랜지(319a)는 수평판(221)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고, 하몰드(82)가 승강하여 몰드높이가 조정된다. 이 제2구동장치(37)가 작동하는 것은 후기의 몰드 교환의 경우이다.
제23도는 상부 몰드 착탈장치(91)와 연결되는 제1구동장치(3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구동장치(38)는 조종기측의 슬라이드(31)에 하향으로 고정설치된 모터(351)의 구동축(351a)의 선단에 커플링편(354)을 끼워넣은 것이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링크(205)에는 구동축(356)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축(356)의 상단에 커플링편(357)을 끼워넣고 있다. 제23도(a), (b), (c)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편(357)에는 끝이 넓어지는 돌조(357a)가 가공되고, 이 끝이 넓어지는 돌조(357a)를 따라 미끄러져 움직이는 끝이 넓어지는 홈(358a)을 갖는 중간 커플링(318)이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간 커플링(318)이 오목홈(358b)에 조종기측 커플링편(354)의 볼록조(354a)가 결합한다.
조종기의 슬라이드(31)가 소정위치에서 정지하면 조종기측 커플링편(354)의 볼록조(354a)가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중간 커플링(318)의 오목홈(358b)에 결합한다. 이 결합상태에 있어서는 모터(3451)의 구동축(351a) 중심과 조종기측의 구동축(356) 중심과는 mm 단위로 어긋나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간 커플링(318)이 끝이 넓어지는 홈(358a)과 커플링편(357)의 끝이 넓어지는 돌조(357a)가 미끄러져 움직여 중심의 어긋남을 흡수하고, 모터(35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지장이 없다. 또한, 모터(351)의 커플링(354)의 볼록조(354a)의 조종기 주행방향을 향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356)에 대하여 상하방향 미끄럼 자유롭게 끼워넣은 클램프 볼트(358)가 회전하고, 상몰드(82)와의 부착이 자동적으로 착탈자재가 된다. 이 제1구동장치(38)가 작동하는 것은 후기하는 몰드 교환의 경우이다. 오래된 몰드의 특히 상몰드(82)를 자동적으로 착탈한다. 그리고, 새로운 상몰드(82)가 부착되는 상기 몰드 높이 조정장치(92)에 의해 몰드 높이의 조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부 몰드 착탈장치(91)의 개략구서을 제24도에 의해 설명한다. 상돔의 수평판(221)에 상방향으로 뻗는 제1통상 하우징(360)이 끼워지고, 이 제1통상 하우징(360)내에 제2통상 하우징(361)이 회전불가능 또한 수평 미끄럼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복수의 스프링(362)에 의해 축심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이들 복수의 스프링(362)이 중심 어슥남 허용기구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제1하우징(361)의 하부내에 가압링(363)이 회전불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가압링(363)이 스프링(364)에 의해 상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상기 수평판(221) 하면에, 상부 플래튼 서포트(222) 및 상부 플래튼(223)을 통하여 상몰드(82)가 설치되어 있다. 그 상몰드(82)에 형성한 클램프용 암나사(82a)를 향하여 클램프로드(359)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링(363)내에 승강용 암나사부재(365)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암나사부재(365)가 스프링(366a)에 의해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탄성가압된다. 상기 암나사부재(365)에 승강용 암나사(365a)가 형성된다.
클램프로드(359)는 상기 링(363)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하우징(360)의 관통공(360a)에 조심(調心) 간격(c)을 두고 삽입된다. 상기 클램프로드(359)에 제1수나사(359a)와 제2수나사(359b)와 가압부(359c)와 피회전부(359d)가 밑에서 순차로 설치된다. 상기 제1수나사(359a) 선단에 끝이 가는 리드부(359e)가 설치된다. 그 리드부(359e) 외경(d)은 상기 암나사(82a)의 내경(D)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수나사(359b)가 상기 승강용 암나사부재(365)의 승강용 암나사(365a)에 나사식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361)의 내부에 소켓(366)이 설치되고, 이 소켓(366)의 상단이 구동축(356)으로 되어 있다. 또, 소켓(366) 내부에 형성한 6각혈(六角穴; 366a)에 상기 피회전부(359a)가 회전전동 또한 승강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하는 클램프상태에서는 소켓(366)이 평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클램프 로드(359)의 제1수나사(359a)가 클램프용 암나사(82a)의 나사결합력에 의해 상몰드(82)가 상기 로드(359)를 통하여 상향으로 끌어당겨지고, 그 로드(359)에 작용하는 하향의 반력이 상기 가압부(359c)와 상기 가압링(363)을 순차로 거쳐 상부 플래튼 서포트(222)의 상면에 받아 정지된다. 이에 의해 상몰드(82)가 상부돔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몰드 착탈장치(91)를 이용하면, 상몰드(82)가 상플래튼(223)에서 이격되고, 상하 몰드(80)의 단체가 제16도의 하플래튼(220)의 위에 남는다. 따라서, 하몰드와 하프레스 부재의 고정을 하부 몰드 착탈장치에서 벗기면, 상하 몰드 단체가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있어서 꺼내어진다.
이같은 하부 몰드 착탈장치(94)와 몰드 교환대차(95)의 개략 구성을 제25도의 사시도록 설명한다. 하부 몰드 착탈장치(94)는 하몰드 옮겨싣는 수단(401)과 하부 플래튼(220)에 대하여 상하 몰드(80)를 위치결정하는 센터링 수단(402)과 하부 프레스 부재에 대하여 승강자재가 되는 승강수단(403)과, 위치결정되고 또한 승강수단(403)을 통하여 하부 플래튼(220)상에 얹어놓인 하몰드(81)를 하부 플래튼(220)에 대하여 착탈자재로 부착하는 클램프 클릭(404)으로 예시하는 클램프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몰드 교환대차(95)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전방에서 대기가능하고, 상하 몰드(80)를 수평지정(指定)으로 얹어놓기 가능한 얹어놓기부를 갖는 이송가능한 대차율(405)과, 하부플래튼(2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대차부(405)의 탑재부와 동일 수평면내에 지지부를 갖는 한쌍의 안내부재(406)로 구성되고, 대차부(405)는 탑재부를 승강하는 리프터(406)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하 몰드(80)는 몰드 플레이트(407)를 통하여 대차부(405)의 탑재부에 수평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몰드 플레이트(407)는 몰드 부착부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 되어 있어, 이 좌우양측에 평행변부(408)가 좌우방향 외측으로 뻗어서 돌출되고, 중앙부에는 센터링 수단(402)으로서의 도면 밖의 기준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측하면에는 하부 플래튼(220)의 키(409)에 끼워맞춤하는 도시되지 않은 키홈이 형성되어 있다.
대차(405)의 탑재부와 함께 금형이재(移載) 수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안내 부재(406)는 하부 플래튼(220)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의 프레스 베이스상의 가대(410)에 고정되고, 그 가대(410)상에 승강수단(403)을 통하여 상면에 전동체로서의 볼(411)을 줄지어 설치하고 있으며, 볼(411)의 전동을 통하여 몰드 플레이트(407)에 있어서의 평행변부(408)를 수면면상에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안내 부재(406)의 입측(入側)에는 상하 몰드(80)의 수수(受授)를 위한 안내 부재(412)가 가대(410)상에 고정되어 있고, 안내 부재(412) 상면에는 전동자재의 볼(413)을 줄지어 설치하고 있으며, 상면외측에 평면에서 보아 八자 형상으로 부착된 가이드(414)로 구성되고, 몰드 플레이트(407)에 있어서의 평행변부(408)를 센터링하면서 승강자재의 안내 부재(406)에 장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안내 부재(406) 안쪽에는 스토퍼(415)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414) 및 스토퍼(415)는 상하 몰드(80)를 하부 플래튼(220)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센터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승강수단(403)은 안내 부재(401)와 가대(410) 사이에 설치된 액체 실린더(416)와 이 앞뒤에 설치되고 수직가이드(417)로 되어 있어, 액체 실린더(416)는 가대(410)에 부착되고, 안내 부재(406)와 연결되며, 한편, 수직가이드(417)는 가대(410)에 부착된 로드(410a)를 부쉬를 통하여 끼워맞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내 부재(406)는 유체 실린더(416)의 신축에 의해 수직가이드(417)의 안내에 의해 클램프 클릭(404)과 함께 승강되고, 몰드 플레이트(407)에 있어서의 평행변부(408)를 통하여 하몰드(81)를 하부 플래튼(220)에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한다.
타이어 가황 프레스(1) 전면에 있어서, 몰드 교환대차(95)에 의해 상하 몰드(80)를 고정한 몰드 플레이트(407)가 대기가능하며, 그 교환대차(95)는 리프터(406)를 구비하고 있어, 그 교환대차(95)에는 몰드 플레이트(407)의 걸림부(418)가 가설되고, 구동부(419)에서 스네이크체인(420)이 풀려나오기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장비된 각 기기 구조의 설명을 마치고, 다음에 상기한 타이어 가황장치의 가황 사이클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의 조종기(2)가 No..5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 조작에 향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1의 조종기(2)의 조종기 콘트롤부(10)에는 다음에 가황 기산이 종료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No.5라는 것, 또 No.5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서 가황된 타이어 제원 등의 데이타가 인풋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1의 조종기(2)가 No.5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향하여 주행한다. No.5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근접 스위치 및 기타 센서를 검지하기 까지 고속으로 주행하고, 리미트 스위치 등을 검지하면 저속이 되고, No.5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 앞에서 정지한다. 이때, 제8도의 위치결정수단(34)의 끼움판(66, 66)이 이점 쇄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회전하고, 4각 블록(61)을 끼우고 정지위치 정밀도를 수 mm 단위 이내로 한다.
그리고, 제3도의 개폐 실린더(30)가 신장함으로써 슬라이드(31)가 제5도의 동조바(45)의 작용으로 수평도를 유지하면서 하강한다. 슬라이드(31)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링크(205)를 향하여 하강하고, 제5도의 받이판(59)의 가이드구멍(59a)에 핀(51)이 삽입되고, 수평 보강판(52)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5도의 연결수단(35)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57)가 신장하여 클릭(55)이 2점쇄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요동하고, 경사면(59b)과 경사부(55a)가 맞닿아 조종기(2) 측의 슬라이드(31)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1) 측의 링크(205)가 연결된다.
제16도에 있어서의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수단로서의 로크장치(206)가 작동하여 상돔(202)과 하돔(203)을 떼어놓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7도의 로크링(235)이 회전하여 제18도와 같이 이빨(241)이 노치(243)와 정면으로 마주 대한 상태가 되고, 상돔(202)은 하돔(203)에서 떨어져서 상승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도와 같이 개폐 실린더(30)가 스트로크엔드까지 단축함으로써 슬라이드(31)가 링크(205)와 함께 2개의 상몰드를 동시에 상승하고, 프레스 즉 몰드가 열린 도시의 상태가 된다.
또한, 몰드가 분할 몰드일 경우, 제21도의 에어 실린더(333)가 신장하고, 선단의 T형 금속구(337)가 승강로드(93)의 구멍(93c)에 들어가면 회전 액츄에이터(335)가 90°회전한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333)와 승강로드(93)가 연결된다. 이후, 에어 실린더(333)가 신축하여 분할몰드의 세그먼트가 지름방향으로 확축하는 분할 몰드 조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언로더(33)에 의한 가황 완료 타이어의 반출이 행해지고, 이어서 로더(32)에 의한 그린타이어 반입이 행해진다. 이때, 언로더(33)에 의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림센터에의 이송 정밀도와 로더(32)에 의한 프레스 센터에의 이송 정밀도가 타이어의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고정밀도의 이송이 가능한 언로더(33) 및 로더(32)로 되어 있다.
즉, 제26도의 블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센서(103, 153; 구체적으로는 CCD 카메라)로 소정의 기준을 촬영하여 화상처리를 하고, 조종기 콘트롤부(10)내의 컴퓨터(10a)가 위치 어긋남을 계산하여 서보 콘트롤러(10b)는 암선회용 서보모터(M1; 120, 170)와 암신축용 서보모터(M2; 130, 180)에 대하여 센터링 보정후의 이동량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언로더(33)와 림센터와의 보정 및 로더(32)와 프레스 센터의 보정이기 때문에 이 보정수순을 제27도의 흐름도 및 제9도의 평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언로더(33)가 ③의 궤적에 따라 선회이동하고, 로더(32)가 ①의 궤적을 따라 선회이동한다(스텝 #1). 다음에 언로더(33) 및 로더(32)에 설치된 시각센서인 CCD 카메라(153, 103)가 기준마크(E) 및 기준마크(A)를 촬영하고, 실제의 기준마크(E, A)의 위치를 산출한다(스텝 #2). 미리 설정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PCI)의 림센터(04)나 프레스 센터(03)나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기준마크(E, A)이기 때문에 본래 있어야할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차에 의해 위치 어긋남 량을 Δd로서 산출할 수 있다(스텝 #3).
이 위치 어긋남 량(Δd)에 의해 정지한 조종기의 언로더에서 본 정확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PCI)의 림 센터(04) 위치나 프레스 센터(03) 위치를 산출하고, 언로더 및 로더의 암 선회량과 신축량을 결정한다(스텝 #4). 그리고, 보정된 암의 선회량과 신축량에 의거하여 정확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PCI)의 림 센터(04) 위치나 프레스 센터(03) 위치로 언로더(33) 및 로더(32)의 척이 위치하도록 이동한다(스텝 #5). 또한, 척(151, 101)의 개폐와 상하방향의 움직임은 몰드 사이즈나 타이어 사이즈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집중관리 컴퓨터에서 각 조종기 콘트롤부로 미리 입력되어 있다. 또한, 조종기와 프레스 높이 방향은 조종기의 이동정지에 의해 그다지 변화되지 않으므로 컴퓨터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있는 상하방향의 위치가 지켜지도록 제어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특별히 보정할 필요성은 없다.
또, 제9도의 그린타이어 받이대(7)는 자동 이송차 등으로 바닥면에 얹어놓는 것뿐이므로 중심선에 대하여 90°가 아니게 기울여 얹어놓기 됨과 동시에 본래의 장소에서 크게 빗나간다. 특히 자동 이송차를 사용하면 그 빗나감량은 ±50mm 이상이 보통이다. 그래서, 그린타이어 받이대(7)의 얹어놓기 상태를 로더(32)가 확인해 둔다. 그것을 위한 수순을 제28도의 흐름도 및 제9도의 평면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로더(33)가 ①의 궤적에 따라 선회이동하고 로더(32)가 ①의 궤적에 따라 선회이동하여 기준마크(B) 까지 이동한다(스텝 #1). 그리고, 로더(32)에 설치된 시각센서인 CCD 카메라(103)가 기준마크(B)를 촬영한다(스텝 #2), 다음에, 로더(32)가 ①의 궤적에 따라 다시 선회이동하여 기준마크(C) 까지 이동한다(스텝 #3). 다응에 로더(32)에 설치된 시각센서인 CCD 카메라(103)가 기준마크(C)를 촬영한다(스텝 #4).
그리고, 스텝 #2, 4에서 얻은 기준마크(B, C)의 실제 위치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얹어놓기 되어야할 그린타이어 받이대(7)에 의한 본래의 기준마크(B, C)의 위치와의 위치어긋남 량을 Δd 및 Δθ로서 산출할 수 있다(스텝 #5). 이 위치 어긋남 량 Δd 및 Δθ에 의거하여 실제의 그린타이어가 얹어놓인 위치로 로더가 이동하기 위한 센터링 보정치를 위치 보정량으로서 계산한다(스텝 #6). 그리고, 보정된 암의 선회량과 산축량에 의가하여 그린타이어의 센터(01, 02)로 로더(32)의 척이 위치하도록 이동한다(스텝 #7).
이와 같은 센터링 보정이 시행된 후에, 가황 완료 타이어 반출과 그린타이어의 반입이 행해진다. 우선, 센터링 보정된 언로더(33)에 의해 하몰드의 프레스 센터(03)에 남아 있는 가황 완료 타이어의 비드가 척(151)으로 잡혀지고, 인상되고, 선회하여 림센터(04)의 바로 위에 이른다. 그리고, 척(151)이 하강하여 열리면 가황 완료 타이어가 림센터(04)에 정확하게 얹어 놓이게 된다.
다음에, 센터링 보정된 로더(32)에 의해 그린타이어 받이대(7)의 2개의 그린타이어 중 소망하는 것인 비드를 척(101)으로 잡아 인상하고, 선회하여 프레스 센터(03)의 바로 위에 이른다. 그리고, 척(101)이 하강하여 열리면 그린타이어가 프레스 센터(03)에 정확하게 얹어놓이게 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프레스 센터(03)에 그린타이어가 장착되면 척(101)으로 그린타이어를 유지한채 중심기구의 블래더(bladder)를 그린타이어내에 뻗쳐 넣는 소위 홀드세이핑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린타이어를 하몰드의 중심에 장착할 경우인데, 상몰드에 그린타이어의 상비드를 잡게하는 방법도 있고, 이 방법의 경우에는 기준마크(A)의 위치는 제9도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204)가 아니라 상돔(202)의 적소 또는 상돔(202)에 일체로서 부속된 부품의 적소에 설치된다.
이 그린타이어의 세이핑이 끝이나면 제3도의 개폐 실린더(30)가 신장되고, 슬라이드(31)가 하강하고, 상하 몰드가 완전히 닫힌 프레스 닫힘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6도의 걸거나 벗김수단으로서의 로크장치(206)가 작동하여 상하돔(202, 203)을 기계적으로 걸어서 일체로 한다. 그리고, 죔 수단으로서의 유압 실린더(225)가 신장하면 고정 플래튼 서포트(218)에 대하여 상하돔(202, 203)이 가압하강된다. 그러면,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를 통하여, 플래튼 서포트(218) 위의 하몰드(81)에 대하여 상몰드(82)를 가압하게하여 죔이 행해진다.
그리고, 로크장치(206)가 상하돔(203, 203)을 건 후에 타이어 가황 프레스(1)와 조종기와 연결이 해제된다. 즉, 제3도의 연결수단(35)에 의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링크(205)와 조종기측의 슬라이드(31)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동시에 제21도와 같이 분할 몰드 조작장치(93)와 제3구동장치(36)의 연결이 해제된다. 즉, 회전 액츄에이터(335)가 90°회전하여 에어 실린더(333) 측의 T자 금속구(337)가 승강로드(93a) 측의 장방형구멍(93b)을 통과할 수 있게되고, 에어 실린더(333)가 단축하여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연결수단(35)과 분할 몰드 조작장치(93)의 해제상태를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검지한 후에 제3도의 승강 실린더(30)가 단축하여 슬라이드(31)를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에, 조종기의 위치결정수단(34)에 있어서의 끼움판(66, 66)이 열려서 4각 블록(61)에 대한 위치결정 고정이 해제된다. 그 전에 제9도의 로더(32) 및 언로더(33)가 수평 프레임(24)과 평행인 후퇴 위치에 선회되어 있고, 이 후퇴 위치를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확인한 후에 조종기(2)는 다음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향하여 주행을 개시한다. 이상이 조종기(2)를 이용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통상의 가황 사이클이다.
이와 같은 가황 사이클과는 별도록 가황해야 할 타이어 사이즈의 변경등이 있으면, 몰드 교환이 행해진다. 이 몰드 교환도 조종기(2)의 도움을 빌려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이하의 몰드 교환의 수순을 설명한다. 또한, 상몰드(82)는 제23도와 같이 상부 몰드 착탈장치(91)에서 상돔의 수평판(221)에 고정되고, 하몰드(81)는 제25도의 하부 몰드 착탈장치(94)로 하부 플래튼(220)에 고정되어 있다.
우선, 지금까지 부착되어 있는 몰드의 해제가 행해지고, 이어서 새로운 몰드의 부착이 행해진다. 이 신구 몰드의 이송은 제25도의 몰드 교환대차(25)가 분담하고, 신구 몰드의 착탈의 조작을 조종기(2)가 분담한다. 이에 의해 조종기(2)가 구비해야할 기능은 착탈에 필요한 최소한도의 것이 되고, 몰드 교환대차(25)는 몰드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향하여 주행한다.
우선, 몰드 교환이 필요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1)를 향하여 조종기(2)가 주행하고, 제3도의 위치결정수단(34)의 끼움판(66)이 닫혀 4각 블록(61)을 잡고 있는 위치결정 고정상태가 된다. 그후, 승강 실린더(30)가 신장하고, 슬라이드(31)가 하강한 후에 연결수단(35)이작동하여 조종기측의 슬라이드(31)와 타이어 가황 프레스측의 링크(205)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1도의 제3구동장치(36)와 분할 몰드 조작장치(93)가 연결되고, 회전 액츄에이터(335)가 회전함으로써 승강로드(93a)를 회전시켜서 승강로드(93a)와 상몰드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23도의 상몰드 착탈장치(91)와 제1구동장치(38)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1구동장치(38)가 제24도의 클램프 로드(359)를 회전시키고, 상몰드(82)를 죄고 있는 클램프 로드(359)의 나사결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로 승강 실린더(30)가 단축하면 링크(205)와 상돔(202)이 상승하여 상몰드는 하몰드 위에 얹힌채 남게 된다.
이때에는 제25도와 같이 몰드 교환대차(25)가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앞으로 주행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몰드 착탈장치(94)가 상승하여 하부 플래튼(220)에 대한 하몰드측의 몰드 플레이트(207)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하 몰드(80)를 들어올린다. 그리하면, 상하 몰드(80)의 몰드 플레이트(207)는 안내 부재(407, 412)상의 볼(411, 413)을 따라 미끄러져 나온다. 그래서, 몰드 교환대차(25)의 걸림부(418)가 몰드 플레이트(207)에 걸리고, 스네이크 체인(420)이 차례로 들어옴에 따라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몰드(80)가 대차부(405)에 얹어놓이게 된다. 또한, 몰드 교환대차(25)는 대차부(405)가 2개 설치되고, 이전의 상하 몰드(80)를 탑재한 대차부(405)에서 새로운 상하 몰드(80)를 탑재한 대차부(405)로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수순과는 반대로 스네이크 체인(420)의 풀려나옴에 의해 상하 몰드(80)가 타이어 가황 프레스 중심까지 송출된다. 그리고, 위치결정수단(402, 409)으로 상하 몰드(80)와 하플래튼(22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하몰드 착탈장치(94)에 의해 몰드 플레이트(207)를 통한 하몰드(81)의 부착이 행해진다.
이때, 제16도의 몰드 높이 조정장치(92)는 상부 플래튼(223)을 상한 위치까지 인상해 둔다. 다음에, 제3도의 슬라이드(31)가 하강하면 상하돔(202, 203)이 맞닿고, 로크장치(206)에 의해 상하돔(202, 203)이 연결된다. 다음에, 제16도의 몰드 높이 조정장치(92)가 작동하여 상플래튼(223)을 내려가면 상부 플래튼(223)과 상몰드(82)에 닿는다. 그후, 상몰드 착탈장치(91)에 의해 상몰드(82)를 상프레스 부재로서의 수평판(221)이나 상부 플래튼 서포트(222)에 부착된다. 다음에, 제21도의 분할 몰드 조작장치(36)가 작동하여 승강로드(93a)와 몰드를 연결한다. 이상의 수순으로 몰드가 교환되나 이 몰드 높이 조정장치(92), 상몰드 착탈장치(91) 및 분할 몰드 조작장치(36)의 작동은 조종기측에 설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행해지므로,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조종기(2)는 각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가황 사이클과 몰드 교환을 행하지만, 그를 위한 제어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해 행해진다. 그래서,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한 장치의 구성례를 제29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o.1∼No.18 까지의 18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하여 #1∼#3의 3대의 조종기(2)가 분담하여 가황 사이클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 9는 집중관리 컴퓨터이고, 부호 10은 조종기 콘트롤부이며, 부호 11은 프레스 콘트롤부이다. 조종기 콘트롤부(10)는 각 조종기(2)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프레스 콘트롤부(11)는 3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에 대하여 공통의 것이 설치되어 있다. 즉, 3대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1)는 같은 조건의 가황 사이클이 된다.
제29도에 있어서, 집중관리 컴퓨터(9)는 키보드(터치패널)나 모니터 등의 머신인터페이스(9a)와, CPU 등의 제어부(9b)를 갖는 퍼스널컴퓨터이다. 이 제어부(9b)에 조종기 콘트롤부(10)와 프레스 콘트롤부(11)와 외부에의 지령부(9c)가 접속되어 있다. 머신인터페이스(9a)는 모니터에 장치 전체의 운전상황을 표시하고, 키보드(터치패널)에 의해 장치의 기동조건을 설정하거나 생산계획을 입력하거나 장치의 가동과 정지를 행하는 것이다.
제어부(9b)에 접속되는 조종기 콘트롤부(10)는 통신수단(RS, 232의 무선 사양)을 통하여 제어지령을 출력하고, 모니터에 조종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을 행한다. 제어부(96)에 접속되는 프레스 콘트롤부(11)는 통신수단(PLC 상위 링크 접속)을 통하여 프로세스 제어지령을 출력하고, 모니터에 가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을 행한다. 제어부(96)에 접속되는 외부에의 지령부(9c)는 그린타이어의 자동이송, 몰드 교환 도는 블래더 교환등의 타이어 가황 프레스와 관련되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린타이어 반입지령, 몰드 교환지령 또는 블래더 교환지령을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집중관리 컴퓨터(9)에 의한 실시항목례를 제30도에 의해 설명한다. 집중관리 컴퓨터(9) 자체는 외부에의 지령부를 통하여 그린타이어 반입지령, 몰드 교환지령 또는 블래더 교환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조종기 콘트롤부(10)는 조종기 이동(10a), 로더/언로더 작동(10b), 프레스부 개폐(10c) 및 몰드 교환(10d)의 항목을 실시한다.
조종기 이동(10a)은 주행모터, 위치결정수단 및 위치판독센서인 CCD 카메라에 접속되고, 소망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까지 조종기를 고속에서 저속으로 주행시켜서 소정위치로 위치결정 고정시킨다.
로더/언로더 작동(10b)은 센터링 가능한 로더/언로더의 이동을 위한 3축(회축, 상하, 신축) 원통형 로보트, 타이어 사이즈에 맞는 척개폐 서보축(1축) 및 CCD 카메라에 의한 시각위치 보정에 접속되고, 언로더에 의해 가황 완료 타이어를 프레스 센터에서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림센터로 센터링하면서 반출함과 동시에 로더에 의해 그린타이어를 그린타이어 받이대 센터에서 프레스 센터로 센터링하면서 반입한다.
프레스부 개폐(10c)는 개폐 실린더에 대한 유압 유니트 콘트롤, 슬라이드 승강에 의한 프레스 상하, 연결수단 및 분할 몰드 조작실린더 등에 접속되어 가황 사이클에 합치한 프레스 개폐를 행한다.
몰드 교환(10d)은 상몰드를 해제하는 상몰드 착탈장치, 중심기구에 있어서의 웰을 인입하기 위한 상하 실린더 및 새로운 몰드를 맞도록 하기 위한 몰드높이 조정장치에 접속되어 몰드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조종기 콘트롤부에 의한 운전기능의 예를 제31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어기능에는 자동 운전모드와 수동 운전모드가 있다. 자동 운전모드는 1의 조종기이동, 2의 그린타이어용 로더 2개의 동시동작(시각 위치 보정에 의한 센터링 기능 부가), 3의 가황 완료 타이어용 언로더 2대의 동시동작(시각 위치 보정에 의한 센터링 기능 부가), 4의 프레스부 개폐와 분할 몰드조작, 5의 중심기구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수동 운전모드는 6의 몰드 교환동작, 7의 블래더 교환동작, 8의 시각보정용 카메라 위치캘리브레이션, 9의 로더/언로더를 구성하는 로보트와 카메라의 초기위치 파라미터 입력 10의 로더/언로더용 로보트 티칭, 11의 각 액츄에이터의 단체동작, 12의 유압유니트콘트롤, 13의 비상정지와 인터록이 조작자의 손을 빌려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조종기 콘트롤부의 통신기능에는 14의 집중 컴퓨터와의 통신이 있다. 또, 모니터 표시와 조작기능에는 15의 이상표시등의 액정패널에 의한 상태표시, 16의 터치패널에 의한 수동조작이 있다.
그리고, 프레스 콘트롤부에 의한 운전기능의 예를 제32도에 의해 설명한다. 가황 제어기능에는 1의 스텝관리, 2의 프로세스관리, 3의 온도제어, 4의 온도·압력감시, 5의 중심기구동작이 있다. 또, 터치패널 조작기능에는 6의 모니터표시, 7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조작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9도 내지 제32도에서 설명한 제어시스템에 의해 타이어의 품종변화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FA 대응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다음에, 바람직한 조종기에 의한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실시예를 제33도에 의해 설명한다. 밸런스 정밀도가 우수한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로더/언로더에 의한 센터링 기능이 필요하나 이 센터링의 정도는 조종기의 주행정지 정밀도에 의존하고 있다. 그를 위해서는 조종기가 주행하는 레일을 가급적 정밀도 좋게 부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타이어 가황 프레스와 레일을 독립하여 바닥면상에 설치하는 통상의 설치공사에 따르면, 레일의 부설 정밀도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레일 및 위치결정수단을 프레스 베이스에 설치함으로써 조종기의 정지정밀도르 향상시킨 것이 제33도의 것이다. 제4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프레스 베이스(204)에 연장부분(204a)이 부가하여 설치되고, 이 연장부분(204a) 위에 산형레일(3)과 평레일(4)을 부설하고, 다시 위치결정수단(34)도 연장부분(204a)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위치결정수단(34)의 부착위치는 기계공장에서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고, 위치결정수단(34)과 타이어 가황 프레스(1)와의 위치관계는 하나로 결정된다. 현지 조립시에는 이 위치 관계를 재현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레일(3, 4)도 프레스 베이스(204)에 연장부분(204a)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3, 4)을 부설할 때에, 까다로운 설치조정이 불필요하고, 타이어 가황 프레스(1)와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된다. 그 결과, 조종기(2)의 정지 정밀도가 향상되고, 로더/언로더에 의한 센터링 조정을 단시간에 끝나고, 분할 몰드 조작장치와 구동장치와의 연결등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끝으로, 바람직한 조종기에 의한 또다른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실시예를 제34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3도와 같이 조종기(2)가 타아스팔트 컴파운이어 가황 프레스(1)를 걸쳐서 주행하면 바닥면에는 조종기(2)가 주행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바닥면에는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설치공간,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설치공간, 몰드 교환대차의 주행공간 등이 필요하고, 조종기(2)가 바닥면을 주행하면, 타이어 가황장치 전체의 공간이 넓어진다.
그래서, 조종기를 천정주행으로 하고, 바닥면을 넓게 쓸 수 있게 한 것이 제34도의 것이다. 제3도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천정보(501)에서 지지주(502, 503)를 소정간격으로 늘어뜨려 설치하고, 이 지지주(502, 503)에 수평보(504, 505)를 볼트죔 등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한쪽 수평보(504) 위에 산형레일(3)을 부설하고, 다른쪽 수평보(505) 위에 평레일(4)을 부설한 것이다.
그리하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종기(2)의 주요부분이 타이어 가황 프레스(1)의 위를 주행하게 되고, 타아스팔트 컴파운이어 가황 프레스(1) 주위에는 공간의 여유가 생긴다. 그 때문에, 프레스의 죔 수단으로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 또한 인입가능한 볼트(506)에 의한 기계적 죔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중심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507)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놓아 토목공사에 있어서 귀찮은 비트(508) 깊이를 얕게 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상하 프레스 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를 죔 가능하게 수용하고, 주위에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와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승강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센터에서 상기 몰드 센터로 그린타이어를 이송하는 로더와 상기 몰드 센터에서 상기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 센터 또는 그 부근의 센터로 가황 완료 타이어를 이송하는 언로더를 구비하고, 상기 조종기에, 소망하는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 대하여 정지후의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로더 및 언로더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한 정지위치 오차를 흡수하는 센터링 보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보정수단은, 타이어를 잡고 있는 척을 수평면내에서 선회가능 또한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하는 2자유도의 로더 또는/ 및 언로더를 다시 수평면내에서의 신축자재를 부가하는 3자유도로 하고, 이 로더 또는/ 및 언로더에 그린타이어 얹어놓기대, 몰드 또는 포스트큐어인플레이터의 1개 이상에 있어서의 센터와 관련하는 기준을 검지하는 시각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3.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돈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을 따라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상하 프레스 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를 죔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슬강자재로 설치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는 상기 상몰드를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대하여 착탈자재로 고정하는 몰드 착탈장치와 상기 상하프레스 부재내에 높이 치수가 다른 상하 몰드를 수용하기 위한 몰드 높이 조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조종기에는 상기 몰드 착탈장치 및 몰드 높이 조정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장치 및 제2구동장치가 연결자재로 설치되고, 몰드 교환을 상기 몰드 착탈장치에 의해 상기 상프레스 프레임에서 상기 상몰드를 분리하여 상하 몰드 단독으로 행하고, 몰드 교환 후에 상기 몰드 높이 조정장치에 의해 몰드 높이를 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몰드는 분할 몰드로서,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에는 분할 몰드 조작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조종기에는 이 분할 몰드 조작장치를 구동하는 연결자재의 제3구동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5.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1열로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설치된 주행경로상을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경로 양단에 상기 조종기의 제1및 제2후퇴 스테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경로 중간 정도에 직각 주행로가 설치되고, 이 직각 주행로 위에 상기 조종기의 제3후퇴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6. 타이어 가황 프레스 다수대가 줄지어 설치된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과, 그 타이어 가황 프레스 군을 따라 설치된 주행경로상을 주행자재로 설치된 조종기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는 걸거나 벗김 자유로운 상하 프레스 부재 사이에 상하 몰드를 죔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조종기는 상기 상프레스 부재에 연결자재의 슬라이드를 승강자재로 구비하고, 상기 각 조종기 운전을 제어하는 조종기 콘트롤부와 상기 타이어 가황 프레스 1대 이상의 운전을 제어하는 프레스 콘트롤부가 설치되고, 이 조종기 콘트롤부 및 프레스 콘트롤부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집중관리 컴퓨터가 설치되고, 이 집중관리 컴퓨터가 상기 조종기 콘트롤부와 프레스 콘트롤부와의 대응관계를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
KR1019950026339A 1994-08-25 1995-08-24 타이어 가황장치 KR0168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582A JPH0857858A (ja) 1994-08-25 1994-08-25 タイヤ加硫システム
JP94-225582 199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30A KR960007130A (ko) 1996-03-22
KR0168510B1 true KR0168510B1 (ko) 1999-03-20

Family

ID=1683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339A KR0168510B1 (ko) 1994-08-25 1995-08-24 타이어 가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41528A (ko)
JP (1) JPH0857858A (ko)
KR (1) KR0168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156B2 (ja) * 1996-07-29 2005-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US6016695A (en) * 1997-01-24 2000-01-25 Illinois Tool Works Inc.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US6051246A (en) * 1997-03-28 2000-04-18 Parker Holding Services Corp. Antimicrobial composition supported on a honeycomb-shaped substrate
US6254371B1 (en) * 1997-08-21 2001-07-03 Konal Engineering And Equipment Inc. Press system for urethane parts
CA2300959A1 (en) * 1997-11-14 1999-05-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US6610238B1 (en) 1997-11-14 2003-08-26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ire curing system and method
US6206676B1 (en) 1998-10-22 2001-03-27 Konal Engineering & Equipment Inc. Electric/pneumatic rim press
US6582212B1 (en) * 1998-11-25 2003-06-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and tire vulcaniz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tire vulcanizer
EP1140477B1 (en) * 1998-12-16 2003-03-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utomated green tire conveyance system
JP4917837B2 (ja) * 2006-05-31 2012-04-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
JP5220471B2 (ja) * 2008-05-08 2013-06-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の計測システム及び型締装置の計測方法
WO2010047811A2 (en) * 2008-10-23 2010-04-29 Lrm Industries International, Inc. Method of forming a molded article by wireless control
JP5481657B2 (ja) * 2010-03-23 2014-04-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JP5968249B2 (ja) 2013-02-22 2016-08-10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WO2016190874A1 (en) * 2015-05-28 2016-12-0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System with plug assembly for continuous molding and curing of tire tread
DE102015016882A1 (de) * 2015-12-22 2017-06-22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Nachbehandlung von Reifen
DE102017221822A1 (de) * 2017-12-04 2019-06-0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Heizpresse mit einem Belader und einem Entlader
WO2020161726A1 (en) * 2019-02-07 2020-08-13 L&T Rubber Processing Machinery Post cure inflator for tires and corresponding method after vulcanisation
EP3912781B1 (en) * 2019-02-20 2023-04-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Tire vulcanization system, and vulcanize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7346782B2 (ja) * 2019-09-02 2023-09-20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成型装置
CN112706332B (zh) * 2020-12-02 2023-05-12 晋城天成科创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轮胎制作毛边刮除机
CN115447152B (zh) * 2022-08-18 2024-09-10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碳纤维复合材料零件包边工艺的加温加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0471A (ko) * 1973-04-18 1974-12-13
JPS5244795A (en) * 1975-10-08 1977-04-08 Hitachi Ltd Formation of silicon nitride film
JPS5844473A (ja) * 1981-09-10 1983-03-15 Canon Inc 定着装置
JPS597032A (ja) * 1982-07-06 1984-01-14 Mitsubishi Heavy Ind Ltd 生タイヤの供給装置
IT1198794B (it) * 1984-02-29 1988-12-21 Cima Impianti Spa Attrezzatura di movimentazione dei copertoni pneumatici verso e da una macchina vulcanizzatrice
IT1189673B (it) * 1986-05-20 1988-02-04 Firestone Int Dev Spa Impianto di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IT1207852B (it) * 1987-05-27 1989-06-01 Cisap Spa Impianto di movimentazione per pneumatici da ricostruire alle presse di vulcanizzazione,con selezione da magazzini differenti.
JP2686375B2 (ja) * 1991-04-23 1997-12-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製造装置
US5314648A (en) * 1991-12-16 1994-05-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machin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30A (ko) 1996-03-22
JPH0857858A (ja) 1996-03-05
US5741528A (en)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510B1 (ko) 타이어 가황장치
US5271727A (en) Mold changing apparatus for use in tire vulcanizer
US4421469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ssembly having means for selectively changing at least tool unit or a plasticizing and ejection unit
US7118369B2 (en) Corrugated pipe plant
WO2011059167A1 (ko) 다차종 패널 세팅용 로봇 행거
EP0684126A2 (en) Tire vulcanizing system
CN109016282A (zh) 一种高效液压硫化机组
US5746964A (en)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GB1581195A (en) System for feeding raw elastomer products to vulcanising autoclaves
CN208730123U (zh) 一种高效液压硫化机组
JPH10109233A (ja) 型枠用ボルト締緩装置
KR860001132B1 (ko) 생타이어의 반입방법 및 장치
CN111376044B (zh) 一种晾衣机自动生产线
US6461134B1 (en) Mold exchanger system for tire vulcanizing machine
US7901608B2 (en) Tire vulcanizing method and vulcanizer for performing the method
US6192285B1 (en) Controller for work transfer system
KR20000075064A (ko) 이형제 분무장치
JP4054135B2 (ja) 金型交換装置及び金型交換方法
KR0127103B1 (ko) 타이어 가황기의 언로우더 장치
EP0368286B1 (en) Metal mold centering and clamping device in a tire vulcanizing machine
JPS5970535A (ja) タイヤ加硫機の金型交換方法
CZ358098A3 (cs) IS stroj
CN215619414U (zh) 硫化机
CN220029269U (zh) 装配上料夹具及换热机组管部件装配上料系统
CZ297986B6 (cs) Stroj s individuálními sekc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