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171B1 -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171B1
KR0167171B1 KR1019950003097A KR19950003097A KR0167171B1 KR 0167171 B1 KR0167171 B1 KR 0167171B1 KR 1019950003097 A KR1019950003097 A KR 1019950003097A KR 19950003097 A KR19950003097 A KR 19950003097A KR 0167171 B1 KR0167171 B1 KR 016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main unit
mai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323A (ko
Inventor
박성택
함태식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5000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171B1/ko
Publication of KR96003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호기별로 보수센터와 일대일 통신방식에 의해서 정보를 교환하던 방식으로 취해왔는데, 이러한 구성은 보수센터와 각 호기들간이 일대일 통신으로 이루어져 그 호기가 증가할 경우 통신선로도 그 수만큼 증가해야 하므로 호기 감시장치의 가격이 떨어지게 되고, 장치를 확장하고자 할 경우 보수측면에서도 상당한 부담을 안게되며, 보수센터를 따로 둠으로써 복잡한 구조와 고장발생의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대상인 호기들의 제어 특성에 따라서 군으로 분류하거나 하나의 빌딩을 군으로 정의하여 각 군들마다 하나의 주 호기와 다수의 종 호기들로 분리하여, 종 호기들의 정보를 하나의 주 호기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받아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들을 수집 및 정리함과 아울러 그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직접 원격 감시반과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주 호기가 고장이 날 경우에는 주 호기를 변경하여 직접 종 호기와 통신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 호기와의 직접통신으로 인한 통신선로를 줄이고, 주 호기에 의해 감시되는 종 호기를 충분히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확장하고자 할 경우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절감에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대한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주 호기와 종 호기의 제어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
제4도는 임의의 n-1엘리베이터의 통신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 감시반 201∼20n: 호기 제어기
31,41 : 씨피유 32,42 : 롬
33,43 : 램 34,44 : 감시기
35,45 : 네트워크 구동부 36,46 : 직렬통신부
50 : 상용회선 통신부 NET : 네트워크
SYSTEM BUS : 시스템버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전체 제어대상의 호기를 제어 특성에 따라 군으로 분류하고, 이 군을 하나의 주 호기(Master E/L)와 여러개의 종 호기(Slave E/L)로 나누고, 그 나누어진 주 호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개의 종 호기의 운전상태, 운전이력, 고장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 감시반에 보고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호기가 고장으로 인하여 원격 감시반과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주 호기의 역할을 여러개의 종 호기중 하나가 가상 주 호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로서, 여러대일 경우 1호기, 2호기, 3호기와 같은 고유번호로 인식하는 호기들(E/L1,E/L2,…E/Ln)과, 상기 각각의 호기들에 대한 층위치 정보나 홀 부름 및 승강인의 수, 중량등 상기 호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감시기능을 수행하여 원격 감시반에 보고하고, 상기 원격 감시반의 제어 명령등을 수용하여 각 해당 호기에 전송하는 보수센터(100)와, 상기 보수센터(100) 및 호기들의 고장발생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복구하고, 자가진단을 행함과 아울러 전체 시스템의 제어를 행하는 원격 감시반(2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기들(E/L1,E/L2,…E/Ln)과 보수센터(100)의 정보전송은 각 호기와 보수센터가 일대일(Point to Point) 통신방식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가령 어떤 승객들이 2호기에서 홀 부름키를 누르게 되면, 보수센터(100)는 그 승객들이 2호기 몇층에 있는지를 인식하고, 그 인식한 정보를 원격 감시반(200)으로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원격 감시반(200)은 호기들(E/L1∼E/Ln)중 승객이 기다리고 있는 2호기(E/L2)를 운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보수센터(100)으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보수센터(100)는 2호기(E/L2)를 제어하여 운전하도록 한다.
이때, 2호기(E/L2)가 승객이 기다리고 있는 곳으로 가서 엘리베이터 문을 열어 승객이 타게되면 미도시된 중량센서가 승객들의 중량을 감지하여 보수센터(100)를 거쳐 원격 감시반(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감시반(200)은 중량이 초과하지 않는 한 승강기 문을 닫고 원하는 층으로 운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격 감시반(200)은 계속해서 호기의 상태를 보수센터(100)를 통해 체크하고 있다가 어느 하나의 호기가 고장날 경우 복구가 가능한 것은 복구하도록 하고, 복구가 불가능할 경우엔 외부에 알려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호기별로 보수센터와 일대일(Point to Point) 통신방식에 의해서 정보를 교환하여 왔는데, 이러한 방식은 호기가 증가할 경우 통신선로도 그 수만큼 증가해야 하므로 시스템을 확장하고자 할 경우 가격이 상승하고, 보수센터를 따로 둠으로써 복잡한 구조와 고장발생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제어대상의 호기를 제어 특성에 따라 군으로 분류하고, 이 분류된 각 군마다 하나의 주 호기(Master E/L)와 다수의 종 호기(Slave E/L)들로 분리하여 상기 종 호기들의 정보를 하나의 주 호기가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서 전달받아 이를 수집, 정리하고 주 호기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직접 원격 감시반과 통신하여 통신선로를 줄이고, 보수센터에서 하던 고장, 이력과 같은 작업들을 주 호기가 직접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을 간략화하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호기에 의해 감시되는 종 호기를 충분히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성능과 가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n군의 주 호기가 고장으로 인하여 원격 감시반과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이를 종 n-1 호기가 감지하여 가상(pseudo) 주 호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중화구조의 통신장치인 엘리베이터 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장치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되어 고장정보 및 운전이력에 대한 정보를 보유함과 아울러 호기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반(10)과, 전체 제어대상의 호기를 제어 특성에 따라 군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한 각 군들마다 하나의 주 호기와 다수의 종 호기들로부터 분리하여 종 호기들의 정보를 하나의 주 호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수집, 정리하고 이를 주 호기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원격 감시반(1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감시반(10)으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을 수행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기(201-20n)들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호기 제어기의 구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운송에 따른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를 네트워크(NET)를 통해 전송하는 종 호기(40)와, 상기 종 호기(40)에 해당하는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를 항상 수집, 정리하여 자신의 정보와 함께 원격 감시반에 보고하고, 상기 원격 감시반의 제어명령을 수용하는 주 호기(30)와, 상기 주 호기와 종 호기들의 통신을 송수신하여 주는 네트워크(NET)와, 원격 감시반과 통신하기 위한 직렬통신부(36) 및 상용회선 통신부(5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하고자 하는 전체의 호기(E/L)를 제어 특성에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군인 호기 제어기(201,202,…,20n)들로 분류하고, 이 분류된 호기 제어기 마다 하나의 주 호기(Master E/L)와 m개의 종 호기(Slave E/L)들로 분리하여 사용한다.
가령, 어떤 승객들이 원하는 층으로 가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호기(예를 들어 종 n-1 호기) 앞에서 홀 부름을 행하게 되면, 그 종 n-1 호기와 특성이 같은 것들을 묶어놓은 n번째 호기 제어기(20n) 즉, 제3도에 도시한 종 n-1 호기의 씨피유(41), 롬(42), 램(43) 및 감시기(44)를 통하여 층 정보나 홀 부름 및 승강인 수 등과 같은 상태정보 또는 고장이 났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고장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버스(SYSTEM BUS)를 통하여 네트워크 구동부(45)로 전달하면, 상기 네트워크 구동부(45)는 네트워크(NET)를 통해 주 n 호기로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상기 주 n 호기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동부(35)는 전달받은 정보를 시스템버스(SYSTEM BUS)를 통해 씨피유(3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씨피유(31)는 전송받은 정보를 롬(32) 및 램(33)을 통해 그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그 자신의 감시기(34)를 통해 자신의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를 수집하여 롬(32)이나 램(33)에 저장하여 둔다.
상기에서와 같이 주 n 호기는 자신의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 그리고 종 호기들의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를 직렬통신부(36)와 상용회선 통신부(50), 그리고 전화선을 통하여 원격 감시반(10)으로 전송하여 준다.
이렇게 전화선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은 원격 감시반(10)은 각 호기 제어기(20n)의 상태를 감시한다.
이때, 승객이 원하는 위치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원격 감시반(10)은 주 호기로 승객이 원하는 층으로 운송하여 주라는 제어명령을 내리게 되고, 그 제어명령은 상기 호기 제어기(20n)로부터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를 전달받은 역순으로 전송한다.
즉, 제어명령은 전화선을 통해 상용회선 통신부(50)로 전달하여 주면 상기 상용회선 통신부(50)는 다시 직렬통신부(36)를 거쳐 시스템버스를 거쳐 씨피유(31)로 전송된다.
그러면, 주 n 호기의 씨피유(31)는 시스템버스(SYSTEM BUS)를 통해 네트워크 구동부(35)를 구동한 후 네트워크(NET)를 통해 원격 감시반(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명령을 종 호기의 씨피유(41)로 전송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종 n-1 호기의 씨피유(41)는 제어명령을 수행하여 승객들을 원하는 층으로 운송하여 주도록 제어한다.
이때, 주 n 호기 고장발생으로 인해 원격 감시반(10)과 통신이 불가능해지면 두 번째 호기 제어기(20n)의 주 n 호기 대신 종 n-1 호기가 주 n 호기 기능을 할 수 있는 가상(Pseudo) 주 호기 모드로 전환하여 수행한다.
다시말하면, 주 n 호기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종 n-1 호기는 네트워크(NET)를 통해 시스템버스(SYSTEM BUS)로 진입하여 주 n 호기의 이상을 감지하고, 이상이 감지되면 종 n-1 호기의 직렬통신부(46)를 통해 상용회선 통신부(50)와 통신을 행하여 고장상태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상용회선 통신부(50)는 전달받은 고장정보를 다시 전화선을 거쳐 원격 감시반(10)에 전송하여 준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원격 감시반(10)과 호기 제어기들(201,202,…,20n)의 주 호기들과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를 송수신하며, 주 호기들중 어느 하나의 주 호기가 고장이 날 경우에는 종 호기가 고장난 주 호기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직접 원격 감시반(10)과 통신하도록 하여 호기의 운행을 원할히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의 동작모드 변환에 대하여 제4도에서 임의의 n-1 호 종 호기의 통신으로 살펴보면, 원격 감시반(10)이 호기 제어기의 주 n 호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정보가 유효한 것인가를 판단하여 유효한 것이 아니면 오류로 판정하고 그 판정한 오류값이 3회 이상이면 주 n 호기가 고장난 것으로 하여 가상 주 호기로 모드를 변경하도록 한다.
그리고 판정한 정보가 유효한 것이면 자신의 동작모드를 판정하여 가상 주 호기 모드인가를 체크하여 가상 주 호기 모드이면 동작모드를 변경하여 변경된 주 호기와 송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상 주 호기 모드가 아니면 현재 사용중인 주 n 호기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계속해서 현재의 주 호기와 상태정보를 송수신하여 호기의 운행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대상인 호기들의 제어 특성에 따라서 군으로 분류하거나 하나의 빌딩을 군으로 정의하여 각 군들마다 하나의 주 호기와 다수의 종 호기들로 분리하여, 종 호기들의 정보를 하나의 주 호기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받아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들을 수집 및 정리함과 아울러 그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직접 원격 감시반과 통신하도록 하고, 상기 주 호기가 고장이 날 경우에는 주 호기를 변경하여 직접 종 호기와 통신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 호기와의 직접통신으로 인한 통신선로를 줄이고, 주 호기에 의해 감시되는 종 호기를 충분히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확장하고자 할 경우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절감에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에 설치되어 고장정보 및 운전이력에 대한 정보를 보유함과 아울러 호기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반과, 전체 제어대상의 호기를 제어 특성에 따라 군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한 각 군들마다 하나의 주 호기와 다수의 종 호기들로 분리하여 종 호기들의 정보를 하나의 주 호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아 수집, 정리하고 이를 주 호기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원격 감시반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감시반으로부터 전달받은 명령을 수행하는 다수의 호기 제어기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호기 제어기는 승객운송에 따른 상태정보와 고장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다수개의 종 호기와, 상기 종 호기들에 해당하는 상태정보 및 고장정보를 항상 수집, 정리하여 자신의 정보와 함께 원격 감시반에 보고하고, 상기 원격 감시반의 제어명령을 수용하는 하나의 주 호기와, 상기 주 호기와 종 호기들의 통신을 송신하여 주는 네트워크와, 원격 감시반과 통신하기 위한 직렬통신부 및 상용회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1019950003097A 1995-02-17 1995-02-17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016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97A KR0167171B1 (ko) 1995-02-17 1995-02-17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97A KR0167171B1 (ko) 1995-02-17 1995-02-17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323A KR960031323A (ko) 1996-09-17
KR0167171B1 true KR0167171B1 (ko) 1998-12-01

Family

ID=194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097A KR0167171B1 (ko) 1995-02-17 1995-02-17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1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323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6123B1 (ko)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US4418795A (en) Elevator servicing methods and apparatus
US6269911B1 (e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a central control in a remote central operation center
KR19980048104A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WO2001072623A1 (fr) Systeme de commande de groupe pour ascenseurs
KR0167171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JP258182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200074206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US6725773B2 (en) Monitoring device for printer
JP200115857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
JPH09267979A (ja) エレベーター情報制御システム
JP2598705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JPH1111815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709539B1 (ko) 상호 운용성 i/o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열차종합제어장치
KR940006909A (ko)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WO2024117273A1 (ko) 시계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태를 진단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JPH0541881A (ja) エレベータ監視制御装置
KR97000657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JPH062881U (ja)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656366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JP2003112861A (ja)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システム
KR016720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205308B1 (ko) 원격 교통관제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55293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414792B2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端末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