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79B1 -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79B1
KR970006579B1 KR1019940026754A KR19940026754A KR970006579B1 KR 970006579 B1 KR970006579 B1 KR 970006579B1 KR 1019940026754 A KR1019940026754 A KR 1019940026754A KR 19940026754 A KR19940026754 A KR 19940026754A KR 970006579 B1 KR970006579 B1 KR 97000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litary
military management
management
exha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68A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79B1/ko
Publication of KR96001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군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블록도.
제3도는 제3도에서 각 호기제어기의 내부 소프트웨어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군관리부, 군관리 백업부의 동작관계를 보인 블록도.
제5도는 제3도에서 군관리순서 테이블의 구성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데이타 신호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N : 호기 제어기 11 : 군관리부
12 : 군관리 백업부 13 : 호기 제어부
14 : 통신부 15 : 군관리순서 테이블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호기 제어기에 의한 군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 군관리 전용 제어기를 따로 두지 않고 호기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가 군관리 기능을 호기 제어기능과 아울러서 수행하고, 다른 호기들은 이의 백업 기능과 호기 제어기능을 같이 수행하다가 군관리 겸용호기 제어기에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인 다른 호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군관리 기능을 이어받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가 한 건물 내에서 복수대가 설치되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군관리하는 개념이 도입된다. 군관리는 대기시간 단축, 에너지 절약등과 같은 여러가지 목적들을 최적으로 만족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운영방법을 결정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이 군관리 기능을 실현하는데에는 호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웍(Network)과, 각각의 호기들로부터 데이타를 취합하여 분석하고, 최적의 판단 및 예측하며, 이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호기들을 운영하는 일을 하는 군관리기가 요구된다. 또한 군관리부에 이상 발생시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백업 기능 내지는 이중화 구조등이 요구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웍(2)을 통해 각 호기(1A-1N)들과 통신하면서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군관리기(3)와, 군관리 수행중 상기 군관리기(3)로부터 군관리용 데이타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보관하고 있다가 그 군관리기(3)에 이상이 발생될때 그를 대신하여 군관리를 수행하는 백업 군관리기(4)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군관리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기 제어기(1A-1N)들은 부름 및 각종 운행상태를 네트웍(2)을 통해 약속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군관리기(3)에 전송하여 그 군관리기(3)는 이 데이타들을 입력 데이타로하여 군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최적의 운영 방법을 결정한 다음 이를 다시 네트웍(2)을 통해 각 호기(1A-1N)에 전송한다.
군관리기(3)가 이런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백업 군관리기(4)는 군관리를 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타들을 네트윅(2)을 통해 군관리기(3)로부터 주기적으로 받아서 이를 보관한다.
군관리기(3)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군관리기(4)가 자신이 보관하고 있던 군관리 데이타들을 기초로하여 군관리기(3)가 수행하였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호기(1A-1N)들과 네트웍(2)을 통해 군관리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군관리기(3)에 이상이 발생하더라고 군관리 기능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군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군관리 시스템 구성시에 군관리기와 백업 군관리기를 각각의 호기 제어기와 별도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상승의 문제가 따르며, 이상 상태 발생시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이 백업 군관리기 밖에는 없으므로 그 백업 군관리마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군관리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군관리부를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는 부담과 군관리부의 이상 상태에 대한 대처 능력의 한계를 해소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은 군관리 순서 테이블을 근거로 자신이 군관리 호기인지를 확인하여 군관리 및 호기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자체진단 및 타호기 진단을 실시하는 과정과, 자체진단 결과이상이 발생되면 그 사실을 다른 호기에 통보함과 아울러 군관리 동작을 중지하고, 다른 호기로부터 이상 데이타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군관리 테이블의 상태란을 갱신하는 과정과, 감시 대상 호기를 진단하여 이상이 체크되면 군관리 테이블의 상태란을 갱신함과 아울러 그 사실을 다른 호기들 및 홀과 케이지에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군관리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호기 제어기(10A-10N)가 네트웍(2)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호기 제어기(10A-10N)는 호기 제어기능, 군관리기능, 백업기능을 부여하여 별도의 군관리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였다.
제3도는 제2도에서 각 호기 제어기(10A-10N)의 내부 소프트웨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의 호기가 군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될때 구동되어 부름에 대한 할당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브름데이타와 운행데이타를 수집하여 종합하여 분석하고, 교통량의 예측을 위해 통계 처리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최적의 운영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자신의 호기 제어부(13) 및 타 호기에 송출하는 군관리부(11)와, 자신의 호기가 백업 시스템으로 구성될때, 통신부(14)를 통해 군관리 백업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가 자신의 호기가 군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될때 상기 군관리부(11)의 기능을 대행하는 군관리 백업부(12)와, 군관리 호기가 결정한 운영방법 및 할당 서비스 지령에 따라 해당 호기의 운행을 제어하고, 상기 군관리부(11)에 운행데이타를 제공하는 호기 제어부(13)와, 네트웍(2)을 통해 각 호기 제어기들 상호간의 데이타 송수신을 담당하는 통신부(14)와, 군관리 기능을 담당할 호기의 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가 지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호기에 군관리 기능의 이양을 통보해주는 군관리 테이블(15)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4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군관리만을 담당하는 전용 군관리기가 없이 호기 제어기(10A-10N)와 네트웍(2)만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군관리 기능이 호기 제어기(10A-10N)로 흡수되어 호기 제어기(10A-10N)에서 군관리 기능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이다. 호기 제어기(10A-10N)는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두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하나는 호기 제어기능과 함께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군관리 담당 호기이고, 다른 하나는 호기 제어기능과 함께 군관리 담당 호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군관리 백업 호기이다. 호기 제어기(10A-10N)들 중 군관리 담당 호기 제어기는 하나만이 존재하며, 다른 호기 제어기들은 군관리 백업 호기 제어기가 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갖는 호기 제어기(10A-10N)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3도와 같이 군관리부(11), 군관리백업부(12), 호기 제어부(13), 통신부(14), 군관리순서 테이블(15)로 기능별 블록을 나눠볼 수 있는데, 이 구성은 호기 제어기(10A-10N)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그 조합이 달라진다.
그래서, 이들 호기 제어기(10A-10N)들로 군관리 시스템이 구성될때, 각 호기 제어기(10A-10N)들의 내부 구성은 제4도와 같이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호기 제어기(10A-10N)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군관리 담당 호기 제어기가 되고, 나머지 호기제어기들은 군관리 백업 호기 제어기가 되는데, 군관리 담당 호기 제어기는 군관리부와 호기 제어부로 구성되고, 군관리 백업호기는 군관리 백업부와 호기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통신부(14)와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이 포함된다. 제4도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12),(21),(31)은 동작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다. 즉, 군관리호기에 해당되는 1호기 제어기(10A)에서는 군관리 백업부(12)가 동작되지 않고, 군관리 백업호기에 해당되는 나머지의 호기 제어기(10B),…,(10N)에서는 군관리부(21),…,(31)가 동작되지 않는다.
군관리 호기(10A)내의 군관리부(11)는 종래의 군관리기가 수행하던 기능 즉, 부름에 대한 할당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부름데이타와 운행데이타를 수집한다. 여기서, 부름데이타란 승강장(홀)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부름과 카 혹은 케이지내의 승개에 의해 요청된 부름데이타를 말하며, 운행데이타란 카의 운행과 관련된 데이타 즉, 카의 위치, 카의 부하 등과 같은 데이타를 말한다.
군관리부(11)는 이들 데이타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교통량의 예측을 위해 통계 처리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최적의 운영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를 자신의 호기 제어부 및 타호기들 즉, 군관리 백업 호기(10B),…,(10N)들의 호기 제어부(23),…,(33)로 보낸다.
군관리 백업 호기(예 : 10B)내의 군관리 백업부(22)는 종래의 백업 군관리기가 수행하던 기능을 수행하는데, 군관리 호기(10A)에 의해서 군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군관리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관련 데이타들 즉, 부름데이타, 운행데이타, 통계데이타를 군관리 호기(10a)로부터 전송받아 보관하여 군관리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기능을 대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호기 제어부(13)는 군관리 호기가 결정한 운영방법 및 할당 서비스 지령에 따라 호기를 제어하고, 카를 운행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군관리부(11)에 운행데이타를 제공한다. 그리고, 통신부(14)는 네트웍(2)을 통해 호기 제어기(10A),…,(10N)들 상호간의 데이타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군관리순서 테이블(15)은 군관리 기능을 담당할 호기의 순서를 지정하는 테이블로서 군관리 기능의 이양이 이 테이블에 지정된 순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군관리순서 테이블(15)은 개념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다수의 군관리 백업 호기가 존재하므로 이들간의 군관리 기능 수행 순서를 지정해야될 필요성으로 인해 대두된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일예를 보인 것이 제6도이다.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순서, 호기번호, 상태등의 데이타로 이루어지는데, 제4도에서와 같이, 정상인 호기중에서 순서가 제일 앞서는 것이 군관리 호기가 되고, 나머지 호기들은 군관리 백업호기가 된다.
군관리 호기(10A)에 이상이 발생되면, 다음 순서의 정상인 호기 중에서 군관리 호기가 저장된다. 그러므로 어느 호기가 군관리 기능을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에 의해서 호기 제어기(10A-10N)들은 군관리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군관리 수행 순서에 의해 해당하면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군관리 백업기능을 수행한다.
호기 제어기(10A-10N) 내부의 각 부분들간의 데이타 흐름 및 상호 관계를 제6도에서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여기서, 1호기 제어기(10A)가 군관리 담당호기가 된 경우, 호기 제어부(13)에서는 카 운행데이타를 군관리부(11)에 제공하고, 통신부(14)는 네트웍(2)을 통해 수신한 부름데이타 즉, 승강장과 케이지(41)로부터의 부름데이타 및 다른 호기(10B),…,(10N)의 운행정보를 군관리부(11)에 제공하며, 그 군관리부(11)에서는 서비스명령 데이타를 호기 제어부(13)에 주고, 통신부(14)에 타호기용 서비스명령 데이타 및 군관리 백업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14)는 이 데이타들을 네트웍(2)으로 출력하고, 네트웍(2)에서는 부름데이타와 운행데이타를 받는다.
한편, 2호기 제어기(10B)가 군관리 백업 호기의 역할을 할때는 제6도에서와 같이 호기 제어부(23)에서 운행데이타를 통신부(24)에 주며, 그 통신부(24)에서는 서비스명령 데이타를 호기 제어부(23)에 주고 부름데이타, 카 운행데이타, 통계데이타를 군관리 백업부(22)에 준다. 상기 통신부(24)는 네트웍(2)을 통해 운행데이타를 군관리 담당 호기(10A)에 주고, 서비스명령 데이타와 군관리 백업 데이타를 받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호기 데이타(10A-10N)들이 네트웍(2)을 통해 서로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군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호기 제어기(10A-10N)들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호기 제어기(10A-10N)는 자신이 군관리 호기인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군관리 호기인 경우에는 군관리 및 호기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군관리 백업 및 호기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군관리 호기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같은 기능을 계속 수행하지만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군관리 순서 테이블에 의거하여 군관리 호기에 해당되는지의 여부 판단과 후속과정을 앞서 기술한 것처럼 수행한다. 즉, 군관리 호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음 군관리 수행 차례에 해당하는 호기가 군관리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호기 제어기(10A-10N)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Error)은 이를 자신이 인식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누어진다. 자신이 인식하는 경우는 호기 제어기의 중앙처리장치는 정상이고, 다른 구성부분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가 정상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는 스스로가 이상을 인지한 경우이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이를 군관리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 즉, 다른 호기 제어기들과 홀 및 케이지에 통보한 다음 작동을 중지한다.
반면, 후자의 경우는 통상, 워치독(Watch-dog) 기능에 의해 검출되어 하드웨어적으로 필요한 조치가 취해지고, 작동이 중지되는데, 이 경우는 자신의 이상을 다른 호기에 알려줄 수 없으므로 다른 호기가 이를 알려면 직접 진단해 보아야 한다. 즉, 호기들은 자체 이상 뿐만 아니라 다른 호기의 이상도 진단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어떤 호기가 다른 호기를 진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호기는 군관리 순서 테이블에 의거하여 자신이 감시하고 진단할 호기를 선정하는데 선정방법은 자신보다 순서가 앞서는 정상인 호기들중 순서가 제일 늦은 호기를 감시 대상 호기로 삼는다.
그러나, 군관리 호기는 순서가 제일 늦은 호기를 감시 대상 호기로 삼는다. 예를 들어 A,B,C,D네대의 호기가 있고, 군관리 순서도 A,B,C,D순일때 B호기는 A호기를, C호기는 B호기를, D호기는 C호기를 각각 감시 대상 호기로 삼고 A호기는 D호기를 감시 대상 호기로 삼는다.
그런데, 이 호기들중에서 예를 들어 C호기에 이상이 발생되면 D호기보다 앞서는 순서의 장상인 호기 중에서 순서가 제일 늦은 것은 B호기이므로 B호기의 감시대상 호기는 B호기가 된다.
감시 및 진단방법은 자신의 감시 대상 호기에 진단 데이타를 보내고 그 호기로부터의 응답 유무에 따라 상태를 판단한다. 즉, 응답이 있으면 정상, 응답이 없으면 이상으로 판단된다.
감시 대상 호기에 이상이 있으면 이를 다른 호기들 및 홀과 케이지에 알려주고,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의 상태란을 갱신한다. 그리고, 각 호기들은 자신이 맡은 감시 호기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호기로부터 통보받게 되는 이상 데이타에 따라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을 갱신한다.
호기들은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이 갱신될때마다 군관리 호기 순서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며, 감시 대상호기도 변경한다. 군관리 호기는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에서 정상인 호기들 중 순서가 제일 앞서는 호기가 선정된다. 홀 및 케이지는 군관리 호기가 변경되면 콜(call)데이타를 변경된 군관리 호기로 보낸다.
본 발명의 호기 제어기 흐름도를 이상 검사를 위주로 표현하면, 제7도와 같다.
각 호기는 자신이 군관리 호기인가를 군관리 순서 테이블에 의거해서 판단하고, 군관리 호기이면 군관리 및 호기 제어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군관리 백업 및 호기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자신의 각 구성요소들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자체 진단을 수행한다.
진단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했음을 다른 호기, 홀, 케이지에 통보하고 작동을 중지한다. 그러나, 자신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타 호기에서 그 자신이 이상이라는 자체 진단 결과를 보냈는지를 검사하여 보냈으면, 군관리 순서 테이블의 그 호기에 해당하는 상태란에 그 호기가 이상임을 기록한다. 다음에 자신이 감시해야 하는 호기에 진단 데이타를 보내고 응답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에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군관리 순서 테이블(15)의 그 호기 상태란을 이상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상이 발생한 사실을 다른 호기들과 홀 및 케이지에 보낸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호기 제어기를 만으로 군관리 시스템이 구성되며, 호기 제어기(10A-10N)들은 군관리 수행 능력을 보유함으로써 군관리 기능의 계속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기 제어기들만으로 군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써 군관리 기능만을 전담하는 군관리부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각각의 호기 제어기들 모두가 군관리 및 백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호기의 댓수만큼 이상 상태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구성 요소의 감소로 인한 이상 상태 발생율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종래의 군관리 시스템의 기능보다 개선되는 반면, 외형적인 측면에서는 보다 간략화된 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의 성능은 호기 제어 기능과 군관리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야 하므로 종래에 비해 향상될 것이 요구되나 이는 하드웨어 가격대 성능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때 종래의 시스템보다 경제성 면에서의 불리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Claims (3)

  1. 군관리 순서 테이블을 근거로 하여 자신이 군관리 호기인지를 확인하여 군관리 및 호기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자체진단 및 타호기 진단을 실시하는 과정과, 자체진단 결과 이상이 발생되면 그 사실을 다른 호기에 통보함과 아울러 군관리 동작을 중지하고, 다른 호기로부터 이상 데이타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군관리 테이블의 상태란을 갱신하는 과정과, 감시 대상 호기를 진단하여 이상이 체크되면 군관리 테이블의 상태란을 갱신함과 아울러 그 사실을 다른 호기들 및 홀과 케이지에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감시 대상 호기를 진단하기 위하여, 감시 대상 호기에 진단 데이타를 송출한 후 그 호기로부터 응답유무에 따라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군관리 순서 테이블을 정상인 호기들 중 순서가 제일 앞서는 호기가 군관리 호기로 선정되도록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KR1019940026754A 1994-10-19 1994-10-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KR970006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754A KR970006579B1 (ko) 1994-10-19 1994-10-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754A KR970006579B1 (ko) 1994-10-19 1994-10-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68A KR960013968A (ko) 1996-05-22
KR970006579B1 true KR970006579B1 (ko) 1997-04-29

Family

ID=1939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754A KR970006579B1 (ko) 1994-10-19 1994-10-19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381A (ko) * 1999-08-19 2001-03-05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회로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68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6123B1 (ko) 엘리베이터의 분산 군관리제어 방법
JPH0449181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97000657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KR0167196B1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JPH02216542A (ja) 診断実行制御方式
JPH09274575A (ja) 統合システム管理方式
JP6482734B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4100108B2 (ja) 制御システム
CN115123886B (zh) 电梯系统及电梯系统的控制方法
JPH0877119A (ja) サービス処理機能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87088A (ja) ネットワーク監視形態決定装置
JP2598705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20070018521A (ko) 클러스터 컴퓨터 시스템, 클러스터 컴퓨터 시스템의자동화된 패일오버 운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JP2885583B2 (ja) 通信手順制御システム
JP2575943B2 (ja) データ伝送装置
JPH07219811A (ja) 複数計算機システム集中管理方法
JPH05120048A (ja) 障害識別方式
JPH0541881A (ja) エレベータ監視制御装置
KR100347361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의 운전 학습 장치
KR0167171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JP2000222006A (ja) プロセス入出力装置
JPH11353255A (ja) 異常部位検知方法
JPH04301946A (ja) 自己診断型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
JPH1011322A (ja) 遠隔保守システム
JPS6381538A (ja) バツクアツプフアイルを有する二重化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作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