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947B1 - 잡음 억압장치 - Google Patents

잡음 억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947B1
KR0166947B1 KR1019930003559A KR930003559A KR0166947B1 KR 0166947 B1 KR0166947 B1 KR 0166947B1 KR 1019930003559 A KR1019930003559 A KR 1019930003559A KR 930003559 A KR930003559 A KR 930003559A KR 0166947 B1 KR0166947 B1 KR 016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output
noise suppression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862A (ko
Inventor
아키라 노하라
죠지 카네
Original Assignee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이 아끼오,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이 아끼오
Publication of KR93002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0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강도가 다른 상황하에 있어서, 음질의 열화가 없고, 위화감이 없는 잡음억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 수신수단(1)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전계정보검출수단(2)에서 전계강도, 멀티패스의 상태를 검출하여, 그 상태에 알맞는 잡음패턴을 잡음패턴작성수단(6)에 의해 작성하고, 잡음억압제어부(4)에 의해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잡음억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잡음패턴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S/N비의 개선정도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념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블록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디지틀처리시의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잡음패턴의 작성예를 표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입력전계강도와 출력전압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11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도.
제13도는 멀티패스신호의 설명도.
제14도는 멀리패스잡음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사양을 표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의 블록구성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의 배치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메모리맵을 표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디지틀부의 블록구성도.
제20도는 종래의 잡음억압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수산(튜너부) 2 : 전계정보검출수단
3 : 신호판별수단 4 : 잡음억압제어부
4A : 잡음소거수단 4a : 소거계수설정수단
4b : 클램프계수설정수단 4c : 마스킹제어수단
4d ; 감산기 5 : 출력수단
6 : 잡음패턴작성수단 6A : 잡음데이터발생수단
6a : 잡음패턴메모리 6B : 멀티패스잡음데이터발생수단
본 발명은 전파 통신 등에 있어서의 잡음을 억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기에 있어서의 잡음억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틀 신호처리기술에 의한 잡음억압을 행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존재한다. 제20도에 종래의 잡음억압장치의 블록구성도를 표시한다. 제20도에 있어서, (51)은 필터제어부이며, BPF(밴드 패스필터)군 (52)의 필터계수를 입력신호의 잡음에 따라서 제어한다. (52)는 BPF군으로, 소위 대역통과필터군이며, 입력신호를 적당한 대역으로 나누고, 필터제어부(51)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그 통과대역특성을 결정하도록되어 있다. (53)은 가산기이며, BPF군(52)에서 대역마다 잡음을 억압해서 출력된 신호를, 각각 가산해서 음성신호로 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이 종래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 등의 음성에 잡음이 중첩된 입력신호는 필터제어부(51)에 입력된다. 필터제어부(51)는, 이 입력신호로부터 잡음성분이 어떠한 것인지 판단하고, 이 잡음성분을 없애는 필터계수를 BPF군(52)에 공급한다. BPF군(52)은 입력신호를 적당한 대역으로 나누고, 각 대역마다 필터제어부(51)에 의해 입력되는 필터 계수에 따라서 입력신호 중 음성성분만을 통과시켜, 그 신호를 가산기(53)에 공급한다. 가산기(53)에서는 BPF군(52)에서 적당한 대역으로 분할된 신호를 각각 가산해서, 잡음을 제거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잡음억압장치에서는, S/N비의 향상은 되지만, 명료도의 개선은 행할 수 없다. 또 잡음을 억압한 후에, 예를 들면 「지지직」거리는 잡음이 남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멀티패스잡음에의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안테나를 여러 개 준비해서, 수신하는 방위각도를 다르게 하여 배치하고, 수신쪽에서 가장 입력으로서 멀티패스잡음이 적은 것을 선택해서 수신하는 등의방법이 있으나, 이미 수신기에 들어온 신호의 멀티패스잡음을, 신호처리에 의해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이것은,수신기에 전파가 입력되는 단계에서 이미 파형이 왜곡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서, 정(靜)특성으로서의 S/N비를 현격히 향상시키고, 멀티패스잡음에 대해서도 잡음억압을 행하여 음성신호가 왜곡되는 일없이, 저코스트에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잡음억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해야 할 전파신호를 선택해서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전파신호의 전계강도와 멀티패스를 검출하는 전계정보검출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출력수단의 속성을 판별하는 신호판별수단과, 상기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발생시켜,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을 제거해서, 잡음을 억압할 때에, 상기 신호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 제거하는 잡음의 양을 제어하는 잡음억압제어부와, 상기 잡음억압제어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잡음억압제어부는, 수신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을 억압하기 위한 소거계수를 설정하는 소거계수제어부와,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제어하는 잡음패턴작성수단과, 상기 소거계수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수신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작성수단에서 얻어지는 잡음패턴을 소거하는 잡음감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신호판별수단은, 수신해야 할 신호가 회화인지 음악인지를 판정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잡음억압제어부는 소거계수를 제어하는 클램프계수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잡음억압제어부는, 마스킹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전계정보검출수단은, 수신하는 전파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또, 전계정보검출수단은, 수신하는 전파신호의 멀티패스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잡음억압장치에서는, 수신해야 할 전파의 전계정보를 검지해서, 그 검지한 전계정보에 의해 잡음패턴을 작성하고 ,이 잡음패턴에 의해 잡음을 소거한다. 이 소거는 감산 등의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또, 클램프계수설정수단에 의해, 감산시의 소거계수를 제어해서, 감산을 행할 때의 상한을 설정하고, 가감을 하면서 잡음억압을 행하므로, 잡음을 감산하는데 따른 새로운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마스킹제어수단에 의해, 잡음을 감산해도 영향이 미치지 않는 주파수성분을 검지해서, 그 부분은 가감하는 일없이 잡음을 감산하므로, 음성의 명료도를 떨어뜨리는 일없이, 보다 잡음을 억압할 수 있다.
또, 전계정보검출수단은 멀티패스잡음의 정도를 검출하여, 멀티패스잡음에 대한 잡음억압처리를 행하므로, 왜곡이 없는 음성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수신해야할 전파를 검파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수단이고, AM, FM 등의 수신기이다. 통상, 수신수단 (1)에는 안테나(1a)가 접속되어, 수신수단(1)의 감도를 개선하고 있다. (2)는 수신수단(1)의 출력을 토대로 수신해야 할 전파가 존재하는 장소,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계의 상황을 검출하는 전계정보검출수단이다. 이 전계정보검출수단(2)는 수신수단(1)으로부터 중간주파수의 신호(FM 방송이면 10.7MHz, AM방송이면 450KHz)를 검지해서, 이 신호의 성분을 해석함으로써 전계강도, 수신해야 할 신호의 멀티패스의 영향상태를 검지해서, 후단(後段)의 잡음억압제어부(4)에 전달한다. 전계강도의 검출에는, 중간주파수신호의 직류성분(신호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고, 또 멀티패스의 상태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중간주파수 신호의 진폭의 정도(AM레벨)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계정보검출수단(2)은, 수신해야 할 전계의 강도와 멀티패스의 상태만을 검출하고 있으나, 이것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신해야 할 신호의 주변의 주파수의 신호레벨이나, 다른 채널로부터의 영향, 주변기기로부터의 영향 등을 검출해서, 이들 신호를 잡음패턴작성수단(6)에 전달해서, 잡음패턴을 제어할 수도 있다. (3)은 수신수단(1)으로부터의 신호를 토대로 수신해야 할 신호의 종류(장르)를 판별하는 신호판별수단이다. 이것은 신호의 스펙트럼이나 켑스트럼 등으로부터 그 신호가 사람의 음성인지, 피아노의 소리인지, 드럼의 소리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해야할 신호가 사람의 화성인지(회화 모드), 음악인지(뮤직모드)의 2가지에 대해서 판별한다. (4)는 잡음억압제어부이며,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거계수설정수단(4a), 클램프계수설정수단(4b), 마스킹제어수단(4c), 감산기(4d)를 포함고 있으며, 수신수단(1)으로부터의 잡음섞인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4a)는 소거계수설정수단이며, 신호의 주파수 대역마다 소거계수를 설정한다. (4b)는 클램프 계수설정수단이며, 잡음을 소거할 때의 소거계수를 제어해서, 잡음제거에 따른 악영향을 가능한 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4c)는 마스킹제어 수단이며, 잡음을 감산할 때에 그 감산을 해야할 주파수의 양옆의 주파수에 대해서 잡음레벨을 검출하고, 인접하는 주파수의 잡음성분이 터무니없이 큰 경우에는, 상기한 클램프계수를 설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d)는 잡음을 감산하기 위한 감산기이다. (5)는 잡음억압제어부(4)의 출력을 앰프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이다. (6)은 잡음패턴작성수단이며, 수신수단(1)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잡음의 발생원을 해석하고, 어떤 전계강도에 대한 잡음을 작성하는 것이다.
잡음발생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계강도의 변화에 대한 잡음의 변화에 착안해서 잡음의 합성을 행하였다. 잡음 발생의 요인의 하나로서, 수신기로 사용되고 있는 IC로부터 나오는 잡음이 있다. 이 IC로부터의 잡음은, 전계의 강도에 따라, 잡음의 발생요인이 되는 회로가 다르므로, 전계의 강도에 따라서 잡음을 패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계강도에 대해서 잡음패턴을 미리 계산해두고, 그 잡음패턴을 메모리(6a)에 기억하여, 잡음을 억제할 때에 상기 메모리(6a)로부터 필요한 잡음패턴을 판독해서 잡음을 억압하는 구성을 취했다. 또한 이 잡음패턴은 전계강도를 파라미터로 해서 계산하여 작성할 수도 있으나, 멀티패스를 파라미터로 해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신수단(1)에 의해 수신해야 할 전파신호를 수신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전계정보검출수단(2)은 수신수단(1)에서 수신한 신호의 중간주파수성분을 토대로, 수신해야 할 신호의 전계의 강도와, 그 수신해야 할 주파수의 멀티패스의 상태를 검출한다. 이와 병행해서, 신호판별수단(3)은, 수신해야 할 신호가 회화인지 음악인지를 캡스트럼분석에 의해 판정하고, 회화모드인지, 뮤직모드인지를 결정한다. 다음에 잡음억압제어부(4)에 상기 각각의 신호가 전해지고, 잡음억압제어부(4)내부에서 잡음의 억압이 행해진다. 이 잡음의 억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계정보검출수단(2)으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잡음패턴을 작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표시한 잡음패턴을 미리 계산해두고, 이들 패턴을 메모리에 기억해 놓고, 잡음패턴작성시에, 이들 패턴 중에 필요한 것을 판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 잡음패턴을 표시한다. 제3a도는 전파의 입격레벨이 10㏈일때의 잡음패턴, 제3b도는 입력레벨이 20㏈일때의 잡음패턴, 제3c도는 입력레벨 60㏈일때의 잡음패턴이다. 또한 메모리는 이들 3개의 잡음패턴에 추가해서 멀티패스신호를 파라미터로 해서 또, 복수의 잡음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 멀티패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이 잡음패턴작서수단(6)에서 작성한 잡음패턴을 감산기(4d)에서 빼는 것인데, 잡음패턴을 그대로 뺀 것에서는, 예를 들면 수신해야 할 신호가 음악일 경우에는, 잡음억압후의 「지지직」거리는 새로운 잡음이 발생해버린다. 그래서 클램프계수설정수단에 의해, 잡음패턴이 아무리 큰 것이라도, 원래의 신호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잡음의 감산에 대해서 상한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후술하는 제2실시예에서의 식④의 α를 결정하고 있다). 즉, 신호판별수단(3)이 뮤직모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감산기(4d)에 감산시에 신호성분의 60%이상은 감산하지 않도록 지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뮤직모드에 있어서, 어느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도 일률적으로 60%라는 값으로 클램프 계수를 설정했으나, 이 클램프계수는, 주파수성분마다 다른 값을 설정해도 된다. 또 회화모드에 있어서는, 이 클램프계수는 전혀 설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판별수단(3)에 의해 방송되고 있는 것이 뉴스인지, 음악인지를 판정하면서, 상기 클램프계수를 제어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음질이 향상된 잡음억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는 잡음 패턴의 감산을 주파수성분마다, 일정한 대역마다 행하고 있으나,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어떤 주파수성분의 신호가 상당히 큰 경우에 있어서, 그 주파수 성분의 양옆의 신호가 상당히 작은 경우, 그 작은 신호는 잡음으로서 완전히 제거해도 음악의 음질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킹제어수단(4c)에 의해 감산시에 감산해야 할 주파수대의 양옆의 주파수대와의 비교에 의해, 잡음패턴감산할 때의 계수(소거계수)를 제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잡음이 감산된 신호를 출력수단(5)에 의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잡음억압을 행한 결과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는 각 입력전계레벨에 대한 S/N비의 개선의 정도를 표시하고 있다. 파선은 종래의 잡음억압장치에 의한 잡음억압의 결과의 S/N비를 표시하고 있고, 실선은 본 발명의 잡음억압장치에 의한 S/N비를 표시하고 있다. 동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떤 전계강도에 대해서도 5∼6㏈의 S/N비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 중 신호 판별수단(3)을 제거한 상태로 볼 수 있다.
제5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표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4)는 수신수단(튜너부)(1)으로부터 입력된 잡음섞인 신호로부터 잡음성분을 제거하는 잡음억압제어부이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잡음억압제어부(4)는 잡음소거수단(4A)와 잡음데이터 발생수단(6A)으로 구성된다. (5)는 잡음억압제어부(4)의 출력을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제5도 중에서는 앰프)이다. (6A)는 잡음데이타발생수단이며, 수신수단(1)의 출력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를 토대로 잡음의 발생원을 해석하고, 예를 들면 전계강도에 대한 잡음을 작성하는 것이다.
제6도에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도를 표시한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잡음 데이터발생수단(6A)은 내부에 잡음패턴메모리(6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패턴메모리(6a)는 여러 가지 안테나 입력레벨(xk)에 대한 각각의 잡음패턴(제6도중에서는 약전계잡음 Al∼An)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이 잡음패턴은, 미리 잡음패턴메모리(6a)에 기억시키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신수단(1)으로부터의 신호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잡음의 발생원을 해석하여, 어떤 전계강도에 대한 잡음을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계정보검출수단(2)으로서는, 특별한 회로는 구성하지 않고, 튜너(1)로부터의 안테나 입력신호레벨을 그대로 직접 입력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잡음억압제어부(4)의 상세는,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의 잡음억압제어부(4)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소거계수설정수단(4a), 클램프계수설정수단(4b), 마스킹제어수단(4c), 감산기(4d)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를 디지틀신호처리(이하 DSP라고 함)를 사용해서 행하는 경우의 회로구성도를 제7도에 표시한다. 제7도에 있어서 (41)은 애널로그신호를 디지틀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회로, (42)는 디지틀화된 신호를 잡음패턴을 처리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하틀리변환(이하 FHT라고 함)을 사용했다. FHT의 출력인 H(K)는 다음 식을 사용해서 산출한다.
[FHT, IFHT의 설명]
(44)는 역고속하틀리변환을 행하는 것(이하 IFHT라고 함)이며, FHT(42)와 반대의 처리를 행한다. (45)는 D/A변환회로이며, A/D변환회로 (41)의 반대작용을 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신수단(1)에 의해 수신해야 할 전파신호를 수신해서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전계정보검출수단(2)은 수신수단(1)에서 수신한 신호의 중간주파수 성분을 토대로, 수신해야 할 신호의 전계의 강도와, 그 수신해야 할 주파수의 멀티패스의 상태를 검출한다. 다음에 잡음억압제어부(4)에 상기 각각의 신호가 전해지고, 해당 잡음억압제어부(4)내부에서 잡음의 억압이 행해진다. 이 잡음의 억압에 대해서 상셍히 설명한다.
전계정보검출수단(2)으로부터의 정보를 토대로 잡음패턴을 작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도에 표시한 잡음패턴을 미리 계산해 두고, 이들 패턴을 메모리에 기억해 놓고, 잡음패턴작성시에, 이들 패턴 중에서 필요한 것을 판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잡음패턴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a도는 전파의 입력레벨이 10㏈일 때의 잡음패턴, 제3b도는 입력레벨이 20㏈일 때의 잡음패턴, 제3c도는 입력레벨 60㏈일 때의 잡음패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잡음패턴으로서 3종류를 준비하고, 잡음패턴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전계강도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 3개의 잡음패턴을 토대로 적정한 패턴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모양을 제8도에 표시한다. 제8도에 있어서 d는 각각 전계강도이며, 바로 앞으로 오면 올수록 전계가 강하게 되고 있다(즉 잡음레벨은 작다). 그리고 각각의 전계강도마다 잡음패턴(주파수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만약 메모리(6a)에 가지지 않은 전계강도의 경우는 직선적으로 근사해서 잡음패턴을 산출한다(제8도의 Wdn (K)). 이것은, 입력전계강도와 튜너부(1)로부터의 신호입력레벨이 대략 직선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9도에 입력전계강도와 튜너부(1)의 출력신호전압과의 관계를 표시한다.
또한, 메모리(6a)에 이들 전계강도에 대한 잡음패턴에 추가해서, 멀티패스신호를 파라미터로 해서, 또 복수의 잡음패턴을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멀티패스를 고려한 잡음패턴은 제3실시예(후술함)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잡음데이터발생수단(6A)은, 상기 제1실시예의 잡음패턴작성수단(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10도의 순서도에 표시한다.
또, 제10도의 처리중의 잡음소거처리에 대해서는 제11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스펙트럼 |x(k)|2의 계산은 식②에 의해 행하고, 평방근의 계산은 식③, 잡음 스펙트럼감산처리는 식 ④에 의해 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용 레벨의 고속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단, (1-α│W(k)│/│X(k)│)≥β
이와 같이 해서 잡음억압을 행한 결과는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4도는 각 입력전계레벨에 대한 S/N비의 개선의 정도를 표시하고 있다. 즉 파선은 종래의 잡음억압장치에 의한 잡음억압의 결과의 S/N비를 표시하고 있고, 실선은 본 발명의 잡음억압장치에 의한 S/N비를 표시하고 있다. 동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떤 전계강도에 대해서도 5∼6㏈의 S/N 비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2도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도를 표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종래에서는 해결불가능하게 되어 있었던 멀티패스잡음을 DSP기술을 사용해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구성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멀티패스잡음 데이터발생수단(6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계정보 검출수단(2)으로부터의 멀티패스신호 M에 의해 멀티패스에 의한 잡음성분을 결정하여 소거한다. 여기서 전계정보검출수단(2)이 어떻게 해서 멀티패스잡음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는지를설명한다. 예를 들면 FM신호에 대해서 설명하면, FM신호는 AM신호와는 달리, 주파수가 음성신호에 의해 변화하나 그 크기(진폭)는 일정하다. 따라서, 전파를 수신 동기한 후의 중간주파증폭부로부터 나오는 FM신호는, 이 중간 주파증폭부의 리미터가 아직 작동되지 않는 범위에서도, 멀티패스가 없을 때에는 그 진폭은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멀티패스가 발생하면 중간주파증폭부로부터 나오는 FM신호의 진폭에 변조음성신호의 왜곡분이 발생하여 진폭이 변화한다(제13a도). 이 왜곡분을 검출 증폭해서 멀티패스신호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또 멀티패스가 발생하면 FM신호의 진폭에 멀티패스성분이 타고 올 뿐만 아니라 주파수성분에도 멀티패스 성분이 들어간다(제13b도). 따라서 멀티패스가 있으면 FM검파출력에는 희망하는 음성신호외에, 멀티패스에 의해 발생한 음성신호의 왜곡이나 비트성분 등이 나온다. 이것들을 멀티패스신호로서 이용한다. 본 실시예의 전계정보검출수단 (2)에서는, 이 신호를 멀티패스잡음 데이터발생수단(6B)에 입력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패스잡음을 멀티패스신호와 안테나입력레벨의 매트릭스에 의해 구성했으나, 이것은 멀티패스신호에만 관련된 것이어도 된다.
멀티패스신호에 대한 잡음패턴의 예를 제14도에 표시한다.
제14도에 있어서 (a)는, 멀티패스잡음신호가 큰 경우, (b)는 멀티패스잡음 신호가 최대치와 최소치의 중간레벨인 경우, (c)는 멀티패스잡음신호가 작은 경우의 잡음패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계정보검출수단(2)이 멀티패스신호를 출력하고, 잡음데이터발생수단(6A)은 멀티패스 잡음데이터발생수단(6B)을 구비하고, 멀티패스 잡음에 대한 적절한 잡음억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음질이 좋은 잡음억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계정보검출수단(2)은, 수신해야 할 전계의 강도와 멀티패스의 상태만을 검출하고 있으나, 이것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신해야 할 신호의 주변의 주파수의 신호레벨이나, 다른 채널로부터의 영향, 주변기기로부터의 영향 등을 검출해서, 이들 신호를 잡음패턴작성수단(6)에 전달해서, 잡음패턴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사양을 제15도에 한하여, 하드웨어의 블록구성도를 제16도에, 메모리의 배치도를 제17도에, 데이터메모리맵을 제18도에, 디지틀부의 블록도를 제19도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계정보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잡음패턴을 작성하고, 또 이것을 감산할 때에는, 신호의 종류, 각 주파수 성분의 얽힌 상태를 고려해서 계수를 제어하면서 감산하므로 감산에 의한 새로운 잡음이 발생하는 일도 없고 음질을 열화시키는 일없이, 위화감이 없는 잡음억압을 할 수 있다.

Claims (9)

  1. 수신해야 할 전파신호를 선택해서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전파신호의 전계강도와 멀티패스를 검출하는 전계정보검출수단과, 상기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발생시켜,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을 제거해서, 잡음을 억압하는 잡음억압제어부와; 상기 잡음억압제어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을 억압하기 위한 소거계수를 설정하는 소거계수제어부와, 상기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생성하는 잡음패턴작성수단과, 상기 소거계수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수신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작성수단에서 얻어지는 잡음패턴을 소거하는 잡음감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소거계수를 제어하는 클램프계수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마스킹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5. 수신해야 할 전파신호를 선택해서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전파신호의 전계강도와 멀티패스를 검출하는 전계정보검출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출력신호의 속성을 판별하는 신호판별수단과; 상기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발생시켜, 상기 수신수단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을 제거해서, 잡음을 억압할 때에, 상기 신호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제거하는 잡음의 양을 제어하는 잡음억압제어부와; 상기 잡음억압제어부의 출력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판별수단은, 수신해야 할 신호가 회화인지 음악인지를 판정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상기 신호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을 억압하기 위한 소거계수를 설정하는 소거계수제어부와, 상기 전계정보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잡음패턴을 생성하는 잡음패턴작성수단과, 상기 소거계수제어부의 출력에 따라서 수신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잡음패턴작성수단에서 얻어지는 잡음패턴을 소거하는 잡음감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소거계수를 제어하는 클램프계수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억압제어부는, 마스킹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억압장치.
KR1019930003559A 1992-03-11 1993-03-10 잡음 억압장치 KR0166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2544 1992-03-11
JP5254492 1992-03-11
JP92-332619 1992-12-14
JP4332619A JP2760240B2 (ja) 1992-03-11 1992-12-14 雑音抑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862A KR930020862A (ko) 1993-10-20
KR0166947B1 true KR0166947B1 (ko) 1999-02-01

Family

ID=2639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559A KR0166947B1 (ko) 1992-03-11 1993-03-10 잡음 억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28832A (ko)
EP (1) EP0560599B1 (ko)
JP (1) JP2760240B2 (ko)
KR (1) KR0166947B1 (ko)
CN (1) CN1046607C (ko)
DE (1) DE69316054T2 (ko)
ES (1) ES2112385T3 (ko)
TW (1) TW2302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099A (ko) * 1996-05-03 1997-12-12 존 에이취. 무어 동적 반향 억제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5220C (en) * 1993-06-08 2000-08-15 Joji Kane Noise suppr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in high frequency signal characteristic after noise suppression and in balanced signal transmitting system
ATE376284T1 (de) * 1994-09-02 2007-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rkennungsvorrichtung zur modulationsgrad
DE19646164A1 (de) * 1996-11-08 1998-05-14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digitaler Signale
IL120538A (en) * 1997-03-26 2000-11-21 Dspc 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pread-spectrum noise
US7027490B2 (en) 1997-06-11 2006-04-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pread spectrum noise
US6628701B2 (en) * 1997-06-11 2003-09-3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pread spectrum noise
US6542561B1 (en) * 1998-01-21 2003-04-0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7179551B2 (en) * 1999-02-12 2007-02-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ne ether) data storage media
JP2003529976A (ja) * 2000-01-07 2003-10-07 アサナス ルイス 機械−音響変換機及びマルチメディアフラットフィルムスピーカー
JP3670555B2 (ja) * 2000-05-24 2005-07-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563885B1 (en) * 2001-10-24 2003-05-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ecimated noise estimation and/or beamform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GB0214729D0 (en) * 2002-06-26 2002-08-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receiver arrangement and related method
JP2004048317A (ja) * 2002-07-11 2004-02-12 Pioneer Electronic Corp ノイズ抑圧機能付き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6823176B2 (en) * 2002-09-23 2004-11-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artifact noise masking
CN1312837C (zh) * 2003-07-25 2007-04-2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消除爆鸣声的装置与方法
CN100347963C (zh) * 2004-06-27 2007-11-07 炬力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在遥控玩具芯片中正确识别并掩盖噪声干扰错误的方法
JP4348369B2 (ja) 2004-11-02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雑音抑圧装置
JP4177437B2 (ja) * 2005-04-14 2008-11-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ノイズキャンセラ
EP1886363A2 (en) * 2005-05-31 2008-02-13 Unison Products Optimized piezo design for a mechanical-to-acoustical transducer
EP2037588B1 (en) * 2006-07-28 2018-04-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nalog radio receiver
US7929933B2 (en) 2006-10-23 2011-04-19 Panasonic Corporation Noise suppression apparatus, FM receiving apparatus and FM receiving apparatus adjustment method
JP4642820B2 (ja) * 2006-10-23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雑音抑圧装置、fm受信装置、及びfm受信装置調整方法
WO2009067669A1 (en) * 2007-11-21 2009-05-28 Emo Labs, Inc.. Wireless loudspeaker
WO2010022258A2 (en) * 2008-08-21 2010-02-25 Intersil Americas Inc. Noise cancellation for antenna module
US8189851B2 (en) * 2009-03-06 2012-05-29 Emo Labs, Inc. Optically clear diaphragm for an acoustic transduc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1020100A1 (en) * 2009-08-14 2011-02-17 Emo Labs, Inc System to generate electrical signals for a loudspeaker
CN102354499B (zh) * 2011-07-25 2017-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降低噪音的方法和设备
US9270393B2 (en) 2012-12-20 2016-02-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mplitude modulation (AM) noise in AM broadcast signals
WO2014152710A1 (en) 2013-03-15 2014-09-25 Emo Labs, Inc. Acoustic transducers with bend limiting member
USD733678S1 (en) 2013-12-27 2015-07-07 Emo Labs, Inc. Audio speaker
USD741835S1 (en) 2013-12-27 2015-10-27 Emo Labs, Inc. Speaker
USD748072S1 (en) 2014-03-14 2016-01-26 Emo Labs, Inc. Sound bar audio speaker
CN107872235B (zh) * 2017-02-24 2019-08-20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降低无线通信集成电路中信号干扰的方法和装置
JP7233276B2 (ja) * 2019-03-26 2023-03-06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受信装置、及び干渉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3357A (en) * 1971-06-30 1974-04-09 J Sacks Noise filter
DE2929647A1 (de) * 1979-07-21 1981-02-12 Blaupunkt Werke Gmbh Ukw-stero-empfaenger
JPS609384B2 (ja) * 1980-01-29 1985-03-09 郵政省電波研究所長 符号誤り雑音抑圧方式
JPS5733834A (en) * 1980-08-07 1982-02-24 Clarion Co Ltd Frequency modulation noise reducing circuit
US4969207A (en) * 1987-03-20 1990-11-0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adio receiver with reception deterioration compensation
US4901150A (en) * 1988-11-22 1990-02-13 Sony Corporation Automatic noise reduction for individual frequency components of a signal
US5201062A (en) * 1990-03-28 1993-04-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Noise reducing circuit
GB9008613D0 (en) * 1990-04-17 1990-06-13 Marconi Gec Ltd Reducing interference in r.f.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099A (ko) * 1996-05-03 1997-12-12 존 에이취. 무어 동적 반향 억제 기능을 구비한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28832A (en) 1995-06-27
DE69316054T2 (de) 1998-04-23
CN1076296A (zh) 1993-09-15
ES2112385T3 (es) 1998-04-01
CN1046607C (zh) 1999-11-17
EP0560599B1 (en) 1998-01-07
JP2760240B2 (ja) 1998-05-28
DE69316054D1 (de) 1998-02-12
EP0560599A1 (en) 1993-09-15
TW230285B (ko) 1994-09-11
KR930020862A (ko) 1993-10-20
JPH05315985A (ja)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6947B1 (ko) 잡음 억압장치
JP3279372B2 (ja) ノイズ減衰システム
RU2483439C2 (ru) Робаст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вления шума с двумя микрофонами
US5430894A (en) Radio receiver noise suppression system
EP1195912A2 (en) Noise suppressor
KR20060110100A (ko) 오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A23418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signal characterization and noise reduction in hearing aids and other audio devices
US5710823A (en) Howling remover having cascade connected equalizers suppressing multiple noise peaks
KR100824195B1 (ko) 노이즈 검출 장치 및 am 방송 수신 장치
US20150071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 audio signal
US6996240B1 (en) Loudspeaker unit adapted to environment
KR100750148B1 (ko) 음성신호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7105A (ko) 스테레오 방송용 수신 장치
US7130794B2 (en) Received speech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eived speech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CN110728970B (zh) 一种数字辅助隔音处理的方法及装置
JP2979714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H0879203A (ja) 雑音抑圧装置
JPH06334457A (ja) 自動音量制御装置
US10003422B2 (en) Method for processing an FM stereo signal
JPH05175772A (ja) 音響再生装置
JPH09214397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3010465B2 (ja) ノイズ抑圧装置
CN115312071A (zh) 一种语音数据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836889B2 (ja) 信号処理装置
JPH1169480A (ja) 収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