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805B1 -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6805B1 KR0166805B1 KR1019900005060A KR900005060A KR0166805B1 KR 0166805 B1 KR0166805 B1 KR 0166805B1 KR 1019900005060 A KR1019900005060 A KR 1019900005060A KR 900005060 A KR900005060 A KR 900005060A KR 0166805 B1 KR0166805 B1 KR 0166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ode
- protection circuit
- type
- resistance
- input prot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입력보호회로의 설계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설계도.
제4도는 제3도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P-웰 3 : 접촉창
4 : N형 확산영역 D1,D2: 다이오드
R : 저항 I : 입력단자
P : 피-모스 트랜지스터 N : 앤-모스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칩의 면적을 적게함을 물론 입력단자의 저항을 증가시켜 레치-업(Latch-u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입력보호회로는 제2도와 같이 입력단자(I)에 저항(R)과 다이오드(D1)(D2)를 통하여 피-모스 트랜지스터(P)와 앤-모스 트랜지스터(N)를 접속하였으며 이를 제1도의 설계도를 통하여 보면 저항(R)은 폴리실리콘(빗금친 부분(Ra))의 저항값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전원(VDD)과 입력단자 사이의 보호 다이오드(D1)는 N형 기판위에 P형 확산영역(세로 실선부분(D1a))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접지와 입력단자 사이의 보호 다이오드(D2)는 P-웰(D2a) 위에 N형 확산영역(가로 실선부분(D2b))을 형성하므로 입력보호 회로를 구성하였다.
종래 입력단자에 있어서의 파괴현상은 정전기(Electro Static Charge)에 의한 파괴현상과 기생 트랜지스터의 작용에 따른 레치-업으로 인한 파괴현상으로 대별되며 전자와 같은 정전기에 의한 파괴는 상기 저항(R)의 구조와 다이오드(D1)(D2)의 면적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들의 값이 클수록 양호한 파괴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자와 같은 레치-업에 의한 파괴는 저항(R)의 크기 및 피-모스 트랜지스터(P), 앤-모스 트랜지스터(N) 그리고 N형 확산영역(D1b)(D2b)과 P형 확산영역(D1a)(D2c)에 의해 좌우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저항(R)의 값을 크게 하면 레치-업이나 정전기 파괴특성의 방지효과를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폴리실리콘(Ra)의 저항이 매우 낮아 저항(R)값이 수백Ω-1.0㏀으로 제한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폴리실리콘(Ra)의 면적을 크게 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폴리실리콘(Ra)의 면적을 늘리면 집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이오드(D1)(D2)를 별개로 형성시키므로 피-모스 트랜지스터(P)와 앤-모스 트랜지스터(N) 사이의 N형 확산영역(D1b)(D2b)과 P형 확산영역(D1a)(D2c)의 면적이 많이 소요되었다. 즉, 종래 입력보호회로에서는 저항(R), 다이오드(D1)(D2)를 형성하는데 각각 고유면적을 차지하므로 회로의 면적이 증가함은 물론 제한된 면적에 형성되는 저항(R)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정전기 파괴 및 레치-업 파괴현상을 방지하기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보호회로를 설계면적을 적게 할 수 있도록 간단히 구성하여 칩의 고집적화를 얻을 수 있게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3도와 제4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먼저 입력단자(I) 아래에 P-웰(1)(일점쇄선 부분)을 확산시켜 이에 입력저항(R) 및 보호 다이오드(D1)를 함께 형성하고 전원(VDD)과 입력단자(I) 사이의 다이오드(D2)는 별도의 구성없이 저항으로 이용되는 P-웰(2)(일점쇄선 부분)과 N형 확산영역(4)의 P-N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4도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면 입력단자(I)에 신호가 가해질 때 이 신호가 입력단자(I) 우측의 P형 확산영역과의 접촉창(Contact window)(3)을 통해 입력단자(I) 아래 형성된 P-웰(1) 영역을 거치게 되고 다시 좌측의 P형 확산영역을 통하여 내부회로를 전달되게 된다.
이때, 다이오드(D1)는 P-웰(1)과 N형 기판에 의해 그리고 다이오드(D2)는 별개의 P웰(2)과 N형 확산영역(4)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력으로부터의 과부하나 전압/전류를 보호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입력저항으로 이용되는 P-웰(1)의 저항(R)은 보통 수㏀ 이상이 되어 외부의 과부하에 대해 제어효과가 뛰어나므로 결국 입력보호회로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설계면적을 적게 하면서도 저항(R)값을 크게할 수 있어 칩의 고집적화를 이룰 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정전기 파괴특성 및 레치-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
- 반도체 기판에 각각 분리되는 P형 제1웰 그리고 P형 제2웰을 형성하고 P형 제1웰(1)내에 반대 도전형을 불순물을 주입하여 다이오드(D1)를 형성하고 P형 제2웰(2)과 그에 접합되는 N형 확산 영역(4)으로 PN접합의 다이오드(D2)를 형성한 후 입력 저항으로 사용되는 P형 제1웰(1)영역에 콘택되고 다이오드(D2)에 콘택되는 금속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보회로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00005060A KR0166805B1 (ko) | 1990-04-12 | 1990-04-12 |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00005060A KR0166805B1 (ko) | 1990-04-12 | 1990-04-12 |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9203A KR910019203A (ko) | 1991-11-30 |
KR0166805B1 true KR0166805B1 (ko) | 1999-01-15 |
Family
ID=1929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5060A KR0166805B1 (ko) | 1990-04-12 | 1990-04-12 |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6805B1 (ko) |
-
1990
- 1990-04-12 KR KR1019900005060A patent/KR01668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9203A (ko) | 199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39616A (en) | Circuit structure with enhance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
KR0139648B1 (ko) | 트리거 전압이 낮은 scr 보호장치 및 보호회로 | |
US5548134A (en) |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 |
US6072682A (en) | Protection circuit for an electric supply line in a semiconductor integrated device | |
US4922317A (en) | CMOS device having Schottky diode for latch-up prevention | |
US5949094A (en) | ESD protection for high density DRAMs using triple-well technology | |
US5898193A (en) |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ng circuit formed in a minimized area | |
EP1048076B1 (en) | Low trigger and holding voltage scr device for esd protection | |
EP0822596A2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grated circuits | |
JP3559075B2 (ja) | Cmos技術の集積電子回路用の極性反転保護装置 | |
EP0292327A2 (en) | Electrostatic breakdown protection circuits | |
US5892263A (en) | CMOS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three power supplies for preventing latch-up | |
KR0166805B1 (ko) | 입력보호회로 제조방법 | |
JP2783191B2 (ja) | 半導体装置の保護回路 | |
US6084272A (en) |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 |
JPS5931987B2 (ja) | 相補型mosトランジスタ | |
KR19980043416A (ko) | 이에스디(esd) 보호 회로 | |
JPH05315552A (ja) | 半導体保護装置 | |
JPH06177328A (ja) | 入出力保護素子用misトランジスタ | |
KR100379330B1 (ko) | 정전적방전(esd)구조 | |
KR100209222B1 (ko) | 반도체 소자의 정전방전 보호회로 | |
JP2538621B2 (ja) | Cmos型集積回路装置 | |
KR900007917B1 (ko) | 시모스를 이용한 입력보호회로 | |
US5115297A (en) | Complementary typ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JP3199488B2 (ja) | Cmos型半導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