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006B1 -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006B1
KR0165006B1 KR1019950703001A KR19950703001A KR0165006B1 KR 0165006 B1 KR0165006 B1 KR 0165006B1 KR 1019950703001 A KR1019950703001 A KR 1019950703001A KR 19950703001 A KR19950703001 A KR 19950703001A KR 0165006 B1 KR0165006 B1 KR 016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oltag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575A (ko
Inventor
타쓰야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Publication of KR96070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03G3/304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for intermittent signals, e.g. burs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송신을 기동할 때의 타임슬롯 Tm의 시각 t1∼시각 t2 동안에는 전력설정신호 Cc의 전압을 콘덴서 C1에 충전하여 보존한다. 이 보존한 콘덴서 C1의 충전전압으로 타임슬롯 T1의 초기부분에서의 송신전력 Po를 제어하여 오버슈트를 저지하는 통신장치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통신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이동 대 통신시스템 등에 이용하며,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저하시키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이 커지는 오버슈트의 발생을 저지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셀룰러방식에 의한 디지털이동 대 통신시스템에서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TDMA방식에서는 그 통신장치의 송신주파수로 할당된 타임슬롯으로 송신 또는 수신함과 동시에, 이 경우의 간헐송신(버스트송신)에서의 송신전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즉 셀내를 이동하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파를 수신하는 셀기지국에서의 수신전계강도가 변동하기 때문에, 그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를 셀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거해서 전환후에 제어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셀기지국과 이동국이 접근하고 있는 경우에,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파를 수신하는 셀기지국에서의 강전자계에 의한 입력포화(혼변조)를 피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낮추는 제어를 하고 있다.
또 셀기지국과 이동국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파를 수신하는 셀기지국에서의 입력전계강도를 높게 하여 안정한 수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하고 있다. 또한, 이동국에서는 송신전력의 대소의 제어를 한 후의 송신전력의 변동을 저지하는 송신전력 일정화의 폐루프제어도 하고 있다. 예를들어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비교적 클 경우에는 종단전력 증폭소자의 발열 및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한 출력전력의 저하를 저지하여 이동국과 셀기지국의 무선회선에서의 안정한 전송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송신전력의 폐루프제어를 하는 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도에서 이 통신장치는 입력단자(1)를 통해서 송신고주파신호 Pa가 가변이득회로(2)에 입력된다. 이 가변이득회로(2)로부터의 송신고주파신호 Pa를 증폭한 송신전력 Po가 전력증폭기(3)로부터 출력된다. 이 전력증폭기(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분기하여 통과시키는 방향성결합기 등의 분기회로(4) 및 안테나를 송수신공용으로 하기 위한 공용기(5)를 통해서 안테나(6)에 송출된다. 송신전력 Po가 안테나(6)로부터 전파 Wa로서 송출된다.
한편, 안테나(6)에서는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전파 Wb를 수신하고, 이 수신신호가 공용기(5)를 통해서 수신부(10)에 입력된다. 이 수신부(10)에서는 주파수변환 및 복조 등이 이루어진다. 이 복조신호에는 도시하지 않은 셀기지국 등이 장치를 탑재한 이동국으로부터의 전파 Wa를 수신했을 때의 전계강도에 의거해서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전력 Po의 대소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a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a가 CPU 등을 사용한 제어부(12)에 입력된다. 또 분기회로(4)로부터 송신전력 Po를 분기하여 검출회로(7)에 출력한다. 검출회로(7)는 분기회로(4)에서 분기한 고주파신호를 포락선검파(envelope detection)하고, 고주파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검출신호 Sb가 오차증폭기(8)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또 오차증폭기(8)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수신부(10)로부터의 송신전력 전환지지정보 Sa에 의거해서, 송신전력 Po에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제어를 하기 위한 아날로그의 기준전압 Sc가 D/A변환기(13)로부터 입력된다. 오차증폭기(8)는 2개의 입력단자에 입력된 검출신호 Sb 및 기준전압 Sc의 전압차에 의거한 차신호를 출력한다. 이 차신호가 루프필터(9)에 입력되어 노이즈를 제거하고, 또한 평활화하여 샘플링/홀드(S/H)회로(11)에 입력된다. 샘플링/홀드회로(11)에는 제어부(12)로부터 송신타임슬롯의 타이밍에 동기하는 샘플링펄스 Cp가 입력되어, 송신타임슬롯의 타이밍으로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스위치를 도통상태로 전환하여 루프필터(9)로부터의 차신호를 통과시킨다. 이 경우에 그 장치에 할당된 이외의 다른 송신타임슬롯에서는 스위치를 비도통상태로 전환하여 루프필터(9)로부터의 차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이 경우에 샘플링/홀드회로(11)내에 설치된 콘덴서로 루프필터(9)로부터의 차신호의 전압을 충전 및 보존한다. 이 콘덴서에 보존한 충전전압이 가변이득회로(2)의 제어단에 제어전압으로서 입력되어,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이 제어된다. 즉 오차증폭기(8)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된 검출회로(7)로부터의 검출신호 Sb의 전압이 다른 쪽 입력단자에 입력된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a에 의거한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는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을 저하시켜서 전력증폭기(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저하시킨다. 또 반대의 경우에는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을 증대시켜서 전력증폭기(3)로부터의 송신전력 Po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해서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을 제어하여 전력증폭기(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a에 의거하여 조정하고, 또한 이 조정후의 송신전력 Po를 소정의 전력으로 일정화하는 폐루프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폐루프제어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경우에 송신동작의 개시가 일어날때(이하, '송신의 기동'이라 한다) 및 송신전력을 저하시키는 전환을 할 때, 송신의 기동 초기에 송신전력이 커지는 오버슈트가 발생한다. 즉 송신의 기동시에는 검출회로(7)로부터의 검출신호 Sb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차증폭기(8)로부터 차신호에 의해 루피필터(9), 샘플링/홀드회로(11)를 통한 가변이득회로(2)의 이득이 최대로 제어되어 버린다.
즉 폐루프제어에 의한 송신전력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송신을 기동하면 최대의 송신전력 Po로 송신되고, 이후에 검출회로(7)로부터의 검출신호 Sb에 의거한 폐루프제어에 의한 송신전력 Po의 제어가 이루어져서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로 수속(收束)된다. 이 경우의 수속시간을 루프필터(9)의 시정수로 결정되나, 이 수속까지의 사이에는 오버슈트가 계속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에서의 처리신호의 타이밍챠트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제2도중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장치의 송신의 타임슬롯이 T1, T2, …로 구분되어 있다. 이 송신타임슬롯 T1, T2, …에 대응하여 제어부(12)로부터 제2도중의 (d)에 나타낸 샘플링펄스 Cp가 샘플링/홀드회로(11)에 출력된다. 이 샘플링펄스 Cp에 의해 샘플링/홀드회로(11)로부터 제2도중의 (b)에 나타낸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가변이득회로(2)에 입력된다.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는 송신 기동시의 초기의 타임슬롯 T1의 초기부분에서 전압이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최초의 타임슬롯 T1에서는 시각 to에서 송신이 개시되고, 이 초기부분에서는 폐루프제어가 불가능한 상태이며, 전력증폭기(3)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보다 커진다. 즉 이른바 오버슈트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버슈트는 송신의 기동시의 초기 이외에 송신전력 Po를 낮추는 전환을 할 때에도 발생한다. 즉 샘플링/홀드회로(11)내의 도시하지 않은 콘덴서에는 전회까지의 큰 송신전력 Po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충전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송신전력 Po를 낮추도록 전환했을 때는 가변이득회로(2)에 입력되어버려서 전환한 송신전력(Po)에서의 폐루프제어가 수속하기까지의 사이에 오버슈트가 발생한다.
이 오버슈트가 발생하면 큰 송신전력 Po가 전력증폭기(3)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타임슬롯 T1, T2,…이외의 타임슬롯에서의 수신시에는 혼변조 등의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 전력증폭기(3)에 대 송신전력 Po의 출력이 가능한 반도체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전력증폭기(3)의 발열도 커진다. 또한 분기회로(4), 공용기(5)도 마찬가지로 큰 내전력이 필요해져서 장치규모가 증대된다. 이 경우에 소형화를 위하여 전력증폭기(3), 분기회로(4), 공용기(5)에 내전력이 낮은 소자를 채용하면, 그 소자의 열화가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저하시키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이 커지는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고, 송신전력경로의 내전력을 낮게 할 수 있으며, 또 오버슈트에 의한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수신에 대한 악영향을 저지할 수 있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제어전압에 대응한 송신전력을 송출하는 가변전력 증폭수단과, 이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기준전압 생성수단과,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전압과 기준전압 생성수단으로부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에 대응하여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출력전력을 기준전압에 의거한 전력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제어전압 설정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전압 설정수단의 설정으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은 전력으로 설정되는 가변이득회로와, 가변이득회로로부터의 송신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기를 갖춘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복수단의 증폭 트랜지스터소자중의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콜렉터전압이 제어되는 전력증폭기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전압 설정수단의 설정으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전단증폭 트랜지스터 소자로부터의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제어전압을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콜렉터에 인가하는 전압제어회로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콜렉터에 고주파신호를 꺼내기 위한 부하저항기를 통해서 전압제어회로로부터 인가하는 제어전압에 의거하여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로부터의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증폭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복수단의 증폭 트랜지스터소자중의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베이스전압이 제어되는 전력증폭기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전압 설정수단의 설정으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저하시키는 전환시에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로부터의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제어전압을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베이스에 인가하는 전압제어회로를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베이스에 저항기를 통해서 바이어스전압이 설정됨과 동시에 전압제어회로로부터의 제어전압이 저항기를 통해서 베이스에 인가되고, 이 바이어스전압의 변경에 의해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로부터의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증폭도를 설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D/A변환기와, 이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충전하여 보존하는 콘덴서와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콘덴서로부터의 전압을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제어전압으로서 송출하는 전환수단을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데이터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펄스폭 변조회로와, 펄스폭 변조회로로부터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평활화하여 출력하는 평활화수단과, 이 평활화수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충전하여 보존하는 콘덴서와,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콘덴서로부터의 전압을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제어전압으로 송출하는 전환수단을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평활화수단으로 저역필터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을 저항기를 통해서 접지하는 저항기접지수단을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저항기접지수단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아날로그스위치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저항기접지수단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가,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에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D/A변환기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저항기접지수단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C-MOS 아날로그스위치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를 통과 또는 비통과시키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서의 차신호의 입력측에 직렬접속되는 저항기와, 스위치의 출력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스위치가 도통인 경우에는 저항기와 더불어 필터로서 동작하고,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는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보존하는 콘덴서를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를 통과 또는 비통과로 하는 제1의 스위치와, 이 제1의 스위치의 차신호의 입력측에 직렬접속되는 저항기와, 제1의 스위치의 출력측과 접지사이에 접속되고, 제1의 스위치가 도통인 경우에는 저항기와 더불어 필터로서 동작하고, 제1의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는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보존하는 콘덴서와, 제1의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 도통하여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콘덴서에 인가하는 제2의 스위치와, 제1의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하고, 또한 제2의 스위치를 도통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하는 전환제어수단을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제2의 스위치가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아날로그 스위치회로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제2의 스위치가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가,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접속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가,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접속되고, 또한 이미터가 전원단에 접속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 제2의 스위치가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C-MOS 아날로그스위치를 사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을 TDMA방식에서의 송신개시시의 송신타임슬롯의 초기부분으로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기준전압 생성수단이,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출력하는 송신전력의 대소를 지시하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한 기준전압을 비교수단에 출력하는 D/A변환기를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기준전압 생성수단이, 수신복조 데이터로부터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출력하는 송신전력의 대소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판별한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는 판별제어수단과, 이 판별제어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한 기준전압을 비교수단에 출력하는 D/A변환기를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제어전압에 의거한 이득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가변이득 증폭회로와, 이 가변이득 증폭회로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증폭한 송신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증폭회로를 갖춘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며,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한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의 출력측에 설치되며,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통신장치에서는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게 전환했을 때 송신전력에서의 송신개시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송신전력을 기준전압에 의거한 송신전력으로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저하시키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이 커지는 오버슈트를 발생하지 않고, 송신전력경로의 내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버슈트에 의한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수신에 대한 악영향, 예를 들어 혼변조가 저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는 본 발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중에서, 제1도는 종래의 송신전력의 폐루프제어를 하는 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에서의 처리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에서의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홀드기능부 루프필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동작의 처리신호의 타이밍차트이다.
제6도는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7도는 제3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8도는 제3의 실시예에서의 콜렉터전압을 제어하는 구성을 일부 회로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9도는 제3의 실시예에서의 베이스전압을 제어하는 구성을 일부 회로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0도는 제4실시예에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1도는 제4의 실시예에서의 C-MOS 아날로그 스위치소자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2도는 제5의 실시예에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3도는 제5의 실시예에서의 극성이 다른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4도는 펄스폭 변조신호발생기 및 저역 필터를 사용한 제6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5도는 제6의 실시예의 동작에서의 처리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6도는 아날로그스위치 및 D/A변환기가 오차증폭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제7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7도는 아날로그스위치 및 D/A변환기가 오차증폭기의 입력측에 설치된 제8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장치를 제3도∼제1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통신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도에서, 이 제1의 실시예는 입력되는 송신고주파신호 Pa를 송신전력 제어신호 Vc에 의거해서 제어하여 출력하는 가변이득회로(22)와, 이 가변이득회로(22)로부터의 송신고주파신호를 증폭한 송신전력 Po를 출력하는 전력증폭기(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분기 및 통과시키는 방향성결합기 등의 분기회로(24)와, 안테나를 송수신 공용하기 위한 공용기(25)와, 도시하지 않은 셀기지국 등과 무선회선에 의해 전파 Wa, Wb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6)를 가지고 있다. 또 이 통신장치에는 송신전력 Po를 분기회로(24)로 분기한 고주파신호를 포락선검파하고, 이 고주파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검출신호 Sa를 출력하는 검출회로(27)와, 이 검출회로(27)로부터의 검출신호 Sa의 전압이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됨과 동시에,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b에 의거한 송신전력 Po에 가변이득회로(22)의 이득제어를 하기 위한 기준전압 Sc이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이 차신호 Sd를 출력하는 오차증폭기(28)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와, 예를 들어 셀기지국과의 무선회선을 통해서 안테나(26) 및 공용기(25)를 통하여 수신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a를 송출하는 수신부(30)를 가지고 있다. 또 통신장치에는 수신부(30)로부터의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b에 의거하여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의 설정을 지시하기 위한 전환제어신호 Ca, Cb를 출력하는 제어부(32)와, 제어부(32)로부터의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b에 의거한 기준전압 Sc를 아날로그화하여 오차증폭기(28)의 다른 쪽 입력단자에 출력하는 D/A변환기(33)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로부터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가동접점 c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스위치(34)와,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목표치로 설정하는 제어부(32)로부터의 전력설정신호 Cc를 아날로그화하여 아날로그스위치(34)의 고정접점 a에 출력하는 D/A변환기(35)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제3도에 나타낸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4도에서 이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는 관용적인 샘플링/홀드회로와 루프필터를 합친 구성이며, 오차증폭기(28)의 출력단과 접속되어, 차신호 Sd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9a)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과 아날로그스위치(34)의 가동접점 c와 접속되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를 출력하는 출력단자(29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32)와 접속되고, 전환제어신호 Ca가 입력되는 제어단자(29c)와, 입력단자(29a)와 출력단자(29b)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단자(29c)에 전환제어신호 Ca가 하이(H) 레벨에서 도통상태, 즉 온(ON)되고, 로(L)레벨에서 비도통상태의 오프(OFF)가 되는 아날로그스위치(29d)와, 출력단자(29b)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어, 고부하 임피던스에 의해 아날로그스위치(29d)가 오프(OFF)하고, 또 아날로그스위치(34)가 온(ON)의 경우에 D/A변환기(35)로부터의 아날로그화한 전력설정신호 Cc의 전압을 충전하여 보존하는 콘덴서 C1을 가지고 있다. 또 이 통신장치는 입력단자(29a)와 아날로그스위치(29d) 사이에 직렬접속되어, 아날로그스위치(29d)가 도통하였을 때 콘덴서 C1과 더불어 RC(저항기,콘덴서) 저역필터를 구성하는 저항기 R1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이 제1의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이 제1의 실시예의 구성에서의 동작의 처리신호와, 이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이 장치는 제5도중의 (a)에 나타낸 송신타임슬롯 T1, T2, …의 구분으로 송신한다. 이 경우에 송신을 기동하는 송신타임슬롯 T1 앞의 타임슬롯 Tm의 시각 t1∼시각 t2 사이에 제5도중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2)가 하이(H)레벨의 전환제어신호 Cb를 아날로그스위치(34)에 출력하여, 아날로그스위치(34)가 온(ON)이 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32)로부터의 전환제어신호 Ca는 로(L) 레벨이며, 이 전환제어신호 Ca가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의 제어단자(29c)를 통해서 아날로그스위치(29d)에 입력도어 아날로그스위치(29d)가 비도통인 오프(OFF)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5도중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로부터 가변이득회로(22)로의 송신전력 제어신호 Vc는 D/A변환기(35)의 출력임피던스가 낮기 때문에 D/A변환기(3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화한 전력설정신호 Cc의 전압과 같아진다.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에 입력되어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로 설정된다. 동시에 D/A변환기(35)로부터의 아날로그화한 전력설정신호 Cc의 전압이 콘덴서 C1에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을 보존한다. 콘덴서 C1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후의 타임슬롯 Tm의 시각 t2에서 제어신호 Cb가 로(L)레벨이 되고, 아날로그스위치(34)가 오프(OFF)가 된다. 이어서 송신타임슬롯 T1의 개시되는 시각 t3에서 제어부(32)로부터의 전환제어신호 Ca가 하이(H)레벨이 된다. 이 하이(H)레벨을 송신타임슬롯 T1의 기간동안 유지하고, 전환제어신호 Ca의 하이(H)레벨에서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중의 아날로그스위치(29d)가 온(ON)이 된다. 이 아날로그스위치(29d)의 온(ON)에서 폐루프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오차증폭기(28)의 다른 쪽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셀기지국 등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의 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b에 의거한 기준전압 Sc와,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검출회로(27)로부터의 검출신호 Sa의 전압이 비교된다. 이 비교에 의한 차신호 Sd가 오차증폭기(28)로부터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에 출력된다.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에서는 아날로그스위치(29d)의 온(ON)에 의해 저항기 R1과 콘덴서 C1이 접속되고, 이 RC 필터로 노이즈가 제거되어 평활화된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에 입력된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Vc에 의거하여 가변이득회로(22)의 이득제어가 이루어져서,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송신전력 전환지시정보 Sb에 의거한 목표치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송신타임슬롯 T1이 개시될 때에는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의 콘덴서 C1의 충전전압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로서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에 입력된다. 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는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목표치로 설정하도록 가변이득회로(22)의 이득을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5도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송신타임슬롯 T1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 제어신호 Vc의 오차가 적기 때문에 이 송신타임슬롯 T1에서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에 고속으로 수속하게 된다.
다음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6도에서, 이 제2의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중의 샘플링/홀드회로(11) 대신에 방전용의 저항기 R2가 아날로그스위치(34)의 고정단자와 접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3도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이 제2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에서는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제5도의 (a)∼(e)에 나타낸 송신타임슬롯 T1의 초기부분에서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 Cb로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중의 콘덴서 C1이 저항기 R2를 통해서 접지된다. 즉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이 접지되어, 가변이득회로(22)의 이득이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23)의 송신전력 Po에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기타의 동작은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제3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8도는 제3의 실시예에서의 전력증폭기(23)내의 전단증폭기의 콜렉터전압을 제어하는 구성을 일부회로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제9도는 제3의 실시예에서의 전력증폭기(23)내의 전단증폭기의 베이스전압을 제어하는 구성을 일부회로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7도에서, 이 제3의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중의 아날로그스위치(34)의 가동단자 c가 접속되는 전압제어회로(40)와, 이 전압제어회로(40)와 전력증폭기(2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이득회로(22) 대신 완충증폭기(22a)가 설치되고, 이곳으로부터의 고주파신호가 전력증폭기(23)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3도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제8도에서, 전력증폭기(23)는 트랜지스터 Q1과, 부하저항기 RL, 바이어스 설정저항기 R5, R6와 이미터저항기 R7과, 커플링콘덴서 C5, C6로 된 전단증폭회로(23a)와, 송신전력 Po를 출력하는 종단증폭회로(23b)가 설치되어 있다. 전단증폭회로(23a)의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는 부하저항기 RL을 통하여 전압제어회로(40a)로부터 전압이 인가된다.
제9도에서, 전력증폭기(23)는 트랜지스터 Q2와, 부하저항기 RL, 바이어스 설정저항기 R6과, 이미터저항기 R7과, 커플링콘덴서 C5로 된 전단증폭회로(23a)와, 종단증폭회로(23b)가 설치되어 있다. 전단증폭회로(23a)의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에는 부하저항기 RL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고, 베이스에는 전압제어회로(40b)로부터 바이어스 설정전압이 저항기 R8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이 제3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서, 이 동작은 제3도 및 제5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전압제어회로(40a)에 입력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 Vc에 의해 전압제어회로(40a)로부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는 부하저항기 RL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고, 이 전압에 의거하여 제5도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23)(종단증폭회로 (23b))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로 설정되어, 이 송신전력 Po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9도에서, 이 예의 동작도 제3도 및 제5도의 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우선 전압제어회로(40b)에 입력되는 송신전력 제어신호 Vc에 의해 전압제어회로(40b)로부터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 저항기 R8를 통하여 바이어스 설정전압이 인가되고, 이 바이어스 설정전압에 의거하여 제5도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23)(종단증폭회로(23b))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로 설정되어, 이 송신전력 Po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10도는 제4의 실시예에서의 제3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대신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36)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1도는 제4의 실시예에서의 제3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대신에 C-MOS 아날로그 스위치소자(42)를 사용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낸 반도체 스위치회로(36)는 스위칭(ON·OFF)을 하는 트랜지스터 Q3와,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바이어스 설정용 저항기 R1이 설치되고, 이 저항기 R1과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는 저항기 R2를 거쳐서 제어부(32)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 및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의 출력단과 접속되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공급되고, 또 트랜지스터 Q3의 이미터와 D/A변환기(35)의 출력단과 접속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가 제어부(32)와 접속되어 전환제어신호 Cb가 공급된다.
제11도에 나타낸 반도체 스위치회로(36)는 C-MOS 아날로그 스위치소자(42)의 출력단이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 및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와 접속되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공급되고 있다. 또 입력단이 D/A변환기(35)와 접속됨과 동시에, 전환제어단이 직접 및 인버터(43)를 통해서 제어부(32)와 접속되어 전환제어신호 Cb가 입력되고 있다.
다음에 이 제4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나타낸 반도체 스위치회로(36)는 제어부(32)로부터의 하이(H)레벨의 전환제어신호 Cb로 트랜지스터 Q3가 온(ON)(도통)이 된다. 이 경우의 동작은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 제11도의 반도체 스위치회로(36)도 제어부(32)로부터의 하이(H)레벨의 전환제어신호 Cb로 C-MOS 아날로그 스위치소자(42)가 온(ON)(도통)이 된다. 이 경우의 동작은 제3도, 제5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4의 실시예에서도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가 목표치로 설정되어, 이 송신전력 Po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제5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의 제5의 실시예에서의 제6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대신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37)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13도는 제5의 실시예에서의 제6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대신에 극성이 다른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반도체 스위치회로(37)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2도에 나타낸 반도체 스위치회로(37)는 스위칭동작(ON·OFF)을 하는 pnp형 트랜지스터 Q4와,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 및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와 접속되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공급되고, 또 트랜지스터 Q4의 이미터가 접지됨과 동시에, 베이스가 저항기 R를 통하여 제어부(32)와 접속되어, 전환제어신호 Cb가 공급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가 방전용의 저항기 R2(제6도 참조)로 접지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반도체 스위치회로(37)는 스위칭동작(ON·OFF)을 하는 npn형 트랜지스터 Q5와,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가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 및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와 접속되어 송신전력 제어신호 Vc가 공급되고, 또 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가 저항기 R10을 통하여 제어부(32)와 접속되어, 전환제어신호 Cb가 공급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바이어스설정용의 저항기 R1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미터가 저항기 R12로 전원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방전용의 저항기 R2(제6도 참조)로 접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5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 제13도의 반도체 스위치회로(37)는 제어부(32)로부터의 하이(H)레벨의 전환제어신호 Cb로 트랜지스터 Q4, Q5가 온(ON)(도통)이 되고, 저항기 R2가 접지된다. 즉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제5도의 (a)∼(e)에 나타낸 송신타임슬롯 T1의 초기부분에서 제어부(32)로부터의 제어신호 Cb로 제4도에 나타낸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중의 콘덴서 C1이 저항기 R2를 통하여 접지되고, 동시에 가변이득회로(22)의 제어단도 접지된다. 기타의 동작은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가변이득회로(22)의 이득이 낮게 설정되어, 전력증폭기(23)의 송신전력 Po에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제6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제6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6의 실시예에서는 제3도중의 D/A변환기(35) 대신에 펄스폭 변조신호발생기(48)와, 저역필터(49)를 사용하고 있다.
제14도에서, 이 예는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를 목표치로 설정하는 제어부(32)로부터의 전력설정신호 Cc에 의거한 펄스폭 변조(PWM)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발생기(48)와, 이 PWM 신호발생기(48)로부터의 PWM신호를 평활화하여 아날로그스위치(34)의 고정접점 a에 출력하는 저역필터(LPF)(49)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3도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6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제6의 실시예의 동작으로서 PWM 신호발생기(48), 저역필터(49)의 처리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4도 및 제15도에서, 송신전력 Po를 목표치로 설정하는 제어부(32)로부터의 전력설정신호 Cc에 의거하여 제15도중의 (a), (b)에 나타낸 펄스폭 변조(PWM)신호를 PWM 신호발생기(48)가 발생한다. 이 PWM신호가 저역필터(49)로 평활화되어, 제15도중의 (a), (b)에 나타낸 직류전압 VH, VL가 아날로그스위치(34)의 고정접점 a에 출력된다. 기타의 동작은 제3도의 나타낸 구성 및 제5도에 나타낸 신호처리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도 제5도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다음에 제7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6도는 제7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7의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D/A변환기(35)가 오차증폭기(28)의 입력측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회로(27)로부터의 검출신호 Sa가 아날로그스위치(34a)의 가동접점 c 및 오차증폭기(28)의 한쪽이 입력단에 입력된다. 또 아날로그스위치(34a)의 고정접점 a에 D/A변환기(35a)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제3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에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즉 검출회로(27)로부터의 검출신호 Sa에 대하여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에서의 송신개시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제8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7도는 제8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8의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 아날로그스위치(34), D/A변환기(35)가 오차증폭기(28)의 출력측에 설치되어 있다. 오차증폭기(28)로부터의 차신호 Sd가 아날로그스위치(34b)의 가동접점 c 및 홀드기능부 루프필터(29)에 입력되고 있다. 또 아날로그스위치(34b)의 고정접점 a에 D/A변환기(35b)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제3도에 나타낸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전력증폭기(23)로부터의 송신전력 Po에 오버슈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즉 오차증폭기(28)로부터의 차신호 Sd에 대하여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에서의 송신개시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개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여러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함은 당업자로서는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 및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에서의 송신개시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송신전력을 기준전압에 의거한 송신전력으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의 기동시나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송신전력이 커지는 오버슈트를 발생하지 않고, 송신전력경로의 내전력을 낮게 할 수 있으며, 또 오버슈트에 의한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수신에 대한 악영향을 저지할 수 있어서, 그 통신품위가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통신장치는 디지털이동 대 통신시스템의 무선송수신장치로서 대단히 유용하다.

Claims (27)

  1. 제어전압에 대응한 송신전력을 송출하는 가변전력 증폭수단과;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의 대소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기준전압 생성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전압과 기준전압 생성수단으로부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출력전력을 기준전압에 의거한 전력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전압을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 상기 검출수단, 상기 비교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폐루프를 통하는 신호에 대해 보정을 가하는 신호를 송신기간전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제어전압 설정수단을 갖춘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 및 제어전압 설정수단의 설정으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은 전력으로 설정되는 가변이득회로와, 상기 가변이득회로로부터의 송신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증폭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은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 및 종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를 포함한 복수의 증폭 트랜지스터소자를 갖는 전력증폭기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상시 받아들이면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전압에 더해진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하고, 이 전압을 상기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콜렉터에 인가하는 전압제어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기에는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콜렉터에 고주파신호를 꺼내기 위한 부하저항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는 상기 부하저항기를 통하여 전압제어회로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어,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증폭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은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 및 종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를 포함한 복수의 증폭 트랜지스터소자를 갖는 전력증폭기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상시 받아들이면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전압에 더해진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하고, 이 전압을 상기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베이스에 인가하는 전압제어회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기에는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의 베이스에 전압을 부여하여 바이어스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저항기가 구비되고, 상기 전단증폭 트랜지스터소자는 상기 저항기를 통하여 전압제어회로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바이어스전압이 변경되어, 입력송신고주파신호의 초기부분에서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증폭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D/A변환기와, 이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충전하여 보존하는 콘덴서와,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상기 콘덴서로부터의 전압을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제어전압으로서 송출하는 전환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데이터를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펄스폭 변조회로와, 상기 펄스폭 변조회로로부터의 펄스폭 변조신호를 평활화하여 출력하는 평활화수단과, 이 평활화수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충전하여 보존하는 콘덴서와,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상기 콘덴서로부터의 전압을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제어전압으로서 송출하는 전환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화수단에 저역필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은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을 저항기를 통하여 접지하는 저항기접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접지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부여되는 제어전압에 대하여 접지레벨을 부여하기 위한 전환을 하는 아날로그스위치와, 이 아날로그스위치를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송신기간전에는 ON으로 하고, 그후의 송신기간 동안에는 OFF하는 전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접지수단은 제어수단으로부터 가변전력 증폭수단에 부여되는 제어전압에 대하여 신호를 부여할 것인가 여부가 결정되도록 전환을 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와, 이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를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에는 ON으로 하고, 통상시에는 OFF하는 전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는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에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D/A변환기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접지수단의 아날로그스위치는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C-MOS 아날로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은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를 통과 또는 비통과시키는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서의 차신호의 입력측에 직렬접속되는 저항기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가 도통인 경우에는 상기 저항기와 더불어 필터로서 동작하고, 상기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는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보존하는 콘덴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은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차신호를 통과 또는 비통과로 하는 제1의 스위치와, 이 제1의 스위치의 차신호의 입력측에 직렬접속되는 저항기와, 상기 제1의 스위치의 출력측과 접지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스위치가 도통인 경우에는 상기 저항기와 더불어 필터로서 동작하고, 상기 제1의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는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보존하는 콘덴서와, 상기 제1의 스위치가 비도통인 경우에 도통하여 상기 D/A변환기로부터의 전압을 상기 콘덴서에 인가하는 제2의 스위치와, 상기 제1의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2의 스위치를 도통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하는 전환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아날로그스위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스위치회로는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가변전력 증폭수단의 제어전압이 입력되는 제어단에 접속되고, 또한 베이스에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이미터와 접지 사이에 저항기가 접속되고, 또한 이미터가 전원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스위치는 전환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로 ON·OFF하는 C-MOS 아날로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이 TDMA방식에서의 송신개시시의 송신타임슬롯의 초기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수단은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출력하는 송신전력의 대소를 지시하는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한 기준전압을 비교수단에 출력하는 D/A변환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생성수단은 수신복조 데이터로부터 가변전력 증폭수단이 출력하는 송신전력의 대소를 지시하는 데이터를 판별한 디지털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는 판별제어수단과, 이 판별제어수단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한 기준전압을 비교수단에 출력하는 D/A변환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은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제어전압에 의거한 이득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는 가변이득 증폭회로와, 이 가변이득 증폭회로로부터의 고주파신호를 증폭한 송신전력을 출력하는 전력증폭회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의 입력측에 설치되며,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상기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상기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설정수단이 비교수단의 출력측에 설치되며, 송신개시시 또는 송신전력을 낮추는 전환시에 가변전력 증폭수단으로부터의 송신전력에서의 초기부분에서 상기 제어전압을 송신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전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19950703001A 1993-01-25 1994-01-21 통신장치 KR0165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09922A JP2937673B2 (ja) 1993-01-25 1993-01-25 通信装置
JP93-09922 1993-01-25
PCT/JP1994/000078 WO1994017598A1 (en) 1993-01-25 1994-01-21 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75A KR960700575A (ko) 1996-01-20
KR0165006B1 true KR0165006B1 (ko) 1999-02-01

Family

ID=1173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001A KR0165006B1 (ko) 1993-01-25 1994-01-21 통신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37697A (ko)
EP (1) EP0681375B1 (ko)
JP (1) JP2937673B2 (ko)
KR (1) KR0165006B1 (ko)
CA (1) CA2154082A1 (ko)
DE (1) DE69433321D1 (ko)
FI (1) FI953542A (ko)
TW (1) TW237583B (ko)
WO (1) WO1994017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0381A (ja) * 1996-12-27 1998-07-21 Fujitsu Ltd 送受信装置
JP3368464B2 (ja) * 1998-03-25 2003-01-20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出力安定化装置
JP2000151317A (ja) * 1998-11-10 2000-05-30 Hitachi Ltd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JP2001024454A (ja) * 1999-07-07 2001-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動利得制御機能を持った無線通信装置
US7061313B2 (en) * 2000-05-05 2006-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ual feedback linear amplifier
DE10057439A1 (de) * 2000-11-20 2002-05-23 Nokia Mobile Phones Ltd Spannungsregler für eine gepulste Last, insbesondere für einen Mobiltelefon- oder Telematik-Sender
US6711389B2 (en) 2001-02-16 2004-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ower controller for a mobile terminal
JP2002280911A (ja) * 2001-03-19 2002-09-27 Nec Corp 送信回路及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端末
DE10132352A1 (de) 2001-07-04 2003-01-2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stanthaltung der Sendeleistung von Funkgeräten
DE10307426B4 (de) * 2003-02-21 2006-06-14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Funksignalen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zur Frequenzumsetzung in einer Verstärkungseinrichtung
EP1604456B1 (en) * 2003-03-12 2011-06-15 MediaTek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of non-constant envelope waveforms using sample/hold
US7148749B2 (en) * 2005-01-31 2006-12-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with high dynamic range
CN1983851B (zh) * 2006-06-16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使功放支持多功率的方法及射频模块
US8340576B2 (en) * 2010-06-29 2012-12-25 Stmicroelectronics S.R.L. Electronic circuit for communicating through capacitive coupling
JP5699758B2 (ja) * 2011-04-01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47636B2 (en) 2011-06-29 2015-09-29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verifying the alignment betwee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s
US8478213B2 (en) * 2011-10-14 2013-07-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EP3306576B1 (fr) * 2016-10-05 2023-03-15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édé et système d'accès securisé à un espace déterminé au moyen d'un objet portable
CN108322237B (zh) * 2017-01-14 202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干扰抑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6925A (ja) * 1983-12-13 1985-07-06 Nec Corp 自動送信電力制御回路
JPS62278823A (ja) * 1986-05-28 1987-12-03 Hitachi Shonan Denshi Kk 電力制御回路
AT387995B (de) * 1987-06-12 1989-04-10 Andritz Ag Maschf Austragvorrichtung
JPS647719A (en) * 1987-06-29 1989-01-11 Nec Corp Transmitting power control circuit
JPH0198304A (ja) * 1987-10-09 1989-04-17 Furuno Electric Co Ltd 電力増幅回路装置
GB2247793A (en) * 1990-09-06 1992-03-11 Motorola Inc Control of pulse power amplifier rise and fall
CA2088813C (en) * 1992-03-02 2004-02-03 Willem G. Durtler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dual mode analog/digital cellular telephone
JPH06132873A (ja) * 1992-10-21 1994-05-13 Nec Corp 電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17598A1 (en) 1994-08-04
TW237583B (ko) 1995-01-01
EP0681375A4 (en) 1997-10-22
US5737697A (en) 1998-04-07
DE69433321D1 (de) 2003-12-18
EP0681375A1 (en) 1995-11-08
EP0681375B1 (en) 2003-11-12
JPH06224785A (ja) 1994-08-12
FI953542A0 (fi) 1995-07-24
KR960700575A (ko) 1996-01-20
FI953542A (fi) 1995-09-01
JP2937673B2 (ja) 1999-08-23
CA2154082A1 (en) 199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006B1 (ko) 통신장치
US5854971A (en) Output-controlled power amplifie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EP0156398B1 (en) Fsk or fm burst signal generating apparatus
JP3247452B2 (ja) デュアルモード移動電話における送信機のスイッチオン方法
US5371473A (en) Thermally stable ALC for pulsed output amplifier
US5852770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FI97575C (fi) Suuren hyötysuhteen lineaarinen UHF-tehovahvistin
US5121081A (en) Output waveform control circuit
EP0589574B1 (en) An amplifier control system
EP0414352B1 (en) Radio transmitter with output power control
EP0654898B1 (en) Transmission circuit
JPH06132873A (ja) 電力制御装置
US20040009758A1 (en) Fast attack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for narrow band systems
JP2001237721A (ja) 温度補償型ダイオード整流回路
EP0460280B1 (en) Transmitting power control circuit
JP3447110B2 (ja) 移動無線方式及びこれに用いる送信機
JP2002118488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973258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共用方式の送信電力自動制御装置
JPH05102767A (ja) 無線通信装置の送信電力制御回路
JP3813247B2 (ja) 複数モード共用送信回路
WO1999022446A1 (en) Improved power control of rf signals
KR100581268B1 (ko) 무선송신기용장치및방법
JP2973257B2 (ja) アナログ/デジタル共用方式の送信電力自動制御装置
JPH05300029A (ja) 自動送信電力制御回路の電力増幅器バイアス回路
JP3268882B2 (ja) パワーコントロール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