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569B1 - 음성출력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음성출력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569B1
KR0164569B1 KR1019940034332A KR19940034332A KR0164569B1 KR 0164569 B1 KR0164569 B1 KR 0164569B1 KR 1019940034332 A KR1019940034332 A KR 1019940034332A KR 19940034332 A KR19940034332 A KR 19940034332A KR 0164569 B1 KR0164569 B1 KR 016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output
switching element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555A (ko
Inventor
송장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569B1/ko
Publication of KR96002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라오케 시스템(KARAOKE SYSTEM)을 갖춘 영상재생장치의 음성출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음성의 높고 낮음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영상 재생장치에서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로의 음성출력 제어를 쉽게 할수 있도록 하는것으로 키콘트롤 기능을 갖춘 가라오케형 영상 재생 장치에서 음성 출력 조건에 맞는 음성 신호 출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키 콘트롤 기능을 갖는 가라오케형 영상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재생 음성 신호의 키 콘트롤부(300)입력을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와,
키 콘트롤 되어 있고 마이크 입력 신호와 에코프로세스(400)에서 에코 처리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700)와,
상기 스우칭소자(700)에서 선택된 신호와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신호를 스위칭 선택하여 오부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800)와,
상기 에코 프로세스(400)의 출력을 오디오 프로세서(100)에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스위칭 소자(900)를 구비시켜 된것이다.

Description

음성출력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모드별 스위칭 상태를 나타낸 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디오 프로세스 200 :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
300 : 키 콘트롤부 400 : 에코 프로세스
500 : 마이크 입력부 600 - 900 : 스위칭 소자
본 발명은 가라오케 시스템(KARAOKE SYSTEM)을 갖춘 영상재생장치의 음성출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음성의 높고 낮음을 조절하는 키콘트롤 기능을 갖춘 영상 재생장치에서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로의 음성출력 제어를 쉽게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영상재생장치는 반주 음악과 배경 화면이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시켜가며 반주음악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수 있는 가라오케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가라오케 시스템을 갖춘 영상재생장치는 재생음성의 높고 낮음을 선택하는 기능 즉 키 콘트롤 기능(Key Control)을 갖춘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키 콘트롤 기능을 갖추지 않은 가라오케형 영상재생장치는 재생음성의 높고 낮음을 선택할수 없어 사용자의 음성높낮이에 맞추어 재생음성의 높낮이를 맞추어 줄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높낮이와 같게 재생음성의 높낮이를 맞추어 줄수 있도록 키 콘트롤 기능을 갖춘 가라오케형 영상재생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경우 가라오케 모드에서 재생 음성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음성 높낮이에 맞추어 줄수는 있으나 오디오 신호가 향상 키 콘트롤 회로를 통과하게 되어 키 콘트롤 기능을 원치 않을 때에도 키 콘트롤 회로가 동작하게 된다.
음성신호가 항상 키 콘트롤 회로를 통과하게 되면 키 콘트롤 기능을 원치 않을 경우는 음성 잡음이 발생될 소지가 많고 또한 하이파이 음성신호의 경우 그 기능 수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키 콘트롤 기능을 갖춘 가라오케형 영상 재생장치의 음성신호를 각각의 모드(즉 키 콘트롤을 동작시키는 가라오케 모드,키 콘트롤을 동작시키지 않는 가라오케 모드, 가라오케 모드를 동작시키지 않는 모드)에 따라 따로따로 음성신호처리를 하여야만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의 정상적인 음성신호 출력을 기대할수 있으나 이 경우 음성출력 회로가 대단히 복작해 지게 되고 제어 동작도 어렵게 된다.
특히 가라오케 모드에서 키 콘트롤이 되지 않는 경우 즉 재생오디오 높낮이 변화없이 외부 마이크 입력 신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로의 출력이 모두 같게 되지는 않는다.
즉 텔레비젼으로는 R.L 오디오 신호에 마이크 신호가 섞인 신호가 출력되어야 하나 외부음향기기 출력인 R.L 잭 출력으로는 R 신호에 마이크 신호가 혼합되고 L 신호에 마이크 신호가 혼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텔레비젼으로의 출력 및 R.L 출력신호를 따로따로 제어를 하게 되면 적용회로가 복잡해 지는 한편 절환 스위칭 문제도 발생할 우려가 많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가라오케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기 위하여 키 콘트롤 기능이 있는 경우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로의 출력제어를 쉽게 적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재생음성의 높낮이을 조절하는 키 콘트롤부와,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에코(Echo)처리하는 에코프로세스가 구비된 가라오케 기능을 갖춘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오디오 프로세서의 L + R 오디오 신호를 키 콘트롤 온/오프 스위칭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키 콘트롤부에 인가시키는 스위칭 소자와,
에코 프로세스의 출력신호를 키 콘트롤 온/오프 스위칭 신호로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와,
재생 오디오 신호 및 에코 프로세스의 출력신호를 키 콘트롤 온/오프 스위칭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와,
에코 프로세스의 출력신호를 가라오케 온/오프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오디오 프로세서로 인가시키는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가라오케 및 키 콘트롤 선택모드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콘트롤하여 가라오케 모드에서 키 콘트롤 기능을 동작시킬경우 텔레비젼과 외부음향기기로 키 콘트롤 되어지고 에코 처리된 음성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가라오케 모드에서 키 콘트롤 기능을 행하지 않을 경우 에코처리된 음성신호만 오디오 프로세서에 인가되어 신호 처리된후 텔레비젼 및 외부음향기기로 출력되게 하며 가라오케 모드를 동작시키지 않을 경우는 오디오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재생 오디오 신호가 텔레비젼 및 외부음향기기로 직접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회로도로써
오디오 프로세서(100)는 테이프에서 재생된 오디오 신호 또는 에코처리된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L + R, L,R 오디오 신호로 출력시키게 된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L,R 오디오 신호는 출력잭을 통하여 외부음향기기로 인가되는 한편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에 인가되고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는 L,R 오디오 신호레벨의 크기를 사용자가 볼수 있도록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외부로 표시해 주게된다.
키 콘트롤부(300)는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L + R 오디오 신호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에코 프로세스(400)는 마이크 입력부(500)를 통하여 인가된 마이크 입력신호를 에코처리하게 된다.
가라오케 기능과 키 콘트롤 기능을 갖춘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는 상기된 오디오 프로세서(100),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 키콘트롤부(300), 에코 프로세스(400) 및 마이크 입력부(500)는 기본적인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기본 구성 회로에 스위칭 소자(600 - 900)를 연결하여 텔레비젼 및 외부 음향기기로의 음성 출력 제어를 쉽게 하도록 한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와 키 콘트롤부(300)사이에 스위칭 소자(600)를 연결하고 에코 프로세스(400)의 출력측에 스위칭 소자(700)를 연결하며 스위칭 소자(700)에서 선택된 신호와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800)를 연결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600 - 800)는 키 콘트롤 기능 선택 여부에 따라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출력시키는 키 콘트롤 온/오프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
그리고 에코 프로세스(400)의 출력측과 오디오 프로세서(100)의 입력측 사이에 스위칭 소자(900)를 연결하되 상기 스위칭 소자(900)는 가라오케 기능 선택 여부에 따라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출력시키는 가라오케 온/오프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에 하이파이 기능이 있는 경우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는 오디오 신호를 L + R,L,R 의 3 가지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3가지 오디오 신호가 가라오케 온 상태의 키 콘트롤 기능 수행 모드와 가라오케 온 상태의 키 콘트롤 오프 모드 및 가라오케 오프 모드 별로 각기 다르게 출력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첫째, 가라오케 온 상태의 키 콘트롤 기능 수행 모드를 살펴 본다.
이때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600-900)를 모두 온 시키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 시켜 주어 소위칭 소자(600-900)를 모두 온 시킨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신호 처리된 L + R 신호는 온 되어진 스위칭 소자(600)를 통하여 키 콘트롤부(300)에 인가되어
재생음성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음성 높낮이에 맞추어 조절해 주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 입력부(500)를 통하여 입력되어지는 사용자 음성 신호는 에코 프로세스(400)에서 에코 처리 되어진후
키콘트롤부(300)에서 키콘트롤 되어진 재생 음성 신호와 혼합되어 출력되게 된다.
에코 프로세스(400)에서 출력된 키콘트롤 되어진 재생음성신호와 에코처리된 사용자 음성신호는 온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칭 소자(700)를 통한후 스위칭 소자(800)의 온 단자(ON)에 각각 인가된다.
이때 스위칭 소자(800)는 온 단자(ON)에 접속된 상태가 되므로 텔레비젼과 책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 음향기기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동일한 신호가 된다.
따라서 가라오케 온 상태의 키 콘트롤 기능 수행시는 텔레비젼과 외부 음향 기기로 출력 되어지는 오디오 신호는 동일한 신호로 출력되어 진다.
한편 에코 프로세스(40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프로세서(100)에 인가되어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로 출력되므로써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에서는 마이크 입력 신호 레벨을 표시소자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 시키게 된다.
둘째, 가라오케 온 상태에서 키콘트롤을 오프 시킨 모드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600-800)는 모두 오프 시키고 스위칭소자(900)만 온 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스위칭 소자(600-800)는 오프 시키고 스위칭 소자(900)는 온 시킨다.
그러면 마이크 입력부(500)로 입력되어진 음성 신호는 에코 프로세스(400)에서 에코처리된 후 온된 스위칭소자(900)를 통하여 오디오 프로세서(100)에 인가 되게 된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는 재생 오디어 신호를 처리한 L + R, L, R신호에 스위칭 소자(900)를 통과한 음성 신호를 따로따로 혼합시켜 주어 L + R 신호에 마이크 입력 신호를 혼합 시키고 L 신호와 R 신호에도 마이크 입력 신호를 각각 혼합 시킨다.
이때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는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에 마이크 입력 신호를 출력시켜 오디오 레벨 드라이브부(200)에서 마이크 입력 신호 레벨을 외부로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L + R + MIC, L + MIC, R + MIC 신호는 각각 스위칭 소자(800)의 오프 단자(OFF)에 인가되게 되고 이때 스위칭 소자(80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텔레비젼으로는 L + R 신호에 마이크 입력 신호가 혼합된 신호 (L + R + MIC)가 출력 되게 되고 외부음향기기로는 L,R 신호에 마이크 입력신호가 혼합된 신호 (L + MIC, R + MIC)가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는 재생 오디오 신호의 음높이와 사용자 음성신호의 음높이가 동일한 경우에 이용된다.
셋째, 가라오케 오프 모드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마이콤에서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600-900)를 오프 시키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 시켜 주어 스위칭 소자(600-900)가 모두 오프되게 한다.
그러면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는 외부 마이크 입력 신호에 관계없이 재생 오디오 신호만을 처리하여 L + R, L, R 신호를 출력 시키게 되고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칭 소자(800)의 오프 단자(OFF)를 통하여 텔레비젼으로는 L + R 신호가 출력되게하고 외부 음향기기로는 L, R 신호가 출력되게한다.
이 경우는 가라오케 기능을 동작 시키지 않을때 하이 파이 음질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신호가 직접 출력 되게 하여 음질 변화를 최소화 시키게 된다.
이러한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각 모드별 스위칭 소자(600 - 9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라오케 모드와 키 콘트롤 기능을 갖춘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가라오케 모드 선택시와 키 콘트롤 모드 선택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 하므로써 음성 출력 상태를 쉽게 콘트롤 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하이 파이 기능이 없을경우에는 L, R 신호 라인은 생략하고 L + R 신호라인만을 제어하면 본 발명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은 가라오케 모드의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에 적용되어 각각의 선택 모드별로 음성 출력을 간단히 콘트롤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키 콘트롤 기능을 갖는 가라오케형 영상재생 장치에서,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재생 음성 신호의 키 콘트롤부(300)입력을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600)와, 키 콘트롤 되어 있고 마이크 입력 신호와 에코프로세스(400)에서 에코 처리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700)와, 상기 스위칭소자(700)에서 선택된 신호와 오디오 프로세서(100)에서 처리된 신호를 스위칭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800)와, 상기 에코 프로세스(400)의 출력을 오디오 프로세서(100)에 선택적으로 인가시키는 스위칭 소자(900)를 구비 하여 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음성 출력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600 - 800)는 가라오케 모드시 키 콘트롤 기능 선택을 인식한 마이콤의 키 콘트롤 온/오프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출력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900)는 가라오케 모드 선택을 인식한 마이콤의 가라오케 온/오프 콘트롤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제어 회로.
KR1019940034332A 1994-12-12 1994-12-12 음성출력제어회로 KR016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32A KR0164569B1 (ko) 1994-12-12 1994-12-12 음성출력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32A KR0164569B1 (ko) 1994-12-12 1994-12-12 음성출력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555A KR960025555A (ko) 1996-07-20
KR0164569B1 true KR0164569B1 (ko) 1999-03-20

Family

ID=1940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32A KR0164569B1 (ko) 1994-12-12 1994-12-12 음성출력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115A (ko) * 2002-08-01 2004-02-11 주식회사 컴퓨터프로덕션 에코 및 입체 음향 지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555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0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inputs and outputs of audio-visual equipment
KR0164569B1 (ko) 음성출력제어회로
KR20040046483A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60006399B1 (ko) 영상 및 음성 선택 기능이 내장된 브이씨알(vcr)
JP3889571B2 (ja) 映像・音響再生システム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KR960006402B1 (ko) 모니터를 이용한 복합 가라오케 브이씨알(vcr)
KR100261903B1 (ko) 스크래치음을 내장한 편집녹음기
KR200206053Y1 (ko)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레벨 표시장치
KR960004663B1 (ko)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배속 재생시 음성 출력방법
KR920005984B1 (ko) 음성 합성 신호의 음량 조절회로
JP2640799B2 (ja) Vtr装置の音声信号回路
KR970004094Y1 (ko) 컴퓨터 뮤직 플레이(cmp)브이씨알의 오디오 더빙장치
KR0135816B1 (ko)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자동 디스크 정보저장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H04345963A (ja) オ−トファンクション機能を備えたオ−ディオ装置
JPH1020878A (ja) 楽音再生装置
KR970007749B1 (ko) 티브이/브이씨알 복합시스템의 음성편집장치
KR0140668B1 (ko) 가라오케 캠코더의 기록 및 재생장치
JP3462758B2 (ja) バイリンガル音声再生装置
JPH0329598A (ja) 信号再生装置
JPH0546070A (ja) カラオケ装置
JPH10149183A (ja) カラオケ装置
JPH0793884A (ja) オーディオビデオ装置
JPH10240281A (ja) カラオケ装置
JPH0359850A (ja) カメラ一体型vtr
JPH0719892U (ja) Cd−gデコ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