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192B1 - 압력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압력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192B1
KR0164192B1 KR1019960007514A KR19960007514A KR0164192B1 KR 0164192 B1 KR0164192 B1 KR 0164192B1 KR 1019960007514 A KR1019960007514 A KR 1019960007514A KR 19960007514 A KR19960007514 A KR 19960007514A KR 0164192 B1 KR0164192 B1 KR 016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ase
sensor
weigh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531A (ko
Inventor
유연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0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192B1/ko
Publication of KR97006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9Housings of immersion sensor, e.g. where the sensor is immersed in the measuring medium or for in vivo measurements, e.g. by using catheter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0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elastically deformable gauges by electric, electro-mechanical,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기기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측모드의 종료에 의해 증가되는 압력을 직접 검출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다른측모드로의 모드절환을 위한 압력검출을 간단한 구조하에서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발생되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압력기기에 있어서;상기 압력기기의 압력발생부위와 접하도록 설치되고서 그 내부에 유체가 채워져서 해당 압력기기에서 실행되는 모드의 종료시기에 증가되는 압력을 인가받아 그 접촉부위가 변형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내에 설치되어 그 케이스(10)의 압력인가에 따른 변형상태를 검출하여 이동하는 센서수단(12) 및, 상기 센서수단(12)의 센싱동작에 따른 이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검출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가 적용되는 전기 압력솥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센서추
16 : 무게추 18a : 이동접점부
18b : 고정접점부 24 : 도선
30 : 모드설정부 32 : 제어부
34 : 취사부 36 : 압력감지부
38 : 스위칭부 40 : 보온부
42 : 증기배출부
본 발명은 압력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압력솥과 같은 압력기기에서 압력의 발생에 의한 일측모드에 고유기능의 완료됨에 따라 생성되는 압력의 증가상태를 검출함에 의해, 다른측 모드로의 자동전환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나 가스 등에 의한 가열원의 가열을 통해서 내부압력을 발생하여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압력기기에 있어서는 취사를 위한 압력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압력솥 등이 사용되어지는 바, 이러한 압력기기로서의 전기 압력솥은 취사만을 위한 전기 압력솥과 취사된 밥의 보온만을 위한 보온밥솥이 개별적으로 독립되어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에 와서 취사와 보온을 겸용한 전기 압력솥이 대중화되어 있다.
그러한 압력기기로서 채용되는 전기 압력솥에 따르면, 가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고압이 발생되어 취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취사의 완료시 그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신호장치와, 보온모드로 전환하여 밥을 보온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채용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전기 압력솥에 중강감지센서가 압력솥하부에 구비되어져 있어, 쌀의 양에 따라 취사시간이 비례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 압력솥의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시간을 계수함에 의해 취사를 종료함과 동시에 취사의 완료를 경보하며, 보온모드로 전기 압력솥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고, 소정부에 설치된 압력감지추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상이 감지되면 밥솥내의 증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보온모드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그 전기압력솥내에는 타이머와 중량감지센서, 그리고 압력감지추를 모두 구비하여야 함에 의해 취사의 완료를 인지하여 보온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보온모드에 적절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다수의 장치구성이 요구되어지게 되면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 지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전기 압력솥과 같은 압력기기내에서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정확한 압력의 검출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압력감지수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력기기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측모드의 종료에 의해 증가되는 압력을 직접 검출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다른측모드로의 모드절환을 위한 압력검출을 간단한 구조하에서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생되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압력기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기의 압력발생부위와 접하도록 설치되고서 그 내부에 유체가 채워져서 해당 압력기기에서 실행되는 모드의 종료시기에 증가되는 압력을 인가받아 그 접촉부위가 변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그 케이스의 압력인가에 따른 변형상태를 검출하여 이동하는 센서수단 및, 상기 센서수단의 센싱동작에 따른 이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 구성된 압력기기의 압력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수단은 그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 소정부에 구멍이 연통되며, 그 구멍을 통해 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그 내부상단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설치되어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주는 무게추를 갖춘 센서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추는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공기층의 밀도변화에 의해 이동되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센서수단의 하단에 설치된 도전성의 이동접점과, 상기 이동접점과 수직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 하단에 설치된 도전성의 고정접점 및, 전원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접점과 고정접점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된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에 의하면, 전기 압력솥 등과 같은 압력기기내에서 취사와 같은 일측모드가 설정되어 동작이 진행됨에 의해 해당 동작의 완료에 의해서 증가되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예컨대 보온모드와 같은 다른측 모드로의 모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면으로서, 참조부호 10은 압력검출장치의 케이스로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압력솥 등과 같은 압력기기의 일측면에 부착되어지며, 얇고 탄력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져 압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 내부은 소정의 유체로 채워져 있다.
또한, 참조부호 12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중심축상에 위치한 센서추로서, 상기 센서추(1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 중앙부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을 통해 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그 상단에 존재하고 있다.
또, 참조부호 16은 상기 센서추(12)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접점판(18)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센서부(12)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 무게추이고, 18은 상기 센서추(12)와 케이스(10)의 전기적신호의 도통을 위해 설치된 접점판으로서,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a는 센서추(12)의 하단에 위치하며 센서추(12) 하단에서 무게추(16)와 대응되게 반대편에 위치하는 이동접점부로서 상기 무게추(16)와 동일한 무게를 갖고 있으며, 18b는 고정접점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센서추(12)와 상기 센서 케이스(10)가 접촉되는 센서 케이스(10) 내부의 하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24는 전원단(Vcc)과 연결되고서 상기 이동접점부(18a)와 상기 고정접점부(18b)에 전류를 공급하는 도선을 나타낸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되는 전기 압력솥의 기능블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30은 모드설정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기 압력솥에 대한 취사 또는 보온여부를 설정하는 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로 구성되어지고, 32는 상기 모드설정부(30)의 모드설정여부에 따라 전기 압력솥을 취사 또는 보온모드로 구동하며, 취사모드로 초기모드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취사의 완료 후에는 자동적으로 보온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또한, 참조부호 34는 상기 제어부(32)의 제어하에 쌀에 소정의 열을 가하여 취사가 되도록 하는 취사부이고, 참조부호 36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가 전기 압력솥내의 압력의 증대에 따라 외형이 변화됨을 이용하여 상기 취사부(34)에서의 추사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이고, 38은 상기 압력감지부(36)에서의 작용에 의해 센서 케이스(10)내부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접점부(18b)와 센서추(12)의 외부의 하단에 구비된 이동접점부(18a)가 접속되는 스취칭부로서 상기 접속에 의해 전기적신호가 이동접점부(18a)와 고정접점부(18b)사이에 도통되게 되어 상기 적기적신호를 제어부(32)에 인가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40은 상기 스위칭부(38)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를 상기 제어부(32)의 제어하에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고 포화상태를 지속시키도록 하는 보온부이며, 참조부호 42는 상기 제어부(32)의 제어하에 취사의 완료시 전기 압력솥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증기배출부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압력검출동작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의 압력검출장치를 전기 압력솥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단, 전기 압력솥에서는 모드설정부(30)에서 설정되는 모드에 따라 전기 압력솥의 취사모드가 설정됨에 의해 취사가 진행되어 전기 압력솥내의 증기압이 증대되기 시작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전기 압력솥의 내부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증기압에 의한 압력을 인가받게 되므로 접하는 부위가 탄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그 케이스(10)의 내부에 충전된 유체에도 압력이 인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내의 센서추(12)는 전기 압력솥내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 내부에 충전된 유체에 대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서 밀도가 작게 되므로 케이스(10)내의 상측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기 압력솥내에서 진행되는 취사가 완료되면서 증기압이 증대됨에 따라 증대되는 압력에 비례하여 그 전기 압력솥의 내부와 접하는 부위가 내측으로 변형되면, 그 케이스(10)내부의 유체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서 그 센서추(1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어져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센서추(12)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밀도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케이스(10)내부의 하측으로 가라앉게 되면서 그 하측에 설치된 이동접점부(18a)가 케이스(10)에 설치된 고정접점부(18b)와 접촉되어 도통하게 되므로, 취사모드의 종료에 의한 압력의 증가상태를 검출한 검출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기 압력솥의 제어부(32)는 상기 압력감지부(36)에서 압력검출동작을 통해 스위칭부(38)의 이동접점부(18a)와 고정접점부(18b)가 접촉됨에 의해 발생하는 검출신호를 입력받게 됨에 의해, 취사모드에서 보온모드로의 모드전환을 수행하게 되면서 보온부(40)를 통해 취사가 완료된 밥의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증기배출부(42)에서 증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검출장치를 전기 압력솥에 적용하여 기술하였지만, 여타의 압력발생에 의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압력기기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기기의 압력검출장치에 의하면, 전기 압력솥 등과 같은 압력기기내에서 작동모드의 완료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증가상태를 검출함에 의해 다른측 모드로의 모드전환을 의한 검출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도 압력의 증가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증가된 압력의 자동검출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5)

  1. 발생되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압력기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기의 압력발생부위와 접하도록 설치되고서 그 내부에 유체가 채워져서 해당 압력기기에서 실행되는 모드의 정료시기에 증가되는 압력을 인가받아 그 접촉부위가 변형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내에 설치되어 그 케이스(10)의 압력인가에 따른 변형상태를 검출하여 이동하는 센서수단(12) 및, 상기 센서수단(12)의 센싱동작에 따른 이동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12)은 그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 소정부에 구멍이 연통되며, 그 구멍을 통해 유체가 유입된 상태에서 그 내부상단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설치되어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주는 무게추(16)를 갖춘 센서추(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장치.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추(12)는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공기층의 밀도변화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센서수단(12)의 하단에 설치된 도전성의 이동접점(18a)과, 상기 이동접점(18a)과 수직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10) 하단에 설치된 도전성의 고정접점(18b) 및, 전원단(Vcc)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접점(18a)과 고정접점(18b)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된 도선(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16)는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검출장치.
KR1019960007514A 1996-03-20 1996-03-20 압력검출장치 KR016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514A KR0164192B1 (ko) 1996-03-20 1996-03-20 압력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7514A KR0164192B1 (ko) 1996-03-20 1996-03-20 압력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531A KR970066531A (ko) 1997-10-13
KR0164192B1 true KR0164192B1 (ko) 1999-05-01

Family

ID=1945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514A KR0164192B1 (ko) 1996-03-20 1996-03-20 압력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278A (ko) 2021-07-26 2023-02-02 서영배 당구 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278A (ko) 2021-07-26 2023-02-02 서영배 당구 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531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5028A (en) Combination of gas sensor controlled cooking utensil and gas leak alarm
KR880008694A (ko) 자동 가열장치
KR890016873A (ko) 조리용 가열판의 발열체의 열효율 조절장치
KR890006908A (ko) 코오드레스 아이론
US5039843A (en) Safety cutout device
EP1517091B1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0164192B1 (ko) 압력검출장치
JP2002303452A (ja) 熱風装置
EP1646828A1 (en) Controlling apparatus of an electric ove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0638994B1 (ko) 압력밥솥의 압력변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제어방법
JPH05253397A (ja)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KR200232219Y1 (ko) 기계식전기보온밥솥의가열제어장치_
KR940000215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내부용기 안착유무감지장치
KR100525308B1 (ko) 발열장치
KR920006710A (ko) 자동 제빙장치
JP2715625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KR200309305Y1 (ko) 발열장치
JPH02239818A (ja) 調理器の感熱装置
JP2712823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KR0121246Y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중량 검출장치
KR0135936B1 (ko) 전자레인지의 열원 제어장치
KR920002941Y1 (ko) 보온식 취반기
KR0133654Y1 (ko) 가열장치
KR200218144Y1 (ko) 전자렌지의 중량감지장치
JP3850474B2 (ja) 操作スイッチ付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