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462B1 -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462B1
KR0163462B1 KR1019950059697A KR19950059697A KR0163462B1 KR 0163462 B1 KR0163462 B1 KR 0163462B1 KR 1019950059697 A KR1019950059697 A KR 1019950059697A KR 19950059697 A KR19950059697 A KR 19950059697A KR 0163462 B1 KR0163462 B1 KR 016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lephone
data
mobile
illegal 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586A (ko
Inventor
데쯔오 하야다께
가즈야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2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6Anti-theft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l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 경로를 통하여 전화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호출이 반복적으로 개시된다. 통신 채널이 확립되도록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호출이 상기 이동 전화에 의해 수신된 때에,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괴 코드가 상기 전화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된다.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파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의 암호 데이터를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양 데이터가 매칭되는가를 판정한다. 상기 양 데이터가 매칭되었다고 판정된 때,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통신 수행에 요구되는 전화 기능 정보를 파괴시킨다.

Description

3-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를 포함하는 불법 사용자 방지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로서, 제2a도 및 제2c도는 전화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며, 제2B도는 상기 이동 전화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를 포함하는 불법 사용자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기지국 2 : 휴대용 이동 전화
3 : 전화 11 : 스위치
12, 21 : 무선 송수신기(RF부) 22 : 오디오 대역 동작부
23 : 제어부 24 : DTMF 검출기
25 : 메모리부 26, 28 : 비교기
27 : 동작부
본 발명은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상기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고나한 것이다.
현재 이동 전화 또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전화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이동 전화들이 도용되는 범죄의 수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만일 이동 전화가 도용되어 불법적으로 사용된다면,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원래 소유자에게 과다한 비용이 부과될 것이다. 따라서, 이동 전화가 도용된 때에는, 상기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셀룰러 전화가 도용된 때에 상기 이동 셀룰러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전화에 전자 잠김 코드(electronic lock code)가 제공되는 기법이 있다. 이러한 기법에서, 상기 이동 전화의 사용자는 어떤 사람에 대한 호출을 원하는 때마다 상기 잠김 코드를 해제하고 통화가 종료된 때마다 잠글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많은 사용자들은 상기 이동 전화를 잠그지 않고 사용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이동 전화가 도용된다면, 그와 같은 불법 사용을 방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술된 방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준의 방법이 많이 제안되었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가 특정 코드를 수신한 때에 상기 수신 기능을 파괴하는 방식의 기법이 일본국 특공평(JP-B-평3-69459)에 개시된다. 그 결과, 상기 수신기의 불법 사용이 방지된다. 그러나, 참조로서 말하면 상기 기법은 만일 상기 특정 코드가 잘못된 전화 번호를 사용하여 전송된다면, 상기 전화 번호를 갖는 다른 수신기의 수신 기능이 파괴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공평(JP-A-평2-196532)에는 도용된 이동 전화의 ID 번호가 무선 기지국에 등록되어 상기 도용 이동 전화로부터 호출이 수신된 때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전화 기능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데이터 삭제 신호를 계속 전송하는 기법이 개시된다. 그 결과, 다른 사람에 의한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법에서는 상기 데이터 삭제 신호가 상기 도용된 전화로부터의 호출이 수신된 때에만 전송된다. 상기 전화 기능에 요구되는 데이터는 상기 불법 사용을 방지하도록 능동적으로 삭제될 수 없다. 또한, ID 번호를 포함하는 호출이 수신된 때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된 ID 번호가 상기 기지국에 등록된 도용된 이동 전화의 ID 번호들 중의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판정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판정은 상기 기지국에 매우 과다한 부하를 준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기지국의 본연의 동작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으며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불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는 이동 전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많이 증가시키지 않으며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호출을 능동적으로 개시시킴으로써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기 위하여,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호출이 무선 경로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개시되며, 상기 호출이 통신 채널이 확립되도록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의하여 수신된 때에는 암호 데이터(cryptographic data)를 포함하는 파괴 코드(destruction code)가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된다.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파괴 코드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의 상기 암호 데이터를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preset data)와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들이 매칭되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데이터들이 매칭된 것으로 판정된 때,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전화 정보(telephone information)를 파괴한다. 상기 전화 정보는 통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정보이다.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가 파괴된 때에는, 전화 또는 기지국에 그 사실이 바람직하게 통보된다.
상기 호출은 상기 기지국의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전화의 자동 반복 기능을 사용하여 푸쉬 폰형(push phone type) 전화로부터 반복적으로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괴 코드는 입력되어 상기 전화로부터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로 전송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호출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a)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보다 작은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기지국 스위치 상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며, (b) 상기 암호 데이터와 상기 암호 데이터와 관련된 전화 번호를 판독하고, (c) 상기 판독된 암호 데이터로부터 상기 파괴 코드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발생된 파괴 코드를 상기 이동 전화로 전송하도록 상기 판독된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로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호출을 개시하며, 또 (d) 상기 트래픽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낮다고 판정된 동안 테이블에 미리 등록된 상기 암호 데이터에 대해 동작 (b) 및 (c)를 순차적으로 반복시킨다. 이러한 경우, 만일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가 파괴되었다고 상기 이동 전화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된다며, 상기 암호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전화 번호가 상기 기지국의 테이블로부터 삭제된다.
상기 호출이 상기 전화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개시된 경우, 상기 파괴 코드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신호 형식으로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는 DTMF 검출기에 의하여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데이터를 감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이루기 위하여, 불법 시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는 통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전화 정보 및 사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무선 통신 채널이 확립된 때에 파괴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의 상기 암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 데이터가 매칭되었는가를 판정하기 위한 제1부, 및 상기 양 데이터가 매칭되었다고 판정된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화 정보를 파괴시키기 위한 제2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역시 다른 특징을 이루기 위하여,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위치, 다수의 전화 번호 및 암호 데이터 집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스위치의 트래픽 부하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한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호출을 반복적으로 개시시키기 위한 파괴 명령부(destruction instructing section)로 구성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또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상기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괴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통신 채널이 확립되도록 상기 호출이 상기 이동 전화에 의하여 수신된 때 상기 이동 전화의 전화 정보가 상기 암호 데이터에 따라서 파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1), 휴대용 이동 전화(2), 및 전화(3)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기지국(1)은 무선 전송 경로 및/또는 채널에 의하여 상기 이동 셀룰러 전화(2)에, 또 회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전화에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전화(3)은 상기 무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화(3)은 푸쉬 톤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기지국(1)은 공중 전화 회선망(Public Telephone Line Network, 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스위칭 또는 교환하기 위한 스위치(11), 및 상기 스위치(11)에 접속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RF부, 12)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전화(2)는 무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1)에 접속된 안테나에 접속된 RF부(21), 상기 RF부(21)에 입력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대역 신호에 대한 변조 또는 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대역 동작부(22), 상기 이동 전화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부(22)의 출력으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암호 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DTMF 검출기(24), 상기 이동 전화의 전체 동작용 프로그램, 상기 이동 전화를 사용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상기 이동 전화의 ID 번호와 같은 전화 기능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최소한 한 부분의 파괴 동작을 개시시키는데 사용되는 암호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5), 상기 DTMF 검출기(24)로부터 출력된 상기 암호 번호를 사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 상기 암호 번호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26), 및 수자키(numeral key) 및 다양한 기능키(function key)들을 갖고 동작 신호를 외부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동작부(27)로 구성된다. 후지쯔 MB87057로부터 구입 사용 가능한 장치가 상기 DTMF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2a도 내지 제2도들은 상기 이동 전화가 도용된 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들이다.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전화(2)의 적법한 소유자로서의 사용자는 상기 이동 전화(2)가 도용되기 전에 상기 이동 전화(2)의 상기 동작부(27)로부터 암호 번호로서 상기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임의의 수자 스트링(numerical digit string)을 입력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암호 번호는 상기 제어부(23)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다. 상기 암호 번호는 상기 이동 셀룰러 폰이 도용된 때에 상기 이동 셀룰러 폰의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시키는데 사용되는 특정 번호이다.
상기 이동 전화(2)가 도용된 경우, 제2A도를 참조하면 적법한 소유자 또는 상기 적법한 소유자의 대리인과 같은 권한 있는 사람은 단계 S2에서 전화(3)으로부터 상기 이동 셀룰러 폰(2)의 상기 전화 번호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다이얼링한다. 이러한 호출이 언제나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불법 소유자가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를 턴온시키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불법 사용자가 상기 이동 셀룰러 전화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채널이 상기 전화(3)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 사이에 확립될 때까지 자동 반복 다이얼링 특징을 사용하여 상기 호출 개시를 반복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만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가 턴온되고 상기 초기 등록 동작이 단계 S4에서 완료되었다면,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는 단계 S6의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때, 만일 상기 호출이 상기 전화(3)으로부터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로 개시된다면, 상기 호출은 단계 S8에서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신되며, 이에 따라 통신 채널이 상기 전화(3)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 사이에 확립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한있는 사람은 단계 S20에서 상기 전화(3)으로부터 상기 암호 번호를 즉시 입력한다. 상기 암호 번호는 단계 S10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1)의 상기 스위치(11) 및 상기 RF부(12)를 통하여 다른 특정 데이터 비트들과 함께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무선 DTMF 신호의 형태로 전송된다. 무선 DTMF 신호의 상기 전송은 단지 상기 암호 번호에 해당하는 단지 전화(3)의 푸쉬 버튼형의 수자 키들을 동작시키므로써 간단하게 수행된다.
상기 전화(3)으로부터의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도용된 이동 셀룰러 폰(2)의 상기 RF부(21)에 의하여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는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 처리부(22)에 의하여 복조된다.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내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 비트들을 찾은 때에는 상기 부(22)가 그 사실을 상기 제어부(23)에 통보한다.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부(25)에 저장된 상기 암호를 상기 비교기(26)에 출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25)를 제어한다. 상기 DTMF 검출기(24)는 단계 S12에서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번호를 검출한다. 상기 DTMF 검출기(24)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암호 번호는 단계 S14에서 상기 비교기(26)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출력된 상기 암호 번호와 비교된다. 상기 암호 번호들이 모두 일치된 때, 상기 비교기(26)은 단계 S16에서 상기 제어부(23)에 전화 기능 데이터 파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파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의 일부분이 파괴되거나 또는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 전부가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는 상기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파괴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부(22) 및 상기 RF부(21)을 거쳐 상기 RF부(12) 및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전화(3)에 파괴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적법한 사용자는 상기 이동 전화(2)가 사용불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부(25)에 내장되어 상기 비교기(26)으로부터의 상기 파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어부(23)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참고문헌 특공평(JP-B-평3-69459)에 설명된 바와 같이, 휴즈가 파괴되도록 상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5)와 상기 제어부(23) 사이의 라인에 형성된 상기 휴즈를 통하여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방법이 데이터 파괴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메모리부(25)는 상기 제어부(23)으로부터 접속이 끊기며,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떠한 데이터도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판독될 수 없다.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시키므로써 상기 이동 전화(2) 내에서 완전하게 정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실시예의상기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에 따라서, 상기 이동 전화가 도용된 경우 상기 소유자가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에 대한 호출을 개시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호출이 수신된 때에 상기 도용되 이동 전화에 상기 암호 번호를 전송하는 것만으로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를 사용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심지어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라도, 상기 기지국의 부하를 극단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의 대부분을 점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전화 가능 데이터를 파괴시키는데 사용된 상기 암호 번호는 프로그램 및 ID 번호들이 역시 저장된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다. 그러나, 전용 저장부가 상기 암호 번호를 저장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 및 ID 번호들이 EEPROM에 저장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상기 암호 번호는 RA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셀룰러 폰의 소유자는 상기 암호 번호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불법 사용을 방지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암호 번호가 쉽게 재기입될 수 없는 PRO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3도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3도에서, 제1도에 도시된 구성소자와 동일한 구성소자들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할당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상기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상기 무선 기지국(1), 상기 휴대용 이동 셀룰러 전화(2), 및 상기 전화(3)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기지국(1)은 무선 전송 경로 및/또는 채널에 의하여 상기 이동 셀룰러 전화(2)에, 또 회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전화(3)에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전화(3)은 상기 무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무선 기지국(1)은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11),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RF부, 12), 스위치(11)의 부하 레벨이 임계 레벨보다 작은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11)의 부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13),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암호 번호 및 전화 번호와 상기 전화(3)의 전화 번호의 다수의 집합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17), 상기 테이블(17)에 등록하도록 상기 집합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출력부(I/O section, 15),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호출을 개시시켜 암호 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COM, 16), 및 상기 모니터(13), 입력/출력부(15), 테이블(17) 및 통신부(1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4)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전화(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 전화(2)는 수자키들 및 다양한 기능키들을 갖고 동작 신호를 외부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동작부(27), 무선 전송 경로에 의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1)에 접속된 안테나에 접속된 RF부(21), 상기 RF부(21)로 입력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대역 신호에 대한 변조 또는 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대역 동작부(22), 상기 이동 전화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3),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부(22)의 출력으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암호 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DTMF 검출기(24)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5)는 상기 이동 전화의 전체 동작용 프로그램만을 저장한다. 상기 이동 전화를 사용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한 상기 이동 전화의 ID 번호와 같은 전화 기능 데이터, 및 암호 번호들은 메모리부(29)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는 2개의 비교기(26 및 28)이 제공된다. 상기 비교기(26)은 상기 DTMF 검출기(24)로부터 출력된 특정 코드를 상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 특정 코드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기(28)은 상기 DTMF 검출기(24)로부터 출력된 상기 암호 번호를 상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 상기 암호 번호와 비교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동작을 제2A도 내지 제2C도 및 제4도를 참조로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2A도 및 제2C도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상기 무선 기지국(1)에 의하여 수행된다. 먼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 전화(2)의 적법 소유자와 같은 사용자는 상기 이동 전화(2)가 도용되기 전에 상기 이동 전화(2)의 상기 동작부(27)로부터 상기 암호 번호로서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임의의 수자 스트링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상기 암호 번호는 상기 제어부(23)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다. 상기 암호 번호는 상기 이동 셀룰러 폰이 도용된 때에 상기 이동 셀룰러 폰의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시키는데 사용되는 특정 번호이다. 또한, 특정 코드가 상기 이동 전화(2)의 상기 제조 프로세스 과정에서 상기 메모리부(29)에 역시 저장된다.
상기 이동 전화(2)가 도용된 때, 상기 이동 전화(2)의 적법한 소유자는 상기 무선 기지국(1)에 그 사실을 통보한다. 상기 기지국(1)의 권한 있는 사람이 상기 입력/출력부(15)로부터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상기 암호 번호 및 전화 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전화(3)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집합으로서 상기 테이블(17)에 등록시킨다.
제4도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13)은 단계 S22에서 상기 스위치(11) 상의 트래픽 부하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트래픽 부하 레벨이 임계 레벨보다 낮다고 판정된 때에, 상기 모니터(13)은 이러한 사실을 상기 제어기(14)에 통보한다. 상기 제어기(14)는 단계 S24에서 상기 통신부(16)에 전화 번호 및 암호 번호 집합을 출력하도록 상기 테이블(17)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16)은 단계 S26에서 상기 전화 번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호출을 개시한다. 상기 호출 동작은 제2A도의 단계 S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정된 시간 기간 동안 반복된다. 이는 상기 호출이 언제나 성공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가 턴온 되고 상기 초기 등록 동작이 단계 S4에서 완료되었다면,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는 단계 S6의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때, 만일 상기 호출이 상기 무선 기지국(1)로부터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개시되었다면, 상기 호출은 단계 S8에서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수신되며, 이에 따라 통신 채널이 상기 무선 기지국(1)과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 사이에 확립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통신부(16)은 암호 데이터를 발생하도록 상기 암호 번호에 상기 특정 코드를 더하여 이를 단계 S20에서 무선 DTMF 신호의 형태로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에 전송한다.
상기 무선 기지국(1)로부터의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단계 S20에서 상기 도용된 이동 셀룰러 폰(2)의 상기 RF부(21)에 의하여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는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 프로세싱부(22)에 의하여 복조된다.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 내에서 상기 특정 코드를 찾은 경우, 상기 부(22)는 이를 상기 제어기(23)에 통보한다.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29)에 저장된 상기 특정 코드 및 상기 암호 번호를 상기 비교기(26 및 28)에 각각 출력하도록 상기 메모리부(29)를 제어한다. 상기 DTMF 검출기(24)는 단계 S12에서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DTMF 신호로부터 상기 특정 코드 및 암호 번호를 검출한다. 상기 DTMF 검출기(24)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특정 코드 및 암호 번호들은 단계 S14에서 상기 비교기(26 및 28)에 공급된다. 상기 비교기(26)은 상기 특정 코드들을 서로 비교하며, 상기 특정 코드 양자가 매칭된 때에 이러한 사실을 제어부(23)에 통보한다. 또한, 상기 비교기(28)은 상기 암호 번호들을 서로 비교하며, 상기 암호 번호 양자가 매칭된 때에 이러한 사실을 상기 제어부(23)에 통보한다. 상기 일치된 사실이 상기 비교기(26 및 28)로부터 통보된 때, 상기 제어부(23)은 단계 S16에서 상기 메모리부(29)에 저장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시키도록 상기 메모리부(25)에 저장된 파괴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의 일부분이 파괴되거나, 또는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 전부가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는 상기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파괴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23)은 상기 오디오 대역 동작부(22) 및 상기 RF부(21)을 거쳐 상기 RF부(12) 및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1)에 파괴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비교기(26 및 28)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일치를 나타내지 않은 때에는, 상기 단계 S10이 다시 수행된다.
상기 무선 기지국(1)에서는, 상기 파괴 종료 신호가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통신부(16)에 수신되며, 이러한 사실이 상기 제어기(14)에 통보된다. 상기 제어기(14)는 상기 테이블(17)로부터 상기 전화(3)의 전화 번호를 판독한다. 상기 통신부(16)은 상기 스위치(11)을 통하여 상기 전화(3)에 호출을 개시하며, 상기 호출이 수신된 때에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상기 전화 기능이 파괴되었다는 사실을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적법한 소유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4)는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상기 전화 기능이 파괴되었다는 사실을 상기 입력/출력부(15)에 역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4)는 상기 테이블(17)f부터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2)의 암호 번호, 전화 번호, 및 상기 전화(3)의 전화 번호의 집합을 삭제한다.
상기 호출이 상기 단계 S26에서 개시된 후, 만일 상기 트래픽 부하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을 초과하도록 증가된다면, 상기 암호 번호 및 전화 번호의 다음번 집합에 대한 판독 동작이 상기 트래픽 부하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다시 낮아질 때까지 지연된다. 만일 상기 트래픽 부하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면, 상기 암호 번호 및 전화 번호 집합들은 호출을 개시시키도록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한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가 파괴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의 상기 기능이 무효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라 심지어 도용된 이동 셀룰러 폰의 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기지국의 부하가 크게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의 메시지 대부분을 점유하므로써 상기 네트워크의 정상 동작이 방해되는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용된 이동 전화는 RF부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번호를 검출하기 위한 DTMF 검출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적법한 소유자는 상기 도용된 이동 셀룰러 폰에 접속된 상태에 있는 푸쉬 폰으로부터 상기 암호 번호를 단지 키잉(keying)하므로써 상기 도용된 이동 셀룰러 폰의 불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를 파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이동 셀룰러 폰에 저장되기 때문에, 만일 상기 프로그램이 제어부에 의하여 진행된다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화 기능 데이터가 즉시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번호는 상기 ID 번호와 동일할 수 있다.

Claims (15)

  1.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전화 기능 정보 및 사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무선 통신 채널이 확립되었을 때에 파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의 암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므로써 상기 데이터 양자가 매칭되는가를 판정하기 위한 제1부, 및 상기 데이터 양자가 매칭되었을 때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화 기능 정보를 파괴시키기 위한 제2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기능 정보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사용 방지 기증을 갖는 이동 전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파괴 코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암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양자가 매칭되는가를 판정하기 위한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기능 정보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r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코드 신호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신호 형태이며, 상기 검출부는 DTMF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6.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호출을 반복적으로 개시하는 단계, 통신 채널이 확립되도록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의해 상기 호출이 수신될 때,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괴 코드를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가 상기 파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파괴 코드의 상기 암호 데이터와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양 데이타가 매칭되는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양 데이터가 매칭된 것으로 판정된 때에, 상기 이동 전화가 통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정보인 상기 이동 전화에 저장된 전화 가능 정보를 파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로부터 상기 전화 기능 정보 데이터가 파괴되었음을 표시하는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은 기지국의 스위치를 통하여 전화의 자동 반복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전화로부터 반복적으로 개시되며, 상기 파괴 코드는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되어 상기 전화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푸쉬 폰이고, 상기 파괴 코드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형식으로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되며,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DTMF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호출을 반복적으로 개시시키는 상기 단계는, (a)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보다 낮은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기지국 내의 스위치 상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암호 데이터 및 상기 암호 데이터와 관련된 s전화 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c) 상기 판독된 암호 데이터로부터 상기 파괴 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발생된 파괴 코드를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하도록 상기 판독된 전화 번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호출을 개시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트래픽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낮은가가 판정되는 동안에 테이블에 미리 등록된 상기 암호 데이터에 대해 상기 단계(b) 및 (c)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가 파괴되었다는 사실을 상기 이동 전화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전화 번호를 상기 기지국의 상기 테이블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코드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 형식으로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되며,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DTMF 신호로부터 상기 암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DTMF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3.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스위치, 다수의 전화 번호 및 암호 데이터 집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스위치를 통한 무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호출을 반복 개시시키며, 상기 스위치 상의 트래픽 부하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상기 암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괴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통신 채널이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하여 확립되도록 상기 이동 전화에 의하여 상기 호출이 수신된 때에 상기 암호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 전화의 전화 기능 정보가 파괴되도록 하기 위한 파괴 명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명령 수단은, 트래픽 레벨이 임계 레벨보다 낮은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상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수단, 상기 트래픽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되는 동안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다수의 암호 데이터 및 전화 번호 집합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상기 판독된 전화 번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호출을 개시시키기 위한 호출 수단, 및 상기 판독된 암호 데이터로부터 상기 파괴 코드를 발생시켜 상기 발생된 파괴 코드를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이동 전화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로부터 상기 전화 기능 정보가 파괴되었다는 사실이 통보된 때에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전화에 대한 상기 암호 데이터 및 전화 번호 집합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
KR1019950059697A 1994-12-28 1995-12-27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0163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7475A JPH08186869A (ja) 1994-12-28 1994-12-28 不正使用防止機能付き無線電話機
JP94-337475 199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586A KR960027586A (ko) 1996-07-22
KR0163462B1 true KR0163462B1 (ko) 1998-12-01

Family

ID=1830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697A KR0163462B1 (ko) 1994-12-28 1995-12-27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34978A (ko)
EP (1) EP0720400B1 (ko)
JP (1) JPH08186869A (ko)
KR (1) KR0163462B1 (ko)
CN (2) CN1069806C (ko)
DE (1) DE69534015T2 (ko)
HK (1) HK1043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946A (ja) * 1995-05-12 1996-11-22 Nec Corp Phs端末無効化方式
US5822691A (en) * 1996-05-02 1998-10-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fraudulent cellular telephone use
US5870459A (en) * 1996-11-01 1999-02-09 Ericsson Inc. Recyclable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use of a recyclable cellular telephone with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6182171B1 (en) 1997-06-06 2001-01-30 Nissan Motor Co.,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ble to in-vehicle networking architecture
US6542730B1 (en) * 1998-11-06 2003-04-01 Aeris.Net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 cellular phone
JP3621612B2 (ja) * 1999-09-09 2005-02-1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携帯電話機
FR2805116A1 (fr) * 2000-02-16 2001-08-17 Frederic Francois Margerard Dispositif pour detruire a distance un telephone portable a partir d'un telephone quelconque
JP4529233B2 (ja) * 2000-02-21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複合端末の制御方法及び複合端末装置
US6813487B1 (en) * 2000-10-18 2004-11-02 David Alan Trommel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ata stored in a remote electronic device
FR2818070B1 (fr) * 2000-12-11 2005-03-25 Sagem Procede de reglage d'un telephone mobile reglable selon ce procede
CA2737849C (en) * 2001-10-26 2017-0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7054624B2 (en) * 2002-04-02 2006-05-30 X-Cyte, Inc. Safeguarding user data stored i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6782251B2 (en) * 2002-09-26 2004-08-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los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107349B2 (en) * 2002-09-30 2006-09-12 Dange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US7181252B2 (en) * 2002-12-10 2007-02-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ecurity functions of a mobile station
US20040137893A1 (en) * 2003-01-15 2004-07-15 Sivakumar Muthuswamy Commun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security and recovery and method therfor
JP2004274310A (ja) * 2003-03-07 2004-09-3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移動端末装置
US20060281450A1 (en) * 2003-04-01 2006-12-14 X-Cyte, Inc., A Californ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afeguarding data
US20050186954A1 (en) * 2004-02-20 2005-08-25 Tom Kenney Systems and methods that provide user and/or network personal data disabling commands for mobile devices
WO2005107282A1 (en) * 2004-04-30 2005-1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storation operations on mobile devices
US8078216B2 (en) * 2004-10-13 2011-12-13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content information theft protection system
KR100606774B1 (ko) * 2004-12-31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제한 설정 방법
EP1725056B1 (en) * 2005-05-16 2013-01-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disabling a mobile device
US9160830B2 (en) * 2005-07-25 2015-10-13 Mediatek Inc.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ti-theft and auto-notification functions
CN100464613C (zh) * 2005-09-28 2009-02-25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手机自动销毁方法及其手机
CN101102376B (zh) * 2006-07-05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报警功能的通讯装置
FI121131B (fi) * 2006-09-28 2010-07-15 Erace Security Solutions Oy Lt Matkaviestimen muistisisällön hallinta
US9576157B2 (en) * 2008-04-02 2017-02-21 Yougetitback Limited Method for mitiga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 device
US8670748B2 (en) 2009-05-01 2014-03-11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US8666367B2 (en) 2009-05-01 2014-03-04 Apple Inc. Remotely locating and commanding a mobile device
US8660530B2 (en) * 2009-05-01 2014-02-25 Apple Inc. Remotely receiving and communicating commands to a mobile device for execution by the mobile device
CN101945158A (zh) * 2009-07-03 2011-01-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盗手机
US8974544B2 (en) * 2009-12-16 2015-03-1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configuration of missing mobile devices
JP5174048B2 (ja) * 2010-01-07 2013-04-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KR20140079210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톤 다중 주파수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057614A1 (en) * 2014-08-19 2016-0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n apparatus to identify a device
CN105214562B (zh) * 2015-11-10 2017-11-14 费勉仪器科技(上海)有限公司 真空原位反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725A (ja) * 1982-10-27 1984-05-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用可搬型電話機
EP0135783B1 (en) * 1983-08-18 1991-02-27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disabled on reception of a predetermined signal
DE3441724A1 (de) * 1984-11-15 1986-05-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missbrauchsverhinderung in fernmeldenetzen, insbesondere mobilfunknetzen
JPH02196532A (ja) * 1989-01-25 1990-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無線システムの盗聴防止方法とその装置
JPH0369459A (ja) * 1989-08-07 1991-03-25 S P Chem Kk 連結収納袋
JP3104880B2 (ja) * 1990-05-31 2000-10-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不正使用防止方法
US5420910B1 (en) * 1993-06-29 1998-02-17 Airtouch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aud control in cellular telephone systems utilizing rf signature comparison
US5444764A (en) * 1993-07-01 1995-08-22 Motorola, Inc. Method of providing a subscription lock to a radiotelephone system
FR2718310B1 (fr) * 1994-03-29 1996-04-26 Alcatel Mobile Comm France Dispositif d'auto-invalidation d'un terminal portatif du type radiotéléphone mobile.
US5440758A (en) * 1994-04-12 1995-08-08 Motorola, Inc. Method of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517554A (en) * 1994-07-08 1996-05-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EP0715480B1 (en) * 1994-11-29 2005-09-14 Nec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device having steal prevention function
US5600708A (en) * 1995-08-04 1997-02-0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Over the air locking of user identity modules for mobile tele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2530A (zh) 2002-01-23
DE69534015D1 (de) 2005-03-24
EP0720400A3 (en) 1999-04-21
CN1139366A (zh) 1997-01-01
KR960027586A (ko) 1996-07-22
CN1155171C (zh) 2004-06-23
HK1043449A1 (zh) 2002-09-13
CN1069806C (zh) 2001-08-15
EP0720400B1 (en) 2005-02-16
EP0720400A2 (en) 1996-07-03
DE69534015T2 (de) 2006-02-09
US5734978A (en) 1998-03-31
JPH08186869A (ja) 199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462B1 (ko) 불법 사용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및 그 기능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RE44293E1 (en) Mobile telephone terminal with improved utility
US5708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081704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GB2324004A (en) Controlling operation of a mobile radio terminal and SIM card
JP2937820B2 (ja) 携帯電話機のダイヤルロックシステム
KR100632303B1 (ko) 차량 도난 자동호출시스템
JP2970559B2 (ja) セルラの使用制限信号送受信装置
KR0183266B1 (ko) 도난방지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245442B1 (ko) 무선 호출 수신기 및 수신 방법
JPH06104812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H09312687A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4454795B2 (ja) 移動無線端末
JPS5830777B2 (ja) 移動体搭載用電話機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8326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자동 잠금 방법
KR1006067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제한 설정 방법
JP3407590B2 (ja) 通話確立方法および通話確立システム
KR100458450B1 (ko) 정보 보호용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45286A (ko) 휴대폰의 도난과 도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970000164B1 (ko)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KR20020091385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KR0121961B1 (ko) 이중 비밀 번호를 갖는 자동 응답 전화기의 구동 방법
JP2959489B2 (ja) 留守番電話サービスの暗証番号変更方法と装置
KR200400872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자동 잠금/해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