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64B1 -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64B1
KR970000164B1 KR1019930030460A KR930030460A KR970000164B1 KR 970000164 B1 KR970000164 B1 KR 970000164B1 KR 1019930030460 A KR1019930030460 A KR 1019930030460A KR 930030460 A KR930030460 A KR 930030460A KR 970000164 B1 KR970000164 B1 KR 97000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mobile wireless
message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81A (ko
Inventor
강성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164B1/ko
Publication of KR95002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등록(Registration) 상태 변화도.
제3도는 종래의 발신 상태 변화도.
제4도는 종래의 대기 모드(Idle Mode)에서의 신호처리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도용 검출시 기지국의 상태 변화도.
제6도는 본 발명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방지 신호흐름도.
제7도는 EIA 스펙에 따른 Order Message의 포맷도.
제8도는 EIA 스펙에 따른 로칼 컨트롤 코드(Local Control Code)의 포맷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오디오/논리 제어부 14 :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은 이동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시스템)에서 도용사실이 확인된 이동무선 전화기에 특정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출하여 이동무선 전화기의 고유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등 운영에 필수적인 파라미터값을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여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을 방지하도록 한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 시스템에서는 이동형 단말기마다 고유전화번호 및 전자적 일련번호를 할당하여 이들 고유번호를 근거로 무수한 단말기들과 통신을 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고주파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여 완충시키고, 변조된 송신 고주파신호를 완충시켜 상기한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토록 하는 듀플렉서(10)와, 상기 듀플렉서(10)로부터 수신한 미약한 고주파신호를 임의 레벨로 증폭하여 국부발진 주파수와 혼합하여 중간주파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중간주파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수신부(12)와, 상기 수신부(12)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시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0)로 출력함과 아울러 마이크(21)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오디오/논리 제어부(13)와,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13)에서 출력된 수신데이타와 이이피롬(17)에 저장된 해당 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프로그램 롬(15)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그 분석한 데이타를 램(16) 및 액정표시부(18)에 저장, 표시함과 아울러 기지국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오디오/논리 제어부(13)를 통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4)의 데이터를 주파수 합성부(11)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신호에 변조시키고, 그 변조된 고주파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신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키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를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무선 전화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 그리고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 메시지 처리 시스템(automatic message processing system : AMPS)의 단말기는 EIA 스펙의 호처리(Call Processing)에 규정된 프로토콜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이동무선 전화기의 신호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는 종래의 등록(Registration) 과정의 상태 변화도로서, 이동무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게되면 이동무선 단말기는 자신이 위치한 지점가운데 가장 가까운 기지국의 제어 채널(Control CH)을 검색하여 찾게 된다.
이후 자신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채널을 찾게 되면 그 채널을 통해 기지국이 송신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 모드로 전환을 하게 된다.
여기서 대기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신호처리 흐름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오버헤드 메시지 트래인(Overhead Message Train) 및 호출 메시지(Page Message)등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EIA 스펙에 의하면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무선 단말기는 페이지 메시지내에 포함된 MIN1, MIN2(제7도 참조)가 단말기내에 저장된 MIN1/MIN2와 일치하면 기지국으로 페이지 응답을 하도록 되어 있다.
대기 모드에서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무선 단말기는 상기한 EIA 규정에 의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여부를 결정하고, 이후 레지스트레이션하도록 결정되면 기지국으로 단말기의 MIN1과 MIN2 및 전자적 일련번호(ESN)를 송출하여 레지스트레이션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이 단말기의 MIN1/MIN2/ESN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상기한 이동무선 단말기로전송하여 확인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송신한 MIN1/ MIN2가 수신된 메시지에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그 확인결과 수신한 명령 메시지에 MIN1/MIN2가 들어 있을 경우에는 레지스트레이션이 성공되었음을 확인한다.
또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호출처리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한후 통화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는 단말기내에 저장된 MIN1/MIN2/ESN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받으면 단말기가 송신한 고유번호(MIN1/MIN2/ESN)등이 합법적으로 등록된 번호이가를 확인한 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초기 음성 할당 메시지(Initial Voice Channel Designation Message)를 단말기로 보내어 음성채널을 할당해 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무선 전화기는 기지국에서는 이동무선 단말기의 도용여부를 알 수 없으나 단말기는 기지국의 메시지 내용에 의해 타인에 의한 불법 도용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허가된 고유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받아야 명령 메시지를 보내준후 구체적인 서비스를 해주도록 되어 있으며, 명령 메시지내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고유번호중 MIN1/MIN2가 들어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는데 기지국으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는 타인에 의해 자신의 고유번호가 도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신이 고유번호가 도용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어 기지국으로 자신의 고유번호가 도용되고 있음을 알리게 되면, 종래에는 시스템(기지국)에서 고유번호를 삭제하고 새로운 번호를 부여하는 단수함 및 불편함으로 이를 해결하였으며, 이는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치방안이 아니라 임시방편의 도용방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시스템)에서 도용사실이 확인된 이동무선 전화기에 특정한 신호 및 데이타를 송출하여 이동무선 전화기의 고유일련번호 및 전화번호등 운영에 필수적인 파라미터값을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하여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을 방지하도록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을 제고함에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일반적인 이동무선 전화기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며 이의 작용 역시 동일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단말기의 도용여부 확인이 있게 되면 기지국은 등록된 단말기의 도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로 레지스트레이션을 요구한다.
이후 도용되고 단말기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응답을 받게 되면 해당 단말기의 고유번호(MIN1/MIN2/ESN)를 확인하여 도용여부를 인지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의 고유번호 MIN1, NIM2는 해당 단말기의 전화번호이고, 고유번호 ESN는 단말기 제조사가 부여하는 단말기 고유의 일련번호이다. 상기 고유번호는 단말기의 기지국에 대해 레지스트레이션시 기준 데이터로 사용되는 정보이다.
상기 번호는 기지국에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도용시 상기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단말기의 억세스를 허용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한 고유번호(MIN1/MIN2/ESN)를 검색한 결과 도용으로 확인되면 해당 단말기에 고유번호 삭제를 요구하는 명령 메시지를 수행하여 완성된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고유번호 삭제를 요구하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기는 내장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중 삭제 루틴을 돌려 ESN 번호를 삭제하게 된다. ESN 번호가 삭제되면 레지스트레이션 수행시 기지국이 단말기가 도용되거나 등록이 않된 것으로 판단하여 억세스를 거절하게 된다.
한편 도용되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단말기는 자신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어채널을 찾게 된다.
즉,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가까운 데이타 채널을 찾게 되는 것이다.
이후 해당 제어채널을 찾게 되면 대기 모드로 전환을 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대기모드 상태에 있을 때 상기한 기지국으로부터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레지스트레이션 수행에 따른 메시지를 송출하게 되며,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레지스트레이션 수행에 대한 오더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된 오더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여기서 수신되는 오더 메시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번호의 삭제를 요구하는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단말기는 저장된 고유번호 삭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고유번호를 삭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단말기가 시스템(기지국)의 요구에 의해 고유번호인 MIN1/MIN2/ESN을 스스로 삭제함으로써 도용된 단말기는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유번호를 삭제하게 되면 단말기는 시스템으로 오더 컨펌 메세지를 송출하여 고유번호의 삭제를 하였음을 알리고 모든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불법도용에 대한 의심을 하여 시스템(기지국)에 도용여부를 확인할 경우 시스템은 이를 확인하여 도용이면 도용한 데이타에 고유번호 삭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하게 되고, 그 메시지를 수신한 도용단말기는 내부에 저장된 고유번호 삭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도용된 고유번호를 삭제함으로써 근본적인 도용방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종래와 같이 시스템에 도용을 인지시켜 새로운 전화번호를 부여받아야 하는 불편함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채널을 검색하여 최적의 채널을 점유하고,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대기모드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레지스트레이션 수행에 대한 오더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한 데이타가 고유번호 삭제요구 데이타일 경우 내부에 저장된 고유번호 삭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고유번호를 삭제하고 오더 컨펌 메시지를 송출한 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KR1019930030460A 1993-12-28 1993-12-28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KR97000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60A KR970000164B1 (ko) 1993-12-28 1993-12-28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460A KR970000164B1 (ko) 1993-12-28 1993-12-28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81A KR950022381A (ko) 1995-07-28
KR970000164B1 true KR970000164B1 (ko) 1997-01-04

Family

ID=1937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460A KR970000164B1 (ko) 1993-12-28 1993-12-28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81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481B1 (ko) 사용자 제거가능 모듈을 구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이머전시 콜 백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9980702492A (ko) 가입자 장치의 액세스 권리 체크
JP2000165952A (ja) 携帯移動電話機及びその使用規制方法
JPH0820523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CA2035306C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970000164B1 (ko)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GB2328121A (en) A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950005630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도용검출 방법
JPH06104812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S5830777B2 (ja) 移動体搭載用電話機
KR96002008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데이터 제공방법
JP3529331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KR970001859B1 (ko) 셀룰라 단말기 도용검출 방법
JPH06284086A (ja) 携帯電話機
JPH09322229A (ja) 無線電話装置
JPH10145505A (ja) 携帯電話機を用いた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制御方法及び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制御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199900696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기 정보 삭제방법
KR100419282B1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JP2704153B2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発呼接続方法
JPH1169447A (ja) 通信機器
KR970011687B1 (ko) 셀룰라폰의 위치등록 방법
KR100241898B1 (ko) 전화기의 비밀번호 노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216238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