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82B1 -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82B1
KR100419282B1 KR10-2001-0017378A KR20010017378A KR100419282B1 KR 100419282 B1 KR100419282 B1 KR 100419282B1 KR 20010017378 A KR20010017378 A KR 20010017378A KR 100419282 B1 KR100419282 B1 KR 10041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bile phone
password
phon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608A (ko
Inventor
신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1-001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직접 출입문 개폐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첫 번째로 도아를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통화료를 부담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되며, 두 번째로,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도아 개폐 시간의 단축 및 조작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발생되며, 세 번째로, 기지국의 전계 강도에 관계없이 도아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네 번째로 출입문이 개폐되는 정보를 설정된 가족 구성원 등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어 방범의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us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직접 출입문 개폐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입문 개폐 관리 방법은 종래의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개폐 방식에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7-55876호에 개시된 무선 핸드폰을 이용한 도아의 개.폐와 위치 확인 감지 장치 및 방법이다.
위의 무선 핸드폰을 이용한 도아 개폐 기술은 무선 핸드폰을 이용하여 일정 위치에 있는 도아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핸드폰(100)을 이용하여 도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면 기지국(110)에서 이를 수신한 후에 기지국에서 도아 개폐 장치(120)를 제어하여 도아의 개폐 동작을 실행시켰다. 이에 따라서 반드시 기지국을 통해서만 무선 핸드폰을 이용하여 도아를 개폐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핸드폰을 이용한 도아 개폐 기술에 따르면 첫 번째로, 도아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통신을 실행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통화료를 부담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두 번째로,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실행한 후에 도아가 개폐되기 때문에 개폐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 번째로,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약한 지역에서는 도아의 개폐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출입문의 개폐를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출입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출입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아 개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발일 폰으로 입력되는 특정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 규격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특정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 규격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에 모바일 폰 통화시의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의 도아 폰과 통신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장치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 및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모바일 폰으로 입력되는 특정 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도아 폰 통신 모드 제어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도아 폰 통신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의 도아 폰과 통신을 실행시키는 도아 폰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모바일 폰(200)과 도아 개폐 장치(210)간에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모바일 폰(200)에 의하여 도아 개폐 장치(210)를 제어한다. 이 때 사용되는 통신 주파수로는 모바일 폰(200)에서 전화 통화 시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그러면, 세부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바일 폰(200)과 도아 개폐 장치(2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장치는 안테나(301), 듀플렉서(302), 휴대폰 통신부(303), 신호처리부(304), 스피커(305), 마이크(306), 제어부(307), 링신호 발생부(308), 표시부(309), 메모리(310), 키입력부(311) 및 도아 폰 통신부(312)를 구비한다.
위의 휴대폰 통신부(303)는 제1주파수 발생부(303a) 및 휴대폰 송/수신부(303b)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아 폰 통신부(312)는 제2주파수 발생부(112a) 및 도아 폰 송/수신부(312b)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일반적인 모바일 폰 동작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301)를 통하여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듀플렉서(302)를 경유하여 휴대폰 송/수신부(303b)에서 제1주파수 발생부(303a)에서 생성된 캐리어 주파수신호를 감산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여 복조한 후에 신호처리부(304)에 내장된 신호 검출회로에 의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7)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07)는 링신호발생부(308)를 제어하여 스피커(305)로 신호가 수신됨을 알리는 링신호를 출력시킨다. 링신호에 사용자가 응답하면 모바일 폰과 기지국 사이에 통신로가 개설되어 통화를 요청한 사용자와 통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통화 시에 듀플렉스(302)는 휴대폰 송/수신부(303)의 송신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송신신호를 안테나(301)를 통하여 출력시키고, 또한 안테나(301)를 통하여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휴대폰 송/수신부(303)의 수신회로로 분리시켜 전송하는 역할을 실행한다.
신호처리부(304)는 휴대폰 송/수신부(303b)의 수신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복호시킨 후에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복호회로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또한, 마이크(306)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및 부호화시키기 위한 부호화회로 등의 오디오 신호처리 회로들을 내장하고 있다.
표시부(309)는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각종 통화 안내 정보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실행한다.
키입력부(311)는 키패드로 구성되어 전화번호 입력 등의 각종 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310)에는 모바일 폰을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들과 전화 번호 등의 각종 사용자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아 개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러면, 이러한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키입력부(311)를 조작하여 메모리(310)에 출입문 관리에 필요한 사용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저장시킨다.
사용자가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하여 키입력부(311)를 조작하여 특정 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 제어부(307)는 입력된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의 조합이 설정된 규격에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일 예로서, 특정 버튼은 "*" 또는 #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는 4∼6자리로 설정할 수 있다. 특정 버튼을 숫자 이외의 버튼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전화 번호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이다.
제어부(307)는 입력된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의 조합이 설정된 규격에 적합한 경우에, 메모리(310)로부터 비밀번호를 읽어내어 입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비밀번호와 메모리(310)에서 읽어낸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아 폰 통신부(312)에 도아 폰 통신 모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도아 폰 통신부(312)의 제2주파수 발생부(312)를 동작시켜 도아 폰 송/수신부(312b)에 모바일 폰 통화시의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도아 폰 관리에 관련된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읽어내어, 도아 폰 송/수신부(312b)에 인가하면 제2주파수 발생부(312)에서 생성된 RF 캐리어 주파수를 합성하여 변조한 후에 듀플렉서(302)를 경유하여 안테나(01)를 통하여 도아 개폐 장치로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아 개폐 장치는 안테나(401), RF 통신부(402),제어부(403), 메모리(404) 및 도아 개폐 구동부(405)를 구비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폰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안테나(401)를 통하여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RF 통신부(402)에서 복조된 후에 제어부(403)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부(403)는 메모리(40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폰으로부터 수신된 복조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는 도아 개폐 제어신호를 생성시킨다.
그러면, 도아 개폐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도아 개폐 구동부(405)의 모터가 동작하여 입력된 도아 개폐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도아를 닫거나 열리게 한다.
만일, 도아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에는 제어부(403)는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404)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들에게 이를 알리는 도아 개폐 확인 신호를 RF 통신부(402)를 통하여 안테나(401)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회원은 가족 구성원 또는 경비 업체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흐름도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모바일 폰의 메모리에 사용자의 비밀번호(No)를 설정하여 저장한다(단계501).
다음으로, 모바일 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도아 폰 통신을 위한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를 결합하여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502).
단계502에서 입력된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의 결합이 설정된 규격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503). 즉,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의 자리수가 모바일 폰에서 요구하는 규격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한다.
단계503의 판단 결과 입력된 특정 버튼과 비밀번호의 결합이 설정된 규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된 버튼 또는 번호의 규격이 설정된 규격을 만족시키지 않는다는 안내 메시지를 모바일 폰의 표시부로 출력시키고(단계504), 만족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비밀번호(Ni)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No)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505).
단계505의 판단 결과 입력된 비밀번호(Ni)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No)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밀번호가 불일치하다는 안내 메시지를 모바일 폰의 표시부로 출력시킨다(단계506).
그러나, 단계505의 판단 결과 입력된 비밀번호(Ni)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No)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폰을 도아 폰 통신 모드로 변환시킨다(단계507). 여기에서 도아 폰 통시 모드는 모바일 폰 통화시의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시켜 출입문의 도아 폰과 통신을 실행시키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나서, 도아 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아 폰과 모바일 폰과의 통신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도아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단계508).
그리고, 도아가 개폐되는 경우에 도아 폰 또는 모바일 폰을 통하여 도아 개폐를 알리는 확인 신호를 가족, 경비 업체 등으로 설정된 회원들에게 전송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도 출입문의 개폐를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출입 관리 장치로서 도아 개폐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주차 관리, 도로 통행료 관리 등의 다양한 출입 관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시스템 등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매체도 포함한다.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예로는 전자 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ROM, 플레쉬 메모리, 이레이져블 ROM(EROM : Erasable ROM),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섬유 매체, 무선 주파수(RF) 망, 등이 있다. 컴퓨터 데이터 신호는 전자 망 채널, 광 섬유, 공기, 전자계, RF 망, 등과 같은 전송 매체 위로 전파될 수 있는 어떠한 신호도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설명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로서 이해되어 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발명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첫 번째로 도아를 개폐하기 위해서 별도의 통화료를 부담하지 않는 효과가 발생되며, 두 번째로,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도아 개폐 시간의 단축 및 조작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발생되며, 세 번째로, 기지국의 전계 강도에 관계없이 도아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며, 네 번째로 출입문이 개폐되는 정보를 설정된 가족 구성원 등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어 방범의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3)

  1. 휴대전화 통화가 가능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발일 폰으로 입력되는 특정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 규격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 결과 특정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 규격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판단 결과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모바일 폰을 휴대폰 통신 모드에서 도아폰 통신 모드로 전환시켜 모바일 폰 통화시의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로 상기 출입문의 도아 폰과 출입문 개폐 제어에 필요한 통신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상기 출입문의 도아 폰과 통신을 실행에 의하여 출입문이 개폐된 경우에는 소정의 회원에게 개폐 여부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3. 휴대전화 통화가 가능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모바일 폰으로 입력되는 특정 버튼 및 비밀번호의 조합이 초기 설정된 조합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휴대폰 통신 모드에서 도아폰 통신 모드로 전환시키고 도아 폰 통신 모드 제어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도아 폰 통신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모바일 폰 통화시의 RF 캐리어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RF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의 도아 폰과 통신을 실행시키는 도아 폰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장치.
KR10-2001-0017378A 2001-04-02 2001-04-02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41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378A KR100419282B1 (ko) 2001-04-02 2001-04-02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378A KR100419282B1 (ko) 2001-04-02 2001-04-02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608A KR20020077608A (ko) 2002-10-12
KR100419282B1 true KR100419282B1 (ko) 2004-02-19

Family

ID=2769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378A KR100419282B1 (ko) 2001-04-02 2001-04-02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767A (ko) * 2002-04-22 2003-11-01 옥윤선 이동 단말기의 송출 신호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608A (ko) 200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083B2 (en)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 with programmable transmitter
US20060212938A1 (en) Electronic device, registration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110156885A1 (e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interface device
KR101244809B1 (ko) 가입자 인식 모듈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19282B1 (ko)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문 관리 방법 및 장치
US771024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RFID technique
US5148470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having an instantaneous conversation function
KR20070072671A (ko) 근거리의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휴대폰을이용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6012143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KR100532614B1 (ko) 스마트 카드가 내장된 모바일 폰을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및 장치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US6088448A (en) Telecommunication equipment comprising a magnetic device for recognizing peripherals
KR1007709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장치
US868229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1177520A (ja) 少なくとも2つの装置間の通信をオーソライズする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3115917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KR1999006062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신단말기의 통화 잠금 및 잠금 해제 방법
JP2006054663A (ja) 携帯端末
KR20000041982A (ko) 이동전화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텔레비전 리모콘 기능 구현 방법
KR970000164B1 (ko) 이동무선 전화기의 도용 방지 방법
KR100444237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KR200334287Y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인터페이스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20050102849A (ko)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는 도어락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