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573B1 - 모니터의 절전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절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573B1
KR0162573B1 KR1019950007201A KR19950007201A KR0162573B1 KR 0162573 B1 KR0162573 B1 KR 0162573B1 KR 1019950007201 A KR1019950007201 A KR 1019950007201A KR 19950007201 A KR19950007201 A KR 19950007201A KR 0162573 B1 KR0162573 B1 KR 016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output
output voltage
uni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217A (ko
Inventor
허동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573B1/ko
Priority to US08/624,220 priority patent/US5650924A/en
Priority to CN96105746A priority patent/CN1137645A/zh
Priority to JP8079166A priority patent/JPH08289168A/ja
Publication of KR96003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절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콘덴서에 의해 평활되어 트랜스포머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 인지부와,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브리지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절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절전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에 대한 다른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각부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입력부 2 : 동기신호 인식부
3 : 제어신호 발생부 31,31' : 전원공급부
32, 32' :제어부 33,33' : 발진부
4 : 절전부
Cin, C31- C35, C41 : 콘덴서 ZD31 : 제너다이오드
D31, D32 : 다이오드 SCR : 에스씨알
R21, R22, R31- R41, R42 : 저항
Q21, Q31- Q33 : 트랜지스터
TRI : 트라이악 T21, T41 : 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절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 다이오드(BD), 콘덴서(Cin)로 구성되고,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평활되어 트랜스포머(T)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입력부(1)와, 다이오드(Do1) 및 콘덴서(Co1)로 구성되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L1)의 여자전압이 반파정류된 후 평활되어 제1부하(LD1)에 인가되는 제1출력부(2)와, 다이오드(Do2) 및 콘덴서(Co2), 레귤레이터(REG)로 구성되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2코일(L2)의 여자전압이 레귤레이팅 되어 제2부하(LD2)에 인가되는 제2출력부(3)와,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제2부하(LD2)에서 출력되는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제1출력부(2)의 출력전압이 레귤레이팅되어 제2부하(LD2)에 인가되는 절전부(4)와, 제1출력부(2)의 출력전압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되는 제어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전부(4)는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제2부하(LD2)에서 고전위 상태로 출력되는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41)의 출력전류가 제어되는 저항(R41)과, 저항(R41)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1출력부(2)의 출력전압이 제2출력부(3)의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42)와, 트랜지스터(Q42)의 출력전류가 제어되는 저항(R4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우선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전원입력부(1)의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인가되어 전파정류되고,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in)에 의해 리플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콘덴서(Cin)의 출력전압은 트랜스포머(T)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L)의 여자전압은 제1출력부(2)의 다이오드(Do1)에 의해 반파정류된다.
상기 다이오드(Do1)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o1)에 의해 평활된 후 제1부하(LD1)에 인가되어 제1부하(LD1)가 구동된다.
한편,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2코일(L2)의 여자전압은 제2출력부(3)의 다이오드(Do2)에 의해 반파정류된 후 콘덴서(Co2)에 의해 평활된다.
상기 콘덴서(Co2)의 출력전압은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되어 제2부하(LD2)의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된 후 제2부하(LD2)에 인가되어 제2부하(LD2)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출력부(2)의 출력전압은 제어부(5)에 인가되어 제1부하(LD1)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되어 트랜스포머(T)의 1차측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된다.
한편, 모니터가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되면, 트랜스포머(T)의 여자전압은 감소하게 되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제1코일(L1)의 여자전압은 제1출력부(2)의 다이오드(Do1) 및 콘덴서(Co1)을 통해 부하(LD1)에 인가되므로, 부하(LD1)의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부하(LD2)에서 고전위상태로 출력되는 모드절환신호는 절전부(4)의 트랜지스터(Q4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1)가 턴온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상태에 의해 트랜지스터(Q41)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42)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2)가 턴온상태로 스위칭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42)의 스위칭상태에 의해 제1출력부(2)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42)를 통해 제2출력부(2)의 레귤레이터(REG)에 인가되어 레귤레이팅된 후 부하(LD2)에 인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는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시에도 제2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트랜스포머가 구동되어 전력손실이 발생되며, 특히 제2부하에서 소모되는 전력보다 더 큰 전력이 트랜스포머에서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가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되면, 트랜스포머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절전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콘덴서의 의해 평활되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 인지부와,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절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콘덴서(Cin)에 의해 평활되어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입력부(1)와, 동기신호(SYN)의 입력여부가 인지되는 동기신호 인지부(2)와, 동기신호 인지부(2)의 출력신호에 의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신호 발생부(3)와, 이 제어신호 발생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절전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는 입력되는 동기신호(SYN)에 의해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21)와, 트랜스포머(T21)의 여자전압이 분배되는 저항(R21)(R22)과, 저항(R21)(R22)의 분배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1)와, 트랜지스터(Q21)의 출력전류가 제어되는 저항(R23)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어신호 발생부(3)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는 전원공급부(31)와, 동기신호 인지부(2)에서 동기신호(SYN)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고전위상태의 구동신호로 출력되는 제어부(32)와,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발진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발진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1)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평활된후 반파정류되는 콘덴서(C31) 및 다이오드(D31)(D32)와, 다이오드(D31)(D32)의 출력전압이 평활되는 콘덴서(C32)와, 콘덴서(C32)의 출력전압이 설정전압으로 안정화되는 제너다이오드(ZD3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2)는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압이 바이어스되는 저항(R31)과,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스위칭되어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출력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C33)와, 콘덴서(C33)와,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이 동기신호(SYN)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방전되어 발진부(33)의 구동이 정지되는 저항(R3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진부(33)는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R33)(R34) 및 콘덴서(C34)(C35)와, 상기 제어부(33)의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저항(R33)(R34) 및 콘덴서(C34)(C35)의 시정수를 가지는 제어신호가 발진되는 발진기(OS)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전부(4)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의 발진부(3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41)와, 트랜스포머(T41)의 여자전압이 정형되는 저항(R41) 및 콘덴서(C41)와, 저항(R41) 및 콘덴서(C41)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에스씨알(SCR)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에 있어서, 우선 모니터가 온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전원입력부(1)의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인가되어 전파정류된다.
한편, 모니터의 온모드시에는 동기신호(SYN)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동기신호(SYN)는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스포머(T21)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어 트랜스포머(T21)의 2차측 코일이 여자되고, 트랜스포머(T21)의 여자전압은 저항(R21)(R22)를 통해 분배된다.
상기 저항(R21)(R22)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2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온상태로 스위칭된다.
한편,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제어신호 발생부(3)의 전원공급부(31)의 콘덴서(C31) 및 다이오드(D31)(D32)에 인가되어 반파정류된 평활되고, 다이오드(D31)(D32)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32)에 인가되어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32)의 충전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31)에 인가되어 설정전압으로 안정화되고,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은 저항(R31)(R23)을 통해 뮤팅되므로, 트랜지스터(Q31)는 턴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즉,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31)를 통해 콘덴서(C33)에 충전되고,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문턱전압 이상이 되면, 문턱전압 이상의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발진부(33)의 발진기(OS)에 인가되어 발진기(OS)가 발진하게 된다. 그때 발진기(OS)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시정수는 저항(R33)(R34) 및 콘덴서(C34)(C35)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발진기(OS)에서 클럭의 형태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절전부(4)의 트랜스포머(T41)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어 트랜스포머(T41)의 2차측코일이 여자되고, 트랜스포머(T41)의 여자전압은 저항(R41) 및 콘덴서(C41)에 의해 정형된다.
상기 저항(R41) 및 콘덴서(C41)의 출력전압은 에스씨알(SCR)에 인가되는데, 에스씨알(SCR)의 스위칭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펄스형태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만으로도 계속 턴온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은 에스씨알(SCR)을 통해 콘덴서(Cin)에 인가되어 평활된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포머의 1차측코일에 인가된다.
한편,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가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모니터가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되면,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스포머(T21)의 여자전압이 저전위 상태이고, 저전위상태의 여자전압은 저항(R21)(R22)을 통해 분배된 후 트랜스포머(T21)에 인가되어 턴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전원공급부(31)의 콘덴서(C31) 및 다이오드(D31)(D32)에 의해 정류된 후 평활되고, 다이오드(D31)(D32)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32)에 의해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32)의 출력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31)의 설정전압으로 안정화되고, 제너다이오드(ZD31)의 출력전압은 제어부(32)의 저항(R31)을 통해 바이어스된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턴오프상태에 의해 트랜지스터(Q31)가 턴오프상태로 스위칭되므로, 트랜지스터(Q31)에서 저전위상태로 출력되는 구동신호는 콘덴서(C33)에 충전된다. 그리고,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저항(R32)을 통해 방전된다.
즉,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저항(R32)으로 방전되므로, 저전위상태로 출력되는 구동신호 발진기(OS)에 인가되어 클럭형태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발진기(OS)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트랜스포머(T41)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어 트랜스포머(T41)의 2차측코일이 저전위상태로 여자되고, 저전위상태의 여자전압은 저항(R41) 및 콘덴서(C41)를 통해 에스씨알(SCR)에 인가되어 에스씨알(SCR)이 턴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즉,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은 에스씨알(SCR)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콘덴서(Cin)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포머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의 다른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의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콘덴서(Cin)에 의해 평활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입력부(1)와, 동기신호의 입력여부가 인지되는 동기신호 인기부(2)와, 동기신호 인지부(2)의 출력신호에 의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신호 발생부(3)와, 제어신호 발생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절전부(4)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입력부(1),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제어신호 발생부(3)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안정화 되는 전원공급부(31')와, 동기신호 인지부(2)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고전위상태의 구동신호로 출력되는 제어부(32')와,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발전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발진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31')는 제2도의 전원공급부(31)와 동일하게 콘덴서(31)(C32), 다이오드(D31)(D32) 및 제너다이오드(ZD31)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2')는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바이어스 되는 저항(R31)과, 저항(R31)의 출력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C33)와,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이 분배되는 저항(R32)(R33)과, 저항(R32)(R33)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발진부(33')의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1)로 구성된다.
상기 발진부(33')는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충방전되는 저항(R34)(R35) 및 콘덴서(C34)와, 저항(R34)(R35) 및 콘덴서(34)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2)와,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충방전되는 저항(R36)(R37) 및 콘덴서(C35)와, 저항(R36)(R37) 및 콘덴서(C35)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3)로 구성된다.
상기 절전부(4)는 트랜지스터(Q33)의 출력전압이 분배되는 저항(R41)(R42)과, 저항(R41)(R42)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네거티브 성분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인가되는 트라이악(TRI)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모니터가 온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제어신호 발생부(3)의 전원공급부(31')의 콘덴서(C31) 및 다이오드(D31)(D32)에 인가되어 반파정류된 후 평활되고, 다이오드(D31)(D32)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32)에 인가되어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32)의 충전전압은 제너다이오드(ZD31)에 인가되어 설정전압으로 인정화된다.
한편,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스포머(T21)의 1차측코일에 동기신호(SYN)가 입력되면, 트랜스포머(T21)의 2차측코일의 여자전압은 고전위상태로 출력되고, 고전위상태의 여자전압은 저항(R21)(R22)에 의해 분배되며, 저항(R21)(R22)의 분배전압은 트랜지스터(Q2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온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은 제어부(32')의 저항(R31)를 통해 콘덴서(C33)에 충전되고,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상기 트랜지스터(Q21)를 통해 방전된다.
그리고,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저전위상태로 출력되고, 저전위상태의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은 저항(R32)(R33)에 의해 분배된 후 트랜지스터(Q3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1)가 턴 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은 발진부(33)의 저항(R34)(R35) 및 콘덴서(C34)를 통해 충방전되어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고, 저항(R34)(R35) 및 콘덴서(C34)의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34)에 인가되어 제4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2)의 출력신호는 저항(R36)(R37) 및 콘덴서(C35)의 충방전에 의해 제4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고, 상기 저항(R36)(R37) 및 콘덴서(C34)의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33)에 인가되어 제4도(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3)에서 출력되는 펄스형태의 제어신호는 절전부(4)의 저항(R41)(R42)를 통해 분배된 후 트랜지스터(Q41)에 인가되어 턴온상태로 스위칭되고, 트랜지스터(Q41)의 스위칭상태에 의해 고전위상태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트라이악(TRI)에 인가되어 트라이악(TRI)이 턴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즉 트라이악(TRI)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네거티브성분이 전원입력부(1)의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인가되므로 전파정류되고,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은 콘덴서(Cin)에 인가되어 평활된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포머의 1차측코일에 인가된다.
한편, 모니터가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의 트랜스포머(T21)의 1차측코일에 동기신호(SYN)가 입력되지 않으면, 트랜스포머(T21)의 구동이 정지되어 저전위상태의 여자전압이 출력되고, 저전위상태의 여자전압은 저항(R21)(R22)을 통해 분배된 후 트랜지스터(Q2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턴오프상태에 의해 제어부(32')의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이 문턱전압으로 증가하게 되고, 콘덴서(C33)의 출력전압은 저항(R32)(R33)에 인가되어 분배된 후 트랜지스터(Q3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1)가 턴온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턴온상태에 의해 발진부(33')의 저항(R33) 및 콘덴서(C34)의 출력신호가 뮤팅되므로, 발진부(33')의 발진이 정지된다.
즉, 발진부(33')의 트랜지스터(Q33)에서 펄스형태의 제어신호가 출력이 정지되고, 트랜지스터(Q33)에서 저전위 상태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트라이악(TRI)이 턴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 트라이악(TRI)의 턴오프 상태에 의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교류전원(AC)에 인가되지 않으므로, 브리지 다이오드(BD)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절전회로는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시 전원공급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해 전파정류된 후 콘덴서에 의해 평활되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의 서스팬드모드 또는 오프모드 설정시 입력되는 동기신호가 검출되는 동기신호 인지부(2)와,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제어신호 발생부(3)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절전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는 입력되는 동기신호(SYN)에 의해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21)와, 상기 트랜스포머(T21)의 여자전압이 분배되는 저항(R21)(R22)과, 상기 저항(R21)(R22)의 분배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출력전류가 제어되는 저항(R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는 전원공급부(31)와,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2)에서 동기신호(SYN)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고전위 상태의 구동신호로 출력되는 제어부(32)와, 상기 제어부(32)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발전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출력되는 발생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1)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평활된 후 반파정류 되는 콘덴서(C31) 및 다이오드(D31)(D32)와, 상기 다이오드(D31)(D32)의 출력전압이 평활되는 콘덴서(C32)와, 상기 콘덴서(C32)의 출력전압이 설정전압으로 안정화되는 제너다이오드(ZD3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압이 바이어스 되는 저항(R31)과, 상기 동기신호 인지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어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1)와, 상기 트랜지스터(Q31)의 출력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C33)와, 이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이 동기신호(SYN)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방전되어 발진부(33)의 구동이 정지되는 저항(R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33)는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R33)(R34) 및 콘덴서(C34)(C35)와, 상기 제어부(32)의 콘덴서(C33)의 충전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저항(R33)(R34) 및 콘덴서(C34)(C35)의 시정수를 가지는 제어신호가 발진되는 발진기(OS)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부(4)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41)와, 상기 트랜스포머(T41)의 여자전압이 정형되는 저항(R41) 및 콘덴서(C41)와, 상기 저항(R41) 및 콘덴서(C41)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에스씨알(SC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바이어스되는 저항(R31)과, 상기 저항(R31)의 출력전압이 충방전되는 콘덴서(C33)와, 상기 콘덴서(C33)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발진부(33')가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전원공급부(31')의 출력전압이 충방전되는 저항(R34)(R35) 및 콘덴서(C34)와, 상기 저항(R34)(R35) 및 콘덴서(C34)의 충방전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32)와, 상기 트랜지스터(Q32)의 출력신호가 충방전되는 저항(R36)(R37) 및 콘덴서(C35)와, 상기 저항(R36)(R37) 및 콘덴서(C35)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트랜지스터(Q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부(4)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의 출력전압이 분배되는 저항(R41)(R42)과, 상기 저항(R41)(R42)의 출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네거티브 성분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인가되는 트라이악(TRI)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절전회로.
KR1019950007201A 1995-03-31 1995-03-31 모니터의 절전회로 KR016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01A KR0162573B1 (ko) 1995-03-31 1995-03-31 모니터의 절전회로
US08/624,220 US5650924A (en) 1995-03-31 1996-03-29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a monitor
CN96105746A CN1137645A (zh) 1995-03-31 1996-03-31 监视器的电源装置
JP8079166A JPH08289168A (ja) 1995-03-31 1996-04-01 モニターの電源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01A KR0162573B1 (ko) 1995-03-31 1995-03-31 모니터의 절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17A KR960035217A (ko) 1996-10-24
KR0162573B1 true KR0162573B1 (ko) 1998-12-15

Family

ID=1941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201A KR0162573B1 (ko) 1995-03-31 1995-03-31 모니터의 절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5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217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251B2 (en) AC-to-DC voltage regulator
KR19980019926A (ko) 역률개선회로의 출력전압 안정화 회로
KR100241401B1 (ko) 보조 전원 공급회로
US6016259A (en) Power supply circuit
KR0162573B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JP2002119053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5650924A (en)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for a monitor
US11108330B2 (en) Circuits and methods using power supply output voltage to power a primary side auxiliary circuit
KR0162572B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EP2130413A1 (en) Method of ignition regulation of discharge lamp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allast circuit
JP200304724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022887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3499057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回路
JPS6319021A (ja) 電圧制御装置
JP200305216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S62178171A (ja) 高圧電源装置
JP2810574B2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JP5459300B2 (ja) スイッチングアンプの制御回路
JP3234348B2 (ja) 電源装置
JP560535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制御回路
JP5454560B2 (ja) スイッチングアンプ
JP2001077634A (ja) オーディオパワーアンプ装置
JPH07154965A (ja) Pwm制御回路
KR930004818Y1 (ko) 수평 스타트 회로 제어장치
KR100370057B1 (ko) 전압공급 스위칭을 위한 스탠바이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