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214B1 -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214B1
KR0162214B1 KR1019950000702A KR19950000702A KR0162214B1 KR 0162214 B1 KR0162214 B1 KR 0162214B1 KR 1019950000702 A KR1019950000702 A KR 1019950000702A KR 19950000702 A KR19950000702 A KR 19950000702A KR 0162214 B1 KR0162214 B1 KR 016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signal
data
error
digi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089A (ko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214B1/ko
Publication of KR96002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탈기록장치는 기록매체상의 기록패턴에 맞도록 동기신호, ID신호,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삽입하기 위한 기준신호가 되는 기준타이밍을 발생시키는 타이밍신호발생부와, 이 기준신호에 대하여 에러정정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타이밍신호처리부, 및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원래의 타이밍신호와 타이밍신호처리부에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를 비교하여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를 검출하는 비교검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래의 타이밍신호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에러정정을 통하여 복원하므로써 동기삽입구간에 정확하게 동기신호를 삽입할 수 있어 데이타재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테이프기록패턴을 나타낸 상태도.
제2도는 테이프상의 데이타 기록형태를 나타낸 상태도.
제3도는 종래 디지탈 VCR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VCR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비교검출부의 동기삽입타이밍결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제4도에서 디지탈 변조부의 상세구성을 보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타이밍신호발생부 40 : 타이밍신호처리부
41 : 병렬-직렬변환기 43 : BCH부호화부
45 : BCH복화화부 47 : 직렬-병렬변환기
30, 49 : 지연조정부 50 : 비교검출부
60 : 디지탈변조부 61 : 동기삽입기
63 : 랜덤기 65 : 변조기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신호에 대한 디지탈데이타를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디지탈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확한 재생을 위해 기록시에 동기신호를 해당구간에 에러없이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용 디지탈 VCR의 개발과 아울러 민생용 디지탈 VCR의 개발이 한창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디지탈 VCR에서 동기신호는 아날로그 VCR에 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날로그 VCR에서는 연속적으로 신호가 기록되므로 노말재생(normal play)이나 트릭재생(trick play)을 불문하고 재생되는 신호 자체가 연속적이어서 재행하는 데 동기신호가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디지탈 VCR에서는 테이프에 기록되는 데이타패턴 자체가 0과 1의 이진형태이고 또한 선두에 동기신호로 시작되는 동기블럭(sync block)단위로 기록되므로 재생시의 최소단위도 동기블럭이 된다. 만약, 기록시에 동기블럭단위로의 기록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재생시 그 동기블럭내에 존재하는 데이타는 모두 소실되어 화질열화를 초래한다. 더구나, 데이타를 압축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에러전파가 일어나므로 화질열화의 정도가 더 심해진다. 따라서, 재생시에 동기블럭을 정확히 검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록시에 동기신호를 에러없이 삽입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래의 디지탈 VCR에서 기록시의 동기삽입에 대한 기술을 제3도를 통해 언급한다. 언급하기에 앞서, 제1도에 도시된 대표적인 테이프 기록패턴 및 제2도에 도시된 테이프상의 데이타 기록형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제1(a)도와 같이 1트랙내에는 트랙선단에 기록되며, 트랙단위로 동기를 맞추기 위한 트랙프리엠블(Track Preamble) T가 존재한다. T를 이어서는 포스트엠블(Postamble) P 및 트랙내 프리엠블(In-Track Preamble) E가 교번적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T와 P 및 E는 정해진 패턴대로 이진데이타가 기록된다. T와 첫 번재 P 사이에는 음성데이타가 기록되는 오디오섹터(AUDIO SECTOR)가 위치한다. P와 E사이에는 오디오 내지 비디오섹터들간을 구별하기 위해 일정구간 데이타기록이 없는 에디트 갭(EDIT GAP)이 위치한다. E와 두 번째 P 사이에는 다시 음성데이타가 기록되는 오디오섹터가 위치하며, 그 다음 E와 P 사이에는 영상데이타가 기록되는 비디오섹터(VIDEO SECTOR)가 위치한다. 다음의 연속되는 2개의 E와 P 사이에는 다시 음성데이터가 기록되는 오디오섹터가 위치한다.
제1(b)도에 보여진 바와 같은, 오디오섹터(AUDIO SECTOR)는 정수개의 동기블럭(SYNC BLK)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동기블럭(1 SYNC BLK)은 동기부분(SYNC), 몇번째 동기블럭인지를 나타내는 식별부분(ID), 음성데이타부분(DATA), 그리고 에러체크를 위한 패리티부분(PARITY)으로 구성된다. 비디오섹터(VIDEO SECTOR)도 정수개의 동기블럭(SYNC BLK)으로 이루어진다. 이 동기블럭(SYNC BLK)도 동기부분(SYNC), 몇번째 동기블럭인지를 나타내는 식별부분(ID), 영상데이타부분(DATA), 그리고 에러체크를 위한 패리티부분(PARITY)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오디오섹터 및 비디오섹터(VIDEO SECTOR) 선두에 트랙 및 트랙내 프리엠블 T 및 E을 각각 삽입시키는 이유는 재생시 위상동기루프(PLL)의 비트동기(bit synchronization)를 맞추기 위함이다. 이렇게 비트단위의 동기가 맞추어지면 다음으로 각 동기블럭안에 있는 동기신호로 워드단위의 동기를 맞추어 이로부터 식별, 영상 내지 음성데이타 및 패리티부분의 워드단위 데이타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워드단위로의 동기의 기준이 되는 동기 신호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제1(b)도의 각 동기블럭내의 구성부분에 대응하는 0, 12, 34, 7, 9 등은 후술할 16진수의 타이밍신호를 나타낸다.
제2도는 테이프상의 데이타 기록형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오디오 트랙상에는 펄스코드변조(PCM)된 4채널 음성데이타(A1∼A4)가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되며, 노말트랙상에는 2채널 영상데이타(CH0, CH1)가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기록패턴에 근거하여 디지탈데이타를 올바르게 기록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소정의 타이밍신호를 참조하여 그 타이밍신호에 맞게 데이타를 삽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 예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
제3도는 종래 디지탈 VCR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일반적인 시스템이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A/D변환부(11)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를 샘플링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한다. A/D변환부(11)의 출력단에 연결된 데이타압축부(12)는 영상데이타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매크로블럭단위로 압축한다. 데이타압축부(12)의 출력단에는 에러정정 외부호화부(error correction outer coding ; 13)가 연결되어 입력된 영상데이타에 군집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외부호비트를 추가하여 부호화한다. 에러정정 외부호화부(13)의 출력단에는 인터리버(14)가 연결되어 부호화된 영상데이타를 랜덤하게 뒤섞어 출력한다.
한편, 아날로그 음성신호(AUDIO)를 샘플링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또 하나의 A/D변환부(15)는 셔플링부(shuffling ; 16)에 연결되고, 이 셔플링부(16)는 에러가 집중되지 않도록 음성데이타를 서로 뒤섞는다. 셔플링부(16)의 출력단에는 에러정정 외부호화부(17)가 연결되어 입력된 음성데이타에 군집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외부호비트를 추가하여 부호화한다. 에러정정 외부호화부(17)의 출력단에는 블럭셔플링부(18)가 연결되어 전단의 셔플링부(16)와는 달리 일정한 규칙에 의해 부호화된 음성데이타를 랜덤하게 뒤섞어 출력한다.
또한, ID처리부(19)는 발생된 ID신호를 뒷단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제1(b)도와 같이 각 동기블럭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타들과 각 엠블들이 정해진 테이프 기록패턴에 일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발생부(20)는 제1(b)도에 16진수(hexa)로 나타낸 각 구간의 타이밍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는 인터리버(14)와 블럭셔플링부(18) 및 ID처리부(19)로 입력되어 읽기인에이블신호로 이용된다. 인터리버(14)와 블럭셔플링부(18) 및 ID처리부(19)는 타이밍신호발생부(20)로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타 및 ID데이타를 각각 출력한다. 인터리버(14)는 영상데이타를 출력함과 아울러 타이밍신호를 제1지연기(21)로 전달한다. 제1지연기(21)는 인터리버(14)를 거쳐 입력된 타이밍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한다.
데이타삽입부(22)는 인터리버(14)와 블럭셔플링부(18) 및 ID처리부(19)에서 출력된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 및 ID데이타를 입력받고, 제1지연기(21)에서 출력된 타이밍신호를 입력받는다. 데이타삽입부(22)는 타이밍신호를 기준으로 데이타를 정해진 패턴에 맞도록 삽입한다. 즉, 타이밍신호가 0이면 각 엠블신호를 삽입하고, 34이면 ID신호, 7이면 음성데이타를, 9이면 패리티를 삽입하며, 12이며 동기가 삽입될 자리임을 알고 해당되는 바이트만큼만 공간을 확보해 두게 된다. 제2지연기(23)는 제1지연기(21)로부터 인가되는 일정시간만큼 지연된 타이밍신호를 다시 일정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한다.
에러정정 내부호화부(error correction inner coding ; 24)는 데이타에 불규칙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내부호비트를 덧붙여 부호화한다. 즉, 에러정정 내부호화부(24)는 데이타삽입부(22)에서 출력된 데이타와 제2지연기(23)에서 출력된 타이밍신호를 입력받는다. 에러정정 내부호화부(24)에서는 입력된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데이타중 영상 및 음성데이타에 대해서만 내부호 패리티비트를 추가하여 2차로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지연기(25)는 제1 및 제2지연기(21, 23)를 차례로 거치면서 일정시간만큼씩 지연된 타이밍신호를 다시 일정시간만큼 지연하여 출력한다.
에러정정 내부호화부(24)와 제3지연기(25)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변조부(26)는 입력된 타이밍신호가 16진수로 12가 되면 부호화된 데이타에 기존에 포함된 동기신호와는 다른 동기신호를 삽입하고, 반송파를 변조시킨다. 변조부(26)에서 변조된 신호는 테이프에 기록되도록 뒷단의 기록계로 입력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가 다수의 지연기를 거치면서 에러가 일어날 확률이 높고 이 에러가 동기신호삽입구간을 알려주는 타이밍신호인 12에 일어나면 실제로 동기신호삽입구간이 아닌 다른 구간에 동기신호가 삽입되게 된다. 그러면 잘못 삽입된 동기신호는 재생시 그대로 추출되므로 데이타재생에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생된 타이밍신호에 대한 에러정정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타이밍신호와 본래의 타이밍신호를 비교하여 기록시에 동기신호가 잘못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는, 기록매체상에 정해진 기록패턴에 근거하여 디지탈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디지탈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패턴에 맞게 디지탈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발생부와,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대한 에러정정 부호 및 복호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신호처리부와,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삽입하여 출력하는 데이타삽입부와,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원래의 타이밍신호와 상기 타이밍신호처리부에서 발생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여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를 검출하는 비교검출부, 및 상기 데이타삽입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데이타에 상기 비교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삽입타이밍신호에 맞추어 동기신호를 삽입하고, 기록가능형태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디지탈변조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VCR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4도에 나타낸 디지탈 VCR은 제3도의 종래 디지탈 VCR에 대한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특징부분을 포함하는 일부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본 발명의 디지탈 VCR은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에 대한 에러정정부호 및 복호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신호처리부(40)를 구비한다. 타이밍신호처리부(40)는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된 병렬 타이밍신호를 직렬데이타형태로 변환하는 병렬-직렬변환기(41)와, 병렬-직렬변환기(41)에서 출력된 직렬 타이밍신호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BCH부호로 부호화하는 BCH부호화부(43)로 이루어진다. 타이밍신호처리부(40)는 또한, BCH부호화부(43)에서 부호화된 타이밍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BCH복화화부(45)와, BCH복화화부(45)에서 출력되는 직렬 타이밍신호를 병렬데이타형태로 변환하는 직렬-병렬변환기(47)로 이루어진다. 직렬-병렬변환기(47)의 출력단에는 제2지연조정부(49)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4도의 디지탈 VCR은 또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와 원래의 타이밍신호를 비교하여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를 결정하는 비교검출부(50)를 구비한다. 비교검출부(50)는 BCH복호화부(45)로부터 플래그정보를 인가받도록 연결된다. 비교검출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된 디지탈 변조부(60)에 대한 상세구성은 제6도를 통해 후술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4도의 디지탈 VCR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4도에서, 부호화된 영상데이타의 버스트에러(burst error)를 랜덤에러(random error)로 변환하는 인터리버(14)는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를 읽기인에이블신호로 인가받는다. 인터리버(14)는 입력된 타이밍신호를 제1지연기(21)로 출력하고, 그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인터리빙된 영상데이타를 데이타삽입부(22)로 출력한다. 부호화된 음성데이타의 버스트에러를 랜덤에러로 변환하는 블럭셔플링부(18)도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를 읽기인에이블신호로 인가받는다. 블럭셔플링부(18)는 입력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셔플링된 음성데이타를 데이타삽입부(22)로 출력한다. 발생된 ID신호를 데이타삽입부(22)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ID처리부(19)는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를 읽기인에이블신호로 인가받는다. ID처리부(19)는 입력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ID데이타를 데이타삽입부(22)로 출력한다.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는 타이밍신호처리부(40)로도 공급된다. 여기서, 타이밍신호는 임의의 4비트로 나타낸다. 타이밍신호처리부(40)의 병렬-직렬변환기(41)는 입력된 4비트단위의 병렬 타이밍신호를 직렬형태로 변환한다. 직렬 타이밍신호는 BCH부호화부(43)로 공급된다. BCH부호화부(43)의 코드방식은 다수의 에러정정을 가능하게 하는 해밍코드의 일반화된 코드방식이다. 이 코드방식은 부호길이, 코드율, 자형크기 그리고 정정이 가능한 에러의 갯수인 에러정정능력(error-correcting capability)에 관한 광범위한 선택을 제공하는 강력한 순환코드 방식에 속한다. BCH부호화부(43)의 코드구성은 (14, 4)의 단축BCH부호이다. 이것은 원래 부호길이(n)가 15인 3중 에러정정능력(t)을 갖는 (n=15, k=5)의 BCH부호중에서 정보비트(k) 5에서 하나를 빼는 것으로 가능하다. (14, 4)에 대한 단축 BCH코드들의 구성은(a3, a2, a1, a0, c9, c8, c7, c6, c5, c4, c3, c2, c1, c0)가 된다. 여기서, a3∼a0는 입력되는 정보에 해당되며, c9∼c0는 패리티에 해당된다. 그럼, 이를 위한 BCH에러정정부호의 생성다항식 g(X)는 다음 하기 식 1이 된다.
g(X) = X10+ X8+ X5+ X4+ X + 1 …… 식 1
상기 식 1에 나타낸 다항식에 의해 BCH부호화부(43)에서 생성된 BCH코드는 별도의 전송로를 거친 후 BCH복호화부(45)로 전달된다. BCH복호화부(45)는 수신받은 BCH코드에 대한 BCH복호를 수행한다. BCH복호화부(45)는 전송로에서 보내진 부호어에 대하여 신드롬(syndrome)을 구한다. 신드롬은 생성다항식의 근들을 수신된 데이타의 다항식에 대입하였을 때 계산되는 값으로, 수신된 데이타가 부호어인 경우 모든 신드롬이 0이 되고 에러가 발생하여 수신된 데이타가 부호어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드롬이 0이 되지 않는다. BCH복호화부(45)는 이 신드롬들을 토대로 하여 에러의 갯수와 위치를 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된 부호어가 ci이고, 채널잡음에 의해 발생된 에러벡터를 ei라 하면 수신된 부호어는 r=ci ei이다. 수신된 부호어 r은 알고 있으므로, 신드롬 s(=rHT=eiHT)로부터 에러벡터 ei를 계산할 수 있다. 에러벡터 ei에서 1은 그 위치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을 가리키며 0은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또한, 에러벡터 ei안의 1의 총수가 에러의 갯수가 된다. BCH복호화부(45)는 에러의 갯수에 상응하는 플래그(FLAG)를 비교검출부(50)로 공급하고, 에러위치에 상응하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는 직렬-병렬변환기(47)에 의해 병렬데이타형태로 변환된 후, 제2지연조정부(49)에 의해 원래의 타이밍신호와 지연을 일치시킨다.
한편, 제1지연기(21)는 인터리버(14)를 통과한 타이밍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한 후 데이타삽입부(22)와 제2지연기(23)로 각각 공급한다. 데이타삽입부(22)는 입력된 타이밍신호의 16진수데이타에 따라 인터리버(14)와 블럭셔플링부(18) 및 ID처리부(19)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 및 ID데이타를 해당 구간에 삽입하여 데이타배열을 한다. 제2지연기(23)는 제1지연기(21)를 통과한 타이밍신호를 다시 일정시간 지연한 후 에러정정 내부호화부(24)와 비교검출부(50)로 각각 공급한다. 에러정정 내부호화부(24)는 입력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내부호 패리티비트를 데이타삽입부(22)로부터 인가된 데이타중 영상 및 음성데이타에만 추가시킴으로써 2차로 부호화한다. 부호화된 데이타는 제1지연조정부(30)로 인가된다.
비교검출부(50)는 제2지연기(23)를 통과한 본래의 타이밍신호(A)와 타이밍신호처리부(40)를 통과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를 입력받고, BCH복호화부(45)에서 보내온 플래그(FLAG)를 입력받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계를 수행한다.
제5도는 제4도에서 비교검출부(50)의 동기삽입타이밍결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검출부(50)는 먼저, 제2기연기(23)를 통과한 본래의 타이밍신호(A)와 타이밍신호처리부(40)를 통과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를 입력받는다(단계 101). 타이밍신호입력단계(단계 101)에서 입력된 두 타이밍신호(A, B)가 서로 같은지를 비교한다(단계 102). 타이밍신호비교단계(단계 102)에서 두 타이밍신호(A, B)가 같으면 두 타이밍신호중 임의의 하나를 출력한다(단계 103). 즉, 본래의 타이밍신호(A)를 출력하거나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를 출력하여도 상관없다. 타이밍신호비교단계(단계 102)에서 두 타이밍신호(A, B)가 같지 않으면 BCH복호화부(45)로부터 인가된 플래그(FLAG)를 통해 에러갯수가 기설정된 임계치이상인지를 체크한다(단계 104). 임계치는 일반적으로 에러정정능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여기서는 3으로 정한다. 에러정정능력( t)이 3인 경우 에러의 갯수가 2이면 확실하게 에러정정이 되지만 3이만 확실하지 않게 된다. 에러갯수체크단계(단계 104)에서 에러갯수가 3 이상이면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는 믿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본래 타이밍신호(A)를 선택하여 동기신호삽입을 위한 타이밍신호로 출력한다(단계 105). 에러갯수체크단계(단계 104)에서 에러갯수가 3 미만이면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를 믿을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래 타이밍신호(A) 대신에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B)를 선택하여 동기신호삽입을 위한 타이밍신호로 출력한다(단계 106). 비교검출부(50)에서 선택된 타이밍신호는 디지탈 변조부(60)로 입력된다. 디지탈 변조부(60)는 제6도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제6도는 제4도에서 디지탈 변조부(60)의 상세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변조부(60)는 제1지연조정부(30)와 비교검출부(50)의 출력단 사이에 동기삽입기(61)가 연결되어 입력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지연조정된 데이타에 동기신호를 삽입한다. 이처럼 타이밍신호발생부(20)에서 발생한 타이밍신호에 대하여 전송로에서 에러가 일어나더라도 에러정정을 통하여 그 신호를 복원할 수 있으므로 동기삽입구간이 아닌 구간에 동기신호가 삽입되는 오류를 막게 된다. 동기삽입기(61)의 출력단에 연결된 랜덤기(randomizer ; 63)는 동기신호가 삽입된 데이타중 동기신호부분을 제외한 데이타부분만을 랜덤하게 섞어 출력한다. 랜덤기(63)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변조기(65)로 인가되어 디지탈 변조시킨다. 변조된 데이타는 테이프에 기록될 수 있도록 기록계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는, 테이프기록패턴에 맞도록 동기신호, ID신호,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해당구간에 삽입시키는 타이밍신호의 에러로 인하여 잘못 삽입될 수 있었던 종래에 대해서 타이밍신호의 에러정정과정을 통해 그 문제점을 해소하므로써 디지탈 VCR등의 디지탈 기록장치에서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시 정확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기록매체상에 정해진 기록패턴에 근거하여 디지탈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디지탈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패턴에 맞게 디지탈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발생부 ;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대한 에러정정 부호 및 복호를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신호처리부 ;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와 음성데이타 및 식별데이타를 상기 타이밍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타이밍신호에 맞추어 삽입하여 출력하는 데이타삽입부 ;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원래의 타이밍신호와 상기 타이밍 신호처리부에서 발생된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여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를 검출하는 비교검출부 ; 및 상기 데이타삽입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데이타에 상기 비교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삽입타이밍신호에 맞추어 동기신호를 삽입하고, 기록가능형태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디지탈변조부를 포함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신호처리부는 상기 타이밍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일정비트단위 병렬 타이밍신호를 직렬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병렬-직렬변환기 ; 상기 병렬-직렬변환기에서 출력된 직렬 타이밍신호를 에러정정하기 위해 BCH부호로 부호화하여 일정한 전송로를 통해 전송하는 BCH부호화부 ; 상기 전송되는 BCH부호로 부호화된 타이밍신호를 수신받아 타이밍신호의 에러를 정정하기 위해 복호를 수행하는 BCH복호화부 ; 및 상기 BCH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직렬 타이밍신호를 병렬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직렬-병렬변환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CH복호화부는 BCH부호로 부호화된 타이밍신호에 대하여 발생된 에러의 갯수를 구하여 상기 비교검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출부는 원래의 타이밍신호와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를 비교하여 두 타이밍신호가 같으면 두 타이밍신호중 어느 하나를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로 출력하고, 두 타이밍신호가 같지 않으면 상기 BCH복호화부로부터 인가된 에러갯수와 임계치를 비교하여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출부는 입력된 에러갯수와 기설정한 임계치를 비교하여 에러갯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원래의 타이밍신호를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로 출력하고, 에러갯수가 임계치 미만이면 에러정정된 타이밍신호를 필요한 동기삽입타이밍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검출부에 설정된 임계치는 상기 BCH부호상에서 에러정정능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변조부는 상기 비교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타이밍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타삽입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데이타의 동기구간에 동기신호를 삽입하는 동기삽입기 ; 상기 동기삽입기에서 출력된 디지탈데이타를 랜덤하게 섞어 출력하는 랜덤기 ; 및 상기 랜덤기에서 출력된 디지탈데이타를 기록매체에 기록되도록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KR1019950000702A 1995-01-17 1995-01-17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KR016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702A KR0162214B1 (ko) 1995-01-17 1995-01-17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702A KR0162214B1 (ko) 1995-01-17 1995-01-17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89A KR960029089A (ko) 1996-08-17
KR0162214B1 true KR0162214B1 (ko) 1998-12-15

Family

ID=1940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702A KR0162214B1 (ko) 1995-01-17 1995-01-17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2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89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35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igital information words by error-correction encoding
US4447902A (en) Error-correction format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JP3464440B2 (ja) 無線赤外線デジタ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970002194B1 (ko) 디지탈데이터기록방법 및 그 장치
US4403263A (en) System for processing audio PCM digital signals
JPH0250547B2 (ko)
DK151742B (da) Kode- og korrektionskredsloeb til en enkeltsporet digital lydoptager
GB2077467A (en) Processing digital signals
US43800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rs in PCM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920006997B1 (ko) 디지탈데이터변복조회로와 디지탈데이터변조방법
KR0162214B1 (ko) 에러없는 동기삽입을 위한 디지탈기록장치
US637764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gital data record/replay device
CA11525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rs in pcm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7327818B2 (en) Sync patter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207628B1 (ko) 디지탈 신호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에러제어방법 및 장치
JPS6150538B2 (ko)
JPS6052505B2 (ja) Pcm信号復調装置
JP3259359B2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2643132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0178751B1 (ko) Id신호보호방법 및 그장치
KR100223877B1 (ko) 에이치디티브이(hdtv)와 디브이티알(dvtr) 인터페이스 시스템
US6966025B2 (en) D/A conversion apparatus, decoder, and tape drive
KR100290867B1 (ko) 디지털데이터기록/재생시스템의아이디코드보정장치및방법
JP3275517B2 (ja) 再生装置
JPH0917132A (ja) 記録装置と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