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718B1 - 조립식 건축공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718B1
KR0161718B1 KR1019940014604A KR19940014604A KR0161718B1 KR 0161718 B1 KR0161718 B1 KR 0161718B1 KR 1019940014604 A KR1019940014604 A KR 1019940014604A KR 19940014604 A KR19940014604 A KR 19940014604A KR 0161718 B1 KR0161718 B1 KR 016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concrete
concrete panel
panel
channel member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367A (ko
Inventor
민병호
Original Assignee
민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호 filed Critical 민병호
Priority to KR101994001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718B1/ko
Publication of KR96000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 건축에 필요한 자재, 와 구조부위 및 경량판넬을 표준화하여 공장에서 주문 생산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찬넬부재를 이용하여 경량콘크리트 판넬을 연속하여 조립하므로서 구조체와 마감을 동시에 해결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량 철강 찬넬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를 판넬의 각 가장자리에 미리 형성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을 마련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어진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연결부를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철강재 등의 연결수단을 고정하여 건물의 기둥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설치된 연결수단인 찬넬부재 내측으로 소정의 마무리부재를 고정 조립시키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설치한 판넬에 수평으로 형성된 연결부에 찬넬부재를 설치 고정함으로서 건물의 보를 형성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축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공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조립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조립을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에 문틀을 설치함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한 코너부 설치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수직 적층시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건축에 필요한 자재 및 경량판넬을 표준화 한 철골 경량 판넬을 공장에서 주문 생산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건축공법은 PC조립식 공법, 또는 경량 조립식 철골구조나 조적공법을 적용하여 저층주택이나 빌딩을 건축하고 있다.
상기한 PC조립식 건축공법은 원하는 형태를 일체로 공장에서 몰드를 이용제작하는데, 비중이 무거워 중장비 없이는 시공의 불가능한 문제점과 아울러, 가변성과 재활용율이 부족한 문제점 등이 있다.
상기한 경량 조립식 철골 구조 공법은 내화성이 콘크리트에 비해 약하고 다른 재료와의 결합없이 사용이 곤란하고 경제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조적공법중 경량 기포 콘크리트(ALC)블럭을 사용한 공법은 시멘트에 기포제가 함유되어 있어 물과 접속하여 기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비중이 작아 고층 건물의 경량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투입인력이 절감되는데, 블럭이나 판넬로 성형시 벽돌이나 블럭 여러장의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시공효율이 좋아진다.
그러나 초기 흡수성이 높아 현장관리의 불량에 의해 습기를 다량 함유하게 될 경우 경로현상이 유발되고, 강도가 타재료에 비해 약하여 시공상태에 따라서는 주택의 품질에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 건축에 필요한 자재와 구조부위 및 경량판넬을 표준화하여 공장에서 주문 생산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찬넬부재를 이용하여 경량콘크리트 판넬을 연속하여 조립하므로서 구조체와 마감을 동시에 해결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량 철강 찬넬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를 판넬의 각 가장자리에 미리 형성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을 마련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얻어진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연결부를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철강재 등의 연결수단을 고정하여 건물의 기둥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설치된 연결수단인 찬넬부재 내측으로 소정의 마무리부재를 고정 조립시키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설치한 판넬에 수평으로 형성된 연결부에 찬넬부재를 설치 고정함으로서 건물의 보를 형성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축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찬넬부재를 경량 콘크리트 판넬에 볼트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ㄴ자형, ㄷ자형, I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마무리부재는 찬넬부재 설치부위 및 코너부위에 마감면 처리를 위하여 경량 콘크리트 판넬 또는 보드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축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찬넬부재는 필요에 따라 ㄴ자형, ㄷ자형, I자형의 찬넬부재 둘레 또는 내부에 단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재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축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저층주택 또는 빌딩을 건축할 때 내, 외벽에 쓰이도록 공장에서 일정크기로 제조 생산된 경량 콘크리트 판넬들의 각 가장자리에 연결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장착면에 일정 형상의 찬넬부재를 이용하여 상, 하 또는 좌, 우로 설치되도록 경량 콘크리트 판넬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므로서 주택의 내, 외벽이 시공되는 공법이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은 시공자의 주문시 설계 도면을 보고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수요를 구조적 계산에 의하여 공장에서 제조하게 되는데 제조할 때 미리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생산하도록 함으로서 조립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에 형성된 연결부의 장착면에는 제작시 공장에서 장착공을 미리 형성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은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들을 이용하여 주택 등을 건축하기 위하여는 설계도면에 의해 완료된 기초 위에 일렬 또는 직각으로 설치하여 필요에 의한 공간 나눔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연결부를 마주하도록 한 다음 찬넬부재를 상호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하므로서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에 문틀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공장에서 제작될 때 일측은 연결부를 형성하지 않았고 그 표면에 돌출되도록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장착부재를 박아 제작 생산하여 현장에서 쉽게 문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코너부위에서는 판넬에 미리 부착된 기둥용 찬넬부재와 함께 일정한 치수로 절개된 경량 콘크리트 판넬 또는 보드류를 이용하여 작업을 마감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조립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 콘크리트 판넬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부호(1)은 경량 콘크리트 판넬을 지칭한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공법은 ㄷ자형 또는 ㄴ자형 등으로 형성된 찬넬부재(2)가 미리 공장에서 장착되는 연결부(3)를 각 가장자리에 형성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을 마련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얻어진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의 연결부(3)에 와셔(4)를 덧대어 볼트(5) 또는 용접등의 연결수단으로 경량 콘크리트 판넬(1)들을 고정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설치된 연결부(3) 내측으로 소정의 마무리부재(6)를 고정 조립시키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 완료후 경량 콘크리트 판넬(1)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3)에 찬넬부재(2)를 수평으로 부착하여 건물의 보 기능을 하게 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찬넬부재(2)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볼트(5) 또는 스크류(7)등으로 미리 고정하고, 경량 콘크리트 판넬(1)들을 연결 설치할 때 ㄴ자형, ㄷ자형, I자형 등의 찬넬부재(2)를 볼트(5) 또는 용접으로 상호 결합하며, 내측에 노출 부위 또는 코너부위에 판넬 또는 보드 등의 마무리부재96)를 이용 작업을 마감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찬넬부재(2)는 필요에 따라 ㄴ자형, ㄷ자형, I자형으로 찬넬부재(2) 둘레 또는 내부에 연결부(3)의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재(8)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제4도 참조)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경량기포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각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3)에 기둥용 찬넬부재(2)가 공장에서부터 장착되고 있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형성된 연결부(3)의 찬넬부재(2) 장착면(9)에 형성된 장착공(10)에 일정한 형태를 한 와셔(4)를 체결공(11)과 맞춘다음 볼트(5)로 조여 찬넬부재(2)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건물의 기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찬넬부재(2)가 고정되기 때문에 이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므로 기둥과 같이 하중에 견디는 작용을 하게된다. 또는 철판조각(4),(12)을 대고 용접하므로써 상호접합이 가능하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형성된 연결부(3)끼리 맞닿는 부분의 외측은 접합몰타아르(13) 등으로 마감하여 틈새를 막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4) 또는 창문틀의 설치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의 일측면에 연결부(3)를 형성하지 않고, 그 면에 금속등으로 형성된 장착부재(15)를 내장하여 공장에서 제작되도록 하므로서 현장에서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제3도 참조)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형성된 연결부(3)와 연결부(3)에 ㄴ자형 찬넬부재(2)를 견고하게 조일 수 있도록 와셔(4) 게재하고 있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이 설치되는 일측이 욕실일 경우에는 방수액을 함유한 몰타아르(13)로 방수 처리하면서 세라믹타일(16) 등을 부착하여 마감처리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욕실측에 방수처리하면서 그렇지 않은 거실 또는 침실일 경우에는 침투성 방수프라이머(17)를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의 표면에 도포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공간의 용도에 따라 벽지를 붙여 마감처리하거나 도색하여 작업을 마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간을 서로 연결하여 코너부를 형성할때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마주하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3)의 장착면(9)에 대해 직각면(18)을 형성하고 마주하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1) 중 어느 일측의 판넬(1)에 선형의 ㄷ자형 찬넬부재(2)를 부착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이 공장에서 제작된 상태로 기초에 의해 지지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코너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ㄷ자형 찬넬부재(2)를 연결부(3)에 장착하여 설치되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1) 외측 모서리 직각홈(19)에는 스틱형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을 설치하여 외장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ㄷ자형 찬넬부재(2)가 설치된 공간부(20)에는 폴리스티렌폼, 또는 우레탄, 그리고 그라스울 등의 단열재(8)가 충진되도록 하여 단열성을 높이면서 경량 콘크리트 패널(1)의 조립작업이 마감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조립할때에는 각 연결부(3)에 ㄷ자형 찬넬부재(2)를 수평으로 스크류(7)를 이용 장착면(9)에 장착시키고 코너부위에서는 일측에 ㄴ자형 찬넬부재(2)를 볼트(5)를 이용 체결하므로서 견고하게 적층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저층주택을 건설할때 일정크기의 경량 콘크리트 판넬(1)들에 형성된 연결부(3)를 이용하여 경량 콘크리트 판넬(1)들을 서로 연결 고정하므로서 주택의 내,외벽 및 구조부를 기초위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은 주택 시공자의 주문에 의해 공장에서는 설계도면에 따른 구조 계산을 하여 경량 콘크리트 판넬(1)을 제작하는데, 이 판넬(1)의 가장자리에 직각을 이룬 장착면(9)을 형성한 연결부(3)를 형성하도록 하여 생산하게 된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형성된 연결부(3)에 장착된 찬넬부재(2)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어 장착시 체결공(11)에 일정한 형상을 한 와셔(4)를 일치시킨 다음 볼트(5)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1)에 문틀(14)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공장에서 제작될때 일측에서는 장착면(2)을 형성하지 않고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그 평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이루어진 장착부재(15)를 내장하여 생산하도록 하므로서 현장에서 쉽게 문틀(14)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 외벽시공과 함께 구조공사가 완성됨으로써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가능하고, 조립 시공의 간편화로 공사인력 절감 및 비숙련공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와 더불어 1층 뿐만 아니라 5-6층 까지도 간단히 건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량 판넬 콘크리트, 경량철골 등의 찬넬부재를 국내에서 저렴하게 구입가능하므로서 경제적으로 자재활용을 할 수 있으며, 공사비 및 공사원가의 절감에 따른 주택가격의 저렴화가 이루어지는 효과와 아울러 표준화설계에 의해 기존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손실절단이 최소화되는 효과와 아울러 시공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Claims (2)

  1. 연결부를 각 가장자리에 형성한 콘크리트 판넬들을 마련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얻어진 경량 콘크리트 판넬들의 연결부에, 볼트나 용접등으로 연결된 찬넬부재를 위치시켜 볼트 등의 연결수단으로 고정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에서 설치된 연결부 내측으로 마무리 부재를 고정조립시키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에서 설치된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상단 연결부에 찬넬부재를 부착하여 건물의 보기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찬넬부재는 경량 콘크리트 판넬의 연결부에 볼트 또는 스크류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ㄴ자형, ㄷ자형, I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둘레 또는 내부에 단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재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조립식 건축공법.
KR1019940014604A 1994-06-24 1994-06-24 조립식 건축공법 KR016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604A KR0161718B1 (ko) 1994-06-24 1994-06-24 조립식 건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604A KR0161718B1 (ko) 1994-06-24 1994-06-24 조립식 건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67A KR960001367A (ko) 1996-01-25
KR0161718B1 true KR0161718B1 (ko) 1998-12-15

Family

ID=1938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604A KR0161718B1 (ko) 1994-06-24 1994-06-24 조립식 건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54B1 (ko) 2017-12-05 2018-06-28 이정복 조립식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599B1 (ko) * 2020-04-20 2020-09-28 신충환 Alc 블록을 이용한 내진 건축물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내진 건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54B1 (ko) 2017-12-05 2018-06-28 이정복 조립식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599B1 (ko) * 2020-04-20 2020-09-28 신충환 Alc 블록을 이용한 내진 건축물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내진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67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228B2 (en) Build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pre-assembled floor-ceiling panels and walls
US4674250A (en) Modular building panel
US5515659A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panelized insulation having integral structural frame
KR100643075B1 (ko)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10036048A1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GB2415714A (en) Insulated timber frame building panel
JP2003512546A (ja) フレームレス建築物システム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US3736709A (en) Building system
JP6054117B2 (ja) サイディング外壁パネル仕様の外壁構造
KR20010012388A (ko) 모듈라 샌드위치 패널과 주택건축방법
JP2662716B2 (ja) 竹製ユニットハウスの組立工法
KR0161718B1 (ko) 조립식 건축공법
KR20090098729A (ko) 빌딩용 개선된 구조물 시스템
RU131752U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е здание
CN111926994A (zh) 外挂式的预制含外窗附框墙板模块、外墙板及房屋建筑
JP2879039B1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複層壁の構築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パネル複層壁
AU2014100553B4 (en) A method
JP2769108B2 (ja) 木質ユニットハウスの組立工法
JP3435646B2 (ja) 非耐力外壁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3526333B2 (ja) ロング土台使用建物骨組構造
JP6916526B2 (ja) 木造建築物の断熱耐震構造
JP2000129848A (ja) 建築物の床パネルとその工事方法
KR200276575Y1 (ko) 건축용 복합판넬
JP2019094632A (ja) 木造建築物の断熱耐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