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288B1 -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288B1
KR0161288B1 KR1019910006013A KR910006013A KR0161288B1 KR 0161288 B1 KR0161288 B1 KR 0161288B1 KR 1019910006013 A KR1019910006013 A KR 1019910006013A KR 910006013 A KR910006013 A KR 910006013A KR 0161288 B1 KR0161288 B1 KR 016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camera
lens
image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58A (ko
Inventor
콕 와로 알렌
Original Assignee
콕 와로 알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콕 와로 알렌 filed Critical 콕 와로 알렌
Priority to KR101991000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288B1/ko
Publication of KR92002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렌즈 3-D 카메라의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카메라렌즈의 어긋난 배열 및 상대적 위치를 감지하여 인화시스템의 위치성분의 좌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사체의 화상은 한개의 CCD 센서 배열이나 또는 인화기의 화상면에 놓인 대응수의 CCD 센서 배열에 투영된다.
CCD 센서 배열의 위치는 각각의 피사체 화상이 각 CCD 배열의 지정된 센서에 투영되도록 미리 보정되어 있고, 인화기 위에 있는 컴퓨터에는 어긋난 위치로 투영된 피사체 화상의 새로운 위치를 인지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인화기 모터를 조종하여 어긋나게 투영된 피사체 화상을 중앙으로 배치하는 인화시스템을 보정하는 투영렌즈 또는 2차원 화면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제1도는 카메라로부터 거리 D 만큼 떨어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미리 장착된 필름을 구비한 멀티렌즈 카메라의 개략도.
제2도는 멀티렌즈 3-D(3차원) 카메라에 의하여 2차원 사진의 연속을 인화시키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제3도는 지정된 장소에 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갖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로서, CCD 화상센서의 중앙센서가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화기의 화상면에 고정되어 배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4도는 렌즈들중 하나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아서 노출된 피사체화상이 제위치가 아닌 다른위치에 음화가 맺히는 멀티렌즈 카메라의 개략도.
제5도는 멀티렌즈 카메라에 의해 노출된 2차원화상을 투영시키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로서, 카메라의 렌즈들중 하나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피사체의 화상들중 하나가 CCD 화상 센서 배열의 중심에 투영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제6도는 원위치에 있지않은 피사체를 컴퓨터로 감지하여 인화기들을 재배치하여 중앙위치로 투영시키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제7도는 2차원화상(21)을 인화시킬때 투영된 피사체의 잘못된 위치가 보정되고 확대렌즈를 중심에 재 위치시키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제8도는 투영된 피사체의 잘못된 위치가 보정되고 2차원화상의 위치를 조절시켜 다시 중앙에 맞추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제9도는 CCD 센서가 다른면에 고정되고 거울이나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에 의하여 반사되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제10도는 모든 렌즈 부재가 공통의 지지대로 주물되어 형성되는 멀티렌즈 카메라의 렌즈부재의 평면도와 단면도.
제11도는 인화과정중에 투영된 피사체의 잘못된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인화시스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투영렌즈 4 : 인화물체
11, 12, 13 : 렌즈 21, 22, 23 : 2차원화면
31, 32, 33 : CCD 센서배열 41 : 인화틀
200 : 램프
본 발명은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의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 렌즈모양의 스크린 형태인 3차원 사진은 렌즈형 인화필름위에 다른 부분으로 부터 촬영된 사물의 2차원 사진이 연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된다.
2차원 사진은 렌즈의 촛점면에 사진 감광액이 코팅된 렌즈스크린을 통하여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영된다.
구성시에 촬영된 화상이 각각의 3차원 인화기에 적절히 기록되기 위하여 2차원 화면이 완전하게 일렬로 정열되어야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800,407호에 3차원 사진을 찍는 세개의 렌즈를 가진 카메라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1966년 포컬프레스(Focal Press)에 출판된 N. A.Valyus라는 사람이 stereoscopy지의 199 ∼ 203 페이지에서 필름에 왼쪽 및 오른쪽 상을 동시에 인화시키는 기술을 게재했다.
각각의 2차원 화면으로 부터 집중된 한개의 상만이 인화된다.
Dudley라는 사람이 1965년 Rudolf Kingslake, Ed 에 출판된 Applied Optics Optical Engineering지의 114 ∼ 116 페이지에 렌즈 스크린의 이동 및 필름에 기록되는 각각의 8개의 화상의 간헐적인 노출에 대하여 게재했다.
1976년 출판된 Three Dimensional Imaging Techniques지의 71 ∼ 88페이지에서 Okoshi는 감광액위에 화상을 투영시키는 몇가지 투영기의 사용을 공지하였다.
렌지 밑에 있는 모든 필름부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술은 미합중국 특허 제3,895,87호(1975년 7월 22일)에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은 투영기에 빛을 반복적으로 끄고 필름이나 스크린에 간헐적으로 보냄으로써 이행된다.
다음의 특허에도 3차원 사진의 구성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 42-5473 (1986년 3월 6일)
일본국 특허 제 49-607 (1974년 1월 9일)
미합중국 특허 제4,120,562호 (1978년 10월 17일)에서 Lo와 Nims는 렌즈를 화상으로 가득채우기 위해 투영된 상을 주사하는 방법을 게재하였다.
이 특허에 공지된 구성장치는 상이 주사되는 동안 미리 결정된 양으로 투영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852,972호(Lo)에는 렌즈의 모서리 및 중심 근처에 있는 화상밴드가 노출될때 더욱 강한 빛을 사용하는 3차원 화상을 인화하는 개선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의 방법은 각각의 화상밴드 영역에 한개의 화상요소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468,115호 (1984년 8월 28일)에서 Lao라는 사람이 램프의 신속한 멈춤과 신속한 출발로 인하여 발생하는 저킹(jerking)을 방지토록 램프가 계속적으로 움직이는 투영기에 관하여 게재하였다.
이 계속적인 주사법은 사진의 명확도를 감소시키는 화상의 겹침을 일으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4,101,210호에 렌즈스크린에 평행한 다수의 열을 따라서 다수의 투영렌즈를 사용함으로써 화상밴드안에 인접한 집중된 화상들 사이에 간격을 줄이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이 특허는 투영과정중에 평행열에 음화를 배열하는 것을 보여준다.
많은 수의 투영렌즈는 열에 배열되고 이 과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음화는 투영렌즈를 방해한다.
또한, 멀티렌즈 투영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4,132,468호에 공지되어 있다.
많은 소비자를 위한 3차원 사진을 만들기 위하여 매우 값싸고 자동이고 고속으로 인화되는 3차원 카메라를 제조하는게 바람직하다.
값싼 멀티렌즈 3-D 카메라 제조에 있어서 문제점은 카메라 렌즈들의 배열이 일직선이 아니고 어긋나게 배열되었다는 것이며 또한 제조된 각각의 개인 카메라의 카메라렌즈의 상대적위치를 일치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2차원 화면위에 촬영된 사물의 화상의 상대적 위치는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2차원 사진셋트 사이에서 일치하지 않게 된다.
필름에 감랑된 피사체 화상의 예기치 못한 위치는 3차원 사진의 주요 물체화상의 기록을 위한 2차원 사진의 자동적인 연관관계를 불가능하게 한다.
멀티렌즈 3-D 카메라의 모든 렌즈는 렌즈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일체로 주물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멀티렌즈 3-D 카메라의 렌즈들의 배열이 일직선이 아니고(이하 어긋난 배열이라함) 렌즈의 상대위치가 알려지지 않았을때, 3차원 사진의 각각의 2차원 사진으로 부터이 화상을 각각의 2차원 사진위에 촬영된 화상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상호연관되며, 각각의 2차원 사진이 인화될때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감광재 및 확대렌즈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을 많이 소비하고 신뢰성이 없으며 3차원 사진의 대량생산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 문제는 카메라 렌즈들의 위치 데이타가 음화 필름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필름이 미리내장된 멀티렌즈 3-D 카메라를 포함하는 자동적인 인화 시스템을 고안함으로써 해결된다.
이것은 카메라를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피사체와의 거리에서 사진의 첫번째 셋트를 찍어봄으로써 이뤄졌다.
음화필름에 기록된 데이타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한 참고자료 또는 인화시스템(즉, 투영렌즈, 2차원화면)의 다양한 성분 위치의 좌표를 보정하는 데이타로서 사용된다.
인화시에 음화의 첫번째 셋트에 맺힌 피사체의 화상은 한개의 CCD 센서 배열이나 인화기의 화상면에 놓인 대응수의 CCD 센서 배열에 계속적 또는 동시에 투영된다.
CCD 센서 배열의 위치들은 각각의 피사체화상이 카메라 렌즈가 정확히 일직선으로 배열된 경우와 같이 각 CCD 배열의 지정된 센서(즉, CCD 센서의 중앙센서)에 투영되도록 미리 보정되어 있다.
각각의 센서는 미리 보정되어 있고, 인화기위에 있는 컴퓨터에는 어긋난 위치로 투영된 피사체화상의 새로운 위치를 인식토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카메라렌즈의 어긋난 배열로 인하여 피사체 화상이 지정된 중앙 센서에 투영되지 않을때, 컴퓨터는 인화기의 모터를 조종하여 어긋나게 투영된 피사체화상을 중앙으로 배치하는 인화 시스템을 보정하는 이즐(easel)이나 투영렌즈 또는 2차원 사진의 위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탐지하는 기술 및 인화기의 보정기술은 동일한 카메라나 한통의 필름에 찍힌 각각의 3차원 사진에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는 2차원 사진의 자동적인 상호연관을 제공한다.
각 2차원 화면의 촬영된 화상의 수동적인 연관계는 지금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1도는 음화의 첫번째 셋트가 카메라로 부터 거리 D 만큼 떨어진 피사체에 노출된 채로 필름이 미리 장착된 멀티렌즈 3-D 카메라의 개략도로서, 거리 D는 3차원 사진을 위한 이상적인 사진 거리이고 카메라의 렌즈들은 이미 촛점이 맞춰진 상태에 있다.
카메라는 피사체(K)를 촬영하는 세개의 렌즈(11)(12)(13)를 가지고 있다.
이 피사체의 상 K'1, K'2, K'3는 2차원 화면 (21)(22)(23)위의 적당한 위치에 상이 맺히게 된다.
거리 S는 피사체의 상 K'1, K'2, K'3의 상대적 위치이며 또한 T, F, D의 함수이며 다음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S는 인접한 2차원 화면의 피사체의 상들 사이의 거리이며
T는 카메라 렌즈간의 거리 ;
D는 카메라로 부터 촬영된 피사체와의 거리 ;
F는 카메라 렌즈의 뒷쪽 촛점거리
제2도는 인화를 위한 연속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인화 물체의 모든 렌즈가 동시에 노출되는데 제2도에서는 한개의 렌즈(7)만이 노출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인화 물체(4)가 적당한 위치(투영각)(101)에 놓여 있을때, 2차원 화면(23)은 렌즈(7)의 감광액층(5)위의 상 밴드 I3를 노출시키는 램프(200) 아래에서 90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화 물체 한 부분이 노출된 후에 인화 물체(4)는 9방향으로 움직여 위치(투영각)(102)까지 이동하게 되며 2차원 화면(22)은 램프(200) 아래에서 90방향으로 이동하여 영상밴드 I3다음에 영상 밴드 I2를 노출시킨다.
인화 물체(4)는 103 위치(투영각)로 전진하고 2차원 화면(21)은 램프(200) 아래에서 이동하여 영상 밴드 I2다음에 영상밴드 I1을 노출시켜 3차원 사진으로 렌즈이모든 부분을 채운다.
제3도는 인화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CCD 센서 배열위에 2차원 화면의 첫번째 셋트용 피사체 화상이 투영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인화기는 투영렌즈(2)를 가지고 있으며 피사체 화상 K1을 구비한 2차원 화면(21)은 41위치에 있는 CCD 센서 배열(31)의 중심센서 3C에서 투영된다.
모두 세개로된 CCD 센서 배열의 중심 센서 3C 위에 K1로 K1와 K2로 투영된 K'2, 및 K3로 투영된 K'3(41)(42)(43)에 놓여지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2차원 화면(21)(22)(23)을 구비한 사진의 첫번째 셋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카메라 렌즈들(11)(12)(13)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3개의 렌즈에 의하여 촬영된다.
그러므로, 피사체 상 K'1, K'2, K'3을 2차원 화면(21)(22)(23)위에 적당한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투영된 피사체상 K1, K2, K3은 위치 41, 42, 43에서 미리 보정된 모든 CCD 센서 배열(31)(32)(33)의 중심센서 3C의 오른쪽에 투영된다.
또한 2차원 화면 또는 투영렌즈 또는 감광재의 위치 조절은 필요 요건이 아니다.
제4도는 렌즈 11이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멀티렌즈 3-D 카메라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피사체상 K'1이 2차원 화면(21)에 올바른 위치로 상이 맺히지 못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렌즈(12)와 (13)은 적절하게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개의 렌즈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은 멀티렌즈 카메라에 의하여 노출된 피사체의 2차원 화면의 첫번째 셋트를 투영하는 인화기를 나타낸다.
2차원 화면(21)을 투영시키는 카메라의 렌즈(11)의 위치는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CCD 센서 배열(31)에 2차원 하면(21)을 투영시키는데에 있어서, 피사체상 K1은 다른 2차원 화면과 같이 센서 3C에 투영되지 않고 센서 5A에 투영된다.
제6도는 카메라 렌즈가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는 것을 보정하는 인화틀의 조절에 의한 인화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차원 사진을 찍는 카메라의 렌즈(11)의 위치는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위치 41에 화면(21)을 인화시키는데 있어서, 인화재는 위치 41A로 이동되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 렌즈(11)의 어긋난 위치를 보정해주기 위하여 41A의 중심 3C가 센서 리에 배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차원 화면(22)(23)을 투영시키는 카메라 렌즈들은 정확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 두개의 화면을 인화시키는데에는 어떠한 조절도 필요가 없다.
인화재는 미리 보정된 위치 42와 43의 x와 y좌표계로 단순히 이동하게 된다.
위치 41의 경우에 인화재는 x좌표계를 따라 C에서 A방향으로 왼쪽으로 이동하고 y좌표계를 따라 3에서 5로 움직인다.
조절을 하는데에는 컴퓨터가 사용되는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대안으로, 카메라에서 렌즈(11)의 어긋난 위치를 보정하기 위하여 확대렌즈가 중심에 오도록 맞춰질 수 있다.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2차원 화면(21)에 인화기의 투영렌즈(2)를 조절하여 인화 시스템을 눈금교정하여 2차원 화면 21의 피사체 K'1의 피사체상 K1이 위치 41에서 감광틀의 CCD 배열(31)의 센서 3C에서 투영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음화의 2차원 화면이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해 이동되어도 된다.
제8도는 제4도의 멀티렌즈 카메라 렌즈(11)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2차원 화면(21)을 조절함으로써 인화 시스템의 눈금 보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사체 화상 K'1는 위치41에서 감광재의 CCD 배열(31)의 센서 3C에 투영되게 된다.
확대렌즈 또는 감광재는 2차원 음화 화면에 관계없이 이동하게 되고 CCD 배열과 위치 모터에 연결된 컴퓨터에 의하여 조정된다.
제11도는 카메라에서 어느 한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결정되는 요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인화재 또는 확대 렌즈 또는 음화가 어느 한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해 이동하게 되는 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의 식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A. X 방향으로 필요한 상쇄 범위를 결정하는 식,
Figure kpo00003
B. Y방향으로 필요한 상쇄 범위를 결정하는 식,
Figure kpo00004
여기서,
Figure kpo00005
X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X방향으로 조절양;
Figure kpo00006
Y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Y방향의 조절양;
Figure kpo00007
Tx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의 X방향으로의 거리;
Figure kpo00008
Ty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의 y방향으로의 거리;
D는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까지의 거리;
F는 카메라렌즈의 뒷쪽 촛점거리;
R은 확대비 (V/U)
CCD 센서는 투영된 화상의 위치를 결정하고, 컴퓨터는 상기 식을 이용하여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조절을 이행한다.
제11도는 인화기의 화면에 인화틀을 조절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는데 요구되는 여러가지 모든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 렌즈로 부터의 화상을 인화틀(41)에 인화시키는데 있어서, 화면의
Figure kpo00009
X와
Figure kpo00010
Y의 양 만큼 조절되어야 할 양을 나타낸다.
이 조절 양을 보정하여 인화재(41)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 프로그램식 A(및 B)에 의하여 계산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긋난 배열된 카메라 렌즈에 의하여 투영된 음화(21)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은 재 조정된다.
다음식은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이동되는 음화의 이동양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C. x방향으로 요구되는 상쇄양.
Figure kpo00011
D. y방향으로 요구되는 상쇄양.
Figure kpo00012
여기서,
Figure kpo00013
Sx는 2차원 음화 화면이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X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
Figure kpo00014
Sy는 2차원 음화화면이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Y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
식 C와 D는 카메라 렌즈(11)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X방향으로
Figure kpo00015
Sx의 양만큼, y방향으로는
Figure kpo00016
Sy 거리 만큼 음화화면(21)을 이동시키는 감광기의 음화 전송기를 통제하는 컴퓨터에 프로그램 되어 있다.
제11도의 카메라 렌즈는
Figure kpo00017
Tx 와
Figure kpo00018
Ty의 양만큼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제9도는 거울이나 빔 스플리터(50)를 사용하여 또 다른면(51)(52)(53)에 CCD 배열(31)(32)(33)이 놓이게 되는 인화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대응화상배열(51(52)(53)이 중앙 위치(41)(42)(43)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거울이나 빔 스플리터(50)에 의하여 빛이 반사된다.
화상배열은 화상 그래버(image grabber)를 갖춘 비디오 스위치에 연결되고 그 다음에 음화화면 또는 확대렌즈 또는 인화틀을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통제하는 컴퓨터에 연결된다.
제10도는 3-D 카메라용 렌즈 배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렌즈들은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주물로 형성된 한개의 지지물이 렌즈를 둘러싸고 있다.
각각의 카메라 렌즈들은 한개 또는 다수의 렌즈 부재로 되어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2차원 음화의 첫번째 셋트는 인화되는게 아니라 투영된 피사체상의 위치를 설정하는 인화기의 화면에 단순히 투영된다.
고화질의 3차원 사진을 구성하기 위하여 촬영된 물체를 일직선으로 배열하기 위한 2차원 화면의 자동적인 상호 관계를 맺게하는 인화기의 좌표계의 위치를 보정하므로써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어긋난 배열을 일직선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CCD 센서가 첨가되어 있어서 위치터가 음화 및 확대렌즈의 수동적인 재배치의 필요성을 제거하게 된다.

Claims (8)

  1. a.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2차원 사진의 첫번째 셋트로 노출시키고; b. 인화기의 인화면에 있는 각 화상의 x축과 y축을 결정하는 화상프로세서를 갖춘 3-D 인화기에 2차원 사진의 첫번째 셋트를 투영시키고; c. 각각의 투영된 화상의 x축 및 y축좌표를 각각의 다음의 2차원 사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하여, 각 사진의 인화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부터 얻어진 방향에 따라 x축 및 y축에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장치가 이동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렌즈 3-D 카메라에서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2차원 음화사진의 첫번째 셋트의 각 피사체 화상의 x와 y좌표는 인화면에서 시각적으로 결정이 되고, 이들 좌표가 다음에 오는 각각의 2차원 사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되어 사진이 인화되기 전에 각각의 2차원 사진이 x와 y좌표를 따라 적절한 위치로 보정되도록 인화시에 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진의 첫번째 셋트의 피사체의 각각 화상의 x와 y좌표가 다음에 오는 각각의 2차원 사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있는 CCD 센서에 의하여 결정되고, 각각의 2차원 사진 셋트는 인화과정에서 각 2차원 사진이 인화되기 전에 적절한 위치로 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CCD 센서가 인화기의 인화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각의 2차원 사진을 인화하기 위하여 인화틀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drive)와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3-D 카메라에서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교정하도록 투영렌즈를 각각의 2차원 사진의 인화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브와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다음의 식에 따라 인화틀을 2차원 사진의 인화를 위하여 적당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X 방향으로 필요한 상쇄 범위를 결정하는 식,
    Figure kpo00019
    이고, B. Y방향으로 필요한 상쇄 범위를 결정하는 식,
    Figure kpo00020
    이다. 여기서,
    Figure kpo00021
    X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X방향으로 조절양;
    Figure kpo00022
    Y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Y방향의 조절양;
    Figure kpo00023
    Tx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의 X방향으로의 거리;
    Figure kpo00024
    Ty는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의 y방향으로의 거리; D는 카메라로부터 피사체 까지의 거리; F는 카메라렌즈의 뒷쪽 촛점거리; R은 확대비 (V/U).
  8. 제6항에 있어서, 음화가 다음식에 따라 인화를 위한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각 2차원 음화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C. X방향으로 요구되는 상쇄양을 결정하는 식은
    Figure kpo00025
    이고, D. y방향으로 요구되는 상쇄양을 결정하는 식은
    Figure kpo00026
    이다. 여기서,
    Figure kpo00027
    Sx는 x방향으로 카메라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2차원 음화사진이 이동되는 거리;
    Figure kpo00028
    Sy는 y방향으로 카메라렌즈의 어긋난 배열을 보정하기 위하여 2차원 음화사진이 이동되는 거리;
    Figure kpo00029
    Tx는 x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어긋나 있는 거리;
    Figure kpo00030
    Ty는 y방향을 카메라 렌즈가 어긋나 있는 거리; D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 F는 카메라 렌즈의 뒷쪽 촛점거리.
KR1019910006013A 1991-04-13 1991-04-13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KR016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013A KR0161288B1 (ko) 1991-04-13 1991-04-13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013A KR0161288B1 (ko) 1991-04-13 1991-04-13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58A KR920020258A (ko) 1992-11-20
KR0161288B1 true KR0161288B1 (ko) 1999-05-01

Family

ID=1931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013A KR0161288B1 (ko) 1991-04-13 1991-04-13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2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58A (ko) 199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0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tereoscopic images and lenticular recording material used therefor
US5408294A (en) 3D photographic printer with direct key-subject alignment
US5028950A (en) Dual stage 3D printer
US4158501A (en) Projectio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5424553A (en) Method for aligning a lenticular material for printing
JPH0713275A (ja) プリント間隔を調節することにより奥行画像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036356A (en) 3-D camera, preloaded and integrated high-speed printing system
JPH09149207A (ja) 画像読取装置
JPH08262583A (ja) 分割画像露光方法
US5412449A (en) Single-stage 3D photographic printer with a key-subject alignment method
KR19980703278A (ko) 3d사진 프린터
KR0161288B1 (ko) 고속의 인화시스템을 갖춘 멀티렌즈 3-d 카메라 렌즈의 어긋난 배열 보정방법
US5420438A (en) Focus detecting apparatus including movement of detecting zones
US4989077A (en) Photographic printer with monitor
JP2672410B2 (ja) 二次元原板のプリントにおいて三次元カメラのレンズの位置のずれを補償する方法
JPH0756183A (ja) 位置合わせ方法
JPH05216138A (ja) 立体画像記録方法および立体画像記録装置ならびにレンチキュラ記録材料
JPS61232434A (ja) カメラ装置
JP2790386B2 (ja) 立体写真投映の主被写体合わせ方法および立体写真焼付装置
CN1224512A (zh) 用于三维摄影的方法和设备
JPH03200229A (ja) カメラ装置
JP2005062242A (ja) 像振れ補正が可能な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用交換レンズ
JPH05257213A (ja) 立体画像記録方法および立体画像記録装置
JPH05232604A (ja) 立体画像記録方法および立体画像記録装置
JP2000261609A (ja) カラー画像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