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078B1 -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078B1
KR0161078B1 KR1019950012405A KR19950012405A KR0161078B1 KR 0161078 B1 KR0161078 B1 KR 0161078B1 KR 1019950012405 A KR1019950012405 A KR 1019950012405A KR 19950012405 A KR19950012405 A KR 19950012405A KR 0161078 B1 KR0161078 B1 KR 016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electric
motors
bevel gear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798A (ko
Inventor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1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078B1/ko
Publication of KR96004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10)는, 각각의 차륜(14,14')을 구동시키기 위한 두개의 전동기(16,16'); 각각의 전동기(16,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두개의 컨트롤러(18,18'), 전동기(16,16')와 차륜(14,14')의 사이에 제공되고, 각각의 전동기(16,16')의 출력축(22,22')에 고정되는 제1베벨기어(20,20')와 상기 제1베벨기어(20,20')에 각각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34,34')를 포함하는 감속기(12); 및 각각의 차륜(14,14')의 상대적인 회전수 차이를 보상하게 되는 비스코스 커플링(2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라, 고점도 점성유체의 전단력에 의해 좌우 차륜의 회전수 차이가 효과적으로 보상되고 전기자동차의 신뢰성있는 작동이 보장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장치 12 : 감속기
14,14' : 차륜 16,16' : 전동기
18,18' : 컨트롤러 20,20' : 제1베벨기어
22,22' : 출력축 24 : 비스코스 커플링
26 : 케이스부 28 : 축부
30 : 아우터 플레이트 32 : 인너 플레이트
34,34' : 제2베벨기어 50 : 구동장치
52,52' : 감속기 54,54': 전동기
56,56' : 컨트롤러 58 : 매스터 컨트롤러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두개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각각의 전동기의 회전속도 차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소음 및 배출개스 등의 공해문제를 해결할 뿐만아니라,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잉여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장래에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적용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탑재되는 다수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주행하게 된다.
초기의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가솔린 자동차를 단순히 개조한 형태로 하나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고작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두개의 전동기를 갖는 전기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두개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는, 기존의 가솔린 자동차에 적용되는 차동장치를 적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좌우 구동륜의 회전수 차이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전형적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구동장치(50)는 두개의 전동기(54,54')를 구비하고, 각각의 전동기(54,54')에는 감속기(52,52')가 접속된다. 각각의 전동기(54,54')는 각각의 컨트롤러(56,56')에 의해 제어되며, 좌우 회전수나 토크의 차이는 별도의 매스터 컨트롤러(58)를 통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동장치는 많은 문제점이 따르게 되어 실제로 채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각각의 전동기의 회전속도 차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전기자동차의 신뢰성있는 작동을 보장하게 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는, 각각의 차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두개의 전동기; 각각의 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두개의 컨트롤러; 전동기와 차륜의 사이에 제공되고, 각각의 전동기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제1베벨기어와 상기 제1베벨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감속기; 및 각각의 차륜의 상대적인 회전수 차이를 보상하게 되는 비스코스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하나의 제2베벨기어는 감속기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비스코스 커플링의 케이스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베벨기어는 상기 비스코스 커플링의 축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에 따라, 감속기가 각각의 전동기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감속기들의 사이에 비스코스 커플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비스코스 커플링의 케이스부에 연결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비스코스 커플링의 축부에 연결된 인너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유동되는 고점도 점성유체의 전단력에 의해 좌우 차륜의 회전수 차이가 효과적으로 보상되고(compensated), 이에따라 전기자동차의 신뢰성있는 작동이 보장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10)는 두개의 전동기(16,16')를 구비하며, 각각의 전동기들(16,16')의 작동은 컨트롤러(18,18')에 의해 제어된다. 각각의 전동기들(16,16')의 출력축(22,22')은 전동기(16,16')들과 차륜들(14,14')의 사이에 위치되는 감속기(12)의 내부로 연장되고, 각각의 출력축(22,22')의 자유단부에는 제 1 베벨기어(20,20')가 고정된다.
제1베벨기어(20,20')에는 각각 제2베벨기어(34,34')가 직각방향으로 맞물리며, 제2베벨기어(34,34')의 외측에 고정되는 축부분은 감속기(12)의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차륜(14,14')을 구동시키게 된다. 감속기(12)의 내부에는 비스코스 커플링(viscous coupling)(24)이 제공되고, 하나의 제2베벨기어(34)의 내측에 고정되는 축부분은 비스코스커플링(24)의 케이스부(26)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제2베벨기어(34')의 내측에 고정되는 축부분은 비스코스 커플링(24)의 축부(28)에 연결된다. 비스코스 커플링(24)의 케이스부(26)에는 아우터 플레이트(30)가 고정되고, 비스코스 커플링(24)의 축부(28)에는 인너 플레이트(32)가 고정되며, 아우터 플레이트(30)와 인너 플레이트(32)의 사이에는 점성유체가 제공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10)는, 감속기(12)가 각각의 전동기(16,16')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감속기(12)들의 사이에 비스코스 커플링(24)이 제공되게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에 따라, 비스코스 커플링의 케이스부에 연결된 아우터 플레이트와 비스코스 커플링의 축부에 연결된 인너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유동되는 고점도 점성유체의 전단력에 의해 좌우 차륜의 회전수 차이가 효과적으로 보상되고(compensated), 이에따라 전기자동차의 신뢰성있는 작동이 보장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10)에 있어서, 각각의 차륜(14,14')을 구동시키기 위한 두개의 전동기(16,16'); 각각의 전동기(16,1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두개의 컨트롤러(18,18'); 전동기(16,16')와 차륜(14,14')의 사이에 제공되고, 각각의 전동기(16,16')의 출력축(22,22')에 고정되는 제1베벨기어(20,20')와 상기 제1베벨기어(20,20')에 각각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34,34')를 포함하는 감속기(12); 및 각각의 차륜(14,14')의 상대적인 회전수 차이를 보상하게 되는 비스코스 커플링(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2베벨기어(34)는 감속기(12)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비스코스 커플링(24)의 케이스부(26)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베벨기어(34')는 상기 비스코스 커플링(24)의 축부(2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감속기(12)가 각각의 전동기(16,16')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감속기(12)들의 사이에 비스코스 커플링(2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KR1019950012405A 1995-05-18 1995-05-18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KR016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405A KR0161078B1 (ko) 1995-05-18 1995-05-18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405A KR0161078B1 (ko) 1995-05-18 1995-05-18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98A KR960040798A (ko) 1996-12-17
KR0161078B1 true KR0161078B1 (ko) 1998-12-15

Family

ID=1941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405A KR0161078B1 (ko) 1995-05-18 1995-05-18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0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98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300B2 (en) Electric drive system with plural motors
US20050173162A1 (en) Electric drive system with differential steering
US20050107198A1 (en) Hybrid powertrain
CN204271815U (zh) 一种新能源车用一体化驱动装置
US20200317042A1 (en) Motor integration assembly
KR101028401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CN103303120A (zh) 混合动力车辆用的驱动设备
BR8101130A (pt) Caixa de cambio para automoveis
CN219312511U (zh) 电驱系统及车辆
KR20080014993A (ko) 차량용 차동 조향부를 구비한 전기 구동 시스템, 기어 유닛및 차량
EP3473475A1 (en) Power trai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FI108935B (fi) Hydrostaattis-mekaaninen tehonhaaroitusvoimansiirto
JP3600320B2 (ja) 電気自動車用パワートレーンのエアブリーザー構造
KR101028402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KR0161078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US4784232A (en) Transmission for a wheel- or tracktype vehicle comprising a braking device and a steering unit
JPH09315164A (ja) 車両用推進装置
FR2366732A1 (fr) Moteur electrique pour vehicule de traction ferroviaire
KR960004238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CN106015511A (zh) 机动车及其差速器总成
CN206718972U (zh) 一种汽车用精密冷拔无缝钢管底盘
EP3473471A1 (en) Control method of power train system
CN220846933U (zh) 连续式微表处摊铺机
KR19980059252A (ko) 전기자동차의 구동장치
SU1384424A1 (ru) Силова передач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