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56B1 - 방향탐지장치 - Google Patents

방향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56B1
KR0160656B1 KR1019940008393A KR19940008393A KR0160656B1 KR 0160656 B1 KR0160656 B1 KR 0160656B1 KR 1019940008393 A KR1019940008393 A KR 1019940008393A KR 19940008393 A KR19940008393 A KR 19940008393A KR 0160656 B1 KR0160656 B1 KR 016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predetermined
comparat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14A (ko
Inventor
장호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8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56B1/ko
Publication of KR95003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청각장애자들에게 소리방향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개시되는 바, 이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소리를 감지하고, 외부소리가 소정레벨 이상일 때에만 신체부위에 전류를 공급토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자로 하여금 주위를 돌아다보게 하여 교통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적용되어 청각장애자나 정상인에게 외부소리의 진원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향탐지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내부회로도.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착용상태 예시도.
제5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평면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의 내부회로도.
제7도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내부구조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계기판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방향탐지장치 14 : 전원/볼륨
12,50,201,202,203,204 : 마이크로폰 16 : 주파수 조정용 볼륨
18,20 : 통전패드 108,212,222,232,242 : 증폭기
112,214,224,234,244 : 비교기
122,130,132,218,228,238,248 : 트랜지스터
124 : 밧데리 150 : 라인 트랜스포머
300 : 계기판
이 발명은 방향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자가 휴대하고 다니다가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길거리를 걸어다닐 경우 자동차의 경적소리를 감지하여 청각장애자에게 소정의 경보를 제공하거나, 자동차내에 장착되어 시각적으로 경보를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방향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시각, 미각, 촉각, 후각 및 청각을 구비하여야만 정상인이라 할 수 있는 바, 불행하게도 어떤 연유로 인하여 청각을 상실하게되면, 원하는 소리를 용이하게 들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청각을 부분적으로 상실했을 경우에는 귀에 보청기를 장착함으로써, 또렷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청각을 완전히 상실했을 경우에는 보청기도 소용없게 되는 바, 이때에는 청각장애자 자신이 그의 두눈으로만 방향을 감지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최근들어 자동차수의 급격한 증가로 말미암아 시내도로에는 많은 수의 자동차들이 주행하고 있는 바, 청각장애자가 복잡한 시내도로 특히,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등을 걸어다닐 경우, 그 자신은 자동차의 경적음을 들을 수 없게 되므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청각장애자가 철길을 거닐다가 기적소리를 감지하지 못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원인은 모두 완전 청각장애자가 자동차 경적음 또는 기차의 기적소리를 듣지 못한 결과에 기인한 것이다.
그런데, 현재 시판중인 자동차는 대부분 정상인을 위한 것이고, 극히 일부분은 한쪽 팔 또는 다리를 제대로 사용치 못하는 장애자를 위한 것인바, 정부에서는 청각장애자에게도 자동차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 그러나, 청각장애자가 면허를 취득했다고 할지라도, 청각장애로 인해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결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정상인이 운전 면허를 취득하여 운전하다가 어떤 연유, 예컨대 자동차 사고로 인해 청각을 완전히 상실했을 경우에도 운전자는 운전을 능숙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청각장애자에게 자동차의 경적음 또는 기적소리를 물리적으로 제공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향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각장애자 또는 정상인이 자동차의 경적음 또는 기적소리의 발생처를 신속하게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방향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특징은, 소정레벨의 외부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소리감지수단; 상기 감지된 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전원을 상기 시간동안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의 공급시간동안 소정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수단; 상기 발진수단의 작동시 신체의 일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사람이 방향을 탐지토록 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탐지수단; 및 상기 수단들을 내장할 수 있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리감지수단은 하우징의 외부에 애덥터식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 마이크로폰은 하우징 자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감지된 소리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증폭되는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이 비교기에 의해 비교된 신호를 적분하여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기 및 이렇게 지연된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시간동안만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의 특징은, 소정레벨의 외부소리를 감지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외부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된 소리감지수단; 상기 소리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수단; 상기 증폭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되,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클 경우에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된 소정레벨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외부소리의 근원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상기의 방향탐지장치에 있어서, 소리감지수단은 지향성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방향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이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대략 직육면체의 하우징(10)에는 외부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2)이 내장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폰(12)은 외부의 소리 특히 자동차 경적음 또는 기차의 기적음을 감지하는데 유용하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소정위치에는 이후 설명할 진폭용볼륨(14)과 발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볼륨(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측면에는 한쌍의 통전패드(18,20)를 연결하는 코드(22)가 꼽혀질 수 있는 잭(참조번호 도시하지 않았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잭코드(22)에 있어서, 통전패드(18,20) 부근에는 또다른 플러그(22A,2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러그(22A,22B)가 있음으로써, 패드(18,20)는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제1도에는 도시하지 않은 밧테리의 수명상태를 알 수 있는 전원램프(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램프(24)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청각장애자는 밧테리의 수명이 다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1)는 청각장애자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의(30)의 윗주머니(32)에 넣어져서 사용될 수가 있다. 이때, 패드(18,20)는 별도의 부착밴드(40)에 의해 사람의 맨살부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장치(1)가 작동될 경우 통전패드(18,20)에 전류가 흐르게되어 청각장애자는 그의 주위에서 경적이 울림을 알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인 바, 제2도중 제1도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부품을 표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하우징(1)의 외측에는 외부 마이크로폰(50)과 연결된 플러그(52)를 꽂을 수 있는 잭(도시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따른 장치(100)는 내장 마이크로폰(12) 또는 외부 마이크로폰(5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마이크로폰(50)에는 사람의 윗주머니와 같은 곳에 꽂을 수 있는 클립(54)이 부착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1,100)의 내부에 구성된 회로도인 바, 마이크로폰(102)을 통해 입력된 외부소리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저항(104,106)과 증폭기(108)에 의해 소정레벨로 증폭된 뒤 저항(110)을 통해 비교기(11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비교기(112)는 가변저항(114)에 의해 설정된 전압과 저항(110)을 경유하여 입력된 전압을 비교하게 된다. 비교기(112)는 이들 양입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을 비교하여 소정레벨의 직류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전압이 반전 입력단자의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만 하이레벨의 직류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가변저항(114)에 의한 기준전압이 저항(110)을 경유한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는 비교기(112)는 로우레벨의 직류 전압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비교된 직류 전압신호는 저항(116)과 콘덴서(118)로 된 지연회로에 인가되어 소정시간동안 지연된다. 여기에서, 지연회로를 사용한 이유는 외부음이 기준레벨 이상일 때 이후 설명할 제3도의 회로를 충분히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저항(116)과 콘덴서(118)에 의해 충분히 지연된 전압신호는 저항(120)을 경유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12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112)를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112)가 턴온되면 밧테리(124)에서 공급되는 전압신호는 트랜지스터(122)의 콜렉터-에미터단자를 통해 볼륨(126)에 제공된다. 이때 볼륨(126)은 제3도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사용시에는 오프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볼륨(126)은 비사용시 최소치(zero)를 유지하여 밧테리(124)의 불필요한 전원손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볼륨(126)을 통과한 전압신호는 저항(128)을 통해 트랜지스터(130)를 턴온시키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132)가 역시 턴온된다. 트랜지스터(132)가 턴온되면 저항(134)과 콘덴서(136)로 된 RC공진회로가 작동하게 되어 소정의 발진주파수 신호가 유기될 수가 있다.
이렇게 발생된 발진주파수는 커플링 콘덴서(138)를 경유하여 발진주파수 조정용 볼륨(140)에 인가되는 바, 볼륨(140)은 발진되는 주파수의 주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발진주파수 신호는 저항(142)을 경유하여 발광다이오드(144)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146)가 턴온된다.
트랜지스터(146)가 턴온됨에 따라 저항(148)을 통과한 전류는 라인 트랜스포머(150)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된다. 이때 트랜스포머(150)의 2차측 권선에는 전류가 유기되어 패드(18,20)는 통전될 수가 있다. 패드(18,20)가 통전되면 사람의 신체부위에 밀착접촉되어 있으므로써 사람은 전류에 의해 깜짝깜짝 놀라게 된다. 따라서, 사람(청각장애자)은 그의 주위에서 위급한 상황이 일어나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가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가변저항(114)을 사용하여 위험한 상황을 알리는 경적음의 레벨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즉, 가변저항(114)은 자동차 또는 기차의 기적소리를 고려하여 그의 레벨이 조정될 수도 있다.
만약에 가변저항(114)에 의한 기준전압보다 외부의 자동차 경적음에 따른 전압레벨이 높을 경우, 비교기(112)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하이상태의 신호는 저항(116)과 콘덴서(118)에 의한 지연회로에 의해 소정시간(예컨대, 5초)동안 지연된다. 이렇게 신호를 지연시키는 이유는 트랜지스터(122)를 상기 시간동안 작동시켜 사람으로 하여금 주위를 둘러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22)가 작동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인 트랜스포머(150)가 작동하여 패드(18,20)를 통해 청각장애자의 신체부위에 전류가 통전하게 됨으로써, 청각장애자는 그의 주위에 자동차 또는 기차가 다가옴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다.
한편, 주위의 경적음이 기준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비교기(112)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므로, 이때에는 트랜지스터(122)가 턴온되지 못하여 제3도의 회로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경적음 또는 기차의 기적음이 소정레벨 이상일 경우 전류가 패드를 통해 사람의 신체 일부에 통전됨으로써, 청각장애자로 하여금 주위를 둘러보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평면도인 바, 자동차(200)의 전,후,좌,우측면에는 외부소리(예컨대 자동차 경적음, 기차의 기적)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201,202,203,204)이 각각 설치된다. 이들 마이크로폰(201,202,203,204)은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동차(200)의 전,후,좌,우방에서 울리는 경적음 또는 기적음은 이들 마이크로폰에 의해 각각 용이하게 감지될 수가 있게 된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마이크로폰들(201,202,203,204)에 의해 각각 감지된 외부소리를 처리하여 원음 발신처를 시각적으로 표시토록 한 방향탐지장치의 내부회로도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200)의 전방에 있는 마이크로폰(201)에 의해 감지된 외부신호는 그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저항(210)과 증폭용저항(211) 및 증폭기(212)로 된 신호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뒤 저항(213)을 경유하여 비교기(2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비교기(214)는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연결된 저항(215,216)에 의한 분압전압과,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변저항(216)은 비교기(214)의 기준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214)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비교기(214)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214)로부터의 신호 레벨이 하이상태일 경우 바이어스 저항(217)을 경유한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218)는 턴온되지만, 비교기(214)의 출력신호 레벨이 로우상태일 경우, 바이어스 저항(217)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므로 트랜지스터(218)는 오프되게 된다. 트랜지스터(218)가 턴온될 경우에는 저항(219)을 경유한 전류가 트랜지스터(218)의 콘렉터-에미터로 흐르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218)가 턴오프될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LED1)는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발광다이오드(LED1)의 점등/비점등 상태를 보면 현재 어느 방향에서 경적음이 발생되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자동차(200)의 후방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02)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저항(220,221)과 증폭기(222)에 의해 증폭된 뒤 저항(223)을 경유하여 비교기(22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경우, 비교기(224)는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저항(215,216)에 의한 기준전압과, 증폭기(221)에 의해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저항(22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228)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228)는 비교기(224)의 출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LED2)를 턴온/오프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저항(229)은 풀업저항을 표시한다.
그리고, 좌측 마이크로폰(203)에 의해 감지된 외부의 소리신호는 그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저항(230)과 증폭용저항(231) 및 증폭기(232)로 된 신호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뒤 저항(233)을 경유하여 비교기(23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때 비교기(234)는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 저항(215,216)에 의한 분압전압과,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변저항(216)은 비교기(234)의 기준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기(234)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작을 경우, 비교기(234)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기(234)로부터의 신호 레벨이 하이상태일 경우, 바이어스 저항(23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238)는 턴온되지만, 비교기(234)의 출력 신호 레벨이 로우상태일 경우, 바이어스 저항(237)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트랜지스터(238)는 오프되게 된다. 트랜지스터(238)가 턴온될 경우에는 저항(239)을 경유한 전류가 트랜지스터(238)의 콘렉터-에미터로 흐르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3)가 점등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238)가 턴오프될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LED3)는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발광다이오드(LED3)의 점등/비점등 상태를 보면 현재 어느 방향에서 경적음이 발생되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자동차(200)의 우측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04)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저항(240,241)과 증폭기(242)에 의해 증폭된 뒤 저항(243)을 경유하여 비교기(24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경우, 비교기(244)는 그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저항(215,216)에 의한 기준전압과, 증폭기(242)에 의해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하이 또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하여 저항(24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248)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248)는 비교기(244)의 출력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LED4)를 턴온/오프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저항(249)은 풀업저항을 표시한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방향탐지장치가 적용되는 자동차의 내부 구조도인 바, 자동차의 내부에는 통상의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계기판(300)이 설치되고, 또한, 운전자가 자동차를 조향할 수 있는 핸들(400)과, 클러치 페달(500), 브레이크 페달(600) 및 악세레이터 페달(700)이 있다.
자동차 계기판(300)은 제8도에 상세히 확대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당 주행거리를 나타내는 속도계(301), 분당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타코메타(302) 및 자동차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들이 설치된 LCD 계기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기판(300)의 내부 적당한 곳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LED4)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바, 이러한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LED4)의 점등상태에 따라 운전자는 자동차의 어느쪽에서 경적음이 발생되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방향탐지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운전자가 핸들(400)을 잡고서 운전을 하다가 그의 전방에서 경적음이 감지될 경우, 마이크로폰(201,202,203,204)에 의해 각각 감지된 경적음은 이들 마이크로폰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각각의 증폭기(212,222,232,242)에 의해 증폭되어 비교기(214,224,234,244)에 인가된다. 그런데 마이크로폰들은 지향성 마이크로폰이기 때문에 자동차(200)의 전방에 있는 마이크로폰(201)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가장 높은 레벨을 갖게 된다.
만약에 전방 마이크로폰(201)에 의해 감지된 신호 레벨이 저항(215)과 (216)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 레벨보다 높을 경우 비교기(214)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트랜지스터(218)만이 턴온되고 나머지 트랜지스터(228,238,248)는 턴온되지 못하므로 발광다이오드(LED1)만이 점등되어 운전자, 특히 청각장애자는 그의 앞쪽에서 경적이 울리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제6도의 화살표(A) 방향으로 자동차(200)가 주행되는 상태에서 B-지점에서 경적음이 발생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마이크로폰(201,203)이 동시에 작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방 마이크로폰(201)과 좌측 마이크로폰(203)에 의해 감지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신호 레벨이 비교기(214,234)의 기준전압 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이때에는 발광다이오드(LED1,LED3)가 모두 점등된다. 그러나, 자동차(200)가 전방으로 주행중이므로 발광다이오드(LED1)는 곧바로 소등되는 반면에 발광다이오드(LED3)는 어느정도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시각적 표시수단을 보면서 경적음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 및 우측에서 경적음이 울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같이 운전자 특히 청각장애자는 계기판(300)에 있는 시각표시수단(LED1∼LED4)을 보면 경적음의 발신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탐지장치는 청각장애자가 자동차의 운전을 하고 있는 중에 외부의 경적음이 발생되었을때 계기판에 경적음의 진원지가 표시되므로 운전자는 방향식별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자동차의 윈도우를 밀폐한 상태에서 운전하는 정상인도 이러한 경적음의 진원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알 수가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방향탐지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경적음이나 기차의 기적음이 소정레벨 이상일 경우 청각장애자들은 통전 패드로서 충격요법에 의해 방향을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고, 또한,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방향을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각장애자가 통전 패드 방식의 방향탐지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는 충격 요법적 및 시각적으로 동시에 방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레벨의 외부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소리감지수단; 상기 감지된 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전원을 상기 시간동안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의 공급시간동안 소정의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수단; 상기 발진수단의 작동시 신체의 일부에 전류를 공급하여 사람이 방향을 탐지토록 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탐지수단; 및 상기 수단들을 내장할 수 있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감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애덥터식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감지된 소리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상기 증폭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된 신호를 적분하여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기 및 상기 지연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소정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방향탐지수단은,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전류를 발생하는 한쌍의 패드로 구성된 청각장애자용 방향탐지장치.
  5. 소정레벨의 외부소리를 감지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외부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된 소리감지수단; 상기 소리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수단; 상기 증폭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되,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신호보다 클 경우에만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 출력된 소정레벨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외부소리의 근원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 구성된 방향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감지수단은, 지향성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장치.
KR1019940008393A 1994-04-21 1994-04-21 방향탐지장치 KR016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93A KR0160656B1 (ko) 1994-04-21 1994-04-21 방향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393A KR0160656B1 (ko) 1994-04-21 1994-04-21 방향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14A KR950030014A (ko) 1995-11-24
KR0160656B1 true KR0160656B1 (ko) 1999-03-20

Family

ID=1938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393A KR0160656B1 (ko) 1994-04-21 1994-04-21 방향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14B1 (ko) * 2014-12-11 2016-06-07 이송무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14B1 (ko) * 2014-12-11 2016-06-07 이송무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14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8970B2 (ja) 居眠り防止装置
US4485375A (en) Grip-responsive dozing driver alarm
JP4538415B2 (ja) 車両用警報装置及びホーン補助装置
CA216147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lectable Alert Modes
JPH09301068A (ja) 電子フラッシャ装置
KR0160656B1 (ko) 방향탐지장치
KR101871598B1 (ko) 음향 수단을 구비한 교통지시봉
US6424255B1 (en) Adjustable delay turn signal reminder device for mounting on a motorcycle and the like
KR101308061B1 (ko) 졸음운전 방지 장치
GB2461940A (en) An electronic device to remind a driver the correct side of the road to drive on
JP2002092781A (ja) 交通弱者用車両接近報知機能内蔵型装身具及び当該信号発信機構装備型車両
US7554436B2 (en) Self-contained turn signal indicator unit
JPH11334468A (ja) 車両の警報音報知装置
EP0154638A1 (en) Monitoring attention
KR20200033863A (ko) 정숙한 차량을 위한 도로 안전 전자 사운드 시스템
JP2000152998A (ja) 人の心理状態に影響を与える装置
KR200223991Y1 (ko) 졸음운전 방지장치
GB2146468A (en) Monitoring attention
KR0139773Y1 (ko) 자동차 시동키 접근 알림장치
KR200181950Y1 (ko) 발광램프가 구비된 헤드폰
WO1998007126A1 (en) Means for preventing a driver from falling asleep
JPS582904Y2 (ja) ブレ−キマモウゲンカイケイコクソウチ
KR200336216Y1 (ko)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발진장치
KR900001162Y1 (ko) 차량 운전자의 졸음 방지 장치
ES2029646A6 (es) Sensor-avisador en el volante de direccion del vehiculo que avisa al conductor mediante senales acusticas y/o luminosas si en el manejo del volante se produce disminucion del grado de segur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