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499B1 -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499B1
KR0159499B1 KR1019890015705A KR890015705A KR0159499B1 KR 0159499 B1 KR0159499 B1 KR 0159499B1 KR 1019890015705 A KR1019890015705 A KR 1019890015705A KR 890015705 A KR890015705 A KR 890015705A KR 0159499 B1 KR0159499 B1 KR 015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ransducer
head
tr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914A (ko
Inventor
다불류 오울더쇼 레지늘드
비이스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조엘 디이 탤코트
암펙크스 시스템즈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엘 디이 탤코트, 암펙크스 시스템즈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조엘 디이 탤코트
Publication of KR90000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8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 G11B5/58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tapes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21/081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 G11B21/086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tape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비디오 신호를 분할형식으로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장치의 주사드럼과 테이프 이송경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제2a도 및 제2b도는 세그먼트와 변환헤드의 교번관계를 나타낸 분할된 비디오 필드를 도시한 도면.
제3a도 및 제3b도는 비표준 재생 모드 중에 비디오신호의 세그먼트에 대한 변환헤드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변환헤드의 앙각을 본 발명에 따라 제어하는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선도.
제5도는 헤드의 재위치결정을 제어하는 트랙점프논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사드럼 12 : 자기기록 테이프
14 : 상부회전드럼 16 : 하부드럼
18 : 안내 롤러 20, 20' : 가산 회로점
22 : 램프 발생기 A1, B1, A2, B2 : 자기변환 헤드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기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자기기록 테이프에서의 정보 트랙에 인접한 기록/재생 변환기 헤드의 위치결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할 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정보의 트랙에 인접배치된 다수의 변환헤드를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예를 들어 비디오 신호와 같은 정보신호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정보 트랙에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사용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형식의 기록 방식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는 주사드럼의 둘레에 배치되며, 그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는 하나 이상의 자기변환헤드가 드럼 주위를 회전한다. 테이프는 드럼 둘레의 나선 경로를 따르므로, 회전하는 헤드는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한 일정 각도로 배치된 테이프를 따라서 경로 즉, 트랙을 전송(transcribe)하게 된다. 테이프가 예비 결정된 속도로 드럼 둘레로 이송되고, 연속하여 인접 트랙이 그 각도로 테이프에 형성된다. 플레이백이 수행되는 동안에, 테이프가 동일한 속도로 주사 드럼 둘레로 이송되면 회전하는 변환헤드는 트랙을 기록된 순서대로 성공적으로 판독하게 된다.
느린 동작, 정지 프레임, 역동작과 같은 특정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테이프가 정상기록속도 및 재생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주사헤드를 지나 이송되게 된다. 테이프와 회전 헤드 사이의 상대속도의 변화 때문에, 헤드에 의해 규정되는 경로는 테이프에 기록된 트랙을 정확하게 따르지 않는다. 즉, 헤드가 테이프를 횡단하는 각도는 기록된 트랙의 각도와는 상이할 것이다. 이러한 각도 차이의 크기는 정상 기록 및 재생속도로부터의 테이프 속도의 편차에 따르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 정보의 개별 트랙을 충실히 재생하기 위해서는, 변환헤드를 주사드럼 둘레의 이동경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편향시켜야할 필요성이 있다. 즉, 변환 헤드는 기록정보의 특정 트랙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도록 드럼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헤드의 위치를 앙각(仰角; elevation)이라 칭한다. 변환헤드의 앙각을 제어하는 서보시스템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4,151,570호, 4,163,993호 및 4,485,41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 앙각 서보 시스템에는 2가지의 기본동작 모드가 있다. 거친(粗; coarse) 제어모드로 볼 수 있는 한 모드는 기록 트랙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위치에 헤드의 일반적인 위치결정을 하는 것이다. 특히, 정상 플레이 속도에 대한 테이프의 길이방향속도는, 테이프에 기록된 트랙과 변환헤드의 정상 경로와의 각도간의 편차를 나타내준다. 따라서, 정상 플레이 속도에 대한 실제 테이프 속도의 비 또는 이러한 비율에 관련된 다른 요소에 근거하여, 변환헤드의 회전 이동 중에 임의 지점에 있는 트랙의 위치를 예상할 수 있고 그리고 헤드는 이러한 예상 위치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헤드의 앙각은 전압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동작시에는, 경사가 정상 테이프 속도에 대한 실제 테이프 속도의 비에 비례하고 그리고 방향이 실제 테이프 속도가 정상 플레이 속도보다 서행인지 급행인지의 여부에 따르는, 그러한 램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램프전압을 헤드위치 서보 시스템에 적용시킴으로서, 헤드가 트랙에 적합한 예견되는 위치에 위치결정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프가 정상 플레이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면, 램프는 제로(zero)의 경사도를 가지므로, 변환헤드는 주사드럼 둘레의 정상경로를 종단(縱斷)하는 중심 앙각으로 된다.
이러한 거친 동작 제어 모드에서는, 변환헤드의 미세한 위치결정도 행해진다. 특히, 테이프의 늘어남, 한 기계와 다른 기계와의 사이의 정상속도와의 차(差)와 같은 변화된 상태 때문에, 변환헤드가 기록트랙 위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는 없을 것이다. 헤드의 위치가 트랙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재생신호의 질은 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변환헤드를 기록트랙의 중심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져 있다. 한가지 인기 있는 기술은 연속적으로 발진하는 디서(dither)신호를 램프 전압에 부과하여 변환헤드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서신호의 사용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어 상술된 미국 특허 제4,151,57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헤드위치 서보 시스템의 동작 모드, 즉 기록트랙의 예정위치에 기초한 헤드 앙각의 일반적인 제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서보 시스템의 이러한 면에 기본하여 기술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의 일반적인 위치결정은 정상 플레이 속도에 대한 실제 테이프 속도의 비에 관련된 경사를 갖는 램프전압을 발생시키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전압은 트랙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리세트하여 적절한 위치결정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정지 또는 동결 프레임 모드에서 비디오 정보와 동일한 필드 또는 프레임은 연속적으로 재생되어야 한다. 단일 종류의 기록에서, 각 필드는 단일 트랙에 기록된다. 따라서, 텔레비젼 표준 RS170A에 따르는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각기 구성된 프레임의 시켄스를 포함하는 정상 텔레비젼 신호용으로, 동일한 트랙이 단일 필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연속적으로 재생되거나 또는 2개의 인접 트랙이 완전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교대로 재생되어야 한다. 각각의 트랙재생, 예를 들면 필드의 디스플레이 중에, 테이프가 그 정상 플레이 속도로 이송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 때문에, 변환 헤드는 헤드 위치결정 서보 시스템에 의해서 이동된다. 따라서, 각 트랙의 끝에서, 헤드는 다음 트랙의 개시를 위해서 재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재배치 동작은 각 트랙의 개시 동작 시에 램프 전압을 동일 값으로 리세트 시킴으로서 실시된다.
유사한 형식의 동작이 다른 시청 모드(viewing mode)에서 실시된다. 예를 들어, 테이프가 정상의 2/3속도로 플레이되면, 모든 다른 필드는 일회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헤드는 2개의 필드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도록 위치되고 그후에 제2필드를 재생하도록 리세트 된다. 유사하게, 테이프가 정상속도의 두 배로 플레이되면 모든 다른 필드는 건너뛰게(skip)된다. 따라서, 각 트랙이 재생된 후, 헤드는 다음 인접 트랙을 점프하여 후속 트랙의 재생이 개시되도록 리세트되어야 한다.
과거에는, 비디오 신호가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형식으로 테이프에 기록되었다. 이러한 형식에서는, 각 필드가 하나의 정보 트랙에 기록되며, 정보는 주사드럼의 1회전 동안에 재생된다. 각 회전의 끝에서, 다음 정보트랙의 주사에 앞서 헤드를 적절한 위치에 결정하는 행동이 취해지게 된다.
근래에는, 비디오 신호가 디지털 형식으로 테이프에 기록되기 시작하였다. D-2 형식으로 알려진 형식에는 정보 트랙과 비디오 필드 사이에 1대 1대응이 없다. 그보다는, 하나의 비디오 신호에 함유된 디지털 정보가 일반적으로 3개 또는 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각 세그먼트는 분할 트랙에 기록된다. 따라서, 단일 비디오 프레임 또는 필드의 디스플레이에는 테이프에 다수 트랙의 재생이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동작에서는 헤드의 위치를 임의의 두 개 트랙 사이에서 리세트할 수 없다. 그보다는, 헤드의 리세트는 필드의 적절한 디스플레이를 보장하기 위해서 필드의 분할과 함께 동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정보의 필드가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면, 헤드는 단일 필드에 함유된 세그먼트 사이에서 리세트되지 않아야 한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상부 세그먼트는 1개 필드와 관련될 수 있을 것이며 반면에 하부 세그먼트는 다른 필드에 함유되어서 찌그러진 화상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의 리세트는 필드의 분할과 조화되어야만 한다.
디지털 기록에서 주의를 필요로 하는 다른 고려사항은 분할된 비디오 정보가 하나 이상의 헤드로 기록되고 재생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주사드럼은 서로 180°떨어져 있는 2개의 헤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는 이러한 형식의 구성물에서 주사드럼의 절반과 접촉할 뿐이다. 따라서, 한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헤드는 그렇지 않다. 한 헤드가 트랙의 기록 또는 재생을 마치고 테이프에서 분리되기 시작할 때 다른 헤드는 테이프와 접촉하고 다음 후속 트랙의 기록이나 재생을 시작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물은 헤드의 적절한 위치결정에 관하여 추가적인 어려움을 주게된다. 특히,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하고 있으면, 재생되는 비디오 신호의 질은 트랙에 대한 헤드 위치의 지시기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헤드가 테이프에서 떨어져 있으면 이러한 유형의 피드백은 이용될 수 없다.
과거에는, 헤드가 테이프에서 분리될 때마다 예정된 기준 위치로 헤드를 복귀시키어 상기 곤란함을 처리하였다. 헤드는 분리되어 있는 시간 동안 기준위치에 머물다가 테이프와 다시 접촉하게 될 때 다음 트랙을 주사하기 시작하기에 적당한 위치로 급속하게 이동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동작은 주사될 각 트랙에 대해 두 번의 리세트를 필요로 한다는 것, 즉 헤드를 기준 위치로 보내는데 트랙의 끝에서 제1리세트 그리고 그 기준 위치에서 다음 트랙의 초기 주사에 적당한 위치로 헤드를 보내는데 다음 트랙의 시작에서 제2리세트를 필요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변환기 헤드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현재 사용되는 시스템은 특성상 기계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전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그 물리적 형상이 변화되는 압전 요소(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제어신호에 의해 편향되는 음성 코일을 포함하게 된다. 성질이 기계적이기 때문에, 시스템은 헤드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는 속도를 제한하는 고유의 관성을 갖는다. 또한, 시스템은 반복 사용 후에 마모 및/또는 드리프트(drift)를 받을 수 있다. 상술된 헤드 위치의 빈번하고 급속한 리세트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은 기계적 헤드 위치결정 시스템의 물리적 제한 조건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분할 형식으로 기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헤드위치 서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또한, 임의적인 특정한 플레이백 모드에 필요한 최소 수를 갖는 헤드위치 시스템에서 리세트로 자기변환헤드의 정확한 앙각 위치를 결정하여, 헤드 위치결정장치의 마모를 저감시키는 것이 요망되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수단]
본 발명에 따라서, 다수의 자기변환 헤드가 분할형식으로 저장된 비디오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신호의 각 필드는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2개의 헤드는 그 세그먼트를 교대로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동작 시에, 한 헤드는 자기기록 테이프와 접촉하는 반면 다른 헤드는 그것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양쪽 헤드의 위치결정은 종속형식으로 실시된다. 테이프와 접촉한 헤드의 위치는 정상 플레이 속도에 대한 실제 테이프 속도의 비에 따라 발생된 적절한 램프전압으로 제어되어, 헤드를 테이프에 트랙과 정렬되게 유지한다. 테이프에서 분리된 다른 헤드도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하게 되면, 헤드는 테이프의 다음 트랙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시작하는데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비표준 플레이 모드에서 트랙을 점프하기 위해서 헤드의 재배치가 필요하면, 테이프와 접촉된 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정보의 트랙이 필드의 마지막 세그먼트에 관련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관련된다면, 테이프에서 분리된 헤드는 적절히 재배치되어 재생되고 있는 다음 필드와 관계된 제1세그먼트를 주사하기 시작하기 위해 테이프와 접촉할 때 적절한 위치에 있게된다. 다음, 일단 다른 헤드가 앞선 필드의 끝에서 테이프와의 접촉에서 벗어나면, 그 헤드는 헤드를 지금 테이프와 접촉하고 있는 헤드의 위치로 보내도록 재배치된다.
테이프에서 분리된 헤드의 위치를 테이프-접촉헤드의 위치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각 트랙 주사의 시작과 끝에서의 불필요한 리세트의 필요는 제거된다. 또한, 각 헤드는 그 회전기간의 대략 절반동안 테이프에서 분리되어 있으므로 헤드의 재배치는 이 기간에 걸쳐 쉽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위치결정 시스템에 의해 주어지는 관성은 부당한 스트레스 없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의 설명]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비디오 신호의 재생과 관련해서 설명한다. 신호를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은 NTSC텔레비젼 신호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업자이면 본 발명이 다른 유형의 기록형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필드 당 4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기 쉬운 PAL신호의 기록과 재생에도 동일하게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번에 두 트랙의 정보를 기록하도록 각 채널에 헤드 쌍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헤드는 서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있어 교차방위(cross-azimuth) 기록형식을 제공함으로서 인접 트랙 사이의 보호 밴드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헤드의 다른 구성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형의 주사헤드 구성물에 대한 상면도와 측면도이다. 기록 또는 재생 시스템은 자기기록 테이프(12)가 부분적으로 둘러 싸고 있는 주사 드럼(10)을 포함한다.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은 상부드럼(14)과 하부드럼(16)을 포함한다. 하부드럼(16)은 정지되어 있고 상부드럼(14)이 회전된다. 제1a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드럼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테이프(12)는 한 쌍의 안내 롤러(18)와 드럼(10)의 둘레로 안내되어 드럼 표면의 약 180°부분과 접촉하고 있다. 테이프는 캡스턴(도시 않음)과 같은 적당한 이송기구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드럼의 표면을 통과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럼의 표면을 지나는 테이프의 이동방향은 반시계 방향 즉, 드럼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이다.
두 쌍의 자기변환헤드(A1, B1, A2, B2)는 상부 회전드럼(14)의 원주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헤드(A1, B1)는 다른 쌍(A2, B2)과 180°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1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헤드(A1, B1)는 드럼(10)의 주변에 배치된 테이프(12)의 부분과 접촉되는 반면 다른 쌍은 테이프와 떨어져 있다.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쌍은 교대로 테이프와 접촉한다. 제1b도에 되시된 것과 같이, 테이프(12)는 드럼(10)의 표면 둘레에 나선을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드럼(14)이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헤드는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배향된 트랙을 전사한다.
드럼(10)의 축선이 수직방향으로 배향 되었다고 가정하면 헤드는 일반적으로 수평 경로로 진행한다. 테이프의 패킹 밀도(packing density)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쌍의 1헤드는, 예를 들어 A1, A2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 15°의 각도로 배향된다. 각 쌍의 다른 헤드 B1, B2는 같은 각도이지만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어 교차방위 관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각 쌍의 각 헤드에 의해 전사되는 트랙은 플레이백 중에 그 사이에 간섭하는 일이 없어서 서로 직접 인접하게 위치결정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의 각 필드는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변환기의 각 쌍은 각 연속 세그먼트를 교대로 기록 또는 재생한다.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그리고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한 쌍의 헤드, 예를 들어 A1, B1은 채널1이라하고 다른 쌍은 채널2라고 한다. 제2a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제1필드의 상부 세그먼트는 채널1 헤드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되고 중간 세그먼트는 채널2 헤드로 얻어지고 하부 세그먼트는 채널1의 헤드와 관련된다. 제2필드와 관련하여 상호 보완관계가 나타나는데, 제2필드에서 채널2는 상하부 세그먼트와 관련되고 채널1은 중간 세그먼트에만 관계한다. 텔레비젼 신호의 각 필드에 대해서는 주사드럼(10)의 1.5(1 1/2)의 회전이 필요하다.
자기헤드와 텔레비젼 화상의 디스플레이와의 사이에 관계는 제3a도의 타이밍 도면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제3a도에 도시된 신호A는 기준 소오스에 의해 발생되거나 테이프의 정보로부터 재생된 수직동기신호(垂直同期信號)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신호의 각 펄스는 비디오 정보의 신규 필드의 시작을 나타낸다. 제3a도의 신호B는 주사 드럼 타코미터의 동작에 관련된다. 상기 신호는 주사드럼(10)의 1/2회전 동안은 논리적으로 높은 값으로 되고 다음 1/2회전 동안은 논리적으로 낮은 값으로 된다. 따라서, 제3a도는 비디오 신호의 각 필드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주사드럼이 1.5회전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신호C와 D는 각기 채널1 헤드와 채널2 헤드에 관련된다. 이들 신호의 각각에서 실선은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한 동안의 시간을 나타내고 점선은 헤드가 테이프와 떨어져있는 시간에 관련된다. 헤드의 테이프-접촉 및 테이프-분리상태는 주사 드럼 타코미터 신호의 높은 값과 낮은 값 각각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3a도에 나타낸 신호C와 D는 동작 중에 헤드의 변화하는 앙각을 나타낸다. 제3a도에 도시된 특정 예에는 테이프가 정지되는 정지 프레임 모드에 관련된다. 상기 동작 모드에서 헤드는 각 필드가 재생된 후 리세트되어, 동일한 필드가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제3a도에서, 테이프 수직동기신호A의 각각의 부분은 필드의 시간적 순서를 표시하기 위해서 필드 1, 필드 2, 필드 3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결 프레임 모드(freeze frame mode) 중에 그 부분은 신호D 아래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두 비디오 신호와 동일한 필드에 관계한다.
동작 시에 각 헤드의 앙각은 헤드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시켜 정보 트랙을 주사시키도록 경사진 신호C와 D로 각각 나타낸 것과 같이 변화된다. 제1필드의 제1세그먼트 동안 채널1의 헤드는 테이프와 접촉하고 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이 동안에 채널2의 헤드는 테이프와 접촉하지 않지만 그의 앙각은 채널1 헤드의 앙각과 일치되게 변화된다. 따라서, 채널2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하게 되면 필드의 제2세그먼트와 관련된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즉시 재생하기 시작하기 위하여 적절한 앙각에 있게된다. 이 동안에 채널1의 헤드의 앙각은 채널2의 헤드의 앙각과 같은 방식으로 계속 변화되어 상기 헤드는 테이프와 다시 접촉하도록 될 때 적절하게 위치결정 된다.
제1필드의 최후 세그먼트 중에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의 헤드는 비디오 정보를 플레이백하고 채널2의 헤드는 테이프에서 떨어져 있다. 이때, 채널2의 헤드의 앙각은 트랙 점프, 즉 앙각 리세트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된다. 제3a도에 나타낸 예에서 이러한 리세트는 실행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 동안에 채널2 헤드의 앙각은 리세트되어 그들이 일단 테이프와 접촉하게 되면, 즉 제2필드의 제1세그먼트 동안에는 같은 필드를 재생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있게된다. 채널2 헤드는 주사드럼의 1/2 회전동안 테이프에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앙각 리세트 동작은 신호 D에 대하여 경사선 40으로 표시된바와 같이 다소 여유 있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헤드의 재위치 결정은 거의 순간적으로 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헤드 위치결정 시스템과 관련된 관성은 용이하게 조정될 수가 있다.
일단 채널2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하게 되고 제2필드의 제1세그먼트를 재생하기 시작하면 채널1의 헤드는 선 42로 나타낸 것과 같이 재위치결정된다. 채널1 헤드가 리세트되면 그 앙각은 경사선 44로 나타낸 것과 같이 채널2 헤드의 앙각과 일치되게 변화된다. 따라서, 일단 채널 1헤드가 테이프와 접촉 하게되면 그들은 제2필드에 대한 정보의 제2세그먼트를 즉시 재생하기 시작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있게된다. 이 세그먼트의 끝에서 채널1 헤드는 그들이 다시 한번 테이프에 접촉할 때 동일한 필드를 재생하기 위한 준비로 선 46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다시 리세트된다. 따라서, 제2필드 중에, 채널1 헤드는 두 번 리세트되는데, 이러한 리세트는 모드 헤드가 테이프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 일어난다. 이러한 동일 필드 중에, 채널2 헤드는 전혀 리세트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헤드의 어느 것도 각 프레임의 제2세그먼트 중에 리세트되지 않기 때문에, 그들 각각의 위치는 이때 서로 비교되고 테이프-분리 헤드의 위치는 테이프-접촉 헤드의 위치와 일치된다.
비표준 플레이 모드중의 헤드의 관계의 다른 예가 제3b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특정한 예는 테이프가 정상 재생속도의 1 1/2배로 재생되는 상태의 것이다. 이 모드에서 비디오 신호의 매(每) 세 번째 필드를 건너뛰게(skip)된다. 처음 2개 필드의 시간 시켄스 중에, 2개 채널의 헤드는 비디오 신호를 정상적으로 교대로 재생하고, 그들의 앙각 위치는 서로 조정되게 된다. 제1 및 제2의 기록된 필드가 연속으로 플레이백되기 때문에, 이들 2개 필드 사이에서 트랙 점프(헤드 리세트)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제3필드를 건너뛰게 되기 때문에 하나의 필드가 반복되는데 제3a도에 나타낸 점프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제2필드 후에 트랙 점프가 일어난다. 따라서, 제2필드의 최종 세그먼트 중에 채널1 헤드는 테이프에서 분리되고 그 앙각은 1개 트랙 점프와 같은 거리만큼 리세트된다. 채널1 헤드가 다시 테이프에 접촉하게 되면 그들은 제4프레임의 제1세그먼트를 재생하기 시작한다. 이때 다른 채널의 헤드는 리세트 되고 그후 채널1 헤드에 따라 이동되어 그들은 제4필드의 제2세그먼트를 재생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있게된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서 헤드의 앙각을 제어하는 헤드 위치 서보 시스템을 제4a도와 제4b도에 블록선도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제4a도를 참조하면, 각 채널의 헤드의 앙각은 각각의 가산(加算) 회로점(20, 20')에서 발생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채널1 헤드를 제어하는 회로의 부분을 참조하면, 가산 회로점에 제공된 주(主) 신호는 램프 발생기(22)에 의해 발생된 램프전압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램프 발생기는 업/다운 카운터(24)를 포함하며, 업/다운 카운터의 내용은 D/A변환기(26)에 제공된다. 램프 발생기(22)의 주(主)기능은 정상 재생속도에 대한 실제 테이프 속도의 비에 관련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실제 테이프 속도를 나타내는 캡스턴 타코미터 신호가 스티어링(steering) 논리회로(28)의 1개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 논리회로의 다른 입력단자는 캡스턴 타코미터의 정상 재생속도에 관련된 기준신호를 수신한다. 캡스턴 방향신호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준신호의 각 펄스는 업/다운 카운터(24)가 증가되도록 하고, 캡수턴 타코미터의 각 펄스는 업/다운 카운터(24)가 감소되도록 한다. 따라서, 테이프가 정상 재생속도로 이동할 때, 2개 신호에서의 펄스 수는 동일하게 되고 업/다운 카운터(24)의 내용은 일정하여, 램프 전압의 경사는 제로가 된다.
가산 회로점(20)으로의 다른 입력은 디서(dither) 발생기(3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포함한다. 디서 발생기는 텔레비젼 신호의 수직동기주파수의 대략 20배의 주파수를 가진 낮은 진폭의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디서 신호에 의해서 램프 전압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 주위로 헤드가 미세하게 발진되는 것이다. 주지된 원리에 따라서 이러한 발진은 헤드에 의해 재생된 RF신호에 엔벨로프(envelope)을 일으킨다. 이 RF신호는 엔벨로프 검출기(32)에 공급되어 엔벨로프의 모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엔벨로프 검출기에 이어서, 신호는 엔벨로프에 존재하는 디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동기 검출기(33)를 통과한다. 동기 검출기의 출력신호는 임계 검출기, 또는 슬라이서(slicer) 회로(34)에 공급되며, 슬라이서 회로(34)는 헤드에 대한 편차 또는 중심결정 오차를 결정한다. RF엔벨로프의 비대칭성으로 표시되는 오차가 나타나면 임계 검출기는 편차 방향에 따라서 스티어링 논리에 가산 또는 감산 입력신호를 제공한다. 이들 입력신호는 클록(35)으로 부터의 펄스가 카운터(24)의 업 또는 다운 입력단자에 보내지게 하여 헤드를 트랙의 중심에 맞추어 지도록 램프신호를 적절한 방향으로 승강(bump)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런 형식의 펄스는 1개 또는 2개만이 비디오 신호의 각 필드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어 저속 보정을 제공한다.
엔벨로프 검출기(3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트랙 곡선 필터(36)에도 인가된다. 이 필터는 엔벨로프 검출기의 출력신호를 테이프의 트랙 몇 개에 걸쳐 적분하여 다수 트랙의 일반적 형태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르 제공한다. 이 신호는 가산 회로점(20)에 제3입력신호를 제공하고, 테이프의 늘어남과 같은 장기간 효과를 보상한다.
제4b도를 참조하면 가산 회로점(20 및 20')으로부터의 앙각 제어신호는 각각의 연산 증폭기(100, 101)의 1개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각 증폭기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라인(102, 103)의 위치 신호와 합산되고 증폭기(104, 105)에서 증폭되고 음성코일(106, 107)로 인가된다. 음성코일(106, 107)은, 자기변환헤드(제4b도에는 도시 않음)의 앙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자계(磁界)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액츄에이터(actuators)를 구비한다.
각 헤드의 실제위치는 라인(102, 103)에 나타나는 위치 신호로서 감지되고 피드백 된다. 이 위치신호는 광학 센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1 구성을 참조하면, 자기헤드가 장착되는 아암 또는 다른 지지체는 LED(110)와 1쌍의 광다이오드(112, 114)사이에 배치된 브레이드(108) 또는 다른 적당한 광차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가 정상 앙각위치에 있을 때, 브레이드(108)는 각각의 광다이오드(112, 114)를 동등하게 차단(遮斷)한다. 각 광다이오드로 부터의 신호는 차동(差動) 증폭기(116)에 제공된다. 광다이오드에는 동등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그것들은 동일한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따라서 라인(102)에 제공되는 위치신호는 0 값으로 된다. 헤드가 정상위치로 부터 이동되면 브레이드(108)는 LED(110)로부터 더 많은 광이 다른데 보다 더 광감지기에 비추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차동 증폭기(116)는 불평형 상태로 되고 적절한 위치신호(102)를 제공하여 연산 증폭기(100)로부터의 출력신호와 가산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산의 결과, 증폭기(104)에 의해 음성코일(106)에 인가되는 오차신호가 발생한다. 즉, 헤드가 가산 회로점(20)으로부터의 신호로 표시되는 필요한 위치에 있다면, 위치신호(102)는 연산 증폭기(100)로부터의 출력신호와 동일하면서 반대 극성으로 되어 이들이 서로 상쇄되고, 극히 작은 오차신호가 음성코일(106)에 인가된다.
채널2 헤드에 대한 위치결정 시스템도 유사한 형태로 동작한다.
테이프 속도 관련 신호와 RF엔벨로프에 근거한 트랙킹 에러신호에 대하여 스티어링 논리회로(28)(제4a도)는 비디오 필드 하나의 재생의 종료시에 헤드를 재위치결정하기 위해 트랙 점프 또는 리세트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테이프의 속도가 정상 플레이 속도에서 벗어나면 램프 발생기(2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테이프의 속도가 정상재생속도 보다 큰지 아니면 작은지에 따라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경사를 가진 전압신호가 된다. 정상 플레이 속도와 실제속도 사이의 편이(偏移)가 클수록 램프전압신호의 경사는 크게 된다. 그러한 결과, 헤드의 앙각은 그 정상 플레이 위치로부터 보다 멀어지는 이동이 계속되고, 헤드는 공지된 원리에 따라 다음 후속 필드의 주사를 위해 그를 적절하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해서 비디오 필드의 주사의 종료시에 주기적으로 리세트 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테이프가 동결동작 플레이백 모드에서 정지되면, 헤드는 각 필드가 재생된 후 테이프의 1개 필드에 관련된 거리만큼 재위치결정 되어야 한다. 각 트랙이 1개의 완전한 비디오 필드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기록방식에 대해서는, 헤드는 1개 트랙의 폭에 관련된 거리만큼 재위치결정 된다. 그러나, 분할형식을 이용하는 기록방식에서, 헤드는 다수 트랙의 폭에 관련된 거리만큼 재위치결정 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수는 필드 당 세그먼크 수와 각 세그먼트 동안 테이프를 동시에 주사하는 헤드의 수로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헤드의 1개 필드 이동은 6개의 연속된 트랙의 폭에 관련된다. 비표준 플레이백 모드 중에 테이프에 대한 헤드의 상대속도가 정상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속도와 다르다는 사실 때문에 점프의 정확한 양은 실제 6개 트랙폭과 같지 않고, 실제 테이프속도에 의해 결정된 것에 따르는 그러한 거리 보다 약간 작거나 크다.
제3a도 및 제3b도의 타이밍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앙각 리세트도 또한 헤드의 테이프-접촉 및 테이프-분리상태, 그리고 특정 정보의 세그먼트, 즉 그것이 필드의 개시 또는 종료에 관계되는지의 여부와 종합되어야 한다. 테이프 속도 및 램프신호는 물론, 헤드의 앙각을 나타내는 이러한 정보는 트랙점프 논리회로(50)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채널정보는 2진 주사타코미터 신호(binary scanary tachometer signal)를 포함할 수 있을 뿐인데, 이것은 주사 드럼이 그 회전의 전반부에 있는지 후반부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채널1 헤드가 테이프와 접하는지 채널2 헤드가 테이프와 접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세그먼트 신호는 테이프 자체에서 얻어진다. 특히,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의 각 트랙은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관련된 필드의 특징 세그먼트를 식별하도록 부호화 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최초 세그먼트 및 최후 세그먼트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재생되고 있는 특정 세그먼트가 테이프 수직동기신호 및 스캐너 타코미터 신호에 의해, 또는 테이프에 기록된 제어트랙의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트랙점프 논리회로(50)는 앙각 리세트가 발생할 때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스티어링 논리회로(28)에 공급한다. 특히, 이 정보는 리세트의 크기와 리세트가 행해져야할 방향을 나타낸다. 트랙점프 논리회로(50)의 신호는 1세트의 타이머 칩(chip)(52)을 거쳐서 스티어링 논리회로(28)에 공급된다. 트랙점프 논리회로는 점프하는 램프 비트의 수(數)로 칩의 1개를 로드(load)하고, 다른 칩은 점프가 일어날 비율로 로드된다. 타이머 칩에 로드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티어링 논리회로는 적절한 수의 펄스를 카운터(24)의 업 또는 다운 카운터 입력하여 발생하지 않으면 안될 리세트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공급한다.
실제로, 트랙점프 논리회로(50)는 적합하게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특히, 비디오 테이프 기록장치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동작은 중앙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비디오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4,536,806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특허에 개시된 형식의 마이크로프로세서도 스티어링 논리회로(28)에 트랙점프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트랙점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상기 서브루틴은, 예를 들어 한 쌍의 헤드가 방금 테이프를 떠나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주사드럼 타코미터 신호B가 상태를 변화하는 각도로 발생되는 중단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 서브루틴은, 스텝 60에서 헤드 중 어느 것이 현재 테이프와 접하고 있는지의 결정으로 개시한다. 이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제3a도에 나타낸 스캐너 타코미터 신호B를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이 결정이 이루어지면 프로그램은 스텝 62에서, 재생되고 있는 특정 세그먼트가 필드의 시작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스텝 64에서, 그 세그먼트가 필드의 종료에 관계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그 지점에서 종료된다. 그러나, 헤드가 필드의 최후의 세그먼트에 관련된 트랙을 주사하면, 프로그램은 스텝 66에서, 헤드의 앙각이 제1예비 결정된 상한선 이상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업/다운 카운터(24)에 의해 발생된 램프 값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가 상한선 이상으로 위치결정 되면, 프로그램은 스텝 68에서, 채널2 스티어링 논리회로가 하방으로 프레임 점프를 실시하도록 명령한다. 예를 들면, 이 명령는 타이머 칩(52)으로 로드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각 필드가 3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2개 헤드가 동시에 테이프를 주사하는 실시예에서는 각 필드는 테이프에 6개 트랙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점프는 헤드가 테이프 위에 12 트랙의 폭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로 테이프 속도에 관련된 보정 요소에 관련된 거리로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점프가 실시되었을 때, 프로그램은 채널2에 대해서 표지A, B 및 C가 붙은 3개의 플랙(flag)을 설정한다. 플랙A는 점프가 발생한 것을 지시하기 위해 1의 값으로 설정된다. 플랙B는 점프의 방향에 따라 0 또는 1의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하방향 점프는 플랙B를 0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플랙C는 필드(6 트랙) 또는 프레임(12 트랙)점프가 실행된 것에 따라 0 또는 1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랙C가 프레임 점프를 나타내기 위해 1의 값으로 설정된다.
스텝 66에 있어서, 헤드 앙각이 제1 상한선 이하이면, 프로그램은 스텝 70으로 진행하여 헤드가 제1 상한선보다 낮은 제2상한선 위에 위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헤드가 제2 상한선 이상에 위치되면, 프로그램은 스텝 72로 진행하여 채널2의 스티어링 논리가 하방향으로의 필드 점프를 실시하도록 명령한다. 다시, 플랙C에 대한 값이 스텝 68에서 설정된 값과는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플랙 A, B 및 C가 설정된다.
스텝 70에서, 헤드 앙각이 제2 상한선을 넘지 않는다는 것을 프로그램이 결정하면 프로그램은 스텝 74로 가서 헤드가 제1 하한선 아래에 위치되는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스티어링 논리회로는 스텝 76에서 상방향으로 프레임 점프를 행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다시, 플랙 A, B 및 C가 적절하게 설정된다. 헤드가 제1 하한선 아래에 있지 않으면, 스텝 78에서, 헤드가 제1 하한선의 높이 위에 있는 제2 하한선 아래에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스티어링 논리회로는 스텝 80에서 상방향으로 필드 점프를 하라는 명령을 받고, 플랙 A, B 및 C는 적절하게 결정된다. 헤드가 제2 하한선 아래에 있지 않으면, 즉 그것들이 제2 상한선과 제2 하한선 사이에 위치되면 점프가 필요 없고 루틴은 종결된다.
일단 1쌍의 헤드가 1개 필드의 최후 세그먼트 동안에 리세트되면, 다른 쌍의 헤드는 다음 필드의 개시에서 리세트 되어야 한다. 다시 스텝 62를 참조하면, 주사되고 있는 트랙이 필드의 개시 세그먼트에 관련되어 있다는 결정이 내려지는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 82로 가서, 다른 채널의 헤드가 이전에 리세트 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은 플랙A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점프가 이전에 실시된 적이 없다면 그 루틴은 종료한다. 그러나 점프가 일어났으면 프로그램은 스텝 84에서 플랙B를 검사하여 점프의 방향을 결정한다. 거기에 응답하여 프로그램은 스텝 86 또는 스텝 88로 가서 플랙 C를 검사하고, 필드 또는 프레임 점프가 실시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 플랙의 상태에 응답하여, 채널1 헤드의 스티어링 논리회로(28)는 스텝 90, 92, 94 및 96 가운데 하나에서 적절한 점프를 실행하도록 명령받는다. 다음에, 채널 2의 플랙은 클리어되고 그 루틴은 종료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분할 형식으로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비디오헤드의 자동적 위치결정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테이프-분리 헤드의 앙각위치를 테이프-접촉 헤드의 위치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헤드를 각 세그먼트의 개시 및 종료에서 급속하게 리세트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또, 이와 관련해서, 비표준 플레이백 모드에서 필요한 리세트 동작은 헤드의 테이프-접촉 및 테이프-분리상태와 조화되어, 이와 같은 리세트가 헤드이동을 행하는 기계적 방식을 과도한 압박이 없는 적당한 비율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당업자이면 본 발명이 그 정신이나 본질적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재생에 특히 관련하여 기재되었으나 본 발명의 원리는 기록용 헤드에도 동일하게 적응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Claims (9)

  1.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다수의 연속 트랙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의 각 필드에 내재된 정보가 분할되어 있는 분할 형식으로 비디오 정보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테이프로부터 그리고 테이프로 상기 비디오 정보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각이 정보 전달 영역을 가지고, 각각이 하나의 경로를 예비결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식 지지체(moveable support)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변환기와; 상기 테이프를 상기 예비결정 경로의 일부를 따라 이송시켜, 상기 변환기가 상기 테이프의 예비결정 길이 방향 속도로의 이송 시에 상기 테이프를 상기 각도로 가로지르도록 하고, 상기 예비결정 경로의 길이는 1개 이상의 변환기가 상기 테이프와의 사이에서 그들 사이에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때에는 테이프와 동작 관계에 있고, 반면에 다른 변환기는 테이프와 비동작 상관관계에 있게 하는 테이프 이송수단과; 각 변환기의 정보전달 영역의 위치를 상기 예비결정 경로의 방향에 대해서 횡단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의 트랙에 변환기를 위치결정하는 정보전달 영역의 위치 변화수단과; 테이프의 길이방향 속도에 응답하여, 양쪽의 변환기의 정보전달 지역의 위치를 동일한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상기 변화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세그먼트가 상기 변환기와 관계 동작하는 비디오 필드에 테이프에 대한 특정 세그먼트의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세그먼트가 최후의 세그먼트일 때의 제1제어 신호와, 상기 세그먼트가 특정 비디오 필드의 최초의 세그먼트일 때에 제2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1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점프 신호를 제공하고 점프 신호를 상기 수단에 적용하여, 테이프상의 트랙에 근접된 다른 변환기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제2제어 수단과; 상기 제2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환기가 제1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를 변경하였는지를 검출하고, 그에 응답하여 변환기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수단에 인가되는 점프신호와 동일한 방향과 진폭을 가지는 점프 신호를 공급하고, 다른 변환기를 상기 변환기와 동일한 거리로 위치변경 하는 제3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래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체는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는 상기 드럼의 주위에서 서로 180°떨어진 위치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의 각각은 1쌍의 자기 헤드를 포함하고, 각 쌍의 헤드의 1개는 상기 예비결정 경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한 방향으로 배향되고, 그리고 상기 쌍의 다른 헤드는 상기 경로에 대해 상기 각도로 반대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수단은, 상기 테이프의 이동 속도와 방향에 비례하는 경사를 가진 램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램프 신호를 변환기의 양쪽에 대하는 위치변화 수단에 동시에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신호의 경사는 상기 테이프의 실제 속도와 상기 예비결정 속도의 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기를 테이프에 인접 트랙의 간격만큼 이격진 거리로 반대방향으로 동작하게 하는 트랙 점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트랙 점프 신호를 각각의 변환기의 위치변화수단에 각각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기를 테이프에 인접 트랙의 간격만큼 이격진 거리로 반대방향으로 동작하게 하는 트랙 점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트랙 점프 신호를 각각의 변환기의 위치변화수단에 각각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헤드위치 트랙킹 장치.
  8. 비디오 정보의 각 필드는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가 분리된 트랙에 위치하는 다수의 세그먼트에 세그먼트에 기록되고, 녹음 정보의 재생은 테이프와 교대로 접촉 및 비접촉되는 2개 이상의 변환기에 의해서 실시되는 유형의 비디오 테이프 재생기를 이용하여, 변환기의 앙각 위치를 트랙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 자동헤드위치 트랙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개 변환기가 테이프와 접촉하는 때를 검출하고, 비디오 필드에 관한 정보의 최후의 세그먼트가 변환기에 의해 재생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스텝 60); 상기 1개 변환기가 최후의 세그먼트를 재생하고 있으면 다른 변환기의 앙각 위치를 조정하고, 그 앙각 위치가 예비결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스텝 66, 70, 74, 78); 상기 앙각 위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다는 결정이 내려지면, 다른 변환기의 앙각 위치를 테이프에 인접트랙의 간격에 거리로 그 위치를 변화시키는 단계와(스텝 72, 68, 76, 80); 이어서, 1개 변환기가 테이프와 비접촉하는 때를 검출하는 단계(스텝 62, 82); 및 상기 다른 변환기가 다음 비디오 필드에 관한 정보의 제1 세그먼트를 재생할 때에 상기 1개 변환기의 앙각 위치를 상기 거리만큼 변화시키는 단계(스텝 90, 92, 94, 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헤드위치 트랙킹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테이프와 접촉된 변환기의 위치를 재생되고 있는 정보 트랙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테이프와 접촉된 변환기의 위치를 변화시켜 변환기가 재생되고 있는 정보의 트랙과 정렬되도록 유지시키는 단계; 및 테이프에서 분리된 다른 변환기의 앙각 위치를 변화시켜, 그 변환기가 테이프와 접촉된 변환기와 동일한 앙각 위치를 점유하게 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헤드위치 트랙킹 방법.
KR1019890015705A 1988-10-31 1989-10-30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KR015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265,189 1988-10-30
US07/265,189 US4933784A (en) 1988-10-31 1988-10-31 Automatic head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video signals recorded in a segmented format
US265,189 198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14A KR900006914A (ko) 1990-05-09
KR0159499B1 true KR0159499B1 (ko) 1999-01-15

Family

ID=2300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705A KR0159499B1 (ko) 1988-10-31 1989-10-30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33784A (ko)
EP (1) EP0367440B1 (ko)
JP (1) JPH0821169B2 (ko)
KR (1) KR0159499B1 (ko)
DE (1) DE689265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308B2 (ja) * 1988-07-28 1997-04-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vtrのダイナミックトラッキング方法
US5210663A (en) * 1989-04-10 1993-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cking control device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device
JP2580341B2 (ja) * 1989-09-29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5239430A (en) * 1989-09-29 1993-08-24 Sony Corporatio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at a reproducing speed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speed
US5448540A (en) * 1990-09-21 1995-09-0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recording/reproducing element
US5384642A (en) * 1991-02-02 1995-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cking and picture quality in a VTR
KR930001645B1 (ko) * 1991-02-13 199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트랙킹 방법
WO1994011991A1 (en) * 1992-11-16 1994-05-26 Ampex Systems Corporation Tape format for recording digital audio video and audio signals
US6246551B1 (en) * 1998-10-20 2001-06-12 Ecrix Corporation Overscan helical scan head for non-tracking tape subsystems reading at up to 1X speed and methods for simulation of same
US6307701B1 (en) 1998-10-20 2001-10-23 Ecrix Corporation Variable spee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magnetic tape drive
US6381706B1 (en) 1998-10-20 2002-04-30 Ecrix Corporation Fine granularity rewri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7B1 (en) 1998-10-20 2002-04-02 Ecrix Multi-level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for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US6421805B1 (en) 1998-11-16 2002-07-16 Exabyte Corporation Rogue packet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8B1 (en) 1998-11-16 2002-04-02 Mcauliffe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ly rejecting previously recorded track residue from magnetic media
US6603618B1 (en) 1998-11-16 2003-08-05 Exaby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tape position using control data packets
US6308298B1 (en) 1998-11-16 2001-10-23 Ecrix Corporation Method of reacquiring clock synchronization on a non-tracking helical scan tape device
US6364234B1 (en) 2000-03-10 2002-04-02 Michael Donald Langiano Tape loop/slack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pe drive
US6624960B1 (en) 2000-03-10 2003-09-23 Exabyte Corporation Current sensing drum/cleaning wheel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storage system
US8873194B1 (en) * 2014-04-01 2014-10-28 Lsi Corporation Touchdown detection in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329B2 (ko) * 1972-05-22 1981-11-28
US4151570A (en) * 1976-03-22 1979-04-24 Ampex Corporation Automatic scan tracking using a magnetic head supported by a piezoelectric bender element
JPS5492308A (en) * 1977-12-29 1979-07-21 Sony Corp Head tracking device in recorder-reproducer
DE2751180C2 (de) * 1977-11-16 1979-11-15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8510 Fuert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örungsfreien Standbildwiedergabe
JPS5497007A (en) * 1978-01-17 1979-07-31 Sony Corp Head supporting structure
JPS6125071Y2 (ko) * 1978-03-03 1986-07-28
JPS54148421A (en) * 1978-05-15 1979-11-20 Sony Corp Automatic tracking device for rotary magnetic head
JPS5538649A (en) * 1978-09-07 1980-03-18 Sony Corp Tracking unit of magnetic head
JPS5539478A (en) * 1978-09-14 1980-03-19 Sony Corp Regenerator of video signal
AU539426B2 (en) * 1979-03-15 1984-09-27 Sony Corporation Automatic head height control apparatus
JPS5668922A (en) * 1979-11-06 1981-06-09 Sony Corp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683835A (en) * 1979-12-07 1981-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cking device
DE3160763D1 (en) * 1980-04-08 1983-09-22 Minnesota Mining & Mfg Automatic track following feature for helical video recorder
JPS56157182A (en) * 1980-05-07 1981-12-04 Victor Co Of Japan Ltd Tracking system
JPS56159858A (en) * 1980-05-10 1981-12-09 Sony Corp Tracking control unit i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DE3045543A1 (de) * 1980-12-03 1982-07-0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wiedergabe von auf einem aufzeichnungstraeger in einzelnen spuren aufgezeichneten videosignalen
DE3045541A1 (de) * 1980-12-03 1982-07-0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wiedergabe von auf einenaufzeichnungstraeger in einzelnen spuren aufgezeichneten videosignalen
JPS57203229A (en) * 1981-06-09 1982-12-13 Sony Corp Magnetic recorder and reproducer
GB2111288B (en) * 1981-11-20 1985-04-11 Sony Corp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rrangements
JPH0749524Y2 (ja) * 1984-12-17 1995-11-13 ナカミチ株式会社 移動体の移動制御装置
JPH0695377B2 (ja) * 1985-03-12 1994-11-24 ソニー株式会社 バイモルフヘツドのバイモルフ駆動装置
JP2606308B2 (ja) * 1988-07-28 1997-04-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vtrのダイナミックトラッキ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7440B1 (en) 1996-05-29
JPH02172013A (ja) 1990-07-03
EP0367440A2 (en) 1990-05-09
JPH0821169B2 (ja) 1996-03-04
EP0367440A3 (en) 1991-05-29
KR900006914A (ko) 1990-05-09
DE68926565T2 (de) 1997-01-23
DE68926565D1 (de) 1996-07-04
US4933784A (en) 199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499B1 (ko) 분할형식으로 기록된 비디오 신호용 자동헤드위치 트랙킹방법 및 장치
US4558376A (en) Method and system of reproduction of magnetically recorded video signals at speeds differing from recording speed
US4255768A (en) Tracking control apparatus for a rotary head, variable speed signal reproducing system
US4528605A (en) Rotary magnetic head scanning control system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48081B2 (ko)
JPS6030008B2 (ja) 再生装置
JPH0210707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CA1235221A (en) Digital video recording
US4462049A (en) Process for producing a video signal recorded on a record carrier
JPH0158565B2 (ko)
US4268876A (en) Magnetic reproducing device
EP013066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video signal obtained from a high speed scanning video camera
US5088077A (en) Synchronization of record media transports and tracking adjustment
US49165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ime base altered effects i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60000615B1 (ko) 영상신호 재생장치
JP2578864B2 (ja) ビデオテープのシャトル操作時に画像品位を改善するための方式及び方法
US4463388A (en) Rotary recording medium capable of performing special reproduction
US4734799A (en) Apparatus for tracking magnetic head on rotary magnetic recording medium by envelope detection
JPS6412007B2 (ko)
DE3269509D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video signals
KR880000396B1 (ko) 트래킹 제어방식
KR880000323B1 (ko) 자기재생장치에서의 트래킹(tracking)방식
JPH07272234A (ja) 情報記録方法
JPH062028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356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