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230B1 -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230B1
KR0159230B1 KR1019960008181A KR19960008181A KR0159230B1 KR 0159230 B1 KR0159230 B1 KR 0159230B1 KR 1019960008181 A KR1019960008181 A KR 1019960008181A KR 19960008181 A KR19960008181 A KR 19960008181A KR 0159230 B1 KR0159230 B1 KR 015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activity
humidity
signal appli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367A (ko
Inventor
김인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230B1/ko
Publication of KR97006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원만 인가하면 운전상태 설정에서부터 운전정지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모든 제어를 행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없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1부하 정지 단계(S10)와; 전원이 인가중이면,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에 의해 산출된 활동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실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여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2부하 정지 단계(S20)와; 실내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습도신호에 의해 산출된 습도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으면 제습운전을 하고, 소정의 습도 보다 높지 않으면 제습운전을 중지하는 제습운전 제어단계(S30)와; 광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낮인지 밤인지를 판단하고,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로부터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며, 실내온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를 나누어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제어하는 냉방운전 제어단계(S40)와; 오염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오염도 신호에 의해 산출된 오염도에 따라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오염도가 높을수록 공기정화기를 강으로 작동시키는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 제1부하 정지 단계 S20 : 제2부하 정지 단계
S30 : 제습운전 제어단계 S40 : 냉방운전 제어단계
S50 : 공기정화 제어단계 S60 : 모기향 발생기 제어단계
S70 : 향 발생기 제어단계
본 발명은 공기의 온도, 습도흐름 및 정화 정도를 제어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전원만 인가하면 운전상태 설정에서부터 운전정지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모든 제어를 행하므로,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노 터치(no touch)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한 후, 리모콘 또는 실내기 몸체에 있는 조작 스위치를 이용하여 온도, 풍량 등의 운전상태를 설정함으로 운전이 가능했으며, 또한 필요시 마다 사용자가 수시로 온도, 풍량 등의 운전조건을 조절해야만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필요시 마다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운전조건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원만 인가하면 운전상태 설정에서부터 운전정지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모든 제어를 행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없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1)와;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 검출부(2)와; 실내에 있는 사람의 활동량을 검출하는 활동량 검출부(3)와; 실내에 모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모기 검출부(4)와; 실내의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오염도 검출부(5)와; 실내의 밝은 정도를 검출하는 광 검출부(6)와; 실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부(7)와; 상기 각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실내기 각 부를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8)와; 상기 실내기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을 작동시키는 실내팬 구동부(9)와; 상기 실내기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는 공기정화기 구동부(10)와; 상기 실내기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모기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실내에 모기향을 발생시키는 모기향 발생기 구동부(11)와; 상기 실내기 제어부(8)의 제어에 따라 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실내에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 발생기 구동부(12)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교환기 온도 검출부(21)와;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실외온도 검출부(22)와; 상기 열교환기 온도 검출부(21)와 실외온도 검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실외기 각 부를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23)와; 상기 실외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을 작동시키는 실외팬 구동부(24)와; 상기 실외기 제어부(23)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를 작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내기 제어부(8)와 실외기 제어부(23)는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아 각 부하를 제어한다.
본 발명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1부하 정지 단계(S10)와; 상기 제1부하 정지 단계(S10)를 수행한 후 전원이 인가중이면,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에 의해 산출된 활동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실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여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2부하 정지 단계(S20)와; 상기 제2부하 정지 단계(S20)를 수행한 후, 실내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습도신호에 의해 산출된 습도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으면 제습운전을 하고, 소정의 습도 보다 높지 않으면 제습운전을 중지하는 제습운전 제어단계(S30)와; 상기 제습운전 제어단계(S30)를 수행한 후, 광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낮인지 밤인지를 판단하고,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로부터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며, 실내온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를 나누어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제어하는 냉방운전 제어단계(S40)와; 상기 냉방운전 제어단계(S40)를 수행한 후, 오염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오염도 신호에 의해 산출된 오염도에 따라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오염도가 높을수록 공기정화기를 강으로 작동시키는 공기정화 제어단계(S50)와;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수행한 후, 모기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에 모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모기가 있는 경우 모기향 발생기를 작동시키고, 모기가 없는 경우 모기향 발생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모기향 발생기 제어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수행한 후, 오염도가 소정의 오염도 보다 낮은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실내에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 발생기 제어단계(S70)를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의 작동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시키면, 전원입력부(1)를 통해 실내기 제어부(8)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제1부하 정지 단계(S10)에서, 전원입력부(1)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판단결과 전원이 인가되는 중이면 제2부하 정지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제2부하 정지 단계(S20)에서, 활동량 검출부(3)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에 의해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즉,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 활동량이 없으면 실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여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활동량이 있거나 또는 활동량이 없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활동량이 있으면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습운전 제어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제습운전 제어단계(S30)에서, 습도 검출부(7)로부터 인가되는 습도신호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은지 높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습도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으면 제습운전을 하여 실내의 습도를 낮추고, 상기 습도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지 않으면 제습운전을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제습운전을 중지한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상기 제습운전 제어단계(S30)를 수행한 후 냉방운전 제어단계(S40)에서, 광 검출부(6), 활동량 검출부(3) 및 실내온도 검출부(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낮인지 밤인지, 활동량의 대소, 실내온도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여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실내팬 구동부(9)를 제어하고, 실외기 제어부(23)에 통신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실외기 제어부(23)로 하여금 압축기 구동부(25)와 실외팬 구동부(24)를 제어한다. 즉, 낮이면서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높거나 또는 소정의 활동량 보다 낮으면서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높으면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강으로 제어하여 냉방능력을 증가시키고, 밤이거나 또는 낮이라도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낮으면서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낮으면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약으로 제어하여 냉방능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상기 냉방운전 제어단계(S40)를 수행한 후 공기정화 제어단계(S50)에서, 오염도 검출부(5)로부터 인가되는 오염도 신호에 의해 오염도를 산출하고, 오염도에 따라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오염도가 높을수록 공기정화기를 강으로 작동시키도록 공기정화기 구동부(10)를 제어하는데, 오염도가 심하면 풍량, 고압발생장치의 전압, 음이온의 전압 등을 강으로 작동시키고, 오염도가 보통이면 공기정화기를 중으로 작동시키고, 오염도가 낮으면 공기정화기를 약으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수행하기 전 설정풍량이 강인 경우 실내 오염도에 관계없이 풍량을 강으로 유지시키고, 설정풍량이 중인 경우 실내 오염도에 따라 풍량을 중 또는 강으로 조절하고, 설정풍량이 약인 경우 실내 오염도에 따라 풍량을 강,중,약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수행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이 한 후(즉, 오염도가 소정의 오염도 보다 낮은 경우)에 향 발생기 제어단계(S70)에서 소정시간 동안 향 발생기 구동부(12)를 제어하여 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실내에 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 제어부(8)는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S50)를 수행한 후 모기향 발생기 제어단계(S60)에서, 모기 검출부(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실내에 모기의 유무를 판단한 다음, 모기가 있으면 모기향 발생기 구동부(11)를 통해 모기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모기향을 발생시키고, 모기가 없으면 모기향 발생기의 작동을 중지시켜서 모기향 발생을 중지시킨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전원만 인가하면 공기조화기 자체에서 운전상태 설정에서부터 운전정지에 이르기까지 스스로 모든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샤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 없으므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스위치의 조작방법을 몰라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미숙한 조작으로 인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전원이 인가되는 중인지를 판단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1부하 정지 단계와; 상기 제1부하 정지 단계를 수행한 후 전원이 인가중이면,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에 의해 산출된 활동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없는 경우 실내에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여 모든 부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2부하 정지 단계와; 실내에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습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습도신호에 의해 산출된 습도가 소정의 습도 보다 높으면 제습운전을 하고, 소정의 습도 보다 높지 않으면 제습운전을 중지하는 제습운전 제어단계와; 광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낮인지 밤인지를 판단하고, 활동량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활동량 신호로부터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며, 실내온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제어모드를 소정의 단계를 나누어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제어하는 냉방운전 제어단계와; 오염도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오염도 신호에 의해 산출된 오염도에 따라 제어 모드를 소정의 단계로 나누어 오염도가 높을수 공기정화기를 강으로 작동시키는 공기 정화 제어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를 수행한 후, 오염도가 소정의 오염도 보다 낮은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향 발생기를 작동시켜서 실내에 향기를 발생시키는 향 발생기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제어단계를 수행한 후, 모기 검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실내에 모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모기가 있는 경우 모기향 발생기를 작동시키고, 모기가 없는 경우 모기향 발생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모기향 발생기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운전 제어단계는, 낮이면서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높거나 또는 소정의 활동량 보다 낮으면서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강으로 제어하여 냉방능력을 증가시키고, 밤이거나 또는 낮이라도 활동량이 소정의 활동량 보다 낮으면서 실내온도가 소정의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와 실내·외팬을 약으로 제어하여 냉방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19960008181A 1996-03-25 1996-03-25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015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181A KR0159230B1 (ko) 1996-03-25 1996-03-25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181A KR0159230B1 (ko) 1996-03-25 1996-03-25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367A KR970066367A (ko) 1997-10-13
KR0159230B1 true KR0159230B1 (ko) 1999-01-15

Family

ID=1945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181A KR0159230B1 (ko) 1996-03-25 1996-03-25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787A (ko) * 2001-08-22 2003-03-03 (주)바이오텔 실내 대기질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367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0069B2 (ja) ユニットベンチレータのカスケード式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2188841A (ja) 外気処理ユニット
KR0159230B1 (ko) 노 터치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JPS63302237A (ja) 空気調和装置のデマンド制御装置
JP3577764B2 (ja) 空気調和機
JPH02187554A (ja) ビル監視制御装置による空調制御方式
JPH0544980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9990040075A (ko) 에어컨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854901A (ja) 負荷選別制御方法及び装置
JPH07180887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JP2001201136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6300346A (ja) 湿度制御装置
JPH01179856A (ja) 空気調和機の風量制御装置
KR940004279A (ko) 냉난방 겸용 에어콘의 구동제어방법
JPH04136648A (ja) 空気調和機のデマンド制御装置
JP2595360B2 (ja) 空気調和装置
JPH0432298B2 (ko)
JPH11248210A (ja) 換気装置の運転方法
KR100316758B1 (ko) 에어컨의 쾌적지수 운전방법
JPS60221647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1336801A (ja) 空気調和機制御システム
JPH06185784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966507B2 (ja) 空気調和機の圧縮機制御装置
JPH05296519A (ja) 空気調和機
JPH11223373A (ja) パッケージ形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