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885B1 -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885B1
KR0158885B1 KR1019900018282A KR900018282A KR0158885B1 KR 0158885 B1 KR0158885 B1 KR 0158885B1 KR 1019900018282 A KR1019900018282 A KR 1019900018282A KR 900018282 A KR900018282 A KR 900018282A KR 0158885 B1 KR0158885 B1 KR 015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opening
loudspeaker system
tub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084A (ko
Inventor
아델베르트 마리아 니우벤딕 요리스
빌헬무스 테오도루스 박스 요하네스
요세푸스 마르티네스 캄푸스 요하네스
알렉산더 웨스트라 프란스
Original Assignee
프레데릭 얀 스미트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데릭 얀 스미트,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프레데릭 얀 스미트
Publication of KR91001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49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7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using transducers reproducing the same frequency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확성기 시스템은 하우징의 체적을 두부분(V1, V2)으로 나누는 확성기(3)를 적어도 하나 그 안에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제1체적(V1)은, 하우징(1)에 있는 개구를 통해, 감쇠수단(6)을 구비하는 음향관(5)에 결합된다. 제1체적부분(V1)은 제2체적부분(V2)보다 작은 체적을 갖는다. 감쇠수단은 헬름홀쯔 공명기의 형태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제1도는 확성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확성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텔레비젼 세트에서의 확성기 시스템의 사용을 보여주는 도면.
제4도는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과 음향관의 연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Q-인자(Q-factor)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세가지 주파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7도는, 제8도 및 제9도는 음향관이 표준으로 역할하는 세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10도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확성기 배치
3,4 : 확성기 5 : 음향관
6 : 감쇠수단 도는 헬름홀쯔 공명기 7 : 밀폐체적
8 : 음향적 감쇠물질 9 : 게이트
본 발명은 개구(aperture)에 결합된 음향관의 한쪽끝과 협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개구가 갖추어져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확성기 시스템에 관한 것인데 하우징은 하우징내에 내장되어 있는 확성기 장치에 의해 제1및 제2체적부분(volume part)으로 나뉘어지는 체적을 구비하며, 제1체적부는 하우징내의 음향개구와 음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런 확성기 시스템은 독일 실용신안의장 83.14.251로부터 알려져 있다.
알려져 있는 확성기 시스템의 단점은 음향 출력 신호가 다소 윤색되고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음향 출력 신호에 있는 왜곡부분이 훨씬 낮고, 윤색이 음향 출력 신호에서 덜 생기는 확성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그 목적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장치는 음향관은 개구를 통해 음향관에 평행하게 음향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밀폐체적 형태의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하는 감쇠수단(damping means)을 구비하는 것과 헬름홀쯔 공명기는 적어도 헬름홀쯔 공명기의 부재시의 음향관의 전송 특성에서 최저 주파수의 공명피크를 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헬름홀쯔 공명기를 음향관에 평행하게 결합한다는 것은 헬름홀쯔 공명기가 측면분기로서 음향관에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구조는 문헌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 그 중에서도 존 윌리 앤드 선즈사가 1962년 간행한 엘.이.킨슬러외 다수가 쓴 음향학의 기본아리는 책의 페이지 202 내지 209를 참고한다.
팽창실 필터형(expansion chamber filter type)도 음향관에서 사용되지만 이런 구조는, 팽창실 필터형과는, 전적으로 다르다. 그 중에서도 , 위에서 언급한 책의 페이지 209 및 미국 특허 명세서 3,944,757을 참고한다. 이런 평행하게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의 음향 효과는 또한 팽창실형 필터의 작용과도 다르다.
본 발명은 확성기 장치의 출력 신호는 특히 음향관이 상당한 길이를 가지면 심각하게 왜곡된다는 사실의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음향관내의 공기는 더이상 음향질량으로서 동작할 수 없다. 이것은 음향관은 알려져 있는 확성기 장치에서 처럼 저음 반사 게이트(base-reflex gate)로서 그다지 역할을 못하고 음향 전송 신호로서 역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왜곡의 원인이 되고 디바이스의 전송 특성에서 예리한 피크 및 디프(dip)로 결과되는 정상파(standing wave)가 음향관(공명)에서 형성된다. 윤색은 원하는 소리외에 음향관내의 비교적 높은 공기속도의 결과로서 잡음이 발생되는 데서 형성된다. 이것의 결과는 관의 전송 특성에서 잡음이 피크주변의 주파수에서 강해지는 것인데, 음향 출력 신호의 윤색을 일으킨다. 음향관에 결합되는 헬름홀쯔 공명기 형태의 감쇠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상파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정확한 맞춤(tuning)으로 억제될 수 있다. 확성기 시스템의 주파수 전송 특성은 그 결과가 더 평탄한데, 음향출력 신호의 왜곡 감소 및 윤색 감소를 의미한다.
확성기 시스템은 확성기 장치가 종속으로 배치된(cascade-arranged) 확성기를 적어도 두개 구비하는 것을 추가 특징으로 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확성기의 종속 배치의 결과로 하우징은 여전히 비교적 작지만 더 큰음향 출력이 발생될 수 있다. 모노 신호의 경우에, 동일한 신호가 전기 입력 신호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확성기에 가해진다. 스테레오 신호의 경우에 좌신호(left-hand signal)부분은 한 확성기에 가해지고 스테레오 신호의 우신호(right-hand signal)부분은 전기 압력 신호로서 제2확성기에 가해진다. 이것은, 스테레오 신호는 좌 및 우 신호 부분이 이와 같이 음향적으로 합해지도록 저주파 방향 정보(low-frequency direction information)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저음 확성기(Woofer) 시스템에 있어서는 단점이 아니다.
보든 확성기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전기 신호는 같은 위상으로 모든 확성기에 가해진다. 같은 방향으로의 확성기의 종속 배치는 원래 알려져 있는 것이고, 이 목적으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63-260394를 참고한다. 상기 공개로부터 알려진 확성기 시스템의 구조는,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 시스템의 구조와는 다르다.
확성기 시스템은 또한 거울면에서 처럼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극성이 서로 다른 신호가 두개의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된 확성기에 가해진다.
WO 89-8909는 음향관에 평행하게 결합되는 헬름홀쯔 공명기 형태의 음향 반사기를 기술하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이것의 목적은 음향관의 한 끝에서 잡음원에 의해 가해지는 음파를 반사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들은 다른 끝에서 발산되지 않는다. 이것은 헬름홀쯔 공명기는 헬름홀쯔 주파수가 잡음원의 음향 신호에 있는 가장 낮은 음(tone)의 주파수와 거의 동일하도록 적당한 비율로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가지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이제 다른 실시예와 관련해서 도면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는 제1도의 확성기 장치(2)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1)을 구비하는 확성기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확성기 장치는 확성기를 적어도 한개 구비한다. 제1도의 확성기 장치(2)는 종속으로 배치된 확성기(3) 및 (4)를 구비한다. 확성기(장치)는 하우징(1)의 체적을 제1 및 제2체적부분(V1및 V2)으로 각각 나눈다. 두 확성기 사이의 체적은 매우 작아서 높은 기계적 견고성을 갖는다. 제1체적부분(V1)은 개구를 통해 음향관(5)의 한쪽 끝에 음향적으로 결합된다. 관(5)은 감쇠수단(6)을 구비한다. 감쇠수단은 감쇠수단의 부재시에 발생하게 되는 정상파를 감쇠하도록 의도되었다. 감쇠수단은 음향적 감쇠물질(8)로 채워진 밀폐 체적(7)을 추가로 구비하는 헬름홀쯔 공명기(6)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관은 관(5)의 벽에 있는 개구(9)를 통해 헬름홀쯔 공명기와 음향적으로 협조한다. 개구(9)와 관단사이의 거리 X는 0.03과 0.5m 사이에 있는 것이 양호하다. 체적부분(V1)은 일반적으로 체적부분(V2)보다 작다. 확성기(3) 및 (4)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같은 위상의(모노) 신호가 따라서 각각의 확성기에 가해진다.
헬름홀쯔 공명기의 작용은 존 윌리사(1962)가 간행한 엘.이.킨슬러 및 에이.알.프레이가 쓴 음향학의 기본이라는 책에 설명되어 있는데, 특히 8.9절을 본다. 헬름홀쯔 공명기가 없을 때에는 음향관의 전송 특성은 관내에 있는 정상파의 결과로서 공명에 해당되는 공명피크를 갖는 구조를 보여준다. 헬름홀쯔 공명기는 킨슬러 및 프레이가 쓴 책에 있는 제8도 및 제9도의 곡선에서 디프에 해당되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명 주파수가 적어도 음향관(5)의 전송 특성에 있는 최저의 공명피크와 거의 같거나 또는 보다 크게 되도록 적당항 비율로 조절된다.
음향적 감쇠 물질(8)은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간에 주어진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면, 음향적 감쇠성질을 갖는 면 섬유(충진솜(wadding)) 또는 함성수지 섬유가 고려될 수 있다.
음향적 감쇠물질(8)은, 헬름홀쯔 공명기의 Q-인자(QH)에 대해서 0.25≤θH≤2가 성립하도록, 선택되었다. QH는 적어도 1인 것이 양호하다 QH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에서 fH이 성립하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명 주파수이고, mAH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게이트에서의 공기의 음향질량이며 그 단위는 [㎏/m4]이고, CAH는 공명기 자체내에 있는 공기의 음향 컴플라이언스이며 그 단위는 [m4·s2/㎏]이고, RAH는 공명기의 공기체적이 있는 음향 저항이며 그 단위는 [㎏/m4·s]이다.
Q-인자(QH)는 제5도에서 보이는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헬름홀쯔 공명기(6')의 게이트(9')에서의 공기 속도는 소스 확성기(51)로 구동할 때 타코미터(tachometer)(50)에 의해 주파수의 함수로서 측정된다.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공기 속도의 대수적 특성(2010log)에서 -3db점이 그 다음에 결정된다. 이 점은 주파수 f1및 f2근처에 놓여있다. Q-인자는 이제 다음의 공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헬름홀쯔 공명기(6)의 게이트(9)의 수직 단면의 면적 Q4과 음향관(5)의 수직 단면의 면적 Q2에 대해서 0.25≤θ12≤3가 성립한다. 양 면적은 대략 같은 크기로 취하는 것이 양호하다.
제6도는 제1도에 보이는 확성기 시스템에 미치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영향에 관한 세가지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제6a도는 헬름홀쯔 공명기가 없는 확성기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특성은 확성기의 일정한 입력 신호(전압)에서 주파수의 함수로서 음향 압력(db로 나타냄)을 나타낸다. 주파수는 수평측을 따라서 대수적으로 플로트되어 있다. 관(5)내에 있는 정성파의 결과로서 피크는 특성에서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이번에는 저음 확성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커야 150㎐까지의 주파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제6b도는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하나 그러나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간에 음향적 감쇠물질이 주어지지 않은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이 특성에서 헬름홀쯔 공명기의 공명 주파수 fH를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제6b도의 시스템도 fH에서의 세기(intensity)의 관점에서 사용될 수 없다.
제6c도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Q-인자(QH)가 1이 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결과되는 특성은 적당히 평탄하고 250㎐ 주파수까지 잘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피크(들)은 확성기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밖에 멀리서 나타나고 전기적으로 또는 제2헬름홀쯔 공명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를 닮은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에 두개의 확성기(3) 및 (4)는 서로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모노)신호는 이번에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확성기에 가해진다. 제2도의 확성기 시스템은 하우징(1)의 제2개구(11)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2음향관(10)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개구를 통해 관(10)은 체적(V4)에 음향적으로 결합된다. 관(10)은 또한 감쇠수단(12)를 구비한다. 감쇠수단(12)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형태로 되어 있고, 감쇠수단(6)처럼, 관(10)의 벽에 있는 개구(11)을 통해 관(10)에 음향적으로 결합되는 밀폐 체적(13)을 추가로 구비한다. 음향적 감쇠물질(15)가 체적(13)에 주어진다.
제1도 및 제2도의 확성기 시스템은 소비자 용품 기구, 예를 들면, 텔레비젼 세트에 잘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제3도에 보이고 있다. 제3도는 텔레비젼 브라운관을 갖는 텔레비젼 세트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하우징(1)은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내의 적당한 장소에 갖추어진다. 하우징(1)은 연결 테이프(32)에 의해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고무의 감쇠층(33)이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과 확성기 시스템의 하우징(1)사이에 주어졌다. 상기층(33)은 기계적 진동이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우징(1)의 기계적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확성기 시스템이 하나의 음향관(5)을 구비하면 상기 관의 다른쪽 끝은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에 있는 개구(35)에 결합된다. 확성기 시스템이 두개의 관(5) 및 (10)을 구비하면, 관(10)의 다른쪽 끝은 하우징(31)에 있는 개구(36)에 결합된다. 음향관은 유연한 호수(flexible hose)로 만들 수 있다. 호스는 선택적으로 강화링을 구비할 수 있다.
텔레비젼 세트는 스테레오 정보가 존재하는 오디오 정보의 증파 및/또는 고주파 부분의 재생을 위해 두개의 중파 -고주파 타우어형 확성기(tower loudspeaker)(37) 및 (38)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음향관(5)의 다른쪽 끝을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에 결합하는 것은 제4도에서 보인다. 제4a도에서 끝은 감쇠층(40)을 통해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고무나 포움(toam)으로 된 감쇠층(40)은 또한 기계적 진동이 관(5)으로부터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의도로 되어 있다.
제4b도는 관(5)이, 이 경우에는 참조 수자(5')로 지칭되어 있는데, 끝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단면을 갖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 결과 텔레비젼 세트 주변의 음향 매체에 대해 더 나은 음향 매칭을 얻을 수 있다. 제4c도도 또한 끝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단면을 갖는 관(5)을 보여준다. 중간 및/또는 높은 음 확성기(45)는 상기 개구에 제공된다. 그런 목적으로서의 확성기(45)는 지지비임(47)을 통해 관(5)의 출력 개구에 연결되는 포트 모양의 구조(pot-like construction((46)내에 주어진다. 음향적 감쇠 물질이 포트(46)내에 주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우징내의 체적(V4)이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음향관과 협조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관의 다른쪽 끝은 이번에, 예를 들면, 텔레비젼 세트의 하우징의 뒤쪽에 있는 개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음향관이 표준으로 구성되는 확성기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확성기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모든 경우에서 하우징(51)은 하우징내의 공간을 V1V2가 성립하는 두개의 체적부분(V1V2)으로 나누는 하나의 확성기를 구비한다. 제7도는 관(55)의 축에 대해 동축적으로 주어진 헬름홀쯔 공명기(58)을 보여준다. 제7도에 나오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올바른 동작에 있어서 칸막이(partion)(70) 및 관(71)은 필수적이지 않고 따라서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헬름홀쯔 공명기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은 이번에 포트(58)을 관(55)상에서 위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데, 감쇠 물질은 포트(58)에서 제거된다. 매번 확성기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이 측정된다. 이 주파수 특성은 제6b도에 보이는 것처럼 헬름홀쯔 공명 주파수의 결과로서 디프를 보여준다. 포트(58)은 상기 디프가 정확한 장소에 놓여 특허청구범위 제5항의 요구를 만족할 때까지 관(55)위에서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포트(58)의 위치는 관(55)에 대해 확정된다. 그리고 나서 감쇠물질이 포트(58)에 주어질 수 있다.
제8도는 헬름홀쯔 공명기가 관(56)의 음향 발산 개구에(부분적으로) 주어지는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개구의 모양은 나팔꽃처럼 확펴진 모양이다. 헬름홀쯔 공명기는 지지비임(60)에 의해 음향관에 연결된다.
제9도는 제2하우징(61)을 갖는 확성기 시스템을 보여준다. 상기 하우징은 칸막이(62)에 의해 두개의 공간(63) 및 (64)로 나뉘어진다. 공간(63)은 그벽에 확성기(65)를 구비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중간 및/또는 높은 음 확성기일 수 있다.
음향관(57)은 하우징(63)에 마련된 개구(66)로 통한다. 이 부분은 관부분(67)과 함께 헬름홀쯔 공명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보여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발명은 발명과 관계되지 않는 점에서 보여준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은 또한 미국 특허 명세서 4,549,631로부터 알려진 구조에도 관계된다. 이런 구조는 제10도에 보인다. 발명은 헬름홀쯔 공명기가 한쪽 또는 양쪽 저음 반사 게이트(80) 및 (81)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0도는 저음 반사 게이트의 각각에서 헬름홀쯔 공명기(82) 및 (83)을 보여준다.

Claims (16)

  1. 개구에 결합되는 음향관의 한쪽 끝과 협조하는 최소한 하나의 음향 개구가 제공되고, 내장된 스피커 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체적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체적을 구비하고, 제1체적 부분이 하우징내의 음향 개구에 음향적으로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확성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향관은 개구를 통해 음향관에 평행하게 음향적으로 결합되는 밀폐 체적 형태의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하는 감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헬름홀쯔 공명기의 부재시에, 음향관의 전송 특성으로 최저 주파수의 최소한 공명 피크를 억제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2. 제2항에 있어서, 음향적 감쇠 물질은 헬름홀쯔 공명기의 체적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밀폐된 헬름홀쯔 공명기의 체적에 있는 개구는 음향관의 측벽에 있는 개구에 음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음향관의 측벽에 있는 개구는 음향관의 음향 발산단으로부터 거리(X)에서 제공되고, 상기 거리 (X)는 0.03m와 0.5m 사이에 있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헬름홀쯔 공명기의 헬름홀쯔 주파수는 헬름홀쯔 공명기의 부재시에 다르게 형성되는 음향관의 전송 특성의 최저 공명피크와 적어도 대략 같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음향적 감쇠 물질은 헬름홀쯔 공명기가 0.25≤QH≤2를 유지하는 Q-인자(QH)를 갖도록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Q-인자(QH)는 적어도 대략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관 측벽에 있는 개구의 면적(Q1)은 0.25≤Q1/Q2≤3에 따라 음향관의 수직 단면의 면적(Q2)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Q1)은 면적(Q2)과 적어도 대략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제1체적 부분은 하우징에 있는 제2음향 개구에 음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음향 개구는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재2음향관의 한끝과 협조하며, 상기 제2음향관은 또한 헬름홀쯔 공명기 형태의 감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두개의 종속으로 배치된 확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텔레비젼 세트와 같은 소비자용 장치의 하우징에 내장되고, 확성기 시스템의 하우징은 진동 감쇠를 실현하기 위한 제2감쇠 수단을 통해 소비자용 장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음향관(들)의 다른쪽 끝(들)은 소비자용 장치의 하우징에 있는 개구(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음향관의 다른쪽 끝은 진동 감쇠를 실현하기 위한 제3감쇠 수단을 통해 소비자용 장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5.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다른 끝쪽 가까이에 있는 음향관의 부분은 상기 다른끝쪽 방향으로 더 커지는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16.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제2체적 부분은 확성기 시스템의 하우징에 있는 음향 개구에 음향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음향 개구는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음향관의 한쪽 끝과 협조하며, 상기 관은 또한 헬름홀쯔 공명기의 형태로 감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 시스템.
KR1019900018282A 1989-11-16 1990-11-13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KR015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902831 1989-11-16
NL8902831A NL8902831A (nl) 1989-11-16 1989-11-16 Luidsprekersysteem bevattende een helmholtz resonator gekoppeld met een akoestische bu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84A KR910011084A (ko) 1991-06-29
KR0158885B1 true KR0158885B1 (ko) 1998-12-01

Family

ID=1985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282A KR0158885B1 (ko) 1989-11-16 1990-11-13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61006A (ko)
EP (1) EP0429121B1 (ko)
JP (1) JPH03173296A (ko)
KR (1) KR0158885B1 (ko)
DE (1) DE69012060T2 (ko)
NL (1) NL8902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5037A2 (en) 2004-10-18 2010-12-22 Daniele Ramenzoni Devices and transducers with cavity resonator to control 3-d characteristics/harmonic frequencies for all sound/sonic wa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902831A (nl) * 1989-11-16 1991-06-17 Philips Nv Luidsprekersysteem bevattende een helmholtz resonator gekoppeld met een akoestische buis.
JP2954742B2 (ja) * 1991-06-26 1999-09-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サラウンド装置
US5740259A (en) * 1992-06-04 1998-04-14 Bose Corporation Pressure wave transducing
EP0589516A3 (en) * 1992-09-23 1995-09-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ilencer arrangement for combustion engines
EP0589515B1 (en) * 1992-09-23 1999-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udspeake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tubes
US5414230A (en) * 1992-09-23 1995-05-09 U.S. Philips Corporation Silencer arrangement for combustion engines
US5400408A (en) * 1993-06-23 1995-03-21 Apple Computer, Inc. High performance stereo sound enclosure for computer visual display monito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O1995001078A1 (en) * 1993-06-23 1995-01-05 Apple Computer, Inc. Computer visual display monitor with integral stereo speaker and directional microphon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US5694475A (en) * 1995-09-19 1997-12-02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Acoustically transparent earphones
GB2310559B (en) * 1996-02-23 2000-09-20 Nokia Mobile Phones Ltd Audio output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19648986C1 (de) * 1996-11-26 1998-04-09 Raida Hans Joachim Gerichteter Stabstrahler
US5815589A (en) * 1997-02-18 1998-09-29 Wainwright; Charles E. Push-pull transmission line loudspeaker
DE10027618B4 (de) * 1999-06-19 2013-11-14 Ascendo Gmbh Schallwandler
DE60208245T2 (de) 2001-01-22 2006-07-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utsprechersystem
US7194287B2 (en) * 2001-07-25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mechanical-acoustic-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123736B2 (en) * 2002-09-27 2006-10-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ouble-resonator micro-speak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tuning the same
DE60233270D1 (de) * 2002-10-10 2009-09-17 Nokia Corp Schallerzeugungsvorrichtung, mobile elektrische einrichtung und system zum erzeugen von schall
US20040094360A1 (en) * 2002-11-06 2004-05-20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coustic dumper for exhaust system
AU2003900164A0 (en) * 2003-01-15 2003-01-30 Techstream Research Pty Ltd Vehicle subwoofer with external field cancellation
US7463744B2 (en) * 2003-10-31 2008-12-09 Bose Corporation Porting
US7614479B2 (en) * 2004-05-12 2009-11-10 Jan Plummer Sound enhancement module
GB2426405B (en) * 2005-05-21 2008-02-27 Sonaptic Ltd Miniature planar acoustic networks
EP1929836A2 (en) * 2005-09-20 2008-06-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transducer system
US7740104B1 (en) * 2006-01-11 2010-06-22 Red Tail Hawk Corporation Multiple resonator attenuating earplug
EP1814354B1 (en) 2006-01-30 2017-04-26 Sony Corporation Speaker
JP4821589B2 (ja) * 2006-01-30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US7412889B2 (en) * 2006-02-28 2008-08-19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lter
US20080149417A1 (en) * 2006-12-21 2008-06-26 Apple Computer, Inc. Acoustic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7756553B2 (en) 2007-01-05 2010-07-13 Apple Inc. Folded flex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8126138B2 (en) 2007-01-05 2012-02-28 Apple Inc. Integrated speaker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8306252B2 (en) * 2007-01-05 2012-11-06 Apple Inc. Integrated microphone assembly for personal media device
US8351629B2 (en) * 2008-02-21 2013-01-08 Robert Preston Parker Waveguide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8615097B2 (en) 2008-02-21 2013-12-24 Bose Corportion Waveguide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8351630B2 (en) * 2008-05-02 2013-01-08 Bose Corporation Passive directional acoustical radiating
US20090296971A1 (en) 2008-05-29 2009-12-03 Siemens Hearing Instruments, Inc. Hearing Instrument Receiver With Improved Low-Frequency Efficiency
FR2941122B1 (fr) * 2009-01-13 2016-07-15 Canon Kk Enceinte acoustique comprenant un ou plusieurs moyens d'absorption acoustique
US8002078B2 (en) * 2009-02-19 2011-08-23 Bose Corporation Acoustic waveguide vibration damping
US8290546B2 (en) 2009-02-23 2012-10-16 Apple Inc. Audio jack with included microphone
US8094855B2 (en) * 2009-09-08 2012-01-10 Clements Philip R Inverse horn loudspeakers
WO2011105356A1 (ja) * 2010-02-23 2011-09-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電動車両の車両接近告知装置
US8139774B2 (en) * 2010-03-03 2012-03-20 Bose Corporation Multi-element directional acoustic arrays
US8265310B2 (en) * 2010-03-03 2012-09-11 Bose Corporation Multi-element directional acoustic arrays
US8553894B2 (en) 2010-08-12 2013-10-08 Bose Corporation Active and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US9571921B2 (en) * 2011-08-22 2017-02-14 Knowles Electronics, Llc Receiver acoustic low pass filter
US9107003B2 (en) * 2011-12-15 2015-08-11 Apple Inc. Extended duct with damping for improved speaker performance
DE102012003769B3 (de) * 2012-02-24 2013-07-04 Audi Ag Lautsprech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8953831B2 (en) 2012-09-28 2015-02-10 Bose Corporation Narrow mouth horn loudspeaker
US9066172B2 (en) 2012-09-28 2015-06-23 Apple Inc. Acoustic waveguide and computing devices using same
US9380369B2 (en) 2013-02-14 2016-06-28 Apple Inc. Microphone seal
US10057701B2 (en) 2015-03-31 2018-08-21 Bos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loudspeaker
US9451355B1 (en) 2015-03-31 2016-09-20 Bose Corporation Directional acoustic device
US10034081B2 (en) 2015-09-28 201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oustic filter for omnidirectional loudspeaker
US10469942B2 (en) 2015-09-28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horn for omnidirectional loudspeaker
US11082778B2 (en) * 2016-03-18 2021-08-03 Knowles Electronics, Llc Driver with acoustic filter chamber
US9749735B1 (en) * 2016-07-06 2017-08-29 Bose Corporation Waveguide
TWI602441B (zh) * 2016-07-11 2017-10-1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泛音之揚聲器及應用其之電子裝置
DE102016119475B4 (de) * 2016-10-12 2019-02-21 Norman Gerkinsmeyer Schallabsorber und Fahrzeug, sowie Verwendung eines Schallabsorbers
CN110574394A (zh) 2017-04-21 2019-12-13 珍尼雷克公司 具有波导的指向式多路扩音装置
US10299032B2 (en) 2017-09-11 2019-05-21 Apple Inc. Front port resonator for a speaker assembly
US11265645B2 (en) * 2018-09-24 2022-03-01 Apple Inc. Acoustic chambers damped with side-branch resona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694281B1 (en) 2018-11-30 2020-06-23 Bose Corporation Coaxial waveguide
KR102562305B1 (ko) * 2018-12-18 2023-08-01 하만 베커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게엠베하 공진 구조물을 갖는 근거리 오디오 디바이스
US11290795B2 (en) 2019-05-17 2022-03-29 Bose Corporation Coaxial loudspeakers with perforated waveguide
CN112399303A (zh) * 2019-08-16 2021-02-23 美特科技(苏州)有限公司 扬声器及其音频设备、高频的尖峰频率的抑制方法
US11706552B2 (en) * 2019-09-02 2023-07-18 Bose Corporation Open audio device
DE102020201533A1 (de) * 2020-02-07 2021-08-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schallwandlung mit einem akustischen filter
US11172288B1 (en) * 2020-07-14 2021-11-09 Acoustic Metamaterial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odifying acoustics of a loudspeaker back enclosure using active noise control
US11490190B1 (en) 2021-05-07 2022-11-01 Apple Inc. Speaker with multiple resonators
US11451902B1 (en) 2021-05-07 2022-09-20 Apple Inc. Speaker with vented resonator
US20230239611A1 (en) * 2022-01-24 2023-07-27 Apple Inc. Acoustic resonators for microphones
US11640816B1 (en) * 2022-02-23 2023-05-02 Acoustic Metamaterials LLC Metamaterial acoustic impedance matching device for headphone-typ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7063C (de) * 1952-06-28 1955-12-29 Siemens Ag Lautsprecher mit Vielzellentrichter
CH528197A (de) * 1971-12-20 1972-09-15 Ibm Gehäuseanordnung mit einem elektro-akustischen Wandler, und Verwendung derselben in einem Telefonapparat einer Nachrichtenübertragungsanlage mit PCM-Codierung
JPS5037425A (ko) * 1973-08-04 1975-04-08
DE2837520A1 (de) * 1978-08-28 1980-03-27 Harald Schuster Lautsprecher, passiv servokontrolliert mit korrektur der phasendrehung
GB2037534B (en) * 1978-11-08 1983-02-16 Holliman G Loudspeakers
US4297538A (en) * 1979-07-23 1981-10-27 The Stoneleigh Trust Resonant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increased band width response
DE3317518A1 (de) * 1983-05-13 1984-11-15 Standard Elektrik Lorenz Ag Lautsprecherbox mit integriertem akustischem bandpassfilter
US4549631A (en) * 1983-10-24 1985-10-29 Bose Corporation Multiple porting loudspeaker systems
US4616731A (en) * 1984-03-02 1986-10-14 Robinson James R Speaker system
DE3414407C2 (de) * 1984-04-17 1986-02-20 Jürgen 6804 Ilvesheim Quaas Anordnung von Schallwandlern in einer Schallführung, insbesondere für Lautsprecherboxen
US4658377A (en) * 1984-07-26 1987-04-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memory array with segmented bit lines
GB8503389D0 (en) * 1985-02-09 1985-03-13 B & W Loudspeakers Loudspeaker enclosures
US4930596A (en) * 1987-06-16 1990-06-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system
JPS63314098A (ja) * 1987-06-17 198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システム
US5009281A (en) * 1988-03-10 1991-04-23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SE8800867L (sv) * 1988-03-10 1989-09-11 Infrasonik Ab Ljudreflektor
US5012890A (en) * 1988-03-23 1991-05-07 Yamaha Corporation Acoustic apparatus
DE68919495T2 (de) * 1988-03-25 1995-07-20 Yamaha Corp Akustischer Apparat.
JPH01254096A (ja) * 1988-04-04 1989-10-11 Yamaha Corp 音響装置
JPH01162990U (ko) * 1988-04-30 1989-11-14
US4875546A (en) * 1988-06-02 1989-10-24 Teledyne Industries, Inc. Loudspeaker with acoustic band-pass filter
JPH0727750Y2 (ja) * 1988-08-10 1995-06-21 ヤマハ株式会社 音響装置
US4903300A (en) * 1989-01-05 1990-02-20 Polk Investment Corporation Compact and efficient sub-woof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in structural partitions
US5025885A (en) * 1989-07-14 1991-06-25 Bose Corporation Multiple chamber loudspeaker system
EP0410352B1 (en) * 1989-07-24 199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system
NL8902831A (nl) * 1989-11-16 1991-06-17 Philips Nv Luidsprekersysteem bevattende een helmholtz resonator gekoppeld met een akoestische buis.
EP0453230B1 (en) * 1990-04-20 199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5037A2 (en) 2004-10-18 2010-12-22 Daniele Ramenzoni Devices and transducers with cavity resonator to control 3-d characteristics/harmonic frequencies for all sound/sonic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84A (ko) 1991-06-29
US5261006A (en) 1993-11-09
JPH03173296A (ja) 1991-07-26
NL8902831A (nl) 1991-06-17
EP0429121B1 (en) 1994-08-31
DE69012060D1 (de) 1994-10-06
DE69012060T2 (de) 1995-04-06
EP0429121A1 (en) 199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885B1 (ko) 음향관에 결합된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비한 확성기 시스템
US4756382A (en) Loudspeaker having enhanced response at bass frequencies
JP3792263B2 (ja) 音波導管スピーカシステム
US1988250A (en) Loud speaker and method of propagating sound
US4953655A (en) Acoustic apparatus
CA2021816C (en) Loudspeaker system
JPH11220789A (ja) 電気音響変換装置
US5150417A (en) Bass reflex type speaker system
US4160135A (en) Closed earphone construction
EP0295641A2 (en) Loudspeaker system
US4875546A (en) Loudspeaker with acoustic band-pass filter
US3944757A (en) High-fidelity moving-coil loudspeaker
JP2000125387A (ja) スピーカ装置
CA2056566A1 (en)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with at least three cascaded subchambers
US2656004A (en) Multisection acoustic filter
US4410064A (en) Bass response speaker housing and method of tuning same
US4944019A (en) Low sound region reproducing speaker system
US2866514A (en) Corrective loud speaker enclosure
JP3512982B2 (ja) Sodマイクロホンを含む装置
US4949387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nit
EP2043382B1 (en) Sound system
CN100591168C (zh) 扬声器系统
US4027115A (en) Electroacoustic sound generator
KR20010083946A (ko) 비상관성 상(Phase) 발산 음향원을 구비한 확성기
GB2045578A (en) Spe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