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251B1 -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251B1
KR0158251B1 KR1019940031615A KR19940031615A KR0158251B1 KR 0158251 B1 KR0158251 B1 KR 0158251B1 KR 1019940031615 A KR1019940031615 A KR 1019940031615A KR 19940031615 A KR19940031615 A KR 19940031615A KR 0158251 B1 KR0158251 B1 KR 015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iner body
container
thermo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12A (ko
Inventor
김진긍
Original Assignee
이덕순
두남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순, 두남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덕순
Priority to KR101994003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251B1/ko
Publication of KR96001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06Moulds with means for forming a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 장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컵, 포장용기등의 제조를 위한 압축성형 금형장치에 있어서, 오목금형의 외측에 소재시이트 가이드 역할을 하는 환상돌륜부를 융설하므로서 제조되는 용기체의 재질 두께를 균일화시키고 발생되는 스크랩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져함.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볼록금형(1)과 오목금형(2)사이에 예열처리된 열가소성 수지시이트(8)를 개재하여 열압착 하므로서 통상의 용기체(9)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목금형의 평면부(5) 를 용기체(9)의 윤곽테(9a)규격에 일치되도록 일정폭(w)을 잔유시킨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환상돌륜부(7)를 적정 높이로 융설하여서된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 장치.
[발명의 중요한 용도]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Description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용표시도로서 (a)는 성형전의 상태 (b)는 성형 과정도 (c)는 성형후의 상태.
제3도는 본고안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종래 구조의 확대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제조된 용기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록금형 2 : 오목금형
3 : 금형실 4 : 곡각부
5 : 평면부 6 : 단입부
7 : 환상돌륜부 8 : 소재시이트
9 : 용기체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를 열압착하여 각종 겁, 용기, 포장케이스 등을 제조하는 열압착 금형장치에 대한 새로운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소재가 되는 수지시이트가 한쌍의 자웅(雌雄) 금형(이하 오목금형, 볼록금형이라 한다) 사이에 밀려 들어가 압착 성형될시 가급적 금형실 외부에 위치된 소재 시이트 재질이 인장력을 과도히 받지 않고 스므스하게 금형속에 끌려 들어갈 수 있도록 소재 시이트의 가이드 장치를 부가 하므로서 셩형되는 제품의 제조 두께가 균일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용기 압착 성형 과정에서 산출되는 스크랩의 발생량을 경감시켜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열압착식 용기 금형은 통상 오목금형()과 볼록금형()의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시이트를 내입하여 열합착 하므로서 용기체가 형성되는바 이 경우 소재 시이트는 하부측에 배치된 볼록 금형에 밀려 인장력을 받으면서 상부의 오목금형내로 딸려 들어가 압착 성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금형은 제4도와 같이 오목금형(2)의 둘레가 평면부(5)를 이루고 금형실(3)과 상기 평면부(5)의 경계면이 곡각부(4)를 이루고 있으므로 소재 시이트(8)가 금형실(3)내로 밀려 들어갈시 상기 곡각부(4)의 저항력에 의해 소재 시이트가 금형실(3)로 잘 딸려들어가지 못하므로 곡각부(4)측에 위치된 소재시이트(8)에 과도한 인장력이 전달되어 성형후 제품용기(9)의 상주연(9a)측이 바닥면에 비하여 재질 두께상 너무 얇게 성형될 수 밖에 없어 사용중 손으로 용기체를 잡았을시 잘 쭈그러지거나 외관 상품미가 저조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압착 프레스 금형의 구성중 오목 금형의 주면에 소재 시이트의 금형내 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환상 돌륜부를 돌설 하므로서 금형이 닫혀지는 과정에서 스크랩으로 잔유되어야 할 재료를 상당량 금형실내로 끌어들여 성형되는 용기의 두께가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성형 과정에서 외부에 잔유되는 스크랩의 량을 최소화 하여 재료 가용 효율을 높인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의 볼록금형(1) 위에 오목금형(2)을 배치하여 이들 금형(1)(2) 사이에 미리 예열 처리된 열가소성 수지시이트(8)를 개재하여 압착성형 하므로서 제5도와 같이 윤곽테(9a)를 갖는 용기체(9)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오목금형(2)의 금형실(3) 외측에 용기체(9)의 윤곽테(9a) 성형을 위한 평면부(5)를 일정한 폭(W)으로 잔유시킨 상태에서 환상돌륜부(7)를 돌설하여 이 환상돌륜부(7)가 금형실(3)입구측 곡각부(4)로 접지 유입되는 수지시이트(8)에 대해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용기체의 윤곽테(9a) 외측을 절단하는 커터 기능을 갖는 볼록금형(1)측의 단입부를 표시하고, 10은 볼록금형(1)측의 예열실로서 예열실(10)속에는 통상 열매체유를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볼록금형(1)은 통상 하부에 배치되고 오목금형(2)은 상부에 승강 자재되어 이들 금형(1)(2)사이에 예열처리된 열가소성 수지 시이트(8)를 올려 놓고 양금형(1)(2)을 닫으면 소재시이트(8)가 금형실(3)내로 유입되어 인장력을 받아 용기체(9)의 형태로 압형케 되고 이 압형과정에서 단입부(6)에 의해 용기체(9)의 윤곽테(9a)외측이 자동 절단되므로서 평면부(5)측에 잔유되는 소재시이트(8)는 스크랩으로 처리되어 수거되고 금형실(5)에 잔유되는 용기체(9)는 제품으로 수거되는바 이러한 압축 성형장치는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오목금형(2)의 평면부(5)에 제품의 윤곽테(9a)형성을 위한 일정한 유격폭(W)을 잔유시킨 상태에서 하향으로 환상돌륜부(7)를 융설한 것이어서 소재시이트(8)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볼록금형(1)에 떠밀려서 금형실(3)로 유입되는 순간 곡각부(4)의 저항력을 거의 받지 않게 되므로 스크랩으로 잔유되어야할 수지시이트 재료가 금형실(3)쪽으로 보다 많이 유입된다.
다시 말하면 금형실(3)쪽으로 유입되는 수지시이트(8) 재질은 볼록금형(1)에 떠밀려서 두께가 얇아지면서 용기체로 형성되므로 용기체(9)의 벽면부측은 재료두께가 얇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4도와 같은 종래 구조의 금형은 오목금형(2)의 평면부(5)측에 소재시이트(8)의 가이드 장치가 없으므로 곡각부(4)의 저항력이 커지게 되어 외측 소재가 금형실로 잘 끌려들어 가지 못하므로 성형되는 용기체(9)의 벽면이 바닥면에 비해 과도히 얇아져서 상품의 견고성이 취약하고 외관미가 저조하며 스크랩의 잔유량이 많아 재료가용 효율이 떨어진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오목금형(2)의 평면부(5)측에 용기체(9)의 윤곽테(9a)형성을 위한 일정한 폭(W)을 잔유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 환상돌륜부(7)를 융설시킨 것이므로 제4도와 같이 수지시이트(8)가 금형실(3)로 끌려들어갈시 곡각부(4)의 저항을 별로 받지 않으므로 평면주(5)측에 잔유되어야 할 소재가 비교적 많은 량으로 금형실(3)에 유입될 수 있어 용기체(9)의 벽면 두께가 바닥면에 비해 별로 손색이 없이 두껍게 되어 제품의 견고성과 상품 가치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스크랩으로 잔유되는 재료량이 20%이상 감소되어 재료가용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 개선과 생산경제의 양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매우 실효성 있는 장치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예열처리된 열가소성 수지시이트(8)를 블록금형(1)과 오목금형(2)사이에 개재하여 용기체(9)를 제조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오목금형(2)의 평면부(5)는 용기체(9)의 규격과 일치되게 일정 폭(W)을 잔유시키고 그 외측으로는 환상돌륜부(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KR1019940031615A 1994-11-26 1994-11-26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KR015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15A KR0158251B1 (ko) 1994-11-26 1994-11-26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15A KR0158251B1 (ko) 1994-11-26 1994-11-26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12A KR960017112A (ko) 1996-06-17
KR0158251B1 true KR0158251B1 (ko) 1999-01-15

Family

ID=1939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15A KR0158251B1 (ko) 1994-11-26 1994-11-26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2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1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66651B2 (ko)
TWI383847B (zh) 用以製造金屬殼的模具以及金屬殼的製造方法
WO2021082995A1 (zh) 一种带内凸环的植物纤维模塑杯盖及制造方法
KR0158251B1 (ko) 열압착식 용기 성형금형장치
JP7331451B2 (ja) カバ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二次加工用型
JP3886272B2 (ja) 中空合成樹脂板の端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TW564304B (en) A mould for twin sheet thermoform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re-trimmed twin sheet thermoformed article
US4020140A (en) Method of making a frusto-conical container having reduced distortion tendencies from a blank seamed by injection molding
JPS6144804Y2 (ko)
JPS63176130A (ja) 深絞り紙製容器の製造方法
CN210082284U (zh) 一种条类密封产品模具
CN206286416U (zh) 车载点烟器外壳成型模具
CN208099241U (zh) 超薄镂空链条一体成型机
CN202507479U (zh) 一种分步脱离水口的注塑模具
JPS5997298A (ja) スピ−カ用振動板の製造方法
CN115592927A (zh) 一种改性片材热塑加工模具及其成型方法
CN209156875U (zh) 一种厚板体成型的反挤压模具
JPS6020181B2 (ja) 内部に中空部を有する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CN212551311U (zh) 一种洗衣机背板连续复合模
CN219903585U (zh) 一种塑料袋封口机
JPH0153623B2 (ko)
CN212603062U (zh) 汽车车顶连接柱内下左右侧成型模具
CN213052277U (zh) 一种汽车构件模具
CN215095316U (zh) 热压成型模具
JP3015876U (ja) 碗形容器の真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