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862B1 -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862B1
KR0157862B1 KR1019930021624A KR930021624A KR0157862B1 KR 0157862 B1 KR0157862 B1 KR 0157862B1 KR 1019930021624 A KR1019930021624 A KR 1019930021624A KR 930021624 A KR930021624 A KR 930021624A KR 0157862 B1 KR0157862 B1 KR 015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uty
standby
state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24A (ko
Inventor
조용기
Original Assignee
성기설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설,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기설
Priority to KR101993002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862B1/ko
Publication of KR95001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중화구조 시스템에서 듀티와 스탠바이가 자기상태를 확인한 후 상대방의 상태를 체크하여 송신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결정함에 있어, 상태라인을 통해 이 상태라인의 상태가 왜곡되면 듀티와 스탠바이 모두 송신을 하던지 서로가 스탠바이 상태로 알고 있어 입출력에 대한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처음 시스템이 듀티와 스탠바이가 결정되어진 후 듀티와 입출력 콘트롤러가 통신을 하고 있는 동안에 서로 상대방의 시스템 이상유무를 상태라인 및 사건신호(event signal)발생과 상대방에서 이 사건카운트갯수를 확인하여 이상을 확인하고 자기자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시스템에서 제어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력 콘트롤러 2 : 시스템1
3 : 시스템2 4 : 데이타 송수신부
5 : 입출력 구동부 6,7 : 구동부
ND1,ND2 : 낸드게이트 dri1-dri6 : 라인드라이버
본 발명은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구조를 가진 시스템에서 듀티(duty)와 스탠바이(standby) 통신라인 및 다른 입출력 콘트롤러간의 통신이 이루어질때 듀티와 스탠바이가 동시에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콘트롤러(1)와 데이타를 주고받는 통신을 하기 위한 시스템1(2) 및 시스템2(3)과, 상기 시스템1,2(2)(3)과 입출력 콘트롤러(1)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타 송수신부(4)와, 상기 입출력 콘트롤러(1)와 상대 시스템이 통신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1(2)과 시스템2(3) 사이에 연결된 상태라인(Ls)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에 있어서, 이중화구조 시스템이란 똑같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이 두개가 있어 한쪽을 듀티(duty), 다른 한쪽을 스탠바이(standby)라고 한다. 상기 듀티와 스탠바이의 기능은 똑같고 단지 입출력 콘트롤러와 통신을 하는 것은 듀티가 된다.
듀티인 시스템1(2)에서 입출력 콘트롤러(1)와 통신을 하기 위해 데이타 송수신부(4)의 라인드라이버(dri1)(dri2)를 통해 송신신호(Tx)를 입출력 콘트롤러(1)의 수신단자(Rx1)로 보낸다. 이때 입출력 콘트롤러(1)가 통신가능한 상태를 그의 송신단자(Tx1)를 통해 수신가능한 신호를 시스템1(2)의 수신단자(Rx2)로 보내오면, 상기 시스템1(2)은 송신데이타를 입출력 콘트롤러(1)로 송출한다.
이때 스탠바이인 시스템2(3)의 송신인에이블신호는 디스에이블상태가 된다.
그리고 시스템1(2)과 시스템2(3)는 서로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2(3)가 액티브(ACTIVE)상태이면 신호레벨을 하이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이 신호를 상대방이 체크하여 기능이상유무를 판단하여 듀티인 시스템1(2)에 이상이 있으면 시스템이 절체되며, 스탠바이인 시스템2(3)가 듀티시퀀스 프로세스(duty sequence process)를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이중화구조 시스템에서 듀티와 스탠바이가 자기 상태를 확인한 후 상대방의 상태를 체크하여 송신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결정함에 있어, 상태라인을 통해 이 상태라인의 상태가 왜곡되면 듀티와 스탠바이 모두 송신을 하던지 서로가 스탠바이 상태로 알고 있어 입출력에 대한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처음 시스템이 듀티와 스탠바이가 결정되어진 후 듀티와 입출력 콘트롤러가 통신을 하고 있는 동안에 서로 상대방의 시스템 이상유무를 상태라인 및 사건신호(event signal)발생과 상대방에서 이 사건카운트갯수를 확인하여 이상을 확인하고 자기자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시스템에서 제어되도록 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를 창안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 콘트롤러(1)와 데이타를 주고받는 통신을 하기 위한 시스템1,2(2)(3)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시스템1,2(2)(3) 및 입출력 콘트롤러(1)간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타 송수신부(4)와, 상대방 시스템의 상태를 체크함과 아울러 사건(event)발생을 체크하는 입출력 구동부(5)와, 상기 입출력 구동부(5)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하도록 하는 낸드게이트(ND1)(ND2)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에서 듀티와 스탠바이가 결정되면 듀티만이 입출력 콘트롤러(1)와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때 통신은 듀티, 스탠바이에서는 수신이 둘다 가능하고, 송신은 오직 한쪽(듀티)에서만 가능해야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 장애가 된다.
가령 듀티를 시스템1(2)라고 하고, 스탠바이를 시스템2(3)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듀티인 시스템1(2)이 입출력 콘트롤러(1)와 통신을 하기 위해 송신인에이블신호(Txen)를 낸드게이트(ND1)에 인가하면 낸드조합된 로우신호가 데이타 송수신부(4)의 라인드라이버(dri1)의 반전단자(-)로 인가함에 따라 상기 라인드라이버(dri1)가 구동한다.
이때 시스템1(2)이 그의 송신단자(Tx2)를 통해 라인드라이버(dri1)(dri5)에 데이타가 출력하면, 상기 라인드라이버(dri1)(dri5)를 통해 송신신호(Tx)를 상기 입출력 콘트롤러(1)의 수신단자(Rx1)로 출력한다.
상기 입출력 콘트롤러(1)가 수신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그의 송신단자(Tx1)로 수신가능함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면 데이타 송수신부(4)의 라인드라이버(dri6)(dri2)를 거쳐 시스템1(2)의 수신단자(Rx2)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1(2)과 입출력 콘트롤러(1)는 통신을 행한다.
이때 스탠바이인 시스템2(3)의 송신인에이블신호는 디스에이블상태로 낸드게이트(ND2)로 입력하면 그 신호는 낸드조합된 하이신호가 라인드라이버(dri3)의 반전단자(-)로 입력함에 따라 구동되지 않는다.
이중화를 위해서는 서로가 상대방의 시스템을 감시해야 하는데 이런 상황을 체크하는 방법은 첫째, 시스템1(2) 또는 시스템2(3)에서 그의 입출력포트를 통해 펌웨어(firmware)에서 연속적 사건(event)을 발생한다. 그러면 반대로 상대방 시스템인 시스템2(3) 또는 시스템1(2)에서는 그의 입출력포트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입력되는 사건펄스를 카운트한다.
이렇게 시스템의 펌웨어에서 사건펄스의 카운트갯수를 기준카운트갯수와 비교하여 상대방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둘째, 상대방의 상태라인(status line)의 레벨(정상적인 경우 레벨이 로우상태임)을 체크하여 레벨이상시 상대방시스템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대기중인 시스템2(3)가 시스템1(2)의 상태라인과 사건발생카운트갯수를 비교하여 둘다 이상이 발견되면, 상기 시스템2(3)는 그의 입출력포트를 통해 상대방 인에이블신호를 디스에이블(로우상태)시켜 낸드게이트(ND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라인드라이버(dri1)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것으로 인해 시스템이 절체가 되어 스탠바이였던 시스템2(3)가 듀티가 되어 통신주도권을 가지고 입출력 콘트롤러(1)와 통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1(2)과 시스템2(3)는 서로의 상태를 감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에 대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시스템 구조에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를 위하여 사건발생 및 상대방의 송신라인을 체크하여 자신의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시스템에서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출력 콘트롤러(1)와 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한 시스템1,2(2)(3)와, 상기 시스템1,2(2)(3)과 입출력 콘트롤러(1)간의 듀티와 스탠바이가 절체되면 데이타를 송신 및 수신가능하도록 한 데이타 송수신부(4)와, 상대방 시스템의 송신인에이블상태 및 사건발생을 체크하여 상대방 및 자신의 시스템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한 입출력 구동부(5)와, 상기 입출력 구동부(5)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 송수신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낸드게이트(ND1)(ND2)로 구성된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KR1019930021624A 1993-10-18 1993-10-18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KR015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624A KR0157862B1 (ko) 1993-10-18 1993-10-18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1624A KR0157862B1 (ko) 1993-10-18 1993-10-18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24A KR950012224A (ko) 1995-05-16
KR0157862B1 true KR0157862B1 (ko) 1998-12-15

Family

ID=1936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624A KR0157862B1 (ko) 1993-10-18 1993-10-18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24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3478B1 (en) Fail safe syste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CN107895937B (zh) 一种电机控制器冗余保护电路和电子设备
US20020087763A1 (en) Communication sytem with a communication bus
US5297134A (en) Loop mode transmission system with bus mode backup
US5329528A (en) Duplex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KR0157862B1 (ko) 이중화구조 시스템의 통신라인 장애방지회로
JPS6398242A (ja) 直列データ交換装置
JP2555472B2 (ja) 信号ケーブル接続状態監視機能付きの分散制御システム
WO2022254784A1 (ja) 電子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通信停止機能の故障検知方法
US4985886A (en) Transmission line branching device
JP2586243B2 (ja) システムの安全対策方式
JP3324355B2 (ja) 動作異常監視システム
JPH04305748A (ja) 高信頼性バス
KR10029589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CN117097769A (zh) 控制装置、通信控制方法、通信控制系统以及存储介质
JP2687800B2 (ja) 通信異常検出装置
JPH0528411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光リピータ装置
KR20030027351A (ko) 버스 스위치를 이용한 관리포트의 이중화 방법
JPH1196088A (ja) デュープレックス二重化構成装置
KR0161163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된 게이트웨이노드에 대한 글로벌버스 이중화구조
JP2762276B2 (ja) 通信ラインの二重化方式
JPH04157549A (ja) バス管理方式
JPS5912657A (ja) マルチドロツプ式情報伝送システムの伝送路保護方式
JPH06202908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監視装置
JPS61267428A (ja) 情報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