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459B1 - 렌즈초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초점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459B1
KR0157459B1 KR1019930001498A KR930001498A KR0157459B1 KR 0157459 B1 KR0157459 B1 KR 0157459B1 KR 1019930001498 A KR1019930001498 A KR 1019930001498A KR 930001498 A KR930001498 A KR 930001498A KR 0157459 B1 KR0157459 B1 KR 0157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lens
lens
ratio value
focus
gradation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459B1/ko
Priority to JP6011065A priority patent/JP2948463B2/ja
Priority to DE4403347A priority patent/DE4403347A1/de
Priority to US08/191,911 priority patent/US5506654A/en
Priority to GB9402148A priority patent/GB2274921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Abstract

렌즈초점제어장치는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렌즈를 구비한 카메라에서 사용된다. 이 렌즈초점장치는 포커스렌즈를 조작하기 위해 명령입력부를 통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동안에, 포커스렌즈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계조비값들의 비교에 근거하여 정초점을 이루기 위해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할 방향인 목표방향을 결정하며 결정된 목표방향을 뷰파인더상에 온스크린디스플레이시킨다. 따라서, 조작자는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킬 목표방향을 즉각 알 수 있게 되어, 포커스렌즈가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대한 정초점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초점 제어장치
제1도는 계조비와 포커스렌즈초점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제2도는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구속되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을 나타낸 개념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초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에 보여진 제어부의 동작설명을 위한 흐름도.
제5도(a) 및 (b)는 제3도의 OSD부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초점조절을 위한 정보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렌즈위치검출부 3 : 제어부
4 : 메모리 5 : OSD부
6 : 명령입력부 7 : 포커스렌즈구동모터
본 발명은 렌즈초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으로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제어하는 비데오카메라 또는 캠코더 등에서 포커스렌즈의 정초점제어를 위해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 할 방향 및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렌즈초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커스렌즈의 구성형태는 포커스렌즈가 맨 앞에 위치하여 손으로도 쉽게 포커스렌즈를 조작할 수 있는 전방포커스렌즈(Front Focus Lens)방식과 포커스렌즈가 렌즈군의 중앙에 위치하여 포커스렌즈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제어하는 내부포커스렌즈(Inner Focus Lens) 방식이 있다.
내부포커스렌즈방식은 포커스렌즈구동특성에 의한 제약을 가지므로, 초점이 많이 틀어져 있는 경우, 조작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한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의 이동방향에 상관없이 상당한 시간, 예를 들면, 약 1∼2초가 지나야만,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이 정초점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자는 정초점방향을 알지 못한 채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조작을 하므로,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포커스렌즈의 방향이 올바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커스렌즈의 현재 위치와 초점을 맞추기 위해 포커스렌즈가 움직여야 할 목표방향을 표시함으로써, 조작자가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추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렌즈초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이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초점을 맞추기 위해 포커스렌즈가 움직여야 할 목표방향을 표시하고, 줌렌즈에 의해 이동가능영역이 결정되는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조작자가 포커스렌즈의 초점을 피사체에 맞추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렌즈초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렌즈를 구비한 카메라에서의 사용을 위한 렌즈초점장치는,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을 위한 조작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정초점을 이루기 위해 상기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할 방향인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촬상하려는 피사체로 부터 얻어진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분리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구동부; 및 상기 휘도분리부로부터 입력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상기 포커스렌즈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포커스렌즈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동안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 간에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이동가능영역이 제한되는 포커스렌즈를 이용하여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에서의 사용을 위한 포커스렌즈의 렌즈초점장치는, 상기 줌렌즈의 위치 및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을 위한 조작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명령입력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구동부; 계조비값을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 상기 이동가능영역 내에서의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 및 정초점을 이루기 위해 상기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할 방향인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촬상하려는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분리부; 및 상기 휘도분리부로부터 입력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상기 포커스렌즈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 및 상기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동안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현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계조비(contrast ratio)와 포커스렌즈의 위치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포커스렌즈의 위치는 가로축에 계조비는 세로축에 각각 도시되었다. 일반적으로, 포커스렌즈위치가 정초점위치에 위치할 때에 계조비가 가장 크게 된다. 따라서, 계조비가 증가하면 포커스렌즈는 정초점위치에 가깝게 되어지고, 반대로 계조비가 감소하면 정초점위치로부터 멀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제2도는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구속(constraint)되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을 보여준다. 제2도에서, 가로축은 줌렌즈가 이동가능한 위치를, 세로축은 포커스렌즈가 이동가능한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제2도에서 가장 아래의 실선으로 표시된 곡선 A는 촬상하려는 피사체가 무한거리에 있을 때 임의의 위치에 있는 줌렌즈에 의해 결정되는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며, 실선곡선 B는 피사체가 포커스렌즈로부터 0.8m의 거리에 있을 때 줌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줌렌즈의 현재위치가 제2도에서의 M이면,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점위는 영역 R이 된다. 그리고,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 C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R) 내에서의 중심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가로축에 나란한 직선 D는 포커스렌즈의 기구적 중심을 표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초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내부포커스렌즈방식을 채용한 촬상시스템에서의 정초점을 맞추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에서, 촬상부(1)는 미도시된 줌렌즈, 포커스렌즈 및 촬상소자를 구비한다. 렌즈위치검출부(2)는 촬상부(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줌렌즈의 위치값 및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값을 검출한다. 렌즈위치검출부(2)는 검출한 위치값들을 제어부(3)로 출력하도록 연결된다. 휘도분리부(8)는 촬상부(1)의 출력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3)로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3)는 입력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계조비값을 발생하여 메모리(4)에 저장하도록 연결된다. 메모리(4)는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범위정보, 그리고 피사체에 대한 계조비값 및 포커스렌즈의 위치정보르 저장한다. 명령입력부(6)와 포커스렌즈구동모터(7) 역시 제어부(3)에 연결된다. 명령입력부(6)는 포커스렌즈의 이동 등과 같은 조작자의 입력명령을 제어부(3)로 전달한다. 제어부(3)는 렌즈위치검출부(2) 및 메모리(4)의 출력신호들과 내장하고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초점조절을 위한 표시제어시호 및 모터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한다. OSD부(5)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을 n분할하여 표시하기 위한 OSD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부(3)에 연결된다. 또한, OSD부(5)는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OSD신호를 발생한다.
제4도는 정초점획득을 위해 필요한 목표방향, 포커스렌즈의 증가하는 상대초점위치 및 정초점에 도달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본적으로,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R)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줌렌즈의 위치에 의존한다. 이동가능영역(R)의 값들은 각 줌렌즈위치를 위해 저장된다. 현재의 줌렌즈위치에 대응하는 이동가능영역(R)은 메모리(4)로부터 읽혀지며, 가까운 초점위치 N부터 먼 초점위치 F까지 제5도 (a) 및 (b) 처럼 n만큼씩 증가하는 것으로 뷰파인더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제5도 (a) 및 (b)에 도시된 화살촉(arrowhead)형상의 포인터(pointer)는 F쪽, N쪽 및 사각형으로 표시된 영역분할자를 향하는 세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영역분할자에 가깝게 위치되게 디스플레이된다. 제5도(a)에서처럼 F쪽을 향하는 경우의 화살촉(▶)형상의 포인터는 목표초점위치가 F쪽에 있음을 표시한다. N쪽을 향하는 경우의 화살촉형상의 포인터는 그 반대의 경우를 표시한다. 제5도(b)에 보인 것처럼 특정 영역분할자를 향하는 화살촉(▲)형상의 포인터는 포커스렌즈가 정초점상태임을 나타낸다.
제3도 내지 제5도(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1에서, 렌즈위치검출부(2)는 줌렌즈의 현재위치 및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3)로 공급한다. 이때,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는 제2도의 심볼 D로 표시된 기구적인 중심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정초점조절을 위한 초기위치이다. 제3도 장치의 초기동작에 의해 그 위치들이 결정되는 줌렌즈 및 포커스렌즈를 통과하여 촬상되는 영상신호는 휘도분리부(8)로 공급된다. 휘도분리부(8)는 공급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며, 분리된 휘도신호를 제어부(3)로 공급한다. 제어부(4)는 공급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현재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계산한 다음, 계산된 계조비값을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형태로 메모리(4)에 저장시킨다. 제어부(3)는 줌렌즈의 현재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값을 메모리(4)로부터 읽어내며, 읽어낸 이동가능영역값을 뷰파인더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분할자들의 갯수에 대응하는 정수 n으로 분할한다(단계 2). 그런 다음, 제어부(3)는 n에 의해 나누어진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값 및 메모리(4)에 저장된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값을 제5도(a) 또는 (b)에 보인 것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를 OSD부(5)로 공급한다(단계 3). 제어부(3)로부터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를 수신하는 OSD부(5)는 n개의 영역분할자들로 표현되는 이동가능영역 및 화살촉형상의 포인터로 표현되는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를 함께 나타내기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신호를 발생한다. 이 온스크린디스플레이신호는 미도시된 뷰파인더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제5도(a) 및 (b)는 제3도의 OSD부(15)의 제어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예들을 보여준다. 제5도(a)는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 및 이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5도(b)는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 및 정초점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a) 및 (b)에서, 심볼 N 및 F는 Near 및 Far의 약어로서,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에서의 한계위치 즉, 포커스렌즈의 이동한계위치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제4도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의 이동을 위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4). 단계 4에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경우, 제3도의 장치는 목표방향을 찾아 표시하기 위해 동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를 제어하여 OSD부(5)에 표시된 n분할간격의 두 간격만큼 N방향으로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킨다(단계 5).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가 이동된 이후에 휘도분리부(8)로부터의 휘도신호로부터 계산된 계조비값을 메모리(4)에 저장된 이전의 계조비값과 비교한다(단계 6). 계조비값이 증가하여 N쪽 방향이 목표방향임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를 제어하여 포커스렌즈가 F쪽으로 두 간격만큼 이동되게 즉,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고, 동시에 OSD부(5)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가 목표방향인 N방향을 가리키도록 한다(단계 7). 계조비값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포커스렌즈는 4간격만큼 F쪽으로 이동되어지며 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가 발생된다(단계 8). 그런 다음, 제어부(3)는 메모리(4)로부터 읽어낸 계조비값과 그 바로 다음의 포커스렌즈 이동에 의한 새로운 계조비값을 비교한다(단계 9). 계조비값이 증가하여 F족 방향이 목표방향임을 표시하면,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를 제어하여 포커스렌즈가 2간격만큼 N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즉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고, 동시에 OSD부(5)를 제어하여 목표방향이 F방향임을 포인터가 표시하게 한다(단계 10). 반면에, 단계 9에서 계조비값이 증가하지 않으면,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를 제어하여 포커스렌즈가 2간격만큼 N쪽 방향으로 이동되게(즉 초기위치로 되돌아 가게) 하고, 동시에 OSD부(5)를 제어하여 포인터가 정초점임을 표시하게 한다(단계 11).
단계 7 및 10의 수행에 의해, 포커스렌즈는 항상 이동가능영역에서의 중심으로 되돌아가게 되며, 또한, 단계 7 및 10의 수행에 의해, 조작자는 포커스렌즈가 이동할 목표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단계 11이 수행되면,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이 중심위치가 정초점위치로 된다. 따라서,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정초점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를 발생하여 OSD부(5)로 공급한다(단계 12).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전술의 설명에서, 목표방향에 대한 탐색은 N방향으로의 두 간격만큼 포커스렌즈의 이동시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특정 방향 및 간격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수동초점조절의 초기단계에서는, 조작자가 짧은 시간동안 키를 누르므로, 제어부(3)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키입력이 검출되기 이전에 단계 5-11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 4에서 명령입력부(6)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3)는 명령입력부(6)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이동간격수를 카운트한 다음, 그 출력신호에 따라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포커스렌즈구동모터(7)를 제어한다(단계 13). 이와 동시에,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 및 카운트된 이동간격수에 근거하여 포커스렌즈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를 발생하고, 발생된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를 OSD부(5)에 공급한다. OSD(5)는 공급되는 디스플레이제어신호(DCTL)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신호를 발생하여 포커스렌즈의 위치 및 이동방향이 뷰파인더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단계 14).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의 이동결과로 얻어진 새로운 계조비값을 메모리(4)에 저장된 이전의 계조비값과 비교한다(단계 15). 계조비값이 감소하면, 제어부(3)는 계조비값과의 감소가 시작되는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메모리(4)에 저장하고(단계 16),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이 반전됨을 표시하기 위하여 OSD부(5)를 제어한다(단계 17). 그런 다음, 제어부(3)는 단계 4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 15에서 계조비값이 증가하면,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가 이동할때마다 얻어지는 계조비값과 메모리(4)에 저장된 계조비값을 이용하여 계조비값의 증가비율을 나타내는 계조비증가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계조비증가비율을 메모리(4)에 저장한다(단계 18). 제어부(3)는 계조비증가율이 최소가 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9). 이를 위하여, 제어부(3)는 최소의 계조비증가비율이 검출될 때까지 단계 4부터 단계 19를 반복한다. 계조비증가비율이 최소인 포커스렌즈위치가 단계 19에서 검출되면, 제어부(3)는 포커스렌즈구동모터(7)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포커스렌즈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OSD부(5)를 제어하여 OSD부(5)가 정초점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단계 12).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내부포커스렌즈방식을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을 전방포커스렌즈방식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초점장치는 정초점을 위한 포커스렌즈의 이동방향 및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를 조작자가 알 수 있게 함으로써, 포커스렌즈가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대한 정초점으로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5)

  1.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렌즈를 구비한 카메라에서의 사용을 위한 렌즈초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을 위한 조작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정초점을 이루기 위해 상기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할 방향인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촬상하려는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분리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구동부; 및 상기 휘도분리부로부터 입력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상기 포커스렌즈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포커스렌즈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동안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렌즈초점장치.
  2. 줌렌즈의 위치에 의해 이동가능영역이 제한되는 포커스렌즈를 이용하여 촬상하려는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에서의 사용을 위한 포커스렌즈의 렌즈초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의 위치 및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위치검출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을 위한 조작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명령입력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렌즈구동부; 계조비값을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 상기 이동가능영역 내에서의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 및 정초점을 이루기 위해 상기 포커스렌즈가 이동해야할 방향인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촬상하려는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분리부; 및 상기 휘도분리부로부터 입력하는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포커스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을 계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시키며, 상기 포커스렌즈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결정되는 목표방향 및 상기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포커스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한 조작자의 키입력이 없는 동안에,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며 상기 포커스렌즈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과 상기 포커스렌즈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계조비값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목표방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렌즈초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렌즈의 이동가능영역, 현재위치 및 목표방향은, 상기 이동가능영역을 분할하는 기설정된 갯수의 영역분할자들과 상기 영역분할자들에 인접하게 표시되는 포인터(pointer)에 의해 표현되는 렌즈초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한 조작자의 포커스렌즈 위치이동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 경우, 키입력에 따라 상기 렌즈구동부를 제어하며, 포커스렌즈의 위치이동에 의해 새로이 얻어지는 계조비값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바로 이전의 계조비값과 비교하여, 목표방향을 재결정하는 렌즈초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포커스렌즈가 이동될 때마다 계조비값들의 증가비율을 검출하며, 최소의 계조비증가비율에 대응하는 포커스렌즈위치가 정초점위치를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렌즈초점장치.
KR1019930001498A 1993-02-04 1993-02-04 렌즈초점제어장치 KR015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498A KR0157459B1 (ko) 1993-02-04 1993-02-04 렌즈초점제어장치
JP6011065A JP2948463B2 (ja) 1993-02-04 1994-02-02 レンズ焦点状態表示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レンズ焦点調節装置
DE4403347A DE4403347A1 (de) 1993-02-04 1994-02-03 Linsenfokus-Steuerungsapparatur
US08/191,911 US5506654A (en) 1993-02-04 1994-02-04 Lens focus control apparatus
GB9402148A GB2274921B (en) 1993-02-04 1994-02-04 Lens focus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498A KR0157459B1 (ko) 1993-02-04 1993-02-04 렌즈초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7459B1 true KR0157459B1 (ko) 1998-11-16

Family

ID=1935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498A KR0157459B1 (ko) 1993-02-04 1993-02-04 렌즈초점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06654A (ko)
JP (1) JP2948463B2 (ko)
KR (1) KR0157459B1 (ko)
DE (1) DE4403347A1 (ko)
GB (1) GB2274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979B1 (en) * 1998-10-06 2001-11-20 Canon Kabushiki Kaisha Depth of field enhancement
CN1220111C (zh) * 2001-04-12 2005-09-21 株式会社理光 摄影装置
US20040046938A1 (en) * 2002-09-05 2004-03-11 Gary Gero Automatic and manual lens focusing system with visual matching for motion picture camera
JP4603761B2 (ja) * 2002-10-24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合焦状態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29002A (ja) * 2003-01-23 2004-08-12 Sony Corp 撮像装置
JP4466400B2 (ja) * 2005-02-16 2010-05-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FI119009B (fi) 2005-10-03 2008-06-13 Pulse Finland Oy Monikaistainen antennijärjestelmä
JP4989730B2 (ja) * 2007-10-15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本体および撮像装置
JP5374953B2 (ja) * 2008-07-30 2013-1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5411508B2 (ja) 2009-01-07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194174B2 (en) * 2009-02-27 2012-06-05 Third Iris Corp. Internet-based camera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JP5390292B2 (ja) * 2009-08-06 2014-01-15 株式会社ミツトヨ 画像測定機
CN103105660A (zh) * 2011-11-09 2013-05-15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镜头致动装置及其镜头致动方法
KR102144511B1 (ko) * 2013-10-15 2020-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매뉴얼 포커스 가이드를 표시하는 촬영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9066005B2 (en) * 2013-10-15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device for displaying a manual focus guide and method thereof
US20160295122A1 (en) * 2015-04-03 2016-10-06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CN106772926A (zh) * 2017-01-05 2017-05-31 福建新大陆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6432A (en) * 1967-08-07 1969-12-30 Donald W Norwood Co-ordinate viewfinder for camera
US3820129A (en) * 1971-06-01 1974-06-25 Canon Kk Focusing device for optical instruments
JPS6042461B2 (ja) * 1977-12-29 1985-09-21 セイコ−光機株式会社 自動焦点調節カメラの安全装置
JPS5529832A (en) * 1978-08-23 1980-03-03 Asahi Optical Co Ltd Camera focus indicator
JPS55105236A (en) * 1979-02-06 1980-08-12 Nippon Kogaku Kk <Nikon> Display device of measureing apparatus
GB2047905B (en) * 1979-02-13 1983-06-15 Asahi Optical Co Ltd Focus indicating device for a camera
JPS55108635A (en) * 1979-02-15 1980-08-21 Asahi Optical Co Ltd Automatic focus indicator of camera
JPS5670515A (en) * 1979-11-14 1981-06-12 Minolta Camera Co Ltd Distance display unit of camera with automatic focusing regulator
JPS614889Y2 (ko) * 1980-01-09 1986-02-15
US4595272A (en) * 1981-06-25 1986-06-17 Honeywell Inc. Camera focus indicator
JPS5843409A (ja) * 1981-09-10 1983-03-14 Asahi Optical Co Ltd 合焦位置検出方法
JPS6286318A (ja) * 1985-10-11 1987-04-20 Minolta Camera Co Ltd 焦点位置検出装置
KR890003567B1 (ko) * 1986-08-07 1989-09-23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초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402148D0 (en) 1994-03-30
DE4403347A1 (de) 1994-09-01
JP2948463B2 (ja) 1999-09-13
JPH06319073A (ja) 1994-11-15
GB2274921B (en) 1996-04-24
US5506654A (en) 1996-04-09
GB2274921A (en) 1994-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459B1 (ko) 렌즈초점제어장치
US6236431B1 (en) Video camera apparatus with distance measurement area adjusted based on electronic magnification
KR950003569B1 (ko) 촬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맞춤 장치
CN1081801C (zh) 用于自动变焦的目标跟踪方法及其装置
US7071985B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of focus
US8237849B2 (en) Image-pickup apparatus
EP0358196A1 (en) Automatic image stabilization device
US7372486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an image of a photographing object
US20080002048A1 (en) Auto-focus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auto-focus method
CN100581220C (zh) 摄像设备和摄像设备的调焦控制方法
US10051174B2 (en) Focus adjustment device and focus adjustment method
US10491801B2 (en) Focusing device, camera system, and focusing method
CN106054350B (zh) 光学装置和显示控制方法
US7796877B2 (en) Focus-controll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6191819B1 (en) Picture-taking apparatus having viewpoint detecting means
JPH07325244A (ja) カメラ装置
JP2010088076A (ja) 撮像装置
US20070058962A1 (en) Lens apparatus
US1097961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highly-accurate autofocus calib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H0638089A (ja) 自動合焦装置
US10367991B2 (en) Focus adjus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focus adjustment device
JP2013201793A (ja) 撮像装置
JP532123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影プログラム
JP2010020036A (ja) 画像投射装置
US10218896B2 (en) Focus adjustment device, focus adjust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focus adjust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