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941B1 -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941B1
KR0156941B1 KR1019910005456A KR910005456A KR0156941B1 KR 0156941 B1 KR0156941 B1 KR 0156941B1 KR 1019910005456 A KR1019910005456 A KR 1019910005456A KR 910005456 A KR910005456 A KR 910005456A KR 0156941 B1 KR0156941 B1 KR 015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nose
fixing plate
pin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828A (ko
Inventor
슈몰츠 잉게보르크
빙클러 롤프
Original Assignee
빙클러 롤프
프레이 운트 빙클러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콤만디트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빙클러 롤프, 프레이 운트 빙클러 게젤샤프트 미트 베슈랭크터 하프퉁 운트 콤파니 콤만디트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빙클러 롤프
Publication of KR91001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렌즈의 테두리를 연결시켜 주는 브리지를 가지는 안경에 있어서, 코에 의한 안경지탱부는 간격 요소를 거쳐 구멍이 있는 고정판에 고정되고 주로 콧등 위에만 놓이는 단일체의 코걸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코걸이, 간격 요소, 고정판은 단일체의 성형부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안경착용자 개개인의 코 부위의 해부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안경 모델에 맞출 수 있는 가능성의 폭을 간단한 방법으로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걸이대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코걸이대가 안경에 조립된 것을 보인 배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걸이대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제4도의 C-D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걸이대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B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제5도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을 보인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걸이대를 안경에 조립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안경알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대와, 이 연결대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쪽에 착설될 수 있는 코걸이대를 갖는 형태의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의 정확한 위치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눈으로의 입사광선경로를 결정하여 의도한 광학적효과를 얻도록하는 한편 해부학적으로 불리하거나 미숙한 위치선정은 안경착용자에게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특히 착용자가 불편하도록하고 안경이 얹히는 부위의 피부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이들 두 문제영역은 본질적으로 서로 관계가 있으며, 실질적인 문제점은 안면의 해부학적인 구조, 즉 코의 뿌리와 양측부의 영역 및 귀둘레의 영역이 사람마다 다르고 인종이 다르다는 점에 있다.
예를들어 이마의 폭은 그 변화폭이 10mm정도에 이르며 코의 형상이나 폭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변화폭을 보인다. 특히 안경테의 디자인에 관련된 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내용이 N0J 11/1990, pp8-19에 수록되어 있다.
만약 광학적인 관점과 해부학관점모두를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착용자에 대하여 안경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면, 구조적인 설계에 있어서는 안경착용자에 대한 최적한 착용환경이 적어도 대략적으로는 확보될 수 있도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본적으로 이러한 적용방식은 두가지의 상이한 방식, 즉 본질적으로 형태를 변화시킬수 있도록하는 구조적인 부분에 의한 방식과, 상이한 크기의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부분에 의한 방식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렇다면 산업적으로 제작된 안경테에 대하여 안경점에서는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이러한 변화를 주거나 칫수가 알맞은 부품을 선택하여 각각의 안경착용자의 코에 폭에 대략적으로 맞출 수 있는 3개의 상이한 폭(16mm,18mm와 20mm)의 연결대(bridge)를 갖는 안경테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착용시 매우 안정감을 주는 외피재로서 실리콘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연질 또는 탄성의 안경테를 제공하는 경우 제한된 범위이기는 하나 안경착용자의 해부학적 특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걸이대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며 한종류의 크기만으로도 개인적인 해부학적 조건에 맞출 수 있도록하여 안경의 착용감이 좋도록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는바, 렌즈, 렌즈의 변부사이에 연결된 연결대와 착용자를 향하는 연결대의 면에 착설될 수 있는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에 있어서, 단일체의 만곡편, 연결대에 착설된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만곡편을 고정하는 스페이서소자로 구성되고, 만곡편은 원호형의 형태이며 착용자의 콧등상에만 놓을 수 있도록 배치되고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기본개념은 유럽인들의 콧등이 주요시선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고 오차가 적어 거의 일정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만곡편을 콧등에만 얹히게 하여도 최적한 기본적인 적응이 보장되는 점이다. 따라서 코걸이대를 배치하기 위하여 상수로서 콧등을 선택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제1의 중요한 단계이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코의 폭과 형태 그리고 코의 크기와 같이 변화가 비교적 큰 다른 모든 변수들이 처음부터 배제되고, 코걸이대의 형태가 좁은 범위내에서 각 개인에게 적용될 필요가 있고 코걸이대의 적절한 변형으로 이러한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페이서소자는 안경테가 안경착용자의 얼굴에 너무 근접하게 되어 눈썹과 뺨에 안경테가 닿지 않게 되고 피부에 접촉되지 않게 하므로서 눈썹부위에서 안경테와 렌즈가 피부의 지방질이나 땀으로 오염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걸이대의 실시형태에서 다른 중요한 잇점은 안경테에 매우 콤팩트하고 눈에 잘 띄지 않게 조립할 수 있어 안경의 외관에 미적이 손상이 없도록하는 점이다. 적당한 나선핀이 안경테가 금속이거나 합성수지인 것에 관계없이 안경에 취부 또는 착설할 수 있으며 이들 핀은 고정판의 통공에 결합되며 코걸이대가 이들 핀을 통하여 안경테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만곡편, 스페이서 소자와 고정판은 특히 스텐레스 스틸의 단일부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만곡편은 변형을 줄 수 있고 코걸이대의 거리와 각도가 만곡편과 고정판을 형성하는 두 단부부분에 대하여 중앙부분의 상대적인 위치선정 또는 적당한 만곡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정판과 만곡편사이의 만곡각도를 변화시키므로서 아시아인들의 경우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비교적 급경사의 콧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만곡편을 실리콘피복재가 관통할 수 있는 개방부를 갖는다. 이들 개방부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므로서 개방부의 양측부영역에서 만곡편의 단면은 거의 원호형을 이루는 만곡편의 형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안경착용자의 콧등형상에 대하여 코걸이대를 정밀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특히 안경테가 무거운 경우에도 코의 양측부에 안경의 하중이 가하여지지 않으므로 호흡장애를 주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부품은 타발성형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어 단일체성형부품의 이용이 제조를 단순화할 것이다.
다른 우선 실시형태에 따라서, 고정판은 금속연결대에 용접되는 나선핀의 형태인 핀에 의하여 연결대에 착설되고 스페이서 링이 연결대와 고정핀사이의 이들 핀에 삽입된다. 이로써 안경착용자의 얼굴로부터 안경의 거리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 링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이들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경테의 다른 부분의 색상이나 재료에 맞출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링의 두께는 예를 들어 1-2mm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제1실시형태에서 코걸이대(19)는 렌즈(11)(12), 측부안경테부재(13)(14), 중앙안경테부재(25)와 연결대(15)를 갖는 안경에 결합된다. 안경은 안경테부재(13)(14)(25)와 연결대(15)가 일체로 구성된 단일체의 안경테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한 예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코걸이대(19)는 3개의 부분, 즉 안경에 취부하기 위한 나선핀이 삽입되는 통공(23)을 갖는 고정판(2), 적어도 3mm의 길이를 갖는 스페이서 소자(21)와, 안경착용자의 콧등에 얹히는 만곡편(20)의 3개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코걸이대는 나선핀(18)를 가지고 안경의 연결대(15)에 착설되는 별도의 고정소자(16)를 통하여 착설되거나 또는 안경의 연결대(1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조립되거나 사출성형된 나선핀을 통하여 직접 착설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코걸이대(19)는 잠금너트(24)를 통하여 핀(18)에 고정될 것이다.
제3도-제7도에서 보인 제2실시형태에서, 만곡편(20), 스페이서 소자(21)과 고정판(22)의 기능을 만곡편(20)을 형성하는 제1단부(10A), 고정판(22)을 형성하는 제2단부(10B)와, 스페이서소자(21)로서 작용하는 테이퍼형 중앙부(10C)를 갖는 스텐레스스틸제의 단일체 성형물(10)이 대신할 수 있다. 이 성형물(10)은 예를들어 스텐레스스틸의 판체로부터 타발하여 제5도의 단면에 일치하게 만곡형성될 수 있으며 안경의 연결대의 형상과 위치선정에 따라서 두 단부(10A)(10B)의 평면은 제5도의 평면에 대하여 60°-90°, 좋기로는 60°-170°의 (α)를 이룬다. 스텐레스 스틸의 이 성형물은 두께가 0.4-0.8mm인 것이 좋다.
만곡편(20), 즉 이 만곡편(20)을 형성하는 단부(10A)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합성수지피복체(20A)로 피복되고 이 피복체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는 개방부(20B)(20C)를 갖는다. 연질합성수지피복체에 사용된 실리콘의 셔어 A경도(Shore A hardness)는 30-60의 범위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만곡편(20)은 대략 원의 ¼에 해당하는 4분원호의 형태로 만곡되고 개방부(20B)(20C)가 형성되어 있어 만곡부(20)의 측면부에서 재료의 단면적 감소가 이루어져 만곡부를 제3도에서 화살표(A)(B)로 보인 바와 같이 전후로 쉽게 구부릴 수 있어 안경착용자의 콧등형상에 맞출 수 있다.
제5도의 단면으로 보인 바와 같이, 두 단부(10A)(10B)사이의 각도(α)는 중앙부분(21)과 단부(20)(22)사이의 전이영역(X)(Y)에서 다양하게 만곡시켜 쉽게 변화될 수 있어 사용된 특정안경테의 연결대평면에 대하여 코걸이대의 평면을 적합하게 할 수 있다. 굽힘점이 되는 전이영역(X)((Y)에서 만곡각도의 적당한 조합으로 고정판(22)의 평면에 대하여 만곡편(20)으로 정의된 코걸이대 표면의 간격조절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간격의 변화, 각도(α)의 변화와, 만곡편(20)의 형태변화는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간단한 만곡 및 변형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걸이대를 착설하는 예가 제7도에 예시되어 있다. 나선핀(26)이 연결대(15)에 고정된다. 만약 연결대(15)가 금속이라면 이러한 나선핀의 고정은 납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만약 연결대(15)가 플라스틱이라면 핀(26)은 연결대의 성형시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코걸이대를 구성하는 성형물(10)이 이 핀(26)에 삽입되고 너트(28)로 고정된다. 만약 연결대(15)와 콧등에 얹히는 부위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충분치 못하다면 두 개의 스페이서 링(27)이 성형물(10)사이의 핀(26)에 삽입되어 간단한 방법으로 간격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렌즈의 변부를 연결하는 연결대(15)와, 안경착용자를 향하는 면의 연결대(15)에 착설될 수 있고 스페이서소자(21)를 통하여 고정판(22)에 고정되며 원호의 형태로 되어 있어 콧등에 얹힐 수 있게된 단일체의 만곡편(20)을 포함하는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에 있어서, 만곡편(20), 스페이서소자(21)와 고정판(22)이 단일체의 성형물(10)로 구성되고, 그 제1단부(10A)는 만곡편(20)을 형성하고 제2단부(10B)는 고정판(22)를 형성하며, 이들 단부는 스페이서소자(21)를 형성하는 중앙부분(10C)을 통하여 상호연결되고, 성형물(10)의 두 단부(10A,10B)의 평면이 서로 각도(α)를 이루며 이 각도는 각 단부(10A,10B)를 형성토록 평면상의 성형물(10)을 전이영역(X,Y)에서 만곡시켜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성형물(10)이 스텐레스스틸로 구성되고 두께가 0.4-0.8mm사이임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만곡편(20)이 연질 합성수지피복체(20A)로 피복되고 내부에 개방부(20B,20C)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소자(21)의 길이가 적어도 3mm임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판(22)이 두 개의 통공(23; 23A, 23B)을 가지고, 연결대(15)가 외부나선을 가지며 고정판(22)의 통공으로 연장되는 나선핀(18,26)을 가지며, 너트(28)가 고정판(22)을 연결대(15)에 고정함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링(27)이 연결대(15)와 고정판(22)사이에서 핀(26)상에 삽입됨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7. 제5항에 있어서, 핀(18)이 연결대(15)에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소자(16)에 착설됨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8. 제5항에 있어서, 핀(26)이 연결대(15)에 직접 착설됨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9. 제8항에 있어서, 핀(26)이 금속제 연결대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나선핀임을 특징으로하는 안경.
  10. 제8항에 있어서, 핀(26)이 플라스틱제 연결대내에 삽입되는 나선고정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19910005456A 1990-04-19 1991-04-04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KR0156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0904468.1 1990-04-19
DE90044681 1990-04-19
DE9004468U DE9004468U1 (ko) 1990-04-19 1990-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828A KR910018828A (ko) 1991-11-30
KR0156941B1 true KR0156941B1 (ko) 1999-05-01

Family

ID=685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456A KR0156941B1 (ko) 1990-04-19 1991-04-04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200771A (ko)
EP (1) EP0452709B1 (ko)
JP (1) JPH04230731A (ko)
KR (1) KR0156941B1 (ko)
AT (1) ATE128560T1 (ko)
DE (2) DE9004468U1 (ko)
ES (1) ES2078985T3 (ko)
HK (1) HK953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96A (ko) * 2021-02-25 2022-09-01 류정민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4468U1 (ko) * 1990-04-19 1990-06-28 Schmolz, Ingeborg, 8000 Muenchen, De
US5771087A (en) * 1996-10-16 1998-06-23 Sentinel Importing Corporation Eyewear and nosepad for use with eyewear
US6010215A (en) * 1999-03-23 2000-01-04 Miceli; Sylvana Makeup eyeglasses
US6601955B1 (en) 2001-07-17 2003-08-05 Wis Sarl Nose pad assembly
AU2002258177A1 (en) * 2002-04-17 2003-10-27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Spectacles with western/eastern variation of fit
US20040080706A1 (en) * 2002-10-24 2004-04-29 Newton Howard Eyewear for lazy eyes or dyslexia
US9110311B2 (en) * 2012-09-04 2015-08-18 Hock Wah Yeo Eyewear nose support for low bridge nose
US10485283B2 (en) 2015-09-04 2019-11-26 Brian Dennis Jenkins Safety glasses deployment system
WO2017106385A2 (en) 2015-12-15 2017-06-22 LooLoops, LLC Slip-resistant eyewear system
US10031345B2 (en) 2015-12-15 2018-07-24 LooLoops, LLC Slip-resistant eyewear system
US10444534B2 (en) 2016-09-12 2019-10-15 LooLoopsLLC Slip-resistant eyewear system
US20180239165A1 (en) * 2017-02-21 2018-08-23 General Scientific Corp. Custom fit nose pads for spectacle frames
US11402658B2 (en) * 2019-07-30 2022-08-02 General Scientific Corp. / Surgitel Removable, adjustable wire arms for nose pads
FR3115892A1 (fr) * 2020-11-03 2022-05-06 Ny Lova RAFALIMANANA Support de monture de lunettes de vu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566C (ko) *
US1789937A (en) * 1930-03-03 1931-01-20 Shur On Optical Company Inc Ophthalmic mounting
US2596572A (en) * 1949-09-29 1952-05-13 Welsh Mfg Co Two-color spectacle bridge
FR1049849A (fr) * 1952-01-24 1954-01-04 Harry Vargon Fils De Perfectionnements aux montures de lunettes
GB750551A (en) * 1954-04-29 1956-06-20 Maurice Gar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ectacles
DE1683390U (de) * 1954-07-07 1954-09-16 August Wulf Celluloid Und Meta Brillengestell aus zelluloid, kunststoff od. dgl., insbesondere fuer sonnenbrillen.
FR1112947A (fr) * 1954-10-21 1956-03-20 Plaquette de lunette
FR1115206A (fr) * 1954-11-29 1956-04-20 Gabriel Tabourin Ets Perfectionnements à la fabrication des montures de lunettes
FR1432641A (fr) * 1965-02-08 1966-03-25 Lunettes
FR1540371A (fr) * 1967-04-18 1968-09-27 Plaquettes nasales réglables pour lunettes
US3556959A (en) * 1968-03-29 1971-01-19 Frank Passal Nickel plating
FR2151656A5 (ko) * 1971-09-08 1973-04-20 Silor
FR2157155A6 (ko) * 1971-10-20 1973-06-01 Silor Sa
FR2164074A5 (ko) * 1971-12-07 1973-07-27 Berthet Bondet Abel
US3758203A (en) * 1972-01-27 1973-09-11 Halco Ind Inc Eyeglasses frame construction
US4190333A (en) * 1978-01-16 1980-02-26 Lambert Anodizing Co. Inc. Spectacle frames
FR2428857A1 (fr) * 1978-06-14 1980-01-11 Lacoste Chemise Monture de lunettes
DE3506073A1 (de) * 1985-02-21 1986-08-21 Simro AG, Meilen Seiten- und sattelstegpartie fuer eine brille
GB8704656D0 (en) * 1987-02-27 1987-04-01 Chappell N W Spectacle frame
US4787729A (en) * 1987-08-24 1988-11-29 Ruffen Kenneth T Eyeglass nose support
FR2628222B1 (fr) * 1988-03-01 1991-10-04 Hennert Dispositif de reglage pour monture de lunettes
DE8804232U1 (ko) * 1988-03-29 1988-06-23 Fritsche-Fingerhut, Elke, 6242 Kronberg, De
DE9004468U1 (ko) * 1990-04-19 1990-06-28 Schmolz, Ingeborg, 8000 Muenchen,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396A (ko) * 2021-02-25 2022-09-01 류정민 긴밀성과 안착력이 뛰어난 안경테용 코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00771A (en) 1993-04-06
ES2078985T3 (es) 1996-01-01
EP0452709A3 (en) 1992-04-15
JPH04230731A (ja) 1992-08-19
EP0452709B1 (de) 1995-09-27
HK95396A (en) 1996-06-07
KR910018828A (ko) 1991-11-30
EP0452709A2 (de) 1991-10-23
DE9004468U1 (ko) 1990-06-28
ATE128560T1 (de) 1995-10-15
USRE36048E (en) 1999-01-19
DE59106566D1 (de) 199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941B1 (ko) 코걸이대를 갖는 안경
US5760867A (en) Double-hinged adjustable eyeglasses
US4704015A (en) Device for attaching a replaceable nosepiece to an eyeglass frame
US7147321B2 (en) Eyewear with nosepiece
US7513618B2 (en) Nose pad
JPH01134421A (ja) 眼鏡枠にレンズを固定する装置
US5987653A (en) Protective eyewear for industrial use
CA1267308A (en) Modular eyeglasses
EP1747494A2 (en) Eye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0127493Y1 (ko) 안경다리의 단부에서 또는 노우즈 피스에서 패드부분을 가지는 안경
DE69627012D1 (de) Herunterklappbares element an einem brillenbügel
JP2001194629A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KR20200125741A (ko) 안경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US4304470A (en) Spectacle frame with pivotable auxiliary bridge
KR20190087223A (ko) 서로 다른 얼글형에 대한 착용감과 착용 안정성이 향상된 안경테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EP0671022B1 (en) Semi-rimless eyeglass frame assembly
JP2004109741A (ja) 薄板金属製フレーム眼鏡
KR101182067B1 (ko) 안경테
KR200333723Y1 (ko) 안경
JPH0784224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3107987U (ja) 眼鏡フレーム
KR970002736Y1 (ko)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