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953B1 - 공기 백 - Google Patents

공기 백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953B1
KR0155953B1 KR1019910700919A KR910700919A KR0155953B1 KR 0155953 B1 KR0155953 B1 KR 0155953B1 KR 1019910700919 A KR1019910700919 A KR 1019910700919A KR 910700919 A KR910700919 A KR 910700919A KR 0155953 B1 KR0155953 B1 KR 015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abrics
airbag
fabric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956A (ko
Inventor
그라함 레이몬드
폴 카바나 크리스토퍼
발켄버그 사이몬
거바스 리톤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에이 티에이취 에프 아이 반 에드리컴
에어백스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티에이취 에프 아이 반 에드리컴, 에어백스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 티에이취 에프 아이 반 에드리컴
Publication of KR92070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 B60R2021/23547Weaving one piece w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상부(10) 및 하부(12) 직물을 동시에 형성시키고 상기 2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목적하는 형태(14)로 혼합하여 이에 의해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밀폐시킴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 직조에 의해 공기백을 제조한다.
공기 백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며 재커드 직기상에서 직조된다. 직조 형태의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피복에 대한 필요성이 배제되도록 직물의 투과도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백
제1도는 직기상에서 제조되는 원형 공기백의 부분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백에 있어서 직조된 직물층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백에 있어서 직조된 백의 변부를 도시한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교착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접합부분에서 백을 통해 본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스트랩의 위치를 예시하는 백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W-R 또는 V-S에 대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 P-U 또는 Q-T에 대한 단면도.
제8도는 팽창되었을 때의 백의 단면도.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접합부분의 변부의 교호직조법을 예시한 도면.
제10도는 보강된 부분을 가진 직물 형태를 예시한 도면.
제11a도 및 제11b도는 센터링(centering)용 착색사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
제12도는 보강된 통로부분을 예시한 도면.
제13a도 및 제13b도는 용접된 통로링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
제14a도, 제14b도 및 제15도는 변형된 형태의 스트랩에 대한 제5도 및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16a도 및 제16b도는 또다른 형태의 스트랩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기백, 특히 충돌시 자동차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팽창식 공기백(Air Bag)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송수단에 사용하기 위한 광범위한 용도의 공기백의 안전성 확보에 대해 상당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백은 충돌시 급속히 팽창하도록 배열되므로써 자동차 승객을 견제하여 자동차내의 딱딱한 내부 표면에 부딪쳐 다치는 일이 없도록 자동차의 좌석 전면을 향해 채워 넣은 백이다. 현재 제조된 공기백, 특히 운전자 측면용 공기용 백은 클로로부타디엔 고무 피복된 폴리아미드(나일론) 직물로 부터 제조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클로로부타디엔 고무(네오프렌)는 직물을 가스 및 입자에 대해 불투과성으로 만들며, 기본적인 강도를 가진 직물에 난연성을 제공하고, 비교적 장시간의 노화성능을 가지며 가황 또는 봉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백의 제조 및 조립을 촉진 시킨다.
후자의 경우에, 합성고무에 의해 기본적인 폴리아미드직물에 제공된 치수 안정성 및 절단용이성이 장점이다. 폴리아미드 텍스타일 재료는 그의 우수한 강도, 특히 우수한 선도 특성 및 입수용이성으로 인해 선택된다. 이러한 특성의 조합은 현재까지 특히 팽창용 가스를 형성시키는 불꽃 수단이 사용되는 경우 공기백에 적용하는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직물은 제조비가 비교적 비싸며 비교적 부피가 크다.
피복물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흡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통기구멍이 이용된다.
이에 의해, 개발자들은 비교적 적고 간단한 선택(tune)에 대한 변수, 예를 들면 통기구멍의 크기 및 수, 백의 직경 및 사용될 경우 견제 스트랩의 설비 및 설치를 갖는다.
공기백을 이중 직조법을 사용하여 이음새 없이 직조하므로써 베갯잇형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각형의 백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예를 들면 이와 동등한 원형 백에 비해 너부 부피가 커서 집어넣기가 더 어려우며 팽창특성이 원형 백과 동일하지 않아서 더 큰 용량의 가스 발생기가 필요한 등의 이유로 인해 운전자의 측면에 사용하기가 좋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공기백에 비해 우수하고 보다 균일한 품질로 더욱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공기백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비교적 부피가 작고 저장된 상태에서 공간을 덜 차지하는 공기백을 제공함에 있다.
가장 광범위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직물을 동시에 형성시키고 상기 두 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목적하는 형태로 결합시키므로써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또는 거의 밀폐시킴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의 직조에 의해 공기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백의 주요동체는 직물을 절단 및 봉제(또는 접착) 시킬 필요없이 한단계 조작으로 직조할 수 있으며, 직조된 형태는 2 차원적인 형태, 즉 원형 또는 적어도 사각형이 아닌 형태의 최종적인 백을 제공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이중직물을 직조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나, 원형과 같은 다른 형태의 제조는 이제까지는 실용적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백은 피복될 수는 있으나, 값이 비싸고 노화분해 및 손상을 입기가 쉽기 때문에 피복이 바람직하지는 않다. 백의 투과도는 현재의 공기백에 비해 통기구멍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극도의 밀직(tight weaue)을 갖거나 또는 통기구멍을 절단하려는 별도의 목적없이 직물 투과도 그 자체를 이용하므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팽창용 가스 발생기에 부착할 수 있는 통로를 갖는다.
가스 발생기의 초기 폭발에 의해 발생된 열이 직물을 손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부가의 보호물이 적어도 상기 통로 영역에 혼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발생기 기술이 개선됨에 따라, 이에 대한 요구는 감소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라 공기백은 실질적으로 보강된 변부를 가진 하나의 구조물로서 직조된다. 이러한 직물은 각각의 변부의 최상부에서 2개 이상의 편평한 플라이로 축소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허용한다. 그러나, 자동차안의 운전자 측면 장치용으로 요구되는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백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기백은 추가의 잇점을 제공한다. 몇가지 통상적인 형태의 벽에 있어서, 내부 스트랩은 백의 내부에 위치하므로써 백의 팽창정도를 제한 및 조절한다. 이러한 스트랩의 첨가는 통상적인 백의 제조비용을 더욱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한적인 스트랩은 백의 제조시간이 현저히 증가함없이 백이 제조됨과 동시에 직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사, 특히 폴리아미드로 부터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아크릴, 아라미드, 카본, 유리 세라믹과 같은 기타의 사도 천연 섬유사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사는 모노-또는 멀티-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의 형태일 수 있다. 사의 번수는 100에서 2000Dtex까지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특정한 번수는 235, 350, 470, 940 및 1880 Dtex를 포함한다. 동일한 직물에 있어서 번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을 제조할 수 있는 직기는 재커드(jacguard) 또는 동일한 메카니즘을 가진,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개방쉐드(shed), 밀폐쉐드, 중앙쉐드, 이중 리프트(lift),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재커드, 특히 후자를 자진 직기를 포함한다.
예로는 워터 제트(water jet), 에어 제트(air jet), 셔틀, 프로젝타일(projectile), 니이들 또는 래피어(rapier)(강성 또는 유연성) 직기가 포함되며, 통상적으로 래피어 또는 프로젝타일 직기가 바람직하다.
직조 형태는 제조될 백의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특히 최종 직물의 투과도와 같은 특성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직조는 백, 특히 상부 또는 표면측의 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해 밀직이어야 한다.
최대의 세팅(setting)을 성취하기 위해, 하기의 식을 사용할 수 있다;
T = D x W / ( W + I )
상기식에서, T 는 ㎝ 당 트레드(thread)의 수이고, D 는 ㎝ 당 트레드의 직경이며, W 는 반복적인 직조형태당 트레드의 수이며, I 는 반복적인 직조형태당 교차점의 수이다.
예를 들면, 940 Dtex 의 사를 사용할 경우,
T = 30.81 x 2 / (2+2) = 15.4 / ㎝
상기식에서, D 는 940 Dtex 의 사에 대해 30.81 이고, W 는 반복적인 직조형태당 2개의 트레드이며, I 는 반복적인 직조형태당 2개의 교차점이다.
상이한 직조형태를 조합하여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므로써, 상이한 전면 및 배면직물이 제조될 수 있으며 투과도는 최종용도에 적합해진다. 더욱이, 직물의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의 보조제, 예를 들면 접착제, 중합체 또는 수지 함침 또는 피복물이 필요없이 직조된 시임(seam)의 안정성 및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 염경화 되어 수축을 유발하고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목적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비안정화된 사를 사용하여 백을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가면서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제1도는 직기상에서 제조되는 원형 공기백의 부분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백에 있어서 직조된 직물층을 도시한 것이며, 제3도는 제1도의 백에 있어서 직조된 백의 변부를 도시한 것이고, 제4a도 및 제4b도는 교착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선 4-4를 따라 취합 접합 부분에서 공기백을 통해 본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며, 제5도는 스트랩의 위치를 예시하는 백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선 W-R 또는 V-S에 대한 단면도이고, 제7도는 제5도의 선 P-U 또는 Q-T에 대한 단면도이고, 제8도는 팽창되었을 때의 백의 단면도이고, 제9a도 및 제9b도는 접합부분의 변부의 교호직조법을 예시하고, 제10도는 보강된 부분을 가진 직물 형태를 예시하며, 제11a도 및 제11b도는 센터링(centering)용 착색사의 사용을 예시하고, 제12도는 보강된 통로부분을 예시하며, 제13a도 및 제13b도는 용접된 통로링의 사용을 예시하고, 제14a도, 제14b도 및 제15도는 변형된 형태의 스트랩에 대한 제5도 및 제6도와 유사한 도이며, 제16a도 및 제16b도는 또다른 형태의 스트랩 구조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해보면, 제1도는 2개의 직물 또는 플라이가 이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부분에서 동시에 결합되어 제조되는 직기상에서 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4a도 및 제4b도로 부터 좀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상부직물(10) 및 하부직물(12)은 직조형태시로서 언급된 직조형태를 사용하여 동시에 제조된다. 이것은 2개의 완전히 별개인 플라이드를 구성한다
그러나, 선택된 부분 또는 접합부분(14)에서, 2개의 직물(10) 및 (12)은 직조형태B로서 언급된 단일 직물로 배합된다. 한 예로서, 부분(10) 및 (12)는 평직(제2도)으로 직조될 수 있으며 (14)에서 함께 맷조직(제3도)으로 배합된다.
다른 형태의 직조형태간의 배합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제4b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교차 접합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10) 및 하부직물(12)은 예를 들면 5㎜의 간격으로 수회교체되어 시임을 형성한다. 다시, 시임은 평면적으로 거의 원형이 될 것이다. 이 구조는 직조도중 사가 권치되더라도 우수한 에너지 흡수능의 장점 및 도 높은 원형형태의 분해능을 갖는다. 더욱이, 공기백의 활발한 팽창도중 사의 부하통로가 보다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연속적인 작동법에 의해 일반적으로(16)으로 도시된 다수의 공기 백이 제조될 수 있다. 접합부분(14)을 둥글게 절단하면 각각의 공기백(16)이 직물 웹으로 부터 떨어져 나온다. 공기백의 형태, 당해 경우 원형, 및 이의 크키는 목적하는 직조형태 및 부분(10),(12) 및 (14)를 각각 제조하기 위해 직기 프로그래밍 수단, 예를 들면 재커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직조세트(weave sett)는 바람직하게는 가공후 사각형이며, 즉 ㎝ 당 말단수는 ㎝당 피이크수와 동일하며 백은 바람직하게는 상하좌우 모두 대칭적이다.
직조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직물의 변부(제1도의 E-F 및 G-H)를 따라 경사방향으로 진행하는 밴드(18,20)는 별개의 경사 비임(beam)으로 부터 빠져나온 경사말단으로부터 직조되는 반면, 직물의 주요 폭(제1도의 F 와 G 사이)은 주요직기 경사비임으로부터 직조된다.
가공시 공기백의 팽창을 조절하기 위해, 스트랩(22)(제6도 및 제7도)은 직조도중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스트랩을 경사 또는 위사 방향으로 느슨한 사로서 가장 잘 혼입시킬 수 있는데, 경사형 스트랩은 제5도에 문자 P-U 및 Q-T로 나타나 있으며, 위사형 스트랩은 문자 W-R 및 V-S 로 나타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랩을 형성하는 섬유는 아라미드, 즉 kevlar와 같은 보다 강하고 비수축성인 내열텍스타일 재료이다. 스트랩(22)이 위사방향으로 직조된 제6도에 있어서, 아라미드 섬유 위사는 W-R 및/또는 V-S에서 주본체를 따라 혼입된다. 아라미드 섬유(22)는 본체 위사와 함께 직조되는 (26)에서 상부 직물(10)에 부착되며 (28)에서 다시 부착된다. 아라미드 위사는 또한 (30) 및 (32)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하부 직물(12)에 부착된다. 유사한 제직 부착점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라미드 경사 P-U 또는 Q-T에 대해 제공된다.
제8도는 팽창시의 제6도의 공기백을 예시한다. 백 본체의 폴리아미드사는 바람직하게는 비안정화되며, 따라서 직물의 가공도중 20%이하까지 조절된 방식으로 수축된다. 아라미드 스트랩(22)은 수축하지 않으며 따라서 가공된 백 본체(16)내에서 느슨한 상태로 남아있다. 팽창된 백의 형태는 프로그램화된 패턴을 변화시켜 아라미드 스트랩(22)과 상부 및 하부직물(10),(12) 사이의 접촉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8도에서, 팽창된 백의 깊이는 a로서 나타나 있고, 그의 폭은 b로서 나타나 있다.
부호 c는 상부 부착점(26) 및 (28)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a/b 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거리 c 를 증가시키는 반면, a/b 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거리 c를 감소시킨다. 스트랩(22)은 단독으로, 쌍으로 또는 2개 이상의 세트로 제공될 수 있다. 위사형, 경사형 또는 경사 및 위사형 둘다의 스트랩을 제공할 수 있다. 후자는 보다 조절된 팽창형태의 백(16)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스트랩은 저강력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4a도, 제14b도 및 제15도의 (22')에서와 같이 매우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직물은 백의 팽창도중 파괴될 스트랩(22')에 의해 함께 효율적으로 접합된다. 이는 팽창도중 백의 형태를 조절할 인열 효과를 제공하여 에너지를 흡수하고 통상적인 스트랩 또는 밧줄이 필요없이 백스랩(bag slap)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보다 통상적인 스트랩(22)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제16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것은 중심에서 주된 백 본체에 부착된, 직조공정 도중의 직물의 제 3 (및 가능하게는 제 4)층 (52)을 직조하므로써 수행된다. 부착부분은 원형, 사각형 또는 최종용도에 맞는 기타 다른 목적하는 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직조패턴은 직물층(52)의 주요 부분에 대해 평직일 수 있으며 상부 직물(10)에 부착된 경우 맷조직일 수 있다. 이것은 높은 사밀도를 제공할 것이다.
일단 직조 및 가공한 다음, 여분의 층(52)을 절단하여 덮혀진 부분(54)(제16b도)을 제거하면 스트랩(22)이 남게되고 이의 자유로운 말단은 백을 뒤집어 통로 구멍을 절단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공기백의 통로 부분으로 박음질할 수 있다.
여분의 층(52)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예를 들면 네오프렌과 같은 클로로부타디엔 고무로 피복되어 절단되기전에 경사 및 위사의 결합도를 제공한다.
직물의 제 4 층(도시되지 않음)이 직조되고 하부직물(12)에 부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스트랩(22)의 자유로운 말단은 백이 일단 뒤집어지면 서로 접합되어 제8도와 유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예로서, 470 decitex의 고-수축 나일론사를 선택하여 밀직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백이 피복될 수 있는 특정상황에서 더 무거운 사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직조 밀도는 보다 덜 치밀할 것이다. 한층 가벼운 백의 경우, 235 decitex 또는 350 decitex의 사를 사용할 수 있다. 사는 비안정화 되어 직조후 수축되며 따라서 직물이 가공된 후, 밀직을 제공한다. 통로구조는 백의 한면 중심에서 구멍을 가열 절단한 후 통상적인 봉제법에 의해 만들 수 있다. 상기 구멍은 통상적인 가스 발생기에 연결되어 사용중 백을 팽창시킨다. 특정경우에, 평직으로 직조된 백의 상부 및 하부부분에서와 동일한 정도의 권치를 시임 또는 접합점(14)의 부분에서 수득하기 위해, 시임 또는 접합점(14)의 부분에서 직조패턴을 3/3 맷조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조형태는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시임의 폭은 약 20㎜이다.
이와 같은 공기백은 직조단계에서 혼합된 통기구멍 및 필터를 도입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에서, 제10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멍/필터(33)는 원형의 개방된 구조를 직조함으로써 후면 또는 하부 직물(12)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환상의 링(33)은 외부 접합부 또는 시임(14)와 중심부사이의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위치에 가스발생기를 놓을 수 있다. 주 직물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평직일 수 있으며 시임(14)는 맷조직일 수 있다. 통기구멍/필터는 다른 표면상의 1/1 직조형태와 비교해 볼 때 3/3 직조형태일 수 있다. 부분(33)의 또다른 형태가 요구되는 경우, 이를 프로그램화할 수 있다.
북침(deployment)의 충격부하 도중 응력집중도 및 장력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대칭적인 직조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태양에서, 제1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가스발생기 부착용 보강부분을 2 개의 보강된 밴드(34) 및 (36)이 십자형을 형성하도록 경사 및 위사로 비임으로 부터의 표준사위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하여 수득된 십자형의 중심에 이중사밀도를 가진 부분(37)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가스발생기용 보강부분을 제공한다.
보강부분(37)은 추가의 보강재가 필요없이 발생기 설치용으로 요구되는 패턴에 부합되도록 구멍 또는 구멍들을 단순히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직물(10) 및 (12)는 평직일 수 있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시임(14)은 3/3 맷조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부분(37)은 이중-밀도 평직일 것이다.
보강된 중심부가 이용되는 경우, 백설치면의 재료에 직접적으로 강성 또는 반-강성링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면 나일론 6/6을 용접 또는 성형함으로써 요구되는 통로보강재를 제고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가 제13a도 및 제13b도에 예시되어 있다. 링(44)은 직물(12)의 양쪽면에 놓인 2 개의 성분으로부터 조립된다. 각각의 링 성분의 내부면상에 환상의 홈(48)이 있는데, 여기에 소모가능한 재료(49)의 용접된 가스켓(gasket)이 놓인다.
용접공정이 완결되면 상기 재료를 작물 및 링성분으로 용융시켜 균일한 접합을 수득한다. 링은 백의 내부에 근접한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중심구멍(46)을 제공하며 특정지점에서 구조(50)를 통해 완전한 구멍을 갖는데, 이에 의해 발생기가 부착된다.
성형된 링은 매우 유사한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가압기구 내부에 위치한 직물을 사용하는 사출 성형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로구조가 제조되는 경우, 중심점의 정확한 위치는 제1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사 및 위사로 직조된 착색된 사(38), (40)에 의해 수득된다.
예를 들어 위사방향의 착색된 사를 선택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바아코드(bar code)와 같은 코드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면, 일련의 숫자를 암호함으로써 백 또는 배치(batch)를 독특하게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낮은 번수, 예를 들면 235 decitex 또는 350 decitex의 사를 사용하는 것은 특정한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서 더 낮은 중량 및 더 작은 충전 용적이 포함된다. 그러나, 사용된 재커드 기계의 제한성으로 인해 접합부 또는 시임(14)의 직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부분에서 보다 촘촘한 직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충분한 훅(hook)이 없기 때문에 한 번에 2개의 사를 건너 띄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백은 통상적인 디자인을 대체할 간편하고 덜 비싼 자동차용 팽창식 공기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최근 논의된 유럽형 시스템 및 장소 및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측면 충격 시스템에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백이 추가의 피복물을 갖지 않으며 백의 투과도가 세트를 조정함과 더불어 이에 의해 직조형태 자체의 투과도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직물을 동시에 직기사에서 직조하고, 2 개의 직물을 선택한 부분에서 혼합하여 이에 의해 시임을 실질적으로 원형형태로 한정하고, 시임내에서 절단된 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부 또는 표면측에 있어서 직조형태가 밀직이며 직조형태가 하기식에 따라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T = D x W / (W + I )
    상기식에서, T 는 당 ㎝ 트레드의 수이고, D 는 당 ㎝ 트래드의 직경이며, W 는 반복적인 직조 형태당 트레드의 식이고, I 는 반복적인 직조 형태당 교차점의 수이다.
  3. 적어도 상부 및 하부직물을 동시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2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혼합하여 이에 의해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밀폐시키고 백의 팽창정도를 제한 및 조절하는 스트랩은 백을 제조함과 동시에 직조함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 직조에 의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아라미드사로 구성되며 직물이 수축가능한 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필요한 조절 및 에너지 흡수를 제공하기 위해 백의 팽창시 끊어지는 저강력 단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중심부의 직물들 중 하나에 부착된 직물의 제 3 층이 직조공정도중 직조되고, 여분의 층이 절단되어 스트랩이 남게되며, 이의 자유로운 말단이 백을 뒤집어 통로구멍을 절단한 후 백의 통로부분으로 봉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의 다른 직물에 부착된 직물의 제 4 층이 직조되고 절단되어 스트랩이 남게되며, 일단 백이 뒤집어지면 상부 및 하부 스트랩의 자유로운 말단이 서로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8. 적어도 상부 및 하부 직물을 동시에 형성됨과 동시에 더불어 상기 2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목적하는 형태로 혼합시켜 이에 의해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밀폐시키며, 상기 직물들중 적어도 하나가 보다 개방된 구조로 직조된 부분을 가짐으로써 이에 의해 통기구멍/필터로서 작용함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 직조에 의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9. 적어도 상부 및 하부 직물을 동시에 형성됨과 동시에 더불어 상기 2 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목적하는 형태로 혼합시켜 이에 의해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밀폐시키며, 상기 직물들중 하나에 추가의 사로 직조된 2개의 밴드를 제공하여 이에 의해 2개의 밴드가 교차하는 가스 발생기 연결용 보강부분을 제공함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 직조에 의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0. 적어도 상부 및 하부 직물을 동시에 형성됨과 동시에 더불어 상기 2 개의 직물을 선택된 부분에서 목적하는 형태로 혼합시켜 이에 의해 공간을 한정 및 밀폐시키거나 실질적으로 밀폐시키고, 직물의 각 측면상에 링의 2개의 성분을 설치함으로써 직물들중 하나에 가스 발생기용 통로 보강재를 제공(여기서, 링은 용융가능한 성분이 제공된 환상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성분을 용융시켜 이에 의해 링의 2개의 성분들이 직물 및 서로에 대해 용접된다)함을 포함하여, 직기상에서 직조에 의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직물이 맷조직을 포함하는 시임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직물이 다수의 교차된 상부 및 하부직물을 포함하는 시임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이 실질적으로 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레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아크릴, 아라미드 카본, 유리 세락믹과 같은 합성사 및 천연섬유사로 부터 직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사는 모노-또는 멀티-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사의 번수가 100 내지 2000 Dtex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는 워트 제트, 에어 제트, 셔틀, 프로젝타일, 니이들, 래피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백.
KR1019910700919A 1989-02-16 1990-02-12 공기 백 KR0155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903559.6 1989-02-16
GB898903559A GB8903559D0 (en) 1989-02-16 1989-02-16 Air bag
GB8921838.2 1989-09-27
GB898921838A GB8921838D0 (en) 1989-02-16 1989-09-27 Air bag
GB89218382 198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956A KR920700956A (ko) 1992-08-10
KR0155953B1 true KR0155953B1 (ko) 1998-10-15

Family

ID=1065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919A KR0155953B1 (ko) 1989-02-16 1990-02-12 공기 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687596B1 (ko)
KR (1) KR0155953B1 (ko)
GB (2) GB8903559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3123A (zh) * 1995-04-06 1998-05-27 亚历山大·比斯根 织造三维成型织物区的方法
GB2316370B (en) * 1996-08-20 2000-05-3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DE29709389U1 (de) *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DE19910823C1 (de) 1999-03-11 2000-09-28 Autoliv D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es mit dreidimensionaler Form
US6398253B1 (en) * 1999-09-01 2002-06-0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 bag protective device
DE10142130A1 (de) * 2001-08-30 2003-03-20 Berger Seiba Technotex Verwaltungs Gmbh & Co Fertigung von Airbag-Gewebe
GB2386870B (en) * 2002-03-27 2005-03-1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KR100623734B1 (ko) * 2004-05-21 2006-09-19 주식회사 파비노 직물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E102005052516B4 (de) * 2005-11-03 2007-09-13 Autoliv Development Ab Mehrkammer-Gassack
DE102006052799A1 (de) * 2006-11-09 2008-05-15 Trw Automotive Gmbh Gassack
US9663062B2 (en) * 2015-10-16 2017-05-30 Autoliv Asp, Inc. Airbags including internal teth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11051149A (zh) * 2017-09-07 2020-04-21 住商安全气囊系统株式会社 安全气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684A (en) * 1971-09-02 1977-05-24 Helmut Neidhardt Tubular fabric coated with plastics or synthetic rubbers
GB1507152A (en) 1975-03-14 1978-04-12 Toray Industries Fabric material for producing woven air bags utilized for protecting riders in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03559D0 (en) 1989-04-05
EP0687596A1 (en) 1995-12-20
KR920700956A (ko) 1992-08-10
EP0687596B1 (en) 1998-12-09
GB8921838D0 (en) 198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8838B1 (en) Air bag
US5651395A (en) Circular air bag made of two simultaneously woven fabrics
JP5265960B2 (ja) 膨張可能な織物
US5865464A (en) Air bag
KR0140193B1 (ko) 에어 백 직물의 제조방법 및 에어백 시스템
EP0611683B1 (en) Air bag with reinforcing belts
KR0155953B1 (ko) 공기 백
US6830261B2 (en) Inflatable airb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7100377A1 (en) Woven airbag with integrally woven tethers
US20070040368A1 (en) One-piece woven airbag with tethers
JPH11334509A (ja) 多数パネルエアバック
KR20120112219A (ko)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148870B (zh) 非涂敷气囊用织物和气囊
JP6740692B2 (ja) エアバッグ
WO2005075258A1 (en) An air-bag
JPH02158442A (ja) エアバック
US5603647A (en) Inflatable life preserving floatation device formed from double woven textile fabrics
JP4711378B2 (ja) エアバッグ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EP0564518B1 (en) Airbag
JPH0551836A (ja) 袋織エアーバツグ基布とその製織方法
JP3085790B2 (ja) 基布排気式エアバッグ
JPH05124480A (ja) ストラツプを具備したエアーバツグ用二層織地
JPH07329668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H0551837A (ja) 袋織エアーバツグ基布
JP2003171845A (ja) エアバッグ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