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77B1 -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77B1
KR0155677B1 KR1019960002417A KR19960002417A KR0155677B1 KR 0155677 B1 KR0155677 B1 KR 0155677B1 KR 1019960002417 A KR1019960002417 A KR 1019960002417A KR 19960002417 A KR19960002417 A KR 19960002417A KR 0155677 B1 KR0155677 B1 KR 015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teel pipe
blade
drilling
pip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625A (ko
Inventor
백규호
Original Assignee
손근석
포스코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근석, 포스코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근석
Priority to KR101996000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677B1/ko
Publication of KR97004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0Piles comprising both precast concrete portions and concrete portion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그것를 이용한 주면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반빔과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말뚝을 회전·삽입함에 의하여 시공하는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오거(10)로 지반(20)에 굴삭액을 주입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지반(20)을 천공하는 공정과, 천공된 굴착공에 오거(10)의 선단부를 통하여 충전재(30)를 주입하면서 오거(10)를 인발하는 공정과, 충전재(30)가 주입된 굴착공에 +자형 교반빔(90)과 확대날 본체(80)가 부착된 강간말뚝본체(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는 공정과,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 도달한 후에도 강관 말뚝을 계속 회전시켜서 강관말뚝에 부착된 +자형 교반빔(90)을 지지층에 도달시키는 공정과, 상기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확대날(81)이 펴지도록 하므로써, 굴착공의 벽면에 돌기를 성형하는 공정을 표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굴착공 벽면과 저면이 느슨한 흙을 충전재와 교반시키고 강관말뚝의 선단부를 굴착공 저면으로부터 말뚝 직경의 2.5배 가량 떨어뜨리며, 굴착공 벽면에 돌기를 성형하므로써 말뚝의 주면 마찰력은 물론 선단 지지력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경타방식 선굴착 말뚝 공법에 의해서는 항타과정이 생략되므로 항타로 인한 일체의 소음과 진동을 완전히 제거하므로써 도심지 공사에서 민원발생의 소지를 없애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제1도 (a)∼(g)는 침설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2도 (a)∼(h)는 경타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3도 (a)∼(b)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에 사용되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 말뚝의 사시도와 단면사시도.
제4도는 강관과 확대날 그리고 교반빔으로 구성되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중 확대날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구성하는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과 교반빔이 부착된 보조 강관의 분해사시도.
제6도 (a)∼(h)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상태도.
제7도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단계중 말뚝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단계에서의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사시도.
제8도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 단계중 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 도달된 후 확대날이 펴지면서 공벽에 돌기를 형성할 때의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강관말뚝 본체 10 : 오거(auger)
20 : 지반 30 : 충전재
40 : 기성말뚝 50 : 햄머
60 : 강관 61 : 장공
70 : 보조강관 71 : 크랭크형장공
72 : 확대날개폐핀 유동공 73 : 확대날 개폐핀
80 : 확대날본체 81 : 확대날
82 : 확대날고정구 83 : 힌지
84, 85 : 핀 90 : +자형 교반빔
본 발명은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그것을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거(auger)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하므로써 성형되는 굴삭공에 교반빔과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말뚝을 회전시키면서 삽입하여 말뚝을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킴과 동시에 말뚝의 선단부근에 돌기를 형성시키므로써, 선굴착 말뚝의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굴착 말뚝은 오거에 의하여 천공된 굴삭공에 양질의 충전재를 주입하고 기성(旣成)말뚝을 삽입하는 것으로, 지지력을 발현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침설방식과 경타방식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선굴착 말뚝공법을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a)∼(g)는 침설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제2도(a)∼(h) 경타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 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침설방식의 경우, 제1도 (a)와 같이 오거(10)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고, 제1도 (b)및 제1도 (c)와 같이 굴착액을 주입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지반(20)을 천공한다.
오거(10)를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이 끝나면 제1도(d)와 같이 굴착공에 충전재(30)를 주입하면서 오거(10)를 인발한다. 그 후 제1도(e)와 같이 지반(20)의 천공과 충전재(30)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도 (f)∼(g)와 같이 자중에 의하여 기성말뚝(40)을 굴착공에 삽입한다.
이러한 방식은 말뚝의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진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므로써 건설공해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경타방식의 경우, 침설방식과 동일하게 제2도(a)∼(g)와 같이 소정의 깊이까지 오거(10)로 지반(20)을 천공하고 굴착공에 충전재(30)를 주입한 후 기성말뚝(40)을 굴착공에 삽입한다.
그 후 선굴착 말뚝의 선단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굴착공에 삽입된 기성말뚝(40)이 소정의 선단부 지지층에 도달될 수 있도록 햄머(50)를 이용하여 강관(60)을 가볍게 두드려 박으므로써 선굴착 말뚝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의 선굴착 말뚝 공법은 충전재(30)의 주입과정과 지지력의 발현과정에서 말뚝의 지지력을 구성하는 주면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침설방식의 경우에 지반(20)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라임(slime)의 대부분은 굴착공 밖으로 배토되지만, 그 중의 일부는 굴착공의 저면에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전재(30)를 주입하고 기성말뚝(40)을 삽입하여 경화시키므로써 선굴착 말뚝이 슬라임 위에 떠있는 형상이 되므로 말뚝의 선단부가 매우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침설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은 선단 지지력보다는 주로 주면 마찰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말뚝을 햄머(50)에 의하여 직접 타입하는 직항타 말뚝보다 지지력이 상당히 작아져서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다.
한편 경타방식의 경우는 침설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굴삭공의 저면에 약간의 슬라임이 존재하게 되지만 충전재(30)가 주입된 굴삭공에 기성말뚝(40)을 삽입한 후에 기성말뚝(40)을 햄머(50)로 지지층까지 타입하게 되므로 침설방식의 경우보다 지지력이 상당히 커지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방식은 말뚝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햄머(50)로 기성말뚝(40)을 항타하기 때문에 말뚝을 직접 햄머(50)로 타입하는 직항타 말뚝보다는 작지만 상당한 크기의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완벽한 저소음, 저진동 공법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강관과 보조강관, 교반빔 및 확대날 본체로 구성된 강관 말뚝본체를 이용하여 선굴착 말뚝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말뚝을 이용하여 선굴착 말뚝을 시공하므로써, 선굴착 말뚝의 지지력을 증대시킬수 있고 동시에 선굴착 말뚝의 시공시에 발생할 수 있는 항타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은, 확대날 본체가 고착된 강관과 교반빔이 고착된 보조강관으로 구성된 강관말뚝을 이용하여 선굴착 말뚝을 시공하는데 있어서, 확대날로 구성되는 확대날 본체가 강관에 고착되고, 교반빔이 크랭크형의 장홈이 형성된 보조강관에 고착되며, 상기의 강관과 보조강관은 확대날 본체에 의하여 결합됨과 아울러 보조강관의 크랭크형 장홈을 통하여 강관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확대날 개폐용 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 시공방법은, 굴착액을 주입하면서 오거를 이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오거의 선단부를 통하여 굴착공에 충전재를 주입하면서 오거를 인발하는 공정과, 강관의 선단부에 교반빔과 확대날 본체를 부착한 확대날 부착형 강관 말뚝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굴착공에 삽입하여 굴착공벽의 흙과 충전재가 잘 혼합되도록 하면서 굴착공 저면까지 말뚝을 도달시키는 공정과, 굴착공의 저면에 도달한 말뚝을 압입하면서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교반빔이 굴착공 저면의 슬라임과 충전재를 완전히 혼합시키는 공정과,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압입하여 확대날이 펴지도록 하므로서 굴착공벽에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 형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슬라임이 충전재와 잘 혼합되도록 하여 주면 돌기형 선굴찰 말뚝을 완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연구보고에 의하면 선굴착 말뚝은 지반의 굴착이나 굴착공내에 충전재를 주입후 말뚝을 삽입 또는 경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반의 소음이나 진동측면에서 직항타 말뚝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반의 착공시에 발생하는 지반의 교란과 굴착공 저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의 불완전한 처리로 인하여 선굴착 말뚝은 햄머로 말뚝을 타입하여 시공하는 직항타 말뚝에 비하여 지지력이 상당히 작게 된다.
또한 선굴착 말뚝의 시공비는 디젤햄머를 이용한 직항타공법의 약 10배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기초 공사의 경제성을 크게 낮추고 있다.
이처럼 높은 시공비와 낮은 지지력 문제가 공사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도심지에서의 공사가 증가하면서 각종 건설공해로 인한 민원발생의 소지를 없애기 위하여 저소음·저진동 말뚝 공법의 일종인 선굴착 말뚝 공법의 사용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침설방식이나 경타방식의 선굴착 말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말뚝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므로써 현재보다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굴착 말뚝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 공법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중의 하나이다.
말뚝의 지지력은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으로 구성되며 이들 두가지 성분 중 선단 지지력 성분이 주면 마찰력 성분보다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이지만,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침설방식의 선굴착 말뚝은 굴착공 저면에 잔존하는 슬라임으로 인하여 선단 지지력이 매우 작게 된다.
또한 말뚝의 선단부에 충전재를 주입하여 고결시킨 선굴착 말뚝의 경우에 말뚝의 선단 지지력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말뚝의 선단부가 굴착공 저면으로부터 말뚝 직경의 2∼4배 떨어져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즉, 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기성말뚝의 하방에 존재하는 충전재의 파괴로 인하여 지지력이 기성말뚝의 단면부에만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서 상당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말뚝의 선단부가 충전재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이 충전재에 의하여 형성된 단면 전체에 지지력이 발휘되므로 전자의 경우보다 선단 지지력이 커지게 된다.
이처럼 기존 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 선단 지지력이 작은 것은 굴착공 저면에 잔존하는 슬라임에 의한 영향도 있지만 기성말뚝의 선단부를 굴착공의 저면과 거리를 두지 못하고 바로 굴착공의 저면에 앉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에서는 선단부에 교반빔이 부착된 강관말뚝을 사용하기 때문에 굴착공 저면에 잔존하는 슬라임을 충전재와 완전히 혼합시키므로써, 선굴착 말뚝을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킬 수 있게 되며, 동시에 교반빔에 의하여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의 선단부가 굴착공 저면으로부터 강관 직경의 약 2.5배 가량 떨어지게 되므로 기존 방식의 선굴착 말뚝보다 선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은 말뚝의 주면에 돌기를 성형하므로써 말뚝의 주면에 주면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을 모두 도입할 수 있게 되므로 말뚝의 전체 지지력은 매우 크게 된다.
또한 말뚝의 인발 저항력 측면에서 기존 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은 말뚝의 주면 마찰력 성분만이 인발 저항력에 도입되었으나,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에는 말뚝 주면에 성형한 돌기에 선단 지지력 성분도 도입되기 때문에 말뚝의 인발 저항력에 주면 마찰력 뿐만 아니라 선단 지지력 성분이 모두 도입된다.
따라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인발 저향력은 기존 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에 비하여 상당히 커지게 된다.
한편, 오거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는 동안 지반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액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지반의 굴착으로 인한 굴착공벽의 느슨해짐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선굴착 말뚝의 주면 마찰력은 직항타 말뚝에 비하여 더욱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주면돌기형 선굴착 말뚝에서는 충전재가 도입된 굴착공에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회전, 삽입하면서 굴착공벽의 이완부분을 충전재와 혼합시키고, 굴착공에 충전재가 주입된 상태에서 돌기의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방식에 비해서 굴착공벽의 이완을 다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은 기존 방식의 선굴착 말뚝에 비하여 말뚝의 선단 지지력 뿐만 아니라 주면 마찰력 성분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a)와 제3도 (b)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 공법의 시공에 사용되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 말뚝의 사시도와 단면 사시도이며, 제4도는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확대날의 조립상세도이며, 제5도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 (a)∼(h)는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제7도는 강관말뚝이 굴착공에 삽입되는 단계에서 확대날 부착형 강관 말뚝의 사시도이고, 제8도는 굴착공벽에 돌기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제3도 (a),(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은 크게 강관(60)과 보조강관(70), 확대날본체(80), 그리고 절첩되는 +자형 교반빔(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강관(60)에는 하단부로부터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장홈(61)이 성형되어 있고, 이 장홈(61)의 상하 끝부분에는 힌지(83)를 이용하여 확대날 본체(80)가 연결설치 된 확대날 고정구(82)를 용접하므로써 강관(60)에 확대날본체(80)를 고착시킨다.
그리고 강관(60)의 하부에는 상기 강관(60)의 직경보다 큰 보조강관(70)을 위치시키고, 이 보조강관(70)의 양측 및 상부 양측에는 크랭크형장공(71)과 확대날 개폐핀 유동공(72)을 형성하였으며, 보조강관(70)의 하부 내주연에는 +자형의 교반빔(90)을 용착시킨다.
이때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확대날(81)과 확대날 조립용핀 (84)을 이용하여 조립된 확대날본체(80)는 확대날 조립용 핀(85)을 이용하여 상·하부의 확대날 고정구(82)에 결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조립이 완료된 확대날 본체(80) 끝부분 간의 수평폭 거리는 보조강관(7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한다. (제3도 a)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강관(60)과 +자형 고반빔(90)이 부착된 보조강관(70)은 확대날(81)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확대날 개폐핀(73)을 보조강관(70)에 성형된 크랭크형장공(71)을 통하여 강관(60)의 끝부분에 고착시키므로써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조립을 완료한다(제5도).
이상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제작된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순서는 제6도 (a)∼(h)와 같다.
먼저, 오거(10)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고 지반(20)을 천공한다(제6도 (a)∼(c)). 그리고 오거(10)를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이 완료되면, 오거(10)의 선단부를 통하여 굴착공에 충전재(30)를 주입하면서 오거(10)를 천천히 인발한다(제6도 (d)∼(e)).
그후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충전재(30)가 주입된 굴착공에 삽입한다(제6도 (f)).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이 굴착공 저면에 도달하면 강관말뚝을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서 +자형 교반빔(90)에 의하여 굴착공 저면의 슬라임과 충전재(30)를 혼합시킨다(제6도 (g)).
마지막으로 굴착공 저면의 교반이 끝나면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확대날본체(80) 즉, 확대날(81)이 펴지도록 하고, 확대날(81)이 펴짐에 의하여 굴착공의 벽면에 돌기를 성형한다(제6도 (h)).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의 회전방향에 따른 확대날본체(80)의 상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때는 확대날 개폐용 핀(73)이 보조강관(70)에 성형된 크랭크형장공(71)의 상부에 걸리게 되므로 확대날(81)이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관말뚝이 삽입되므로 굴착공의 벽면을 교반시킬 수 있으며, 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 도달하게 되면 +자형 교반빔(90)에 의하여 굴착공의 저면을 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제7도).
그러나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확대날 개폐용 핀(73)이 보조강관(70)에 성형된 크랭크형장공(71)의 홈의 상부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보조강관(7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확대날 개폐용 핀(73)은 보조강관(70)에 성형된 크랭크형장공(71)의 하부에 걸리게 되고 확대날(81)은 펴지게 되므로 굴착공의 벽면에는 돌기가 성형된다(제8도).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선굴착 말뚝의 시공에 교반빔과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말뚝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선굴착 말뚝이 갖고 있는 몇가지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침설 방식의 선굴착 말뚝에 비해서는 굴착공 저면의 잔존하는 슬라임을 교반빔에 의하여 충전재와 잘 혼합시키므로써 선굴착 말뚝을 지지층에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고, 동시에 교반빔에 의하여 강관말뚝의 선단부를 굴착공의 저면으로부터 말뚝 직경의 약 2.5배 떨어뜨리므로써 말뚝의 선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굴착공에 회전·삽입하면서 굴착공벽에 존재하는 느슨해진 부분의 흙과 충전재가 확대날에 의하여 적절히 혼합되므로써 말뚝의 주면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확대날에 의하여 굴착공벽에 성형된 마찰력 성분과 선단 지지력 성분이 모두 도입됨에 따라 말뚝의 압축 지지력의 증가는 물론 인발 저항력도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경타방식 선굴착 말뚝에 비해서는 기성(旣成) 말뚝의 항타과정이 생략되므로 항타로 인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항타과정의 생략으로 시공과정에서 항타기의 사용이 배제되므로 선굴착 말뚝의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은 교반빔에 의하여 강관말뚝이 지지층에 확실히 지지되고, 확대날에 의하여 말뚝의 주면에 돌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력 측면에서도 경타방식에 의한 선굴착 말뚝보다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은 말뚝의 선단 지지력과 주면 마찰력을 향상시키므로써 선굴착 말뚝의 경제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항타로 인한 일체의 소음과 진동을 완전히 제거하므로써 도심지 공사에서 민원발생의 소지를 없애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하단부 양측으로 하단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장홈(61)을 형성시킨 강관(60)과, 상기 강관(60)의 하부에는 강관(60)의 직경보다 크며, 양측 중앙부에 크랭크형 장공(7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양측에는 확대날 개폐핀 유동공(72)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강관(70)을 위치시킨 것과, 상·하부에는 상호 대향하도록 힌지(83)가 형성된 확대날 고정구(82)에 핀(84)을 이용하여 절첩가능하게 체결된 각각의 확대날(81) 상·하 단부를 또 다른 핀(85)으로 체결하되, 상부의 확대날 고정구(82)는 강관(60)의 장공(61) 상단부에 용착하고 하부의 확대날 고정구(82)는 보조강관(70)의 확대날개폐핀 유동공(72)에 삽입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한 것과, 상기 보조강관(70)의 내주연 하부에는 +자형 빔(90)을 용착하여 강관말뚝본체(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날 부착형 강관 말뚝.
  2. 교반빔과 확대날이 부착된 강관말뚝을 회전·삽입함에 의하여 시공하는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오거(10)로 지반(20)에 굴삭액을 주입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지반(20)을 천공하는 공정과, 천공된 굴착공에 오거(10)의 선단부를 통하여 충전재(30)를 주입하면서 오거(10)를 인발하는 공정과, 충전재(30)가 주입된 굴착공에 +자형 교반빔(90)과 확대날 본체(80)가 부착된 강관말뚝 본체(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하는 공정과,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이 굴착공의 저면에 도달한 후에도 강관 말뚝을 계속 회전시켜서 강관말뚝에 부착된 +자형 교반빔(90)을 지지층에 도달시키는 공정과, 상기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을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하여 확대날(81)이 펴지도록 하므로써, 굴착공의 벽면에 돌기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KR1019960002417A 1995-12-26 1996-02-01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KR015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417A KR0155677B1 (ko) 1995-12-26 1996-02-01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5-56597 1995-12-26
KR19950056597 1995-12-26
KR1019960002417A KR0155677B1 (ko) 1995-12-26 1996-02-01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25A KR970043625A (ko) 1997-07-26
KR0155677B1 true KR0155677B1 (ko) 1998-11-16

Family

ID=6622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417A KR0155677B1 (ko) 1995-12-26 1996-02-01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721B1 (ko) * 2010-05-07 2011-02-25 강명석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35B1 (ko) * 2006-02-24 2007-05-02 만수건설(주) 오우거 장치의 파일케이스
KR100687496B1 (ko) * 2006-07-26 2007-02-27 (주)서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천공 층간에 확대공간을 갖는 착정공의 파일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721B1 (ko) * 2010-05-07 2011-02-25 강명석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WO2011139048A2 (ko) * 2010-05-07 2011-11-10 Kang Myung Suk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WO2011139048A3 (ko) * 2010-05-07 2012-03-01 Kang Myung Suk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25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5601A (ko) 스파이럴 강관 말뚝
JP3828731B2 (ja) 構真柱の施工方法とこれに用いるヤットコおよび鋼管杭
KR0155677B1 (ko) 확대날 부착형 강관말뚝과 이를 이용한 주면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KR20140050524A (ko) 천공구를 이용한 지반 개량체 및 말뚝 시공방법
JP2724548B2 (ja) 2段拡大ヘッド
JP2000136532A (ja) 回転圧入矢板、及び回転圧入矢板の構築方法
JPH06287943A (ja) 基礎杭の先端根固め工法及び筒状基礎杭
KR100411662B1 (ko) 타입과 천공을 병행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의시공방법
KR100228223B1 (ko) 돌기 부착형 말뚝과 이를 이용한 나선 돌기형 선굴착 말뚝의 시공방법
JPH0577840B2 (ko)
JP4501249B2 (ja) 鋼管杭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32952B1 (ko) 다양한 선단부를 갖는 말뚝부재
JP3510988B2 (ja) 鋼管杭
JP4197074B2 (ja) 埋込み杭施工装置
JP4472373B2 (ja) 拡幅掘削装置
JP4166191B2 (ja) 中空パイルの埋設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掘削装置
JP3031247B2 (ja) ねじ込み式鋼管杭
KR102325920B1 (ko) 헬릭스 파일
JPS6131246B2 (ko)
JP2711357B2 (ja) 建設用地盤の改良工法とその掘孔装置
JP4005106B1 (ja) 基礎杭施工用拡径掘削機の掘削ヘッド
JP2002038469A (ja) 既製杭の施工方法
JPS5921817A (ja) 埋め込み杭施工装置
JP3007755U (ja) 拡大ヘッド
JP2005002635A (ja) 基礎杭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