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403B1 -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403B1
KR0155403B1 KR1019940009469A KR19940009469A KR0155403B1 KR 0155403 B1 KR0155403 B1 KR 0155403B1 KR 1019940009469 A KR1019940009469 A KR 1019940009469A KR 19940009469 A KR19940009469 A KR 19940009469A KR 0155403 B1 KR0155403 B1 KR 015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aminopeptidase
culture
present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254A (ko
Inventor
고영희
서영배
전효곤
정명철
이호재
이충환
Original Assignee
김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1994000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403B1/ko
Publication of KR95002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03Exopeptidase (E.C. 3.4.11-19)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작용 및 면역 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신규한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 MR-38A, MR-387B 및 이들의 염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미(MR-387A).엠알-387 비(MR-387B)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브롬화 칼륨(KBr)정내에서 MR-387A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2도는 MR-387A의 중수(D2O)용액에서 300MHz 수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3도는 브롬화 칼륨(KBr)정내에서 MR-387B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4도는 MR-387B의 중수(D2O)용액에서 300MHz 수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5도는 MR-387A와 MR-387B를 6N 염산 용액으로 48시간 가수분해한 후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자내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제6도는 여러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과 MR-387A와 MR-387B의 아미노펩티다제 M에 대한 저해활성을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 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신규한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 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프로베스틴(Probestin)의 2번 아미노산인 로이신이 발린으로 치환되고, 하이드록시프롤린을 C-말단에 갖는 펩티드성 물질(구조식은 하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MR-387A로 명명함)과 프로베스틴의 2번 아미노산인 로이신이 발린으로 치환되었고, 프롤린을 C-말단에 갖는 펩티드성 물질(구조식은 하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MR-387B로 명명함)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리활성 물질중에서 지금까지 액티노닌(Actinonin)[The Journal of Antibiotics, 38, 1629-1630, (1980)]과 프로베스틴(Probestin)[The Journal of Antibiotics, 43, 143-148(1990)]이 아미노펩티다제 M을 저해하는 활성과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은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활성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과 다른 구조의 저해물질의 개발이 신규의 면역 증강제 개발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아미노펩티다제 M 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속에 속하는 균주의 배약액내에 아미노펩티다제 M에 강한 저해활성을 보이는 2종류의 물질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이를 단리 정제하는데 성공하여 본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프롤린 또는 프롤린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 MR-387A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 MR-387B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렙토미세스속에 속하는 MR-387A와 MR-387B의 생산균주를 배양하고, 그 배양액으로부터 MR-387A와 MR-387B를 각각 단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펩티다제 M저해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MR-387A와 MR-387B를 생산하는 한국 토양으로부터 새로 분리한 SL-387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 MR-387A와 MR-387B 및 이들의 염
본 발명의 MR-387A 및 MR-387B는 각각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MR-387A와 MR-387B의 이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
(A) MR-387A의 이화학적 특징
(1) 색 및 형상 : 백색 분말
(2) 분자식 : C25H36N4O7
(3) 분자량 : 504, SI-MS, m/z
(4)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1mg/ml 메탄올 용액중에서 210nm-360nm에 특이적 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 첨부한 도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6)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 첨부한 도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7) 아미노산 분석 : 첨부한 도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8) 정색 반응 : 실리카겔 박충상에서 니하이드린 시약에 양성
(9) 용해성 : 물,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에 용해되고, 아세론,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헥산에 불용.
(10) 박충 크로마토그래피의 Rf치 : 실리카[머크사제 박충실리카겔 Art, 5715, 전개용매 : n-부탄올-초산-물(4 : 1 : 1)] Rf=0.35
(B) MR-387B의 이화학적 특징
(1) 색 및 형상 : 백색 분말.
(2) 분자식 : C25H36N₄O6
(3) 분자량 : 488, SI-MS, m/z
(4)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1mg/ml 메탄을 용액중에서 210nm-360nm에 특이적 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 첨부한 도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6) 수소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 첨부한 도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7) 아미노산 분석 : 첨부한 도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8) 정색 반응 : 실리카겔 박충상에서 니하이드린 시약에 양성.
(9) 용해성 : 물, 메탄올, 디메틸 설폭시드에 용해되고, 아세톤, 초산에틸, 클로로포름, 헥산에 불용.
(10) 박충 크로마토그래피의 Rf치 : 실리카[머크사제 박충실리카겔 Art, 5715, 전개용매 : n-부탄올-초산-물(4 : 1 : 1)] Rf=0.42
상기 MR-387A 및 MR-387B는 첨부한 도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아미노펩티다제 M저해물질인 액티노닌보다 강한 저해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2. MR-387A와 MR-387B의 제조
상기 본 발명의 저해물질은 스트렙토미세스 속에 속하는 한국 토양으로부터 새로이 분리한, 하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SL-387균주를 적당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액으로부터 단리하므로써 제조하며, 아울러 이들은 기존의 올리고펩티드 합성 방법에 의해서도 합성 가능한다.
3. SL-387 균주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한 MR-387A와 R-387B의 생산균주는 한국 토양으로부터 새로이 분리하여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sp. LS-387로 명명되었으며, 1994년 3월 10일자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KCTC 0102BP로 기탁되었다. 이의 균학적 성상은 다음과 같다.
1) 형 태
SL-387 균주는 현미경하에서 관찰한 결과 가지난 기저균사에서 나선상의 기균사를 형성한다. 전자 현미경하에서 관찰한 결과 성숙한 포자사슬은 10 내지 50개의 다양한 갯수의 포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0.7 내지 0.8×1.1 내지 1.2 마이크로미터(㎛)정도이고 포자의 표면은 매끄러운 형이었다.
2) 각종 배지에서의 생육 상태
(1) 트립톤-효모 엑기스 한천배지(ISP-1 배지, 28℃ 배양)
옅은 회갈색의 적당한 발육을 나타내었고, 기균사의 색깔은 백색이었으며, 용해성 색소는 생성하지 않았다.
(2) 효모 엑기스-맥아 엑기스 한천배지(SIP-2 배지, 28℃ 배양)
황갈색 내지 검은색에 가까운 황갈색의 양호한 발육을 나타내었고, 기균사는 회색으로 벨벳모양의 왕성한 발육을 나타내었으며, 옅은 오렌지색의 용해성 색소를 형성하였다.
(3) 오트밀 한천배지(ISP-3 배지, 28℃ 배양)
옅은 회갈색의 적당한 발육을 나타내었고, 분말모양의 붉은색 기균사를 형성하였다. 용해성 색소는 형성하지 않았다.
(4) 전분-무기염 한천배지(ISP-4 배지, 28℃ 배양)
회갈색 내지 적회색의 적당한 발육을 나타내었고, 벨벳모양의 적회색 기균사를 왕성하게 형성하였다. 핑크색의 비확산성 색소와 황색의 확산성 색소를 배지상에 분비하였다.
(5) 글리세롤-아스파라긴 한천배지(ISP-5 배지, 28℃ 배양)
옅은 회갈색의 적당한 발육을 나타내었고, 분말상의 불량한 회색의 기균사를 형성하였다. 배지상에 비확산성 옅은 오렌지색 색소를 분비하였다.
(6) 티로신 한천배지(ISP-7 배지, 28℃ 배양)
옅은 적회색의 적당한 발육을 보였으며 기균사는 형성하지 않았다. 배지상에는 확산이 되지 않는 옅은 적회색 색소를 분비하였다.
3) 생리적 특징
(1) 생육 온도 범위
벤넷배지(Bennett, 글루코스 1%, 효모 엑기스 0.1%, 박토펩톤 0.2%, 우육 엑기스 0.1%, 한천 1.5 내지 2.0%)를 사용하여 10℃, 20℃, 24℃, 27℃, 30℃, 37℃, 45℃의 각 온도에서 시험한 결과 45℃와 10℃를 제외한 모든 온도에서 생육하였지만, 최적 생육온도는 24℃ 내지 30℃ 부근인 것으로 생각된다.
(2) 젤라틴 액화 : 양성
(3) 가용성 전분 액화 : 양성
(4) 탈지우유 펩톤화 : 양성
(5) 멜라닌 색소 생성 : 트립톤-호모엑기스 액체배지(1SP-1배지), 펩톤-효모엑기스-철 한천배지(1SP-6배지) 및 티로신 한천배지(1SP-7배지)에서 공히 갈색의 색소를 생성하였다.
(6) 탄소원 이용성 : D-글루코스, L-아라비노스, D-크실로스, D-프럭토스, D-만니톨, 이노시톨, L-람노스, 라피노스 등을 이용하여 생육하였고, 슈크로스는 이용하지 못했다.
(7) 질산염 환원반응 : 음성
(8) 황화수소 생성 : 양성
이상의 특성을 요약하면 하기 표와 같고,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징과 세포벽 성분인 2.6-디아미노피멜린산의 형태 분석에서 L, L-형인 것으로부터 SL-387 균주는 스트렙토미세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균주는 포자낭이 보이지 않고 기균사는 나선형이며 포자의 표면은 매끄럽고, 각종 배지에서 적색 내지 회색의 기균사를 형성하였다. 한편 용해성 색소는 옅은 오렌지색 내지 황색을 분비하였고, 멜라닌 색소의 생성은 양성이었으며, 단백질 및 전분 분해력이 강한편이었다.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SL-387 균주를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4]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사용한 SL-387 균주는 스트렙토미세스 그리세오루버(Streptomyces griseoruber)와 SSM(공유도계수) 82.4%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SL-387 균주는 펙틴 분해능이 없고, D-만니톨과 라피노스를 이용하는 점에서 스트렙토미세스 그리세오루버와 달랐다.
본 발명의 SL-387 균주는 통상 미생물이 이용하는 영양원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한다. 영양원으로서 탄소원은 글로코스, 물엿, 텍스트린, 슈크로스, 전분, 당밀, 동 식물류 등을 사용한다. 또한 질소원으로서는 탈지대두분, 탈지땅콩분, 어분, 육엑기스, 펩톤, 효모엑기스 등을 사용한다. 기타 필요에 따라서 나트륨, 마그네슘, 염소, 인산, 황산, 아연 및 기타 이온을 생성하는 무기염류를 첨가할 수 있다.
배양 방법으로는 호기적 조건에서으리 배양법, 특히 액침배양법이 적당하다. 배양에 적당한 온도는 15 내지 37℃이지만, 많은 경우 26 내지 30℃ 부근에서 배양한다. 생리활성물질 MR-387A와 MR-387B의 생산은 배양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진탕배양 및 탱크배양에서 1 내지 8일 사이에 축적이 최고에 도달한다. 배양물 중에 MR-387A와 MR-387B 물질의 축적이 최고에 도달하였을 때 배양을 중지하고 배양물로부터 목적 물질을 단리하여 정제한다.
본 발명의 MR-387A와 MR-387B를 배양액으로부터 채취하는 과정은 그 물질의 성상을 이용한 통상의 분리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추출 정제할 수 있다. 즉 배양 여액을 흡착수지 암버라이트 XAD-2(시그마제)의 칼럼에 통과시켜 물로 세척하고 메탄올 등의 용매로 탁착시킨다. 탈착액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pH2에서 부탄올과 같은 물과 혼합되지 않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추출액을 감압하에서 농축건조시켜 조분말을 얻을 수 있다. 위의 방법에 더하여 흡착크로마토그래피,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적절히 조합하거나 반복하여 MR-387A와 MR-387B를 각각 단리한다.
MR-387A와 MR-387B의 배양 공정중이나 정제 과정 중의 추적은 항아미노펩티다제 M 활성의 측정에 기준을 두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배양액 또는 물에 녹인 검체 20㎕를 96웰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에 넣고, L-로이신-p-니트로아닐라이드 저장액(12.5mg/디메틸설폭시드 1㎖) 100㎕를 0.1M 트리스-염산 완충용액(pH 7.0) 10㎖에 사용 직전 희석하여 이 용액 160㎕를 넣은 후, 효소용액(아미노펩티다제 M, 시그마제, 1mU) 20㎕를 첨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바이오라드제)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플레이트를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다음식에 의하여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A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전 흡광도
B : 저해제를 넣은 것의 반응후 흡광도
C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전 흡광도
D : 저해제를 넣지 않은 것의 반응 후 흡광도
아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MR-387A와 MR-387B의 제조법을 나타내었다. 하기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어느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R-387A와 MR-387B의 발효 생산
가용선 전분 1%, 대두박 2.5%, 글루코스 2%, 효모엑기스 0.4%, 육엑기스 0.1%, 염화나트륨 0.2%, 황산구리 5 수화물 0.0005%, 염화망간 4 수화물 0.005%, 염화아연 7수화물 0.005%를 함유한 배지를 종배지 및 생산배지로서 사용하였다. 살균전의 pH는 모든 6.8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500㎖의 삼각 플라스크에 100㎖씩 분주한 종배지를 120℃에서 20분간 살균하고 이것에 사면배양한 스트렙토미세스 속 SL-387균주를 1 내지 2 백금이 접종하고 28℃에서 2일간 진탕배양하여 배양기의 종배양으로 하였다. 120℃에서 30분간 살균한 3ℓ의 생산배지를 함유한 5ℓ자형 발효기(Jer fermentor)에서 상기 종배양액 100㎖을 접종하여 28℃에서 4일간 통기(3ℓ/분)하여 180rpm 교반속도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여과 보조제로 규조토를 가해 여과하여 균체를 포함한 고형물을 제거한 후 배양여액을 얻었다.
[실시예 2]
MR-387A와 MR-387B의 분리 정제
실시예 1에서 얻은 배양여액 10ℓ를 흡착수지 암버라이트 XAD-2에 흡착시켜 물로 세척하고 물-메탄올(1 : 1) 용매로 탁착시킨 후 500㎖의 수용액으로 감압 농축시켰다. 이 수용액에 염산용액을 가하여 pH2.0으로 조정하고 동량의 n-부탄올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부탄올층을 재농축하였다. 이 농축물을 소량의 부틸아세테이트-부탄올-초산-물(2 : 4 : 1 : 1)에 녹여 동일 용매로 충진된 실리카겔 칼럼에 통과시켰다. 통과된 활성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다이아이온(Diaion) HP-20 칼럼에서 1-100% 메탄올 농도 구배로 용출시켰다. 이 용출액중 활성분획을 역상 실리카겔 칼럼에서 0-70% 메탄올 용매 농도구배로 재용출시켜 활성 분획을 모았다. 활성 분획을 소량의 메탄올에 녹여 세파덱스(Sephadex) LH-20에서 겔 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하여 활성부분을 모았다. 이 물질을 감압 농축하여 저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머크사, Lobar RP-18)에서 22%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매계를 이용하여 두 물질 MR-378A와 MR-378B로 분리하였다. 이 두 물질을 더 정제하기 위하여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 Phenomenex Bondclone 10C18, φ7.6×300mm, 유속 : 1.5㎖/분, 210nm 검출, 용매 : 30% 메탄올)를 행하여 14분 근처에서 MR-378A를, 17분 근처에서 MR-378B를 순수하게 분리하고, 용매를 감압 건조기로 제거한 후 냉동 건조하여 백색의 분말을 얻었다.
MR-387A와 MR-387B를 각각 2.0mg과 1.4mg정도 얻었으며, 연구실 조건에서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MR-387A는 0.10㎍/㎖의 IC50값을, MR-387B의 경우는 0.08㎍/㎖의 IC50값을 나타냈다.

Claims (2)

  1.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속 SL-387균주(기탁번호 : KCTC 0102BP
    )를 적당한 배지에서 배양하여 그 배양액으로부터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단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인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프롤린 또는 프롤린이다.
  2. 아미노펩티다제 M 저해물질인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생산하는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 속 SL-387 균주(기탁번호 : KCTC 0102BP).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프롤린 또는 프롤린이다.
KR1019940009469A 1994-04-30 1994-04-30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KR015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469A KR0155403B1 (ko) 1994-04-30 1994-04-30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469A KR0155403B1 (ko) 1994-04-30 1994-04-30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254A KR950029254A (ko) 1995-11-22
KR0155403B1 true KR0155403B1 (ko) 1998-10-15

Family

ID=1938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469A KR0155403B1 (ko) 1994-04-30 1994-04-30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4990A (ko) 2021-11-22 2023-05-31 강윤수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
KR20240027266A (ko) 2022-08-23 2024-03-04 강윤수 균등한 열풍 공급분사가 가능하면서 습한 배기의 효과적 배출이 가능한 세탁기용 열풍건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73B1 (ko) * 2002-03-12 2004-05-17 한국해양연구원 방선균 유래의 신규 생리 활성 물질, 이의 추출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4990A (ko) 2021-11-22 2023-05-31 강윤수 세탁기용 다기능 열풍 건조시스템
KR20240027266A (ko) 2022-08-23 2024-03-04 강윤수 균등한 열풍 공급분사가 가능하면서 습한 배기의 효과적 배출이 가능한 세탁기용 열풍건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254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oyagi et al. PROBESTIN, A NEW INHIBITOR OF AMINOPEPTIDASE M, PRODUCED BY STREPTOMYCES AZUREUS MH663-2F6 I. TAXONOMY, PRODUCTION, ISOLA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Ishihara et al. Melanostat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production, isolation, chemical properties,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EP1751273B1 (en) Compound ws727713
SAITOH et al. Pradimicins L and FL: New pradimicin congeners from Actinomadura verrucosospora subsp. neohibisca
KR0155403B1 (ko) 신규한 생리 활성 물질 엠알-387 에이, 엠알-387 비 및 그의 제조방법
US4550159A (en) Anthracycline compounds
EP0387712B1 (en) WS 7622 A,B,C and D substances, derivative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A1338261C (en) Ws-9326a, ws-9326b and their derivatives
EP0213320B1 (en) Physiologically active formamides
KR0122427B1 (ko) 아미노펩티데이스 m 저해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생성하는 미생물
EP0310238B1 (en) New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probestin and prostatin and production thereof
EP0316907B1 (en) Enzyme inhibi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391486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BE-16627
US4565861A (en) Serirubicum
JP2966859B2 (ja) 新規生理活性物質ジオクタチ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0667351B1 (en) Compound uch9
JPH0374677B2 (ko)
JP2766351B2 (ja) 新規物質dc114―c
JP3112342B2 (ja) 新規化合物uce6
KR0161149B1 (ko) 새로운 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데이스 저해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EP1714973A1 (en) Substances k01-0509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209791B2 (ja) オキサゾ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EP0397078B1 (en) DC115A compounds possessing antibacterial and antitumour activity
JPH0625095B2 (ja) 抗生物質sf−2415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197865B1 (ko)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해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