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108B1 -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 Google Patents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108B1
KR0155108B1 KR1019950033307A KR19950033307A KR0155108B1 KR 0155108 B1 KR0155108 B1 KR 0155108B1 KR 1019950033307 A KR1019950033307 A KR 1019950033307A KR 19950033307 A KR19950033307 A KR 19950033307A KR 0155108 B1 KR0155108 B1 KR 0155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heater
water level
wat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647A (ko
Inventor
박중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108B1/ko
Publication of KR97001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사시 및 보온시에 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집수하는 물받이에 히터 등의 발열수단으로써 물받이의 물을 가열, 가습시켜 집수된 물을 자주 버려야하는 번거러움을 피할수 있도록 된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취사시 및 보온시에 발생 되는 증기를 집수하는 물받이(13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30)에 수위를 감지하는 플롯트스위치(SW1)가 설치된 물수위검출부(10)와, 상기 물수위검출부(10)에서 검출된 신호를 A/D 컨버터 포트로 입력받아 히터구동부(30)의 히터(HT)를 구동제어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출력신호에 히터(HT)를 구동 온/오프제어하여 주는 히터구동부(30)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밥솥의 물받이에 물수위검출부가 설치된 것을 보인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수위검출부 20 : 마이컴
30 : 가습히터구동부 100 : 보온밥솥
110 : 뚜껑 120 : 경첩부
130 : 물받이 10a : 부구
SW1 : 플롯트스위치
본 발명은 취사시 및 보온시의 증기에 의해 발생된 물을 집수하는 물받이에 히터 등의 발열수단으로써 물받이의 물을 가열, 가습시켜 집수된 물을 자주 버려야하는 번거러움을 피할수 있도록 된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보온밥솥에 부설된 물받이는 뚜껑을 동체와 연결시킨 경첩부와 동일높이로 돌출시켜 설치하였으므로 보온밥솥의 사용시에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탈리되어 내부의 물이 쏟아지는 등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와같은 이유로 해서, 경첩부를 보온밥솥의 내부로 설치한 그 하부에 물받이를 삽탈자재할 수 있도록 내설함으로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한 구조도 출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조 역시 항시 물받이에 물이 고여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직접 자주 물을 버려야 하는 문제점을 항시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취사시 및 보온시의 증기에 의해 발생된 물을 집수하는 물받이에 히터 등의 발열수단으로써 물받이의 물을 가열, 가습시켜 집수된 물을 자주 버려야하는 번거러움을 피할수 있도록 하는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사시 및 보온시에 발생되는 증기를 집수하는 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에 수위를 감지하는 플롯트스위치가 설치된 물수위검출부와, 상기 물수위검출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A/D컨버터 포트로 입력받아 히터구동부의 히터를 구동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출력신호에 히터를 구동 온/오프제어하여 주는 히터구동부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밥솥(100)에 물수위검출부(10)가 설치된 것을 보인 에시도로서, 뚜껑(110)을 동체와 연결시킨 경첩부(120)와 동일높이로 돌출시켜 설치된 물받이(13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30)의 일측에 증기를 분출하는 증발부(130a)을 설치하며, 물받이(130)의 적소에 수위에 따라 부구(10a)가 이동하여 그 내부의 플롯트스위치(SW1)가 단속된 신호가 제공되는 물수위검출부(1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물받이(130)의 하부에 히터(HT)등의 발열수단이 권취되어 설치된다.
제2도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세회로도로서, 물수위검출부(10)는 일단이 저항(R1)을 통해 접지된 플롯트스위치(SW1)의 전압(VCC)이 인가되어 분압된 전압이 저항(R2)을 통해 마이컴(20)의 A/D포트에 인가되고, 히터구동부(30)는 마이컴(20)의 출력단(P1)이 인버터(I1)를 통해 릴레이(RY1)의 코일부에 연결되고, 그 스위치부가 전원(AC)을 단속하여 히터(HT)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의 제어흐름도로서, 물받이의 수위가 적정량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즉 플롯트스위치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플롯트스위치 온으로 판단되면 가습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101)와, 플롯트스위치 오프로 판단되면 가습히터를 구동오프시키는 단계(S102)로 구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통상적인 취사도중 및 보온시에 발생하는 물을 물받이(130)로 집수하게 되는데, 이때 물수위검출부(10)에서 물받이(130) 내의 수위에 따라 부구(10a)가 이동하면서 내부에 설치된 플롯트스위치(SW1)를 단속제어하게 된다. 즉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부구(10a)의 자력에 의해 그 내부접점인 플롯트스위치(SW1)가 온/오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물받이의 물이 장시간 집수를 거치면 자연히 물받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플롯트스위치(SW1)가 적정한 위치에서 온(S100)되는 신호가 마이컴(20)의 A/D 포트로 입력되며, 이는 결국 플롯트스위치(SW1) 온으로 인한 전압이 저항(R2)을 통해 마이컴(20)에 하이레벨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컴(20)은 물받이(130)에 설치된 히터(HT)를 구동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제어동작은 마이컴(20)의 출력단(P2)에 하이레벨신호를 인가하면 반전된 신호로써 릴레이(RY1)를 통전시켜 전원(AC)의 공급으로 인한 히터(HT)가 발열개시하게 된다(S101).
이러한 발열개시동작으로 인한 가열, 가습동작에 의한 증기는 증발부(130a)을 통해 외부로 분출하게 된다.
반면, 가열, 가습동작으로 인한 물받이(130)의 물이 일정시간 지나면 자연히 물받이(130)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플롯트스위치(SW1)가 적정한 위치에서 오프되는 신호가 마이컴(20)의 A/D 포트로 입력되며, 이는 결국 플롯트스위치(SW1) 오프로 인한 전압(VCC)이 저항(R2)을 통해 마이컴(20)에 로우레벨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마이컴(20)은 물받이(130)에 설치된 히터(T)를 구동제어 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제어동작은 마이컴(20)의 출력단(P2)에 로우레벨신호를 인가하면 반전된 신호로써 릴레이(RY1)를 비통전시켜 전원(AC)의 단속으로 인한 히터(HT)가 발열중지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통상 보온밥솥의 물받이에 집수된 증기 즉 순수한 증류수를 가습하는 효과가 생성될뿐만 아니라, 집수된 물을 매번 자주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취사시 및 보온시에 발생되는 증기를 집수하는 물받이(13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30)에 수위를 감지하는 플롯트스위치(SW1)가 설치된 물수위검출부(10)와, 상기 물수위검출부(10)에서 검출된 신호를 A/D 컨버터 포트로 입력받아 히터구동부(30)의 히터(HT)를 구동제어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출력신호에 히터(HT)를 구동 온/오프제어하여 주는 히터구동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2. 뚜껑(110)을 동체와 연결시킨 경첩부(120)와 동일높이로 돌출시켜 설치된 물받이(130)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30)의 일측에 증기를 분출하는 증발부(130a)을 설치하며, 물받이(130)의 적소에 수위에 따라 부구(10a)가 이동하여 그 내부의 플롯트스위치(SW1)가 단속된 신호가 제공되는 물수위검출부(1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물받이(130)의 하부에 히터(HT)등의 발열수단이 권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KR1019950033307A 1995-09-30 1995-09-30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KR015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307A KR0155108B1 (ko) 1995-09-30 1995-09-30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307A KR0155108B1 (ko) 1995-09-30 1995-09-30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647A KR970014647A (ko) 1997-04-28
KR0155108B1 true KR0155108B1 (ko) 1998-10-01

Family

ID=1942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307A KR0155108B1 (ko) 1995-09-30 1995-09-30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1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647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9690A (en) Boiling water dispenser having improved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EP0190080B1 (en) Inhaler device
KR920015170A (ko) 온도 제어장치
KR0155108B1 (ko) 보온밥솥의 밥물 증발장치
JP2001116303A (ja) 加湿装置
EP05637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frost formation on an evaporator in a refrigerator, in particular of the forced-air circulation type
JP2001108282A (ja) 加湿器
KR960012514B1 (ko) 빨래 건조기의 필터막힘감지장치
JPS5913196A (ja) 自動ドレ−ン排出装置
JP3047508B2 (ja) 加湿装置
KR10021116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JPH04359728A (ja) 加湿装置
KR0159034B1 (ko) 가습기의 온도 인식 제어방법
JP2002089932A (ja) 加湿装置
KR10022232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900000527B1 (ko) 증기발생용 가습기
JPH0228767B2 (ko)
JP2000097456A (ja) 加湿器
KR940007476B1 (ko) 전자레인지의 부하량 측정 시스템
KR0182755B1 (ko) 장애물 존재시 가습 동작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98407B1 (ko) 기계식 냉장고의 제상장치
JP2004073023A (ja) 観賞用水槽の加熱制御装置および加熱装置
JP2000046384A (ja) 加湿器
KR0179609B1 (ko) 가습기의 진동자 온도 유지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
KR19990023977U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