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977U -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977U
KR19990023977U KR2019970036395U KR19970036395U KR19990023977U KR 19990023977 U KR19990023977 U KR 19990023977U KR 2019970036395 U KR2019970036395 U KR 2019970036395U KR 19970036395 U KR19970036395 U KR 19970036395U KR 19990023977 U KR19990023977 U KR 19990023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umidifier
transformer
pow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6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977U/ko
Publication of KR19990023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977U/ko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차측 코일이 상용 교류 전원 입력 단자(102)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크기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병렬 혹은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정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써모스탯(112)과, 히터(H)의 일측 입출력단과 전원 입력단(102)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조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전원 입력단(102)으로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를 단속하는 플로트 스위치(SW1)와, 플로트 스위치(SW1)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전원 입력단(102)으로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를 단속하는 습도 감지부(SW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에 의하여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가습기의 동작이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Circuit of controlling the power of humidifier)
본 고안은 기계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터와 초음파 진동자를 혼용하고 있는 기계식 가습기에서 플로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기준으로 상기 히터와 초음파 진동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공급 경로를 개폐 동작시켜 가습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물을 가습 장치로 증발시켜 실내의 습도를 높이는 기기로서 가습 장치를 필수 장치로 갖는데, 물을 증발시키는 공지된 가습 장치로는 히터와 초음파 진동자가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가습조의 물에 열을 공급하여 미스트가 발생되도록 하며, 초음파 진동자의 경우도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초음파 진동 에너지의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미스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가습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하여 가습기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기계식 가습기와, 마이컴이 내장되어 있어서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 및 가습기의 상태에 따라 가습기의 온/오프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마이컴 방식 가습기로 나누어진다.
상술한 가습기의 종류중에 기계식 가습기의 구성을 도 1에서 나타낸다.
상용 교류 전원(220V)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102)과, 상기 전원 입력단(102)의 단자중 일단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동작시에 한하여 후단에 구비되어 있는 디바이스들로 전력을 공급하여 주는 전원 스위치(SW)와, 상기 전원 입력단(102)에서 상기 전원 스위치(SW)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용 교류 전원(220V)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48V)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복수개 출력 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가습기에서 발생된 미스트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08)와, 상기 팬 모터(108)와 병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와, 상기 전원 입력단(102)의 양 출력 단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상기 히터(H)의 일 측 입출력단과 전원 입력부(102)의 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히터(H)의 발열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히터(H)의 동작을 제어하는 써모스탯(112)을 포함한다.
상기한 기계식 가습기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어 있을 동안은 계속해서 동작하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여 수동으로 상기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여야 한다.
도 2는 상기한 마이컴 방식 가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한 가습기는 희망 습도 설정이나 가습 모드 등을 입력하는 키 입력부(10)와,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부(SW2)와, 가습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플로트 스위치;SW1)와, 상기 감지부(SW1, SW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준으로 상기 키 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의해 가습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어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히터(H)및, 가습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미스트(습기)를 내뿜어주는 팬(fan)을 돌리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팬 모터(1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마이컴 방식 가습기는 마이컴(20)이 플로트 스위치(SW1)와 습도 감지부(SW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와 히터(H)로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가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에서 기계식 가습기는 사용자가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 및 가습조의 물의 상태를 수시로 감지하여 가습기의 온/오프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가습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됨과 아울러 가습기의 오프 시기를 놓쳐서 가습기의 성능 열화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마이컴 방식 가습기는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 및 가습조의 상태를 마이컴이 감지하여 이에 따라 가습기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므로 가습 효과는 향상이 되지만 마이컴을 사용하므로 생산비용이 향상되고 상기 마이컴이 사용됨으로 인하여 마이컴의 동작 기준이 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개의 센서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마이컴의 주변 회로 구성이 복잡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히터와 초음파 진동자를 혼용하고 있는 기계식 가습기에서 플로트 스위치의 온/오프를 기준으로 상기 히터와 초음파 진동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력의 공급 경로를 개폐 동작시켜 가습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가습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마이컴 방식 가습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전원 입력단 106 :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
108 : 팬 모터 112 : 써모스탯
SW : 전원 스위치 SW1 : 플로트 스위치
SW2 : 습도 감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1차측 코일이 상용 교류 전원 입력단(102)과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크기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1차측에 걸리는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가습조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습도 감지부(SW2)와,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정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히터(H)가 과열되면 오프되어 히터(H)로 공급되는 전류의 경로를 단절하는 써모스탯(112)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1차측 코일이 상용 교류 전원 입력단(102)과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크기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조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스포머(T)와 히터(H) 및 전원 입력단(102)을 포함하는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습도 감지부(SW2)와,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정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히터(H)가 과열되면 오프되어 트랜스포머(T) 및 히터(H)로 공급되는 전류의 경로를 단절하는 써모스탯(112)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 가습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가습기는 상용 교류 전원(220V)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102)과, 일단이 전원 입력단(102)의 일출력단과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동작시에 한하여 후단의 다수의 디바이스들로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여 가습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SW)와, 전원 입력단(102)의 양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SW)에 의하여 전원의 공급 경로가 형성되면 도통되어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습기로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 병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상기 전원 입력단(102)의 일출력단과 히터(H)의 일측 입 출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온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됨으로써 히터(H)의 동작을 제어하는 써모스탯(112)과, 1차측 코일은 상기 히터(H)에 병렬 접속되어 전원 입력단(102)에서 전원 스위치(SW)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220V)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48V)을 발생시키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와 병렬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가습기에서 발생된 미스트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08)와, 팬 모터(108)에 병렬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와, 일단은 상기 전원 입력단(102)의 다른 출력단에 접속되어 가습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특정 수위가 되면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를 통과한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기는 플로트 스위치(SW1)와 전원 입력단(102)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를 통과한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습도 감지부(SW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는 가습기를 구성하는 가습조의 물의 수위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하(가습 동작을 할 수 없는 임계치)가 되면 오프되고 물이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이 되면 온되고, 상기 습도 감지부(SW2)는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를 검출하여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가 희망 습도 이상이 되면 오프되고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가 희망 습도 이하일 경우에는 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의 동작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상용 교류 전원이 입력되고 사용자가 가습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SW)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된 상용 교류 전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발광시켜서 사용자에게 가습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SW) 온 상태에서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된 상용 교류 전원은 플로트 스위치(SW1) 또는 습도 감지부(SW2)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히터(H)와 팬 모터(108)와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한 플로트 스위치(SW1) 또는 습도 감지부(SW2)에 의한 가습기의 동작 제어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일 실시 예로써, 플로트 스위치(SW1)만 접속되어 있을 경우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가 온일 경우에는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는 히터(H)와 트랜스포머(T) 및 플로트 스위치(SW1)에 의하여 그 유로가 형성되어 히터(H)가 구동되고 트랜스포머(T)에 의하여 변압된 전압에 의하여 팬 모터(108)와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가 동작된다. 이때, 상기 히터(H)의 발열 온도가 기설정된 특정 온도가 되어 써모스탯(112)이 오프되면 히터(H)로 공급되는 전원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는 정지하게 되지만, 트랜스포머(T)를 통한 전류의 유로는 계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팬모터(108) 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는 계속해서 동작하게 되어 미스트는 계속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가 오프되면 플로트 스위치(SW1)에 의하여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 모터(108)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이 정지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플로트 스위치(SW1)에 습도 감지부(SW2)가 더 접속되어 있을 경우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 및 습도 감지부(SW2)가 모두 온일 경우에는 히터(H)와 트랜스포머(T)와 플로트 스위치(SW1) 및 습도 감지부(SW2)에 의하여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형성되어 히터(H)가 구동되고 트랜스포머(T)에 의하여 변압된 전압에 의하여 팬 모터(108)와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가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가 오프되거나 습도 감지부(SW2)가 오프되면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 모터(108)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이 정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제어 회로를 포함한 가습기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가습기는 상용 교류 전원(220V)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102)과, 일단이 전원 입력단(102)의 일출력단과 접속되어 있으면 사용자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후단에 접속된 다수의 디바이스들로 전력을 공급하여 주는 전원 스위치(SW)와, 상기 전원 입력단(102)의 양측 입출력단에 병렬로 접속되고 전원 스위치(SW)가 온 되었을 경우에만 전원 입력단(102)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가습기로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1차측 코일은 발광 다이오드(LED)에 병렬 접속되어 전원 입력단(102)에서 전원 스위치(SW)를 통하여 유입되는 사용 교류 전원(220V)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48V)을 발생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의 출력단에 직렬로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일차측 코일의 출력단과 히터(H)의 입력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온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됨으로써 온 되었을 경우에만 히터(H)로 공급되는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써모스탯(112)과,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의 양출력단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가습기에서 발생된 미스트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08)와, 팬 모터(108)에 병렬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와, 히터(H)와 전원 입력단(102)의 다른 출력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가습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특정 수위가 되면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트랜스포머(T)와 상기 히터(H)를 통과한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와 전원 입력단(102)의 일측 입출력단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는 습도 감지부(SW2)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의 동작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이때, 도 3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SW) 온 시켰을 경우에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된 상용 교류 전원은 플로트 스위치(SW1) 또는 습도 감지부(SW2) 및 써모스탯(112)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히터(H)와 팬 모터(108)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한 플로트 스위치(SW1) 또는 습도 감지부(SW2) 및 써모스탯(112)에 의한 가습기의 동작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일 실시 예로써, 플로트 스위치(SW1)만 접속되고 습도 감지부(SW2)는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플로트 스위치(SW1)가 온일 경우에는 히터(H)와 트랜스포머(T) 및 플로트 스위치(SW1)에 의하여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형성되어 히터(H)가 구동되고 트랜스포머(T)에 의하여 변압된 전압에 의하여 팬 모터(108)와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가 동작된다. 이와 같이 플로트 스위치(SW1)가 온되어 히터(H)가 동작되면 써모스탯(112)은 히터(H)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특정 온도가 되면 오프되고, 이로 인하여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된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 모터(108) 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은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가 오프되면 플로트 스위치(SW1)에 의하여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 모터(108)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이 정지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플로트 스위치(SW1)에 습도 감지부(SW2)가 더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와 습도 감지부(SW2) 및 써모스탯(112)이 모두 온일 경우에는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는 트랜스포머(T)와 써모스탯(112)과 히터(H)와 플로트 스위치(SW1) 및 습도 감지부(SW2)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히터(H)가 구동되고 트랜스포머(T)에 의하여 변압된 전압에 의하여 팬 모터(108)와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가 동작된다. 이때, 상기 히터(H)의 가열정도에 의하여 가습기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써모스탯(112)은 오프 되므로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모터(108) 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는 모두 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습기가 동작함에 따라서 가습조의 물이 갈수 상태가 되어 플로트 스위치(SW1)가 오프 되거나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가 기 설정된 소정치 이상이 되어 습도 감지부(SW2)가 오프되면, 전원 입력단(102)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의 유로가 단절되어 히터(H)와 팬 모터(108)및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마이컴이 없이도 가습기의 상태 및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상태에 따라 가습기의 가습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은 마이컴이 없이도 가습기의 상태 및 가습 하고자 하는 공간의 상태에 따라 가기의 가습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므로, 가습기의 회로 구성이 간단하게 됨과 아울러 가습기의 생산비가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마이컴이 없는 가습기에서는 가습 효과가 상승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가습기를 온/오프 시키지 않아도 되어서 사용의 만족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차측 코일이 상용 교류 전원 입력단(102)과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크기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1차측에 걸리는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가습조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습도 감지부(SW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정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히터(H)가 과열되면 오프되어 히터(H)로 공급되는 전류의 경로를 단절하는 써모스탯(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1차측 코일이 상용 교류 전원 입력단(102)과 접속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소정 크기로 변환하는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구동부(106)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의 출력단에 직렬 접속되어 입력되는 동작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히터(H)와;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조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트랜스포머(T)와 히터(H) 및 전원 입력단(102)을 포함하는 전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플로트 스위치(SW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스위치(SW1)에 직렬 접속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습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온 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히터(H) 및 트랜스포머(T)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도록 전류의 도통 경로를 형성시키는 습도 감지부(SW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H)에 직렬 접속되어 히터(H)의 발열 정도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어 히터(H)가 과열되면 오프되어 트랜스포머(T) 및 히터(H)로 공급되는 전류의 경로를 단절하는 써모스탯(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2019970036395U 1997-12-10 1997-12-10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199900239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395U KR19990023977U (ko) 1997-12-10 1997-12-10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395U KR19990023977U (ko) 1997-12-10 1997-12-10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977U true KR19990023977U (ko) 1999-07-05

Family

ID=6969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395U KR19990023977U (ko) 1997-12-10 1997-12-10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97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022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0157747B1 (ko) 주변온도에 따른 가습기 동작제어방법
US6369544B1 (en) Furnace and air conditioner blower motor speed control
KR10022232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19990023977U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JPH0117167B2 (ko)
KR10021116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JP2010063303A (ja) モータ駆動装置
KR200257198Y1 (ko) 스팀 조절회로를 구비한 스팀청소기
KR0177061B1 (ko)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622780B2 (ja) 加湿装置を備えた電気暖房機器
KR200227586Y1 (ko) 팬코일 유니트의 가습 제어장치
KR19980085059A (ko) 가습기의 각 모드별 히터 발열량 제어 방법
JP3150873B2 (ja) 電圧監視装置
JPH0731064Y2 (ja) 空気調和機
KR0175502B1 (ko) 가습기 진동수단의 주변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RU2256302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работы электродного кот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192049B1 (ko) 가습기의 가습모드별 미스트온도 조절방법
KR100211163B1 (ko) 퍼지 모드를 사용한 다단계 가습 분무량 제어 방법
KR0159034B1 (ko) 가습기의 온도 인식 제어방법
KR0168757B1 (ko)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KR0182754B1 (ko) 야간 가습기의 전력제어 방법
JP3048105B2 (ja) 電気カーペットの制御装置
JP2909667B2 (ja) 家庭及び業務用蒸気発生器
KR0179609B1 (ko) 가습기의 진동자 온도 유지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