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757B1 -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757B1
KR0168757B1 KR1019950048149A KR19950048149A KR0168757B1 KR 0168757 B1 KR0168757 B1 KR 0168757B1 KR 1019950048149 A KR1019950048149 A KR 1019950048149A KR 19950048149 A KR19950048149 A KR 19950048149A KR 0168757 B1 KR0168757 B1 KR 016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heater
humidification
ultrasonic
desired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19A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757B1/ko
Publication of KR97004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현재의 실내습도가 도달할때까지 항상 일정한 제어량으로 가습동작을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때문에,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소용시간이 길어짐으로 제품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와 현재 실내의 습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희망습도와 실내 습도의 차에 따라 초음파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발생시키거나 히터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이다.

Description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제1도는 종래의 가습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가습 제어방법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가습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의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의 구현을 위해 가습 제어장치에 적용된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값을 보인 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히터 구동부 5 : 히터
6 : 초음파 발생부 7 : 진동자
11 : 키이 입력부 12 : 습도 감지부
13 : 메모리부 14 : 제어부
본 발명의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와 현재 실내의 습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희망습도와 실내 습도의 차에 따라 초음파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발생시키거나 히터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가열 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라 함은 물을 가열하거나 진동시켜 수증기를 증발토록 하므로서 내실의 습도조건을 맞추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가습기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그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이용해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를 이용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 가습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 가습방식을 적용한 가습기는 본체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통과, 수통에 저장된 물을 진동자로 전달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의해 전달되는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진동자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상부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된 수증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초음파 가습방식의 가습기는 수통에 저장된 물을 급수관을 통해 진동자에 공급하고,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켜 토출구로 토출시키므로서 가습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진동자는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킨다.
또한, 히터 가습방식이 적용된 가습기는 본체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통과, 수통에 저장된 물을 진동자로 전달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에 의해 전달되는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판을 포함한 히터와, 히터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상부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된 수증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히터 가습방식이 적용된 가습기는 히터를 구동시켜 열원을 생성한 후 그 열원으로 가열판을 가열하고, 급수관을 통해 안내되는 물을 끓여 수증기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발생된 수증기는 안내관을 통해 상부로 안내되어 지고,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므로서 가습을 하게된다.
상기 설명된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이 모두 적용된 가습기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습기인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이 모두 적용된 가습기의 가습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종래의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을 도면 제1도와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를 참고하여 종래의 가습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희망습도 설정 및 가습기의 전반적인 기능선택을 위한 키이 입력부(1)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부(2)와, 상기 습도 감지부(2)로부터 실내의 습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현재의 실내습도가 사용자의 키이 입력부(1) 조작에 의해 설정된 희망습도에 도달할때까지 가습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일정 전압을 출력하는 히터 구동부(4)와, 상기 히터 구동부(4)에서 출력된 전압으로 동작하여 일정 열원을 발생시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히터(5)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6)와, 상기 초음파 발생부(6)에서 출력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진동자(7)로 구성되며, 상기 언급한 가습기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위해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 제2도는 상기 구성된 종래의 가습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면 희망습도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의 판단결과 희망습도가 설정되었으면, 설정된 희망습도와 현재 실내의 습도를 비교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현재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높으면 가습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낮으면 가습동작을 소정의 시간동안 더 수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가습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제 2 과정과 제 3 과정을 반복실행하는 제 4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습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키이 입렵부(1)를 조작하여 가습기를 온동작시키면, 제어부(3)는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제어하여 가습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따라, 상기 히터 구동부(4)는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히터(5)로 일정 전압을 공급하여 히터(5)에서 발생된 열원에 의해 급수관으로 부터 공급된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부(6)는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진동자(7)를 진동시킴으로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습동작이 이루어질 때 습도 감지부(2)는 가습기가 설치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3)로 공급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를 조작하여 희망습도를 설정하면, 제어부(3)는 습도감지부(2)에서 감지된 실내습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오프시켜 가습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시간동안 가습동작이 더 이루어지도록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제어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후 다시 현재의 실내습도와 희망습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높으면 가습동작을 중지시키고, 이때에도 현재의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낮으면 또다시 소정의 시간동안 가습동작을 더 수행한 후 상기 제어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현재의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과 같은 종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현재의 실내습도가 도달할때까지 항상 일정한 제어량으로 가습동작을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때문에,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이 길어짐으로 제품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와 현재 실내의 습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에 따라 초음파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발생시키거나 히터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은 희망습도가 설정되면, 현재의 실내습도와 희망습도를 비교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의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더 크면 가습동작을 중지하고,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작으면 '희망습도-실내습도' 의 연산을 실시하여 가습동작 제어정보(K)를 검출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 의해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와 메모리부(13)에 설정된 테이블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적어도 3가지의 모드로 히터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제어하는 제 3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과정은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미리 설정해 두었던 테이블 값의 10% 보다 작거나 같으면 히터만을 온동작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 4 과정과, 상기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미리 설정해 놓은 테이블 값의 10% 보다 크고 30% 보다 작으면 히터를 온동작시키고, 초음파 발생부를 약모드로 제어하여 적절한 양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미리 설정해 놓은 테이블 값의 30% 보다 크면 히터를 온동작시키고, 초음파 발생부를 강모드로 제어하여 많은 양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 6 과정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제3도와 제4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에 적용되는 회로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가습기의 온/오프 제어 및 희망습도 설정을 위한 키이 입력부(11)와, 가습기가 설치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4)로 공급하는 습도 감지부(12)와, 가습동작 제어를 위한 소정의 테이블 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3)와, 사용자가 희망습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희망습도와 실내습도를 비교, 연산하여 가습제어정보(K)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습제어정보(K)에 대응되는 테이블값(%)에 따라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최대한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제어하는 제어부(14)로 구성되며, 종래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했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쾌속 가습 제어방법은 제 1 과정으로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1)를 조작하여 가습기를 온동작시킨 후 키이 입력부(11)를 조작하여 희망습도를 설정하면, 제어부(14)가 습도 감지부(12)에 의해 감지된 실내습도와 희망습도를 비교하도록 이루어진다.
제 2 과정으로는 제 1 과정에서 제어부(14)의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오프상태로 유지시켜 가습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 1 과정에서 제어부(14)의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희망습도-실내습도'의 연산을 실시하여 가습동작 제어정보(K)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제 3 과정으로는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된 테이블값의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를 검색한 후 검색결과에 따라 히터 구동부(4)를 온/오프 제어하고, 또한 초음파 발생부(6)를 강/약 모드로 제어하여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최대한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3 과정은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된 테이블값의 10% 보다 작으면 히터 구동부(4)만을 온동작시켜 히터(5)의 가열 동작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 4 과정과,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된 테이블값의 10% 보다 크고 30% 보다 작으면 히터 구동부(4)를 온동작시켜 히터(5)의 가열동작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고, 또한 초음파 발생부(6)를 약모드로 동작시켜 진동자(7)의 진동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 5 과정과, 제 2 과정에서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메모리부(13)에 저장된 테이블값의 30% 보다 크면 히터 구동부(4)를 온동작시키고, 초음파 발생부(6)를 강모드로 동작시켜 히터(5)의 가열동작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동시에 강한 초음파 발생에 의한 진동자(7)의 강한 진동으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 6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쾌속 가습방법의 작용에 있어서는 첨부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1)를 조작하여 가습기를 온동작 시킨 후 희망습도를 설정하면, 제어부(14)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와 습도 감지부(12)에 의해 감지된 실내습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현재의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4)는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오프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가습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현재의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4)는 '희망습도-실내습도'의 연산과정을 통해 가습동작 제어정보(K)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 즉,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K)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값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속하는 테이블값을 검출해낸다.
상기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값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험을 거쳐 설정한 것으로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K) 값이 크고 작음에 따라 퍼센테이지(%)를 적용한 것이며, 이 테이블값은 일실시예이다.
한편, 제어부(14)는 상기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에 대한 테이블값이 검출되면, 그 검출된 값에 따라 히터 구동부(4)와 초음파 발생부(6)를 제어하여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최대한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10% 보다 작으면,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10% 보다 작다는 것은 제5도에 도시된 테이블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이가 '10'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다지 큰 습도차이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히터 구동부(4) 만을 온동작시켜 히터(5)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여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둘째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10% 보다 크고 30% 보다 작으면,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10% 보다 크고 30% 보다 작다는 것은 제5도에 도시된 테이블을 예로하여 설명하면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이가 '10' 보다 크고 '30'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느정도 큰 습도 차이가 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히터 구동부(4)를 온동작시켜 히터(5)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동시에 초음파 발생부(6)를 약모드로 제어하여 약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초음파 발생부(6)에서 약한 초음차가 발생되면, 진동자(7)가 약한 진동을 하게되므로 적은양의 수증기가 발생되어 상기 히터(5)의 가열동작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가 더해짐으로서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빨리 도달하게 된다.
셋째로,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30% 보다 크면,
가습동작 제어정보(K)가 테이블값의 30% 보다 크다는 것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이가 '30'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아주 큰 습도차이가 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히터 구동부(4)를 온동작시켜 히터(5)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동시에 초음파 발생부(6)를 강모드로 제어하여 강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초음파 발생부(6)에서 강한 초음파가 발생하면, 진동자(7)가 강한 진동을 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되어 상기 히터(5)의 가열동작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에 더해짐으로 희망습도에 대해 많은 습도차이가 나는 실내습도가 희망습도에 빨리 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와 현재실내의 습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희망습도와 실내습도의 차에 따라 초음파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발생시키거나 히터를 강하게 혹은 약하게 가열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므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습도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방식과 히터 가습방식에서의 쾌속 가습방법이다.

Claims (1)

  1. 희망습도가 설정되면, 현재의 실내습도와 희망습도를 비교하는 제 1 과정과, 제 1 과정의 비교결과 실내습도가 희망습도 보다 더 크면 가습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실내습도가 희망습도 보다 작으면 '희망습도-실내습도'의 연산을 실시하여 가습동작 제어정보(K)를 검출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에 의해 검출된 가습동작 제어정보(K)와 메모리부(13)에 설정된 테이블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적어도 3가지의 모드로 히터와 초음파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 3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KR1019950048149A 1995-12-09 1995-12-09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KR016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149A KR0168757B1 (ko) 1995-12-09 1995-12-09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149A KR0168757B1 (ko) 1995-12-09 1995-12-09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19A KR970047319A (ko) 1997-07-26
KR0168757B1 true KR0168757B1 (ko) 1999-01-15

Family

ID=1943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149A KR0168757B1 (ko) 1995-12-09 1995-12-09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7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1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084B1 (ko) 초음파 가습기의 온풍장치
US5918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ltrasonic vibrator from being damaged
KR0168757B1 (ko) 초음파 방식과 히터 방식을 모두 적용한 가습기에서의 쾌속 가습방법
JPH1019323A (ja) 周辺温度による加湿器の温度調節方法
KR0159034B1 (ko) 가습기의 온도 인식 제어방법
KR0158950B1 (ko) 가습량 자동 결정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05865B1 (ko) 가습기의 수증기 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58948B1 (ko) 초음파 및 히터 겸용 가습기의 가습 제어방법
KR10021116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0158946B1 (ko) 가습기의 히터 제어방법
KR0158949B1 (ko)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2049B1 (ko) 가습기의 가습모드별 미스트온도 조절방법
KR0158954B1 (ko) 2개의 물막이 제어용 모터를 이용한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제어방법
KR0157743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JP2658655B2 (ja) 加湿器
KR940007181B1 (ko)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 자동조절방법
KR100211162B1 (ko) 진동자 입력 전류 제어시스템
KR970047336A (ko) 습도에 따라 가습량을 자동 조정하는 가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79609B1 (ko) 가습기의 진동자 온도 유지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211163B1 (ko) 퍼지 모드를 사용한 다단계 가습 분무량 제어 방법
KR20210091111A (ko) 전기식 살균가습기
KR0139476Y1 (ko) 가습기의 갈수 및 오염상태 감지 장치
KR0151558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KR19990034671A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JPH07293976A (ja) 加湿器の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