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743B1 -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743B1
KR0157743B1 KR1019960005144A KR19960005144A KR0157743B1 KR 0157743 B1 KR0157743 B1 KR 0157743B1 KR 1019960005144 A KR1019960005144 A KR 1019960005144A KR 19960005144 A KR19960005144 A KR 19960005144A KR 0157743 B1 KR0157743 B1 KR 015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ultrasonic
mode
heat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562A (ko
Inventor
이원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0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743B1/ko
Publication of KR97006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망하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량이 설정되면 이후 자동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습시간에 비례하여 필요한량 만큼의 가습분무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습시간입력에 따라 시간당가습량이 설정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한 가습량이 각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에서 설정한 가습량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결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가습 동작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한 가습시간까지만 가습동작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희망가습시간에 따라 가습모드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제1도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제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제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설명을 보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컴 2 : 정전압부
3 : 키입력부 4 : 습도감지부
5 : 온도감지부 6 : 수위감지부
7 : 송풍팬구동부 8 : 초음파구동부
9 : 디스플레이부 10 : 히터구동부
11 : 물통잔존량감지부 12 : 가습모드선택부
본 발명은 실내의 습도조절을 위한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망하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량이 설정되면 이후 자동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비가 거의 오지 않는 겨울철, 특히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건물에서의 겨울철에는 그 실내가 극히 건조해지며, 상기 실내가 지속적으로 건조해질 경우에는 인체에 큰 해악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요소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실내에 습기를 인공적으로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가 사용되는데, 상기 가습기로는 수조내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켜 그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히터식 가습기, 그리고 수조내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환 된 물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가습기 등이 있다.
그러나, 히터식 가습기는 가습량부족의 문제점이 노출되었고, 초음파가습기는 물속에 함유된 세균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습토출되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히터식 가습기와 초음파 가습기의 특징을 혼용한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그 구성을 제1도로 보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의 턴은예약, 분무량, 희망습도등 각종 상태를 사용자가 키를 눌러 원하는 기능을 얻고자 하는 키입력부(3)와, 상기 키입력부(3)의 키신호에 따라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과, 입력교류전원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마이컴(1)에 동작전압으로 입력하는 정전압부(2)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4)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가습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9)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습기의 수위를 감지하여 주는 수위감지부(6)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발열수단인 히터의 가열로써 물을 데우는 히터구동부(10)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진동수단인 진동자의 구동으로 가습하는 초음파구동부(8)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구동부(10) 및 초음파구동부(8)에서 분무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송풍팬구동부(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는 먼저, 키입력부(3)의 가습동작스위치를 온시키고 희망하는 습도를 세팅하게 되면, 입력 교류전원이 정전압부(2)를 통해 일정레벨로 정류되어 마이컴(1)에 인가된다.
상기 마이컴(1)은 정전압부(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습도감지부(4) 및 온도감지부(5)에서 감지한 주위습도 및 온도를 읽어들여 키입력부(3)를 통해 세팅한 사용자의 희망습도와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습도감지부(4)와 온도감지부(5)에서 감지한 주위습도 및 온도보다 사용자가 세팅한 희망습도, 온도가 높으면 수위감지부(6)를 통해 가습기의 물통속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가습기의 물통속에 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고, 물이 있으면 마이컴(1)은 출력단인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를 구동제어하여 가습을 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컴(1)은 송풍팬구동부(7)를 구동제어하여 송풍팬을 구동시켜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로부터 분무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출하게 한다.
이와같이,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습기가 동작하여 분무를 계속진행하는 중에 수위감지부(6)로부터의 감지한 물이 없거나 또는 습도감지부(4) 및 온도감지부(5)에서 감지한 주위습도 및 온도가 희망습도, 온도보다 높으면 마이컴(1)은 가습회로부인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 송풍팬구동부(7)를 구동오프시켜 가습동작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다시 주위습도가 희망습도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물통속이 물이 있으면 상기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증기를 분무하게 된다.
따라서, 물속에 함유된 세균 등을 발열수단인 히터로써 제거한 상태로 가습분무함으로서,전술한 히터식가습기와 초음파가습기의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에서의 분무동작에서 살펴보면, 미리 소정치로 설정된 희망습도에 따라 획일적으로 가습동작이 이루어짐으로서, 가습시간에 비례하여 필요한량만큼의 가습분무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즉,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의 각 사용별에 따라 가습량이 다르게 마련인데, 이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획일적인 상태의 희망습도값으로 분무동작시켰기 때문에 부정확한 분무동작을 유도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정확하였던 분무동작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가습시간을 입력하면 그에따른 가습량이 자동으로 세팅되며, 이후 상기한 가습량에 따라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의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가습시간에 따른 정확한 분무동작을 기대할 수 있는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치 온도로 가열된 물을 무화시키도록 된 공지의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습시간입력에 따라 시간당 가습량이 설정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한 가습량이 각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에서 설정한 가습량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결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가습동작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한 가습시간까지만 가습동작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희망가습시간에 따라 가습모드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단계의 시간당가습량은 물통잔존량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물량값을 가습시간과 대비한 결과로 얻어지도록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제어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상세회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설명을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제어구성도로서, 가습기의 턴온예약, 분무량, 희망습도 등 각종 상태를 사용자가 키를 눌러 원하는 기능을 얻고자 하는 키입력부(3)와, 상기 키입력부(3)의 키신호에 따라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과, 입력교류전원을 일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유지시켜 마이컴(1)에 동작전압으로 입력하는 정전압부(2)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4)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가습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9)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습기의 수위를 감지하여 주는 수위감지부(6)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발열수단인 히터의 가열로써 물을 데우는 히터구동부(10)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진동수단인 진동자의 구동으로 가습하는 초음파구동부(8)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히터구동부(10) 및 초음파구동부(8)에서 분무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송풍팬이 구비된 송풍팬구동부(7)로 구성된 공지의 초음파 히터식가습기에 있어서, 상기한 키입력부(2)에 가습용 시간 동작키를 추가로 개재하는 한편, 물통의 물잔존량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1)에 입력하여 주는 물통잔존량감지부(11)와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습모드인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구동하는 가습모드선택부(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모드선택부(12)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1)의 출력단(A)(B)신호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동작에 따라 통전 및 비통전하는 릴레이(RY1)(RY2)가 각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단(A)(B) 동시 하이신호는 초음파 히터식모드로동작하며, 출력단(A)만 하이신호일 경우는 히터식모드로, 출력단(B)만 하이신호일 경우는 초음파식모드로 동작된다.)
미설명부호 R1, R2는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저항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설명을 보인 제어흐름도로서, 전원인가후 가습용 시간동작키를 조작한 상태에서 총물통잔존량(A) 및 사용자가 원하는 가습시간(B)에 따라 시간당가습량(C)이 설정되는 제1단계(S1-S8)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한 가습량이 각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에서 설정한 가습량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제2단계(S9)와; 상기 제2단계(S9)에서 구한 결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가습동작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한 가습시간까지만 가습동작시키는 제3단계(S10-S17)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희망가습시간에 따라 가습모드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1단계의 시간당가습량(C)은 물통잔존량감지부(11)로부터 획득한 총물량값(A)을 가습시간(B)과 대비한 (A/B) 결과로 얻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키입력부(3)의 가습동작스위치를 온시키면, 입력교류전원이 정전압부(2)를 통해 일정레벨로 정류되어 마이컴(1)에 인가된다. 이어, 상기 마이컴(1)은 정전압부(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데(S1), 이때 별개로 마련된 키입력부(3)의 가습용 시간동작키를 키입력하면(S2) 이후 마이컴(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으로 활성화된다.
이때, 수위감지부(5)로부터 물통의 적정수위여부를 감지하여(S3) 적정한 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발명을 해제토록 하는 반면에, 적정한 수위에 도달한 상태로 판단되면 이후 단계 S4로 진행하여 가습시간이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동작키의 조작으로 본 발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후 키입력부(3)의 시간입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소망하는 가습시간(B)을 마이컴(1)에 입력하며{여기서, 가습시간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부(9)를 통해 가습시간 입력요구표시를 한다(S5)}, 또 마이컴(1)은 물통잔존량감지부(11)로부터 현재의 충물통량(A)을 입력받아 인식하되(S6), 가습시간(B)(S7)과 총물통량(A)에서 얻은 데이터를 연산식 A/B에 적용시켜 시간당가습량(C)을 구한다(S8).
그런다음, 상기 단계S8에서 구한 시간당가습량(C)이 각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에서 설정한 시간당가습량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데(S9), 이 비교결과에서 동일한 값에 해당하는 가습모드가 선택되도록 한다.(통상적인 시간당가습량의 크기는 히터식모드초음파모드초음파히터식모드 순이다)
예로써, 히터식모드 40%, 초음파모드 50%, 초음파히터식모드 60%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단계S8에서 구한 시간당가습량이 40%이면 이에 해당하는 시간당가습량이 40%인 히터식모드와 일치함으로 당연히 이후 동작은 히터식모드로 선택된다.
즉, 상기한 단계S9에서 구한 결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가습동작을 진행하는데, 시간당가습량(C)이 초음파모드와 일치하여 선택될 경우에는(J) 마이컴(1)은 출력단(B)에 하이전위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고, 이에 릴레이(RY2)를 통전시켜 결국 초음파구동부(8)가 구동되어 초음파진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2).
상기한 단계S9에서 시간당가습량(C)이 히터식모드와 일치하여 선택될 경우에는(I) 마이컴(1)은 출력단(A)에 하이전위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이에 릴레이(RY1)를 통전시켜 히터구동부(1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히터에 의한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1).
상기한 단계S9에서 시간당가습량(C)이 초음파히터식모드와 일치하여 선택될 경우에는(K) 마이컴(1)은 출력단(A)(B)에 하이전위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Q2)를 턴온시키고, 이에 릴레이(RY1)(RY2)를 통전시켜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히터 및 초음파진동에 의한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
아울러, 상기 마이컴(1)은 송풍팬구동부(7) 역시 구동제어하여 송풍팬을 동작시켜 히터구동부(10)와 초음파구동부(8)에 의해 분무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출하게 한다(S13).
한편, 상기와 같이 각 모드로 선택되어 동작진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장된 타이머 카운터를 계속 온시키는(S14) 도중 이 카운터가 초기 단계S7에 설정한 가습시간(B)에 도달한 상태로 판단되면(S15) 마이컴(1)은 타이머 및 현재의 구동부 상태를 오프제어시켜(S16)(S17) 이후의 가습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획일적으로 가습분무동작이 이루어졌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시간입력 가습량에 따라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의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효과가 이루어지는 즉 정확한 분무동작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

  1. 사용자가 원하는 가습시간입력에 따라 시간당가습량(C)이 설정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구한 가습량이 각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에서 설정한 가습량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구한 결과로 초음파모드, 히터식모드, 초음파히터식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가습동작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한 가습시간까지만 가습동작시키는 제3단계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희망가습시간에 따라 가습모드중 어느 하나로 적절히 선택되어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선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단계의 시간당가습량(C)은 물통잔존량감지부(11)로부터 획득한 총물량값(A)을 가습시간(B)과 대비한(A/B) 결과로 얻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KR1019960005144A 1996-02-28 1996-02-28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KR0157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44A KR0157743B1 (ko) 1996-02-28 1996-02-28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144A KR0157743B1 (ko) 1996-02-28 1996-02-28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62A KR970062562A (ko) 1997-09-12
KR0157743B1 true KR0157743B1 (ko) 1999-01-15

Family

ID=1945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144A KR0157743B1 (ko) 1996-02-28 1996-02-28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864A (zh) * 2017-12-06 2018-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的控制方法、装置及加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864A (zh) * 2017-12-06 2018-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的控制方法、装置及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62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022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0157743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모드 선택방법
JPH1019323A (ja) 周辺温度による加湿器の温度調節方法
KR0155106B1 (ko) 가습기의 실평수 계산을 통한 가습량 조절방법
KR0147163B1 (ko) 가습량 조절을 위한 가습기의 가습평수 측정방법
KR0151557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KR0158950B1 (ko) 가습량 자동 결정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561443B2 (ja) 加湿器
KR0144064B1 (ko) 히터식 가습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KR0132166B1 (ko) 온풍.선풍기의 실평수에 따른 난방제어방법
KR0151558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가습량 조절방법
JP3791365B2 (ja) 加湿器
KR0177061B1 (ko)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1560B1 (ko) 초음파 가습기의 가습제어방법
KR0143841B1 (ko) 가습기의 실평수 측정 표시방법
KR0159034B1 (ko) 가습기의 온도 인식 제어방법
KR200227586Y1 (ko) 팬코일 유니트의 가습 제어장치
KR0173671B1 (ko)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의 안전회로
KR10021116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0149828B1 (ko) 가습기의 물탱크 잔존량 표시장치
JP3422879B2 (ja) 加熱調理器
KR013672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40005051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탈취장치 및 방법
KR19990054031A (ko) 가습기의 가습제어 장치 및 방법
KR0155115B1 (ko) 히터식 가습기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