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12B1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3312B1 KR0153312B1 KR1019950051701A KR19950051701A KR0153312B1 KR 0153312 B1 KR0153312 B1 KR 0153312B1 KR 1019950051701 A KR1019950051701 A KR 1019950051701A KR 19950051701 A KR19950051701 A KR 19950051701A KR 0153312 B1 KR0153312 B1 KR 01533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absorber
- shock
- absorber
- instrument panel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0—Other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1—Frequ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60G2600/044—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 장치가 파손되었을 경우 이를 진동 센서가 감지하여 교환 경고등을 계기판에 디스플레이하여 쇽 업소오버의 교환 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 쇽 업소오버 장치는 파손시 운전자가 감으로 느끼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어 파손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계속 차량을 운행할 경우 바디 및 차량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진동하게 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와,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부터 출력된 파형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와,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쇽 업소오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계기판내의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계기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쇽 업소오버의 구조도.
제2도는 일반적인 쇽 업소오버 존재 유무에 따른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 센서 장착도.
제4도는 제1도 진동센서와 감지 파형도로써,
(a)는 쇽 업소오버가 정상적일때의 파형도이고,
(b)는 쇽 업소오버가 파손되었을때의 파형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130 :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140, 150, 160, 170 :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
180 : 제어부 190 : 계기판
191, 192, 193, 194 :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파손 경보 발광 다이오드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쇽 업소오버가 파손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파손 경보를 알려주기 위한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쇽 옵소오버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guide)를 겸한 가늘고 긴 원통을 서로 서로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차축쪽과 연결하는 실린더와, 차체쪽에 연결하는 피스턴이 결합되어 있고 실린더 안에는 오일이 채워져 있다.
즉, 피스턴에는 오일이 통과하는 작은 구멍(orifice)이 있으며 오리피스에는 오일의 흐름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자동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쇽 옵소오버는 늘어날 때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오일의 저항에 의해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줄어들 때에는 피스턴에 설치된 백브가 열려 저항없이 오일을 통과시키므로 진동 억제 작용은 하지 않는다.
쇽 업소오버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소오버의 존재 유무에 따른 파형의 변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쇽 업소오버 장치는 파손시 운전자가 감으로 느끼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어 파손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고 계속 차량을 운행할 경우 바디 및 차량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 장치가 파손되었을 경우 이를 진동 센서가 감지하고 계기판내의 발광 다이오드를 온시켜서 쇽 업소오버의 교환 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차량 주행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진동하게 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로부터 출력된 파형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쇽 업소오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계기판내의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 계기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부 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 주행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진동하게 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0)부터 출력된 파형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쇽 업소오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계기판(190)내의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및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를 포함한 계기판(1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0)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고유 진동 파형을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0)로부터 출력된 고유 진동 파형을 인가받아 정상적인 동작일때의 파형인가 아니면 파손되었을때의 파형인가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로부터 출력된 동작 파형을 인가받아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동작일때의 파형인 경우에는 계기판(190)으로 출력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 구동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계기판(190)내의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를 오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로부터 출력된 동작 파형을 인가받아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소오버가 파손되었을 경우의 파형일 경우에는 계기판(190)으로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기판(190)은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 구동 신호를 인가 받아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중 파손된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를 온시켜 파손된 쇽 업소오버를 교환하도록 운전자에게 알리게 되는 동작을 한다.
일례로, 자동차의 주행중 제 1 쇽 업소오버가(100)가 파손되었다면 제 1 진동 센서(140)는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제 1 쇽 업소오버(100)로부터 출력된 쇽 업소오버가 파손되었을 경우의 파형을 감지하여 쇽 업소오버 파손 신호를 제어부(180)로 출력하게 되고, 제 2 내지 제 4 진동센서(150)(160)(170)로부터는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일때의 파형이 제어부(18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진동 센서(140)로부터 출력된 쇽 업소오버 파손 파형을 인가받아 계기판(190)으로 제 1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 2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2)(193)(194) 구동 신호는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기판(190)은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제 1 쇽 업소오버(191) 구동 신호를 인가받아 제 1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를 온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제 1 쇽 업소오버(100)를 교환하도록 주의를 주는 동작을 하게 된다.
아울러, 계기판(190)는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제 2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2)(193)(194) 구동 신호가 차단됨으로써 제 2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2)(193)(194)는 오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의 파손시 이를 감지하여 교환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차량 주행중 노면의 상태에 따라 진동하게 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0)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100)(110)(120)(130)부터 출력된 파형을 감지하는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진동 센서(140)(150)(160)(17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쇽 업소오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계기판(190)내의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 1 내지 제 4 쇽 업소오버 교환 지시 발광 다이오드(191)(192)(193)(194)를 포함한 계기판(1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1701A KR0153312B1 (ko) | 1995-12-19 | 1995-12-19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1701A KR0153312B1 (ko) | 1995-12-19 | 1995-12-19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4153A KR970034153A (ko) | 1997-07-22 |
KR0153312B1 true KR0153312B1 (ko) | 1998-10-15 |
Family
ID=1944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51701A KR0153312B1 (ko) | 1995-12-19 | 1995-12-19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3312B1 (ko) |
-
1995
- 1995-12-19 KR KR1019950051701A patent/KR01533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4153A (ko) | 1997-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10060B2 (en) | Damper with variable damping force | |
JP4801938B2 (ja) | 能動型防振装置 | |
JPS5858243B2 (ja) | 車高調整装置の制御回路 | |
JPH063239B2 (ja) | 調整可能な振動ダンパ | |
US4884056A (en) | System for displaying trouble in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a motor vehicle | |
KR0153312B1 (ko) | 자동차의 쇽 업소오버 파손시 경보 장치 | |
KR100362709B1 (ko) | 전자제어현가장치의ecu고장시제어방법 | |
JPS6216324Y2 (ko) | ||
KR0184829B1 (ko) | 자동차의 유압브레이크용 안전경보시스템 | |
KR19980017112A (ko) | 전자 제어 현가장치 및 그것의 감쇄력 제어방법 | |
JPS6121811A (ja) |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 |
JP2001277923A (ja) |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 |
JPS6121812A (ja) |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 |
KR960000538A (ko) | 타이어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 |
KR20000046622A (ko) | 차량용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레벨링 시스템 | |
KR100245214B1 (ko) | 자동차의 감속도 감응형 에어 범퍼 | |
KR100197221B1 (ko) | 엔진 장착 이상시의 손상 경보장치 | |
KR0173590B1 (ko) | 자동차의 과적 및 쇽업소버 진단장치 | |
KR19980049467A (ko) | 유압펌프구동 현가장치의 이상경고장치 | |
KR100384152B1 (ko) | 차량용 엔진 마운팅의 내구성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245673B1 (ko) | 전자제어 현가장치 회로 | |
KR19990015799A (ko) | 엔진 마운트의 진동 감지 장치 | |
KR970005837A (ko) | 자동차용 시트의 충격흡수장치 | |
KR19980049966A (ko) | 대형트럭의 캡 롤링 저감장치 | |
KR970037656A (ko) | 차량용 자동제어식 비상등 점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