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886B1 - 박형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박형 솔레노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886B1
KR0152886B1 KR1019950016388A KR19950016388A KR0152886B1 KR 0152886 B1 KR0152886 B1 KR 0152886B1 KR 1019950016388 A KR1019950016388 A KR 1019950016388A KR 19950016388 A KR19950016388 A KR 19950016388A KR 0152886 B1 KR0152886 B1 KR 0152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winding
coil
thickness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297A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5001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886B1/ko
Priority to TW85106991A priority patent/TW293113B/zh
Priority to JP17872296A priority patent/JPH09102071A/ja
Priority to CN 96111071 priority patent/CN1066552C/zh
Publication of KR97000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6Support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7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薄形)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권회되는 보빈의 직사각단면 코일권회부 중, 고정대상물에 접하는 코일권회부 및 그 코일권회부에 대향되는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를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보다 대략 1 : 2.0 ∼ 1 : 2.5의 비율로 얇게 형성하여, 그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에 권회되는 코일의 두께 및 그 코일에 덮혀지는 테이프 등의 보호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의 전체적인 두께를 보다 얇게 하며, 또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부품수의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 작업 공수의 감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박형 솔레노이드
제1도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4도는 사시도.
세5도는 평면도.
제6도는 분해 사시도.
제7도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보빈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d)는 저면도.
(d)는 (a)의 A부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빈 11, 12, 13, 14 : 코일권회부
15, 16 : 플랜지 18, 19 : 고정돌기
24 : 걸림턱 30 : 코어
31 : 연결부 32, 32': 양측부
33 : 나사체결공 40 : 플런저
40': 단위 플런저 41, 41': 날개
42 : 결합홈 50 : 고정대상물
54 : 판스프링 55 : 가로 연결부
56, 56': 탄성지지부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를 보다 얇게하여 제품에 적용시, 그 적용 제품의 박형화(薄形化)에 기여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박형(薄形)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권회되는 보빈(1)과, 그 보빈(1)의 외주에 보빈(1)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코어(2)와, 상기 보빈(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3)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는 에폭시수지의 코일권회 몰딩부, 5는 지지용 코일스프링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는, 전원 공급선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통상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보빈(1)에 결합된 플런저(3)가 직선 왕복 이동을 하면서 플런저(3)에 연결된 피동체(도시하지 않음)를 연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 얇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에는 적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한 보빈(1)은, 통상적으로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이거나, 또는 코어(2)의 넓은 면을 기준으로하여 두께가 폭에 비항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 보빈(1)에 권회되는 코일의 두께 및 그 코일 권회부에 몰딩되는 에폭시수지 몰딩부(4)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를 고정대상물(6)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고정대상물(6)의 소정부위에 소정의 고정편(6a)을 절곡 형성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뿐만 아니라 수개의 단위 코어(2a)로 적층된 코어(2)의 양측부에 단위 코어(2a)와 동일한 재질의 브래키트(7)(7')를 각각 고정하고, 그 브래키트(7)(7')를 고정편(6a)에 수개의 고정나사(8)로 고정하여야 함으로써 솔레노이드의 고정을 위한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작업 공수의 추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전체적인 두께를 보다 얇게하여 얇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보다 간단한 구조에 고정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일이 권회되는 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를 갖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에 결합되는 코어와, 상기 보빈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 중, 고정대상물에 접하는 코일권회부 및 그 코일권회부에 마주보는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가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상기 보빈과 코어의 사이에 가로 연결부의 양측에 보빈과 코어와 면접촉되는 탄성지지부가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이 개재된다.
상기 보빈의 얇은 두께의 코일권회부와, 두꺼운 두께를 갖는 코일권회부의 두께 비가 1 : 2.0∼1 : 2.5로 되어 있다.
상기 보빈의 코일권회부 양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그 상부 플랜지에 코어와의 결합을 위한 수개의 고정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 플랜지에 판스프링의 지지를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는, 상부의 연결부와, 그 양측부에 고정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수개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플런저는, 코어의 양측 대향면과 마주 보도록 양측에 날개가 형성된 화살표 형상으로, 하단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피동체의 결합을 위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3개의 단위 플런저가 적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제7도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구성하는 보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가)의 A부 확대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는, 코일이 권회되는 보빈(10)과, 그 보빈(10)의 외주에 보빈(10)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코어(30)와, 상기 보빈(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10)은, 코일이 권회되는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의 상, 하단부에 직사각형의 플랜지(15)(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권회부(11)(12)(13)(14)의 내부에는 플런저(40)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각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 중, 고정대상물(50)에 접하는 코일권회부(11) 및 그 코일권회부(11)에 대향되는 코일권회부(12) 사이의 두께(t1)가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13)(14) 사이의 두께(t2)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에 권회되는 코일의 두께 및 그 코일에 덮혀지는 테이프 등의 보호부(51)의 두께가 두껍지 않으므로, 그 전체적인 두께가 기존의 솔레노이드 보다 현저하게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빈(10)의 얇은 두께를 갖는 코일권회부(11)(12) 사이의 두께(t1)를 코어(30)의 두께(t3) 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빈(10)의 얇은 길이의 코일권회부(11)(12)와, 두꺼운 두께를 갖는 코일권회부(13)(14)의 두께 비는 1 : 2.0∼1 : 2.5 정도가 바람직하며, 가장 좋기로는 1 : 2.3이다.
또한, 상기한 보빈(1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하여 코어(30) 및 플런저(40)는 전체적으로 보빈(10)의 폭 방향으로 얇고 납작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보빈(1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 플랜지(15)의 상면 전, 후방 양측에는 코어(3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18)(19)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18)(19)의 간격(t4)과 코어(30)의 두께(t3)는 거의 동일하여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하여 그 고정돌기(18)(19)의 사이에 코어(30)가 긴밀하게 결합 고정된다.
상기 고정돌기(18)(19)는 삽입 및 고정을 보다 확실하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20) 및 걸림면(21)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15)의 일측 모서리 부위에는 코일과 접속되는 전원 공급선(53)의 인출을 위하여 절결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6)의 하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걸림턱(24)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걸림턱(24)에 보빈(10)과 코어(30)의 사이에 개재되어 보빈(10)과 코어(3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판스프링(54)이 개재된다.
상기 판스프링(54)은, 가로 연결부(55)의 양측에 보빈(10)과 코어(30)와 면접촉되는 탄성지지부(56)(56')가 다단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40)는, 코어(30)의 양측 대향면과 마주 보도록 양측에 날개(41)(41')가 형성된 화살표 형상으로서, 하단의 중간부에는 횡방향으로 피동체(60)와의 결합을 위한 소정 깊이의 결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40)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3개의 단위 플런저(40')가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어(30)는, 상부의 연결부(31)와, 그 양측부(32)(32')에 수개의 나사체결공(33)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고정대상물(50)에 본 발명의 박형 솔레노이드를 고정나사(57)로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제8도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는, 전원 공급선(53)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통상의 전자기적 작용에 의하여 보빈(10)의 사각공(17)에 결합된 플런저(40)가 직선 왕복 이동을 하면서 플런저(30)에 연결된 피동체(60)를 연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30) 및 플런저(40)가 보빈(1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하여 보빈(10)의 폭 방향으로 얇고 납작할 뿐만 아니라, 코어(30)의 연결부(31) 및 양측부(32)(32')가 넓은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런저(40)의 양 날개(41)(41')가 토어(30)의 대향면에 넓은 면적으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플런저(40)의 전자기적 작용을 향상시켜, 플런저(40)의 작동을 보다 신속하게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보빈(10)과 코어(30)의 사이에는 가로 연결부(55)의 양측에 탄성지지부(56)(56')가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54)이 개재되어, 그 탄성지지부(56)(56')가 보빈(10)과 코어(30)의 소정 부위에 면접촉이 되므로, 보빈(10)과 코어(30)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는, 코일이 권회되는 보빈(10)의 직사각단면 코일권회부(11)(12)(13)(14) 중, 고정대상물(50)에 접하는 코일권회부(11) 및 그 코일권회부(11)에 대향되는 코일권회부(12) 사이의 두께(t1)가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13)(14) 사이의 두께(t2)에 대하여 대략 1 : 2.0∼1 : 2.5의 비율로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에 권회되는 코일의 두께 및 그 코일에 덮혀지는 테이프 등의 보호부(51)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그 전체적인 두께가 기존의 솔레노이드 보다 현저하게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를 고정대상물(50)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30)의 상부 연결부(31)와, 그 양측부(32)(32')에 형성된 수개의 나사체결공(33)을 통하여 고정나사(57)로 고정대상물(50)에 직접 체결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1은 피동체(60)를 플런저(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보인 것이며, 제8도에서 미설명 부호 58, 59는 너트를 보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박형 솔레노이드는, 코일이 권회되는 보빈의 직사각단면 코일권회부 중, 고정대상물에 접하는 코일권회부 및 그 코일권회부에 대향되는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를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 사이의 두께보다 대략 1 : 2.0 ∼1 : 2.5의 비율로 얇게 형성하여, 그 직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에 권회되는 코일의 두께 및 그 코일에 덮혀지는 테이프 등의 보호부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의 전체적인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얇은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대상물에 고정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부품수의 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작업 공수의 감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코일이 권회되는 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를 갖는 보빈(10)과, 상기 보빈(10)의 외주에 결합되는 코어(30)와, 상기 보빈(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런저(40)로 구성되는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의 사각단면의 코일권회부(11)(12)(13)(14) 중, 고정대상물(50)에 접하는 코일권회부(11) 및 그 코일권회부(11)에 마주보는 코일권회부(12) 사이의 두께(t1)를 인접한 양측 코일권회부(13)(14) 사이의 두께(t2) 보다 얇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구성한 것은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과 코어(30)의 사이에 가로 연결부(55)의 양측에 보빈(10)과 코어(30)와 면접촉되는 탄성지지부(56)(56')가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5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회부(11)(12)(13)(14)의 t1과 t2가 1 : 2.0 ∼ 1 : 2.5의 비율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의 코일권회부(11)(12)(13)(14) 양단부에 플랜지(15)(16)가 각각 형성되고, 그 상부 플랜지(15)에 코어(3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돌기(18)(19)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 플랜지에 판스프링(54)의 지지를 위한 걸림턱(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는, 상부의 연결부(31)와, 그 양측부(32)(32')에 고정대상물(50)에 고정하기 위한 수개의 나사체결공(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는, 코어(30)의 양측 대향면과 마주 보도록 양측에 날개(41)(41')가 형성된 화살표 형상으로, 하단의 중간부에 횡방향으로 피동체(60)의 결합을 위한 소정 깊이의 결합홈(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40)는, 3개의 단위 플런저(40')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솔레노이드.
KR1019950016388A 1995-06-20 1995-06-20 박형 솔레노이드 KR0152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388A KR0152886B1 (ko) 1995-06-20 1995-06-20 박형 솔레노이드
TW85106991A TW293113B (en) 1995-06-20 1996-06-11 Thin type solenoid and item discharging apparatus adapting the same for vending machine
JP17872296A JPH09102071A (ja) 1995-06-20 1996-06-20 薄型ソレノ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取出装置
CN 96111071 CN1066552C (zh) 1995-06-20 1996-06-20 薄型螺线管和装配该薄型螺线管的售货机物品卸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388A KR0152886B1 (ko) 1995-06-20 1995-06-20 박형 솔레노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297A KR970003297A (ko) 1997-01-28
KR0152886B1 true KR0152886B1 (ko) 1998-10-15

Family

ID=1941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388A KR0152886B1 (ko) 1995-06-20 1995-06-20 박형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8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297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7368A (en) Thin type transformer
US6903638B2 (en) Complex electromagnetic relay
US4238753A (en) Transformer core gapping and lead anchoring arrangement
JPH0810895Y2 (ja) ビデオテープカセットのサポートスプリング
KR0152886B1 (ko) 박형 솔레노이드
EP0105254A4 (en) IMPROVED ASSEMBLY AND MOUNTING MEANS OF FERRITE CORES.
JPH0546251Y2 (ko)
JPH11168871A (ja) 空心コイルを備えるリニアモータ
JPH03230472A (ja) 電池接点
JPH04263405A (ja) コイル巻枠
JPH0334899Y2 (ko)
KR19980058571U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페라이트코아 고정구조
KR0113953Y1 (ko) 코어지지 플래시가 형성된 몰딩 케이스
KR100308281B1 (ko) 리니어모터의코어적층체고정구조
JPH0231774Y2 (ko)
JPH043464Y2 (ko)
KR0137552Y1 (ko) 고압발생기의 코어고정 구조
JPS6116654Y2 (ko)
KR200146052Y1 (ko) 코어 플레이트
KR0132685Y1 (ko) 고압발생기의 코어 고정 구조
KR890006371Y1 (ko) 소형칼라 tv용 편향요크의 터미날보드 결착구조
KR200159083Y1 (ko)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JPH09134824A (ja) チョークコイル
JP2001068357A (ja) リアクター
JP2522604Y2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