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83Y1 -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83Y1
KR200159083Y1 KR2019970008723U KR19970008723U KR200159083Y1 KR 200159083 Y1 KR200159083 Y1 KR 200159083Y1 KR 2019970008723 U KR2019970008723 U KR 2019970008723U KR 19970008723 U KR19970008723 U KR 19970008723U KR 200159083 Y1 KR200159083 Y1 KR 200159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inding
transformer
fastening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093U (ko
Inventor
박병훈
Original Assignee
유홍균
유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홍균, 유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홍균
Priority to KR2019970008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TrBnsformer)에 있어서 코일을 감는데 사용되는 권선보빈(Winding coil Bobin)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은 외부면에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보빈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외부면과 수직한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측벽부들과, 측벽부들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들과,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일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들과,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타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으로부터 각각 신장된 체결돌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의 불량율 및 조립공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조립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2a도는 제1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의 평면도.
제2b도는 제1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의 정면도.
제2c도 및 제2d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의 좌우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과 함께 사용될 코아 리액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빈 12, 14 : 측벽부
20, 24 : 체결홈 22, 26 : 체결돌기
16, 18 : 지지부재 28 : 리드
30, 40 : 코아부 32 : 판상부
34A, 34B, 44A, 44B : 측벽 36A, 36B, 46A, 46B : 보빈고정축
34C, 44C : 교합부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있어서 코일을 감는데 사용되는 권선보빈(Winding coil Bobin)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트랜스포머는 전압을 변압하거나 두개의 회로들간의 신호 또는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해 권선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코일을 구비한다. 즉, 트랜스포머는 권선비가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코일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레벨(예를 들면, 110V 또는 220V)의 소스전압을 그 소스전압의 레벨과는 다른 전압레벨을 가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변전압으로 변압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는 권선코일들에 의해 전압을 변압하거나 신호 또는 임피던스를 정합할 경우에 고조파신호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코아 리액터를 필요로 한다. 이 코아 리액터는 권선 코일들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권선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에 와류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조파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코일들이 코아 리액터에 의해 감싸지도록 코아 리액터와 체결됨에 의해 제작된다. 이렇게 제조된 트랜스포머는 코아 리액터에 체결된 권선 코일들이 정해진 간격 만큼 정확하게 이격되어야만 설계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질 수가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에 사용되는 권선코일은 코일이 사각형의 보빈에 정해진 횟수 만큼 감겨짐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코일이 감겨진 보빈을 권선보빈이라 한다. 이 권선보빈들은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제작되므로 코아 리액터와 체결될시 좌우로 유동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이들 권선보빈들은 서로 설계자가 정한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였다. 이 권선보빈들간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음으로 트랜스포머의 불량율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랜스포머의 조립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용 권선 보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은 외부면에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보빈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외부면과 수직한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측벽부들과, 측벽부들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들과,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일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들과,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타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으로부터 각각 신장된 체결돌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와 제 2a 도 내지 제 2d 도를 참조하면, 코일이 감겨진 사각형의 보빈(10)과, 이 보빈(10)이 양단부로부터 보빈(10)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바깥쪽으로 각각 신장되어진 제 1 및 제 2 측벽부(12, 14)를 구비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권선보빈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측벽부(12, 14)부의 전면의 상단모서리 부근에는 체결홈(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홈(20)은 측벽부들(12, 14)의 모서리에서는 얇게 그리고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깊게 파여있다. 즉, 이들 체결홈들(20)은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홈들(20)은 다른 권선보빈(도시하지 않음)의 측벽부들의 후방 상단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진 체결돌기들(도시하지 않음)과 교합되어 두개의 권선보빈을 체결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측벽부(12, 14)는 각각의 후방 상단모서리로부터 그 진행방향쪽으로 신장되어진 하나의 체결돌기(22)를 각각 구비한다. 이들 체결돌기들(22)는 측벽부들(12, 14)의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반면에 측벽부들(12, 14)의 모서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끝부분에서는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즉, 이들 체결돌기들(22)은 ~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체결돌기들(22)은 다른 권선보빈의 측벽부의 전방 상단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들과 교합됨으로써 두개의 권선보빈을 체결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권선보빈은 제 1 및 제 2 측벽부(12, 1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진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6, 18)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들 지지부재들(16, 18)은 도시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권선보빈을 포함한 트랜스포머를 지지하게 된다.
이들 지지부재들(16, 18)의 전방의 상단모서리 부근에는 하나의 체결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홈들(24)은 지지부재들(16, 18) 모서리에서는 얇게 그리고 모서리로부터 안쪽으로 갈수록 깊게 파여있다. 즉, 이들 체결홈들(24)은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체결홈들(24)은 다른 권선보빈(도시하지 않음)의 지지부재들의 후방의 상단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진 체결돌기들(도시하지 않음)과 교합되어 두개의 권선보빈을 체결하게 된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지지부재(16, 18)들 각각의 후방 상단모서리에는 하나씩의 체결돌기들(26)이 이들 지지부재들(16, 18)의 모서리로부터 뒤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들 체결돌기들(26)은 지지부재들(16, 18)의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반면에 지지부재들(16, 18)의 모서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끝부분에서는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즉, 이들 체결돌기들(26)은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체결돌기들(26)은 다른 권선보빈의 지지부재의 전방 상단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들과 교합됨으로써 두개의 권선보빈을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이들 지지부재들(16, 18)의 밑면에는 아래쪽으로 신장되어진 두개의 리드들(28)이 각각 존재한다. 이들 리드들(28)은 보빈에 감겨진 코일의 양단을 인쇄회로기판에 접속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권선보빈의 측벽부들(12, 14)과 지지부재들(16, 18)에 형성되어진 체결홈들(20, 24)과 체결돌기들(22, 26)은 두개의 권선보빈을 체결시켜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코일들이 정해진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결과, 권선보빈은 트랜스포머의 조립공차와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선 보빈에 사용될 코아 리액터를 도시한다. 제 3 도의 코아 리액터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코아부(30, 40)를 구비한다. 이들 제 1 및 제 2 코아부(30, 40)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을 감싸도록 체결되어 와류손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고조파신호를 억제한다. 그리고 이들 제 1 및 제 2 코아부(30, 40)는 일정한 형상 즉,의 금속판들을 적층함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1 코아부(30)는 판상부(32)의 저면의 좌우측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되어진 제 1 및 제 2 측벽(34A, 34B)과, 이들 측벽들(34A, 34B)의 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보빈고정축들(36A, 36B)을 구비한다. 보빈고정축들(36A, 36B)은 각각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에 삽입되어 권선보빈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측벽들(34A, 34B)과 판상부(32)와 함께 권선보빈의 상반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제 2 코아부(40)는 판상부(42)의 윗면의 좌우측 모서리로부터 윗쪽으로 신장되어진 제 3 및 제 4 측벽(44A, 44B)과, 이들 측벽들(44A, 44B)의 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보빈고정축들(46A, 46B)을 구비한다. 보빈고정축들(46A, 46B)은 각각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권선보빈의 하반부에 삽입되어 권선보빈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측벽들(44A, 44B)과 판상부(42)와 함께 권선보빈의 하반부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제 1 코아부(30)에 포함된 보빈고정축들(36A, 36B)은 권선보빈의 윗쪽부분에 삽입되어 권선보빈의 아래쪽에 삽입되는 제 2 코아부(40)의 보빈고정축들(46A, 46B)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측벽부(34A, 34B)의 하단에는 s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 1 교합부들(34C)이 형성되어 있고, 제 3 및 제 4 측벽부(44A, 44B)의 상단부에는 s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 2 교합부들(44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교합부들(34C)은 보빈고정축들쪽, 즉 제 1 및 제 2 측벽부들(34A, 34B)의 안쪽면의 하단에 형성된다. 반면에 제 2 교합부들(44C)은 제 3 및 제 4 측벽부(44A, 44B)의 바깥면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 2 코아부(40)에 형성된 보빈고정축들(46A, 46B)은 제 3 및 제 4 측벽부(44A, 44B)에 비해 제 2 교합부(44C)의 높이 만큼 낮게 형성되는 반면에 제 1 코아부(30)에 형성된 보빈고정축들(36A, 36B)은 제 1 및 제 2 측벽부(34A, 34B)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교합부들(34C)은 프레스에 의하여 제 2 교합부들(44C)과 각각 교합되어 제 1 및 제 2 코아부(30, 40)가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들 교합부들(34C, 44C)은 모가 나지 않게 형성되어 교합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이 결과, 제 1 및 제 2 교합부들(34C, 44C)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코아부(30, 40)는 별도의 체결부재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체결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교합부들(34C, 44C)이 형성되어진 보빈고정축들에 삽입되는 권선보빈상의 권선코일의 리액터스 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트랜스포머의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 교합부들(34C, 44C)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과정을 제거함으로써 트랜스포머의 조립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선보빈에는 다른 권선보빈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설치되어 권선코일들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권선보빈은 트랜스포머의 조립공차와 트랜스포머의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아울러 트랜스포머의 조립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2)

  1. 외부면에 코일을 감기 위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외부면과 수직한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측벽부들과, 상기 측벽부들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들과, 상기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일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들과, 상기 측벽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들 각각의 타측단의 상단 모서리 부근으로부터 각각 신장된 체결돌기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들과 상기 체결돌기들이 ~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KR2019970008723U 1997-04-24 1997-04-24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KR200159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723U KR200159083Y1 (ko) 1997-04-24 1997-04-24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723U KR200159083Y1 (ko) 1997-04-24 1997-04-24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093U KR19980064093U (ko) 1998-11-25
KR200159083Y1 true KR200159083Y1 (ko) 1999-10-15

Family

ID=1949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723U KR200159083Y1 (ko) 1997-04-24 1997-04-24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09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4839A (en) Miniature transformer
KR0165948B1 (ko) 초크 코일
US6608544B2 (en) Reactor
US20150102893A1 (en) Coil part
US7277000B2 (en) Inductor and transformer
KR200386286Y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KR200159083Y1 (ko) 트랜스포머용 권선보빈
JP6607808B2 (ja) コイルボビ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備えた変圧器
WO1983003495A1 (en) Improved ferrite core, assembly and mounting means
JPH08153630A (ja) トランス
JP2001035732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用トランス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H09306759A (ja) コイルボビン
JP5008213B2 (ja) リアクター
KR102644201B1 (ko) 평판형 변압기용 1차측 코일 소자 및 평판형 변압기
JPH0711453Y2 (ja) トランス
JPH0720905Y2 (ja) 力率改善用コンデンサの取付構造
JPH051208U (ja) ノイズ低減素子及びその取付け構造
JPH0557812U (ja) コイルボビン
KR0130286Y1 (ko) 누설 인덕턴스 조정이 가능한 고주파 변압기
KR20240003063A (ko) 2개의 보빈을 수용하는 단일 브라켓이 적용된 트랜스포머
JPH0569924U (ja) トランス構造
JPH04133410U (ja) 面上半田付けタイプの小形巻線部品
JP3641852B2 (ja) 電磁機器
JP2508000Y2 (ja) コンバ―タ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