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770B1 -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 Google Patents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770B1
KR0152770B1 KR1019900018902A KR900018902A KR0152770B1 KR 0152770 B1 KR0152770 B1 KR 0152770B1 KR 1019900018902 A KR1019900018902 A KR 1019900018902A KR 900018902 A KR900018902 A KR 900018902A KR 0152770 B1 KR0152770 B1 KR 015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m
data
cpu
dvm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91A (ko
Inventor
이규수
Original Assignee
김용선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선,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용선
Priority to KR101990001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770B1/ko
Publication of KR92001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M/TDM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전화교환장치에서 여러명의 가입자가 동시에 녹음하고 재생시킬 수 있게 설계되는 전화교환장치의 DVM(Digital Voice Mail) 자동 녹음/응답 시스템에 관련한다.
기존의 VM(Voice Mail) 시스템은 아날로그 음성기록 방식의 테이프 레코더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VM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었고 또한 사이즈와 시스템 구축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음성 디지탈 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테이프 녹음 및 재생을 위한 A/D 컨버터 및 D/A 컨버터를 VM 보드에서 삭제시킬 수 있게 되며 주 CPU에 의한 시간대 설정 및 절체를 통하여 동시에 다수의 가입자가 녹음 및 재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재생 및 녹음 데이터가 각각 할당된 타임 슬롯에 존재하게 되므로 그 데이터가 오우버랩 되거나 멧세지의 불충분한 수신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탈 전화교환기의 가치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DVM 시스템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
제2도는 종래의 DVM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동작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 DVM 시스템에 대한 블록다이어그램.
제4도는 본 발명 DVM 시스템의 DVM 보드에 대한 구체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제5도는 본 발명 DV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모리의 예시적인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DVM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내선 보드 12,22,32,52 : 시간대 설정회로부
14,24,34,44,54 : cpu 16,18,26,28,36,38 : 부호화/역부호화부
50 : DVM 보드 51 : 직렬, 병렬 변환부
56 : PCM 데이터 메모리
본 발명은 PCM/TDM 방식을 사용하는 전화 교환장치의 자동 녹음/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자동 녹음/응답을 구현하는 PCM/TDM 방식 전화교환 장치의 DVM(Digital Voice Mail)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CM/TDM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탈 전화교환장치에는 여러명의 가입자가 동시에 녹음하고 재생시킬 수 있는 DVM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DVM 시스템의 기본적인 모델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2개의 내선보드(10,20)만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고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주 cpu(44) 및 PCM 음성 데이터의 타임 슬롯을 절체하는 시간대 절체 회로부(42)를 포함하는 주제어부(40)와, 시간대 설정회로부(32), cpu(34), 부호화/역부호화부(36,38) 및 녹음기 제어부(35)를 포함하는 VM 보드(Voice Mail Board)(30)와, 상기 VM 보드(30)의 출력으로 제어되는 녹음기(37,39)와, 상기 VM 보드(3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녹음기제어부(35)만 생략된 내선보드(10,20)를 포함하고 있다. 또 각 내선보드(10,20)의 각 부호화/역부호화부(16,18,26,28)에는 국선 1-4의 전화기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선보드(10,20), VM 보드(30) 및 주제어부(40)는 PCM 데이터 송수신로 및 cpu 간 데이터 전송로를 공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국선(단말) 1에서 발생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내선 보드(10)의 부호화/역부호화부(16)에서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되어 시간대 설정회로부(12)로 제공되고 또한 상기 시간대설정 회로부(12)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는 부호화/역부호화부(16)를 거치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화되어 국선 1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환동작은 내선보드(10)의 부호화/역부호화부(18)와 내선 보드(20)의 부호화/역부호화부(26,28)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시간대 설정회로부(12)를 여러개의 타임 슬롯으로 시분할(TDM)되어 있는 PCM 전송로의 각 타임 슬롯을 각 부호화/역부호화부(16,18,26,28)에 할당해 주게 되며, 각 부호화/역부호화부마다 다른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PCM 데이터 송, 수신로 상에서 PCM 음성 데이터가 시간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PCM 송, 수신로는 동일한 타임 슬롯에 할당되고 있다.
각 부호화/역부호화부에서 발생된 PCM 데이터는 8개의 직렬데이터이며, 상기 타임 슬롯에 PCM 데이터 송신로에 실리게 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이지만 PCM 송, 수신로상의 모든 데이터열은 주제어부(40)의 시간대 전체 회로부(42)에 입력되어 내부의 데이터메모리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1 프레임 뒤에서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의 수신 타임 슬롯에 PCM 수신로로 보내진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각 내선보드(10,20)의 CPU를 통괄제어하는 주제어부(40)의 주 CPU(44)의 제어에 따르게 된다.
한편, VM 보드는 앞에서 기술한 내선보드(10,20)와 주제어부(40)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송, 수신로상의 데이터를 상기 내선보드(10,20)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게 되며, 여기에서는 부호화/역부호화부(36,38)에 단말로써 국선 대신 녹음기(37,39)가 연결된다. 이들 녹음기(37,39)들은 특별히 마련된 VM 보드(30)내의 녹음 제어부(35)를 통하여 고속 전, 후진 및 플레이와 레코딩을 실행하게 되며, 상기 녹음기 제어부(35)는 주 CPU(44)의 제어하에 놓여 있는 CPU(34)의 제어를 받게 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기존의 시스템에서의 동작예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선 1과 국선 3이 통화중이고, 국선 2가 녹음기(37)에 녹음중이고, 국선 4가 녹음기(39)의 재생음을 듣고 있을때의 각 프레임에서의 실행을 나타내고 있다.
즉 국선 1의 송신데이터(11)는 다음 프레임의 국선 3의 수신 타임 슬롯에 실리게 되고 국선 3의 송신데이터(33)는 다음프레임의 국선 3의 수신 타임 슬롯에 실려지게 된다. 또한 국선 2의 녹음을 위한 송신데이터(22)는 다음프레임에서 녹음기(37)에 녹음이 되고 녹음기(39)에서 재생되고 있는 음성데이터(BB)는 다음프레임에서 국선 4로 전송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동작되게 설계되고 있는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VM기능에 아날로그 방식의 테이프 녹음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녹음기 하나마다 한 국선 가입자밖에 멧세지를 녹음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국선 가입자에게 멧세지 녹음 및 재생기능을 부여해 주기 위해서는 사이즈의 엄청난 증가와 고장율 및 시스템 원가상승을 가져 온다.
특히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여러명의 사용자 재생시 시간대 절체 회로부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동시에 녹음된 멧세지를 시간적 차이를 두고 각각 수신할 수는 있게 되지만 테이프를 이용하는 녹음기의 특성상 어법에 맞지 않는 멧세지가 송출될 수 있다.
가령, 녹음된 멧세지를 안녕하세요라고 가정할 때, 어느 한 국선 가입자가 재생을 요구하여 안녕이라는 멧세지까지만 들었을 경우 그 다음에 재생을 요구하는 다른 국선가입자가 재생 멧세지를 들을 경우에는 하세요라는 멧세지를 듣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녹음 및 재생을 시간차에 무관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는 PCM/TDM 방식 전화 교환장치의 DVM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DVM 시스템의 VM 보드에 사용되는 아날로그 타입의 테이프 레코더 대신 반도체 메모리소자를 사용하여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지 않고 직접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기억시켜, 재생시 이 메모리에 기억된 디지탈 데이터가 직접 PCM 전송로상에 실리게 하는 것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간대 절체회로부(42) 및 주 CPU(44)를 포함하는 주제어부(40)의 PCM 데이터 송, 수신로 및 CPU 데이터 전송로상에 복수의 내선보드(10,20)의 DVM보드(50)를 설치한다. 상기 내선보드(10,20)는 각각 시간대설정회로부(12)(22), 부호화/역부호화부(16,18)(26,28), CPU(14)(24)를 포함하고, DVM보드(50)는 시간대 설정회로부(52), PCM 데이터 메모리(56), CPU(54)를 포함한다.
제4도는 본 발명 DVM 보드(50)의 구체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을 설명하고 있다.
PCM 데이터 메모리(56)는 어드레스버스를 통하여는 CPU(54)와 연결되고 데이터버스를 통하여는 직렬병렬 변환부(51)와 병렬-직렬 변환부(53)를 거쳐 시간대 설정회로부(52)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 블록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국선 가입자 중 어느 한 국선의 가입자가 녹음을 원할 경우, 해당 내선보드의 CPU는 녹음 시작을 위한 인터렙트신호를 주제어부(40)의 주 CPU(44)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주 CPU(44)는 사용가능한 타임 슬롯을 DVM 보드(50)의 CPU(54)와 해당내선보드, 예를 들어 해당내선보드가 내선보드(10)라면 내선보드(10)의 CPU(14)에 액놀리지 신호를 보내게 되며, 각 CPU(14,54)는 각각의 시간대 설정회로부(12,52)가 할당받은 타임슬롯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국선 1에서 들어오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내선보드(10)의 부호화/역부호화부(16)를 거쳐 PCM 데이터로 변환되는데 이 PCM 데이터는 상기 시간대 설정회로부(12)가 설정한 타임슬롯으로 PCM 데이터 송신로를 통하여 송출된다.
주제어부(40)의 시간대 절체회로부(42)는 상기 PCM 데이터를 받아 내부 메모리에 일시저장한다. 해당 일시저장 프레임 이후 다음 프레임에서 해당 PCM 데이터는 PCM 데이터 수신로를 통하여 DVM 보드(50)로 송출되며, DVM 보드(50)에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 이 데이터를 시간대 절체회로부(52)가 수신한다.
이에 따라 PCM 데이터는 PCM 데이터메모리(56)에 CPU(54)의 제어를 받아가면서 해당 번지수에 저장된다.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4도에 기초하면, 시간대 설정 회로부(52)에 수신된 직렬 PCM 데이터는 직렬-병렬 시스프 레지스터로 된 직렬-병렬 변환부(51)를 통해서 8비트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54)의 어드레스 지정에 따른 해당 번지에 기록되게 된다.
이렇게 저장(녹음)된 PCM 데이터번지수는 CPU(54)에 의해 기억되는데, 제5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국선 1에서의 녹음 내용이 안녕하세요라면 메모리(56)의 00번지에서 04번지까지가 국선 1에 의한 녹음 내용 메모리 영역(MEM1)으로 기억된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한글자가 메모리(56)의 1바이트를 차지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국선 2- 국선4에 의한 가입자의 녹음내용(예를 들면 외출중, 휴가중, 3시에 다시 전화하세요)이 PCM 데이터 메모리(56)에 각각의 메모리 영역(MEM2, MEM3, MEM4)을 가지고 기억되게 됨을 상기 국선 1의 경우와 동일한 실행을 거치게 되므로 여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국선 1의 가입자가 녹음을 끝내면 내선보드(10)의 CPU(14)와 DVM 보드(50)의 CPU(54)간의 통신에 의해 녹음종료가 CPU(54)에 알려져 PCM 데이터 메모리(56)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을 CPU(54)가 중단시키고, 종료된 때의 상기 메모리(56)의 주소를 기억하게 된다. 이렇게 기억된 상기 메모리(56)의 해당메모영역(MEM1)의 시작주소와 끝주소는 CPU(56)가 국선 1의 사용자에게 할당해준 사항을 계산하기 위해서이며, 재생시 그 번지수의 내용을 출력하게 된다.
통상 DVM 보드(50) 내부의 PCM 데이터 메모리(56)의 용량에 따라 각 가입자 별로 최대로 해당되는 메모 양을 제한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프로그램 변형을 통해 임의로 할당되는 각 메모리 소요 번지수를 유동적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PCM 데이터 메모리(56)는 후자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PCM 데이터 메모리에 기억된 음성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어떤 국선가입자가 국선 3의 가입자를 호출한다고 가정하고 또한 국선 3의 가입자가 미리 휴가중이라는 음성 데이터를 PCM 데이터 메모리(56)에 기억시켜 놓은 상태라면, 국선 3을 포함하고 있는 내선보드(20)의 CPU(24)는 재생응답모드임을 주제어부(40)의 주 CPU(44)에 알려 이 주 CPU(44)가 DVM 보드(50)의 CPU(54)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CPU(54)는 국선 3에서 기억시킨 PCM 데이터의 주소를 찾아가 메모리 영역(MEM3)에 기억된 08 번지에서 10 번지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편의상 3바이트로 표현하고 있는 8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병력-직렬 스프트 레지스터로 된 병렬-직렬 변환부(53)를 거쳐 직렬 8비트 데이터로 변환출력 된다. 이 직렬 데이터는 시간대 설정회로부(52)를 통하여 PCM 수신로를 거쳐, 재생 요청 가입자가 국선 3이라면, 내선보드(20)의 시간대 설정회로부(22)에 전송되게 되며 이 PCM 데이터는 주제어부(40)의 시간대 절체회로부(42)에 의한 타임슬롯에 실려 나가게 된다.
상기 시간대 설정회로부(20)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음성데이터는 부호화/역부호화부(26)를 거쳐 국선 3의 전화기에 아날로그음성으로 제공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행을 더욱 알기 쉽게 도식화한 동작 설명도로써, 특히 여러 국선의 가입자가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특정 메모리 영역에 메모된 디지탈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요구하는 경우, 모든 사용자에게 원래의 멧세지 전내용을 빠트리지 않고 출력하게 됨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령 국선 3의 가입자가 메모리(56)의 메모리영역(MEM3)에 기억된 휴가중 음성데이터를 출력시켜 멧세지 내용을 수신하는 도중 다른 국선 4의 가입자가 상기 메모리 영역(MEM3)의 휴가중 멧세지를 요구하는 경우에, 이를 국선 3,4의 가입자는 메모리영역(MEM3)의 호출시간차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전멧세지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PCM/TDM 방식의 전화교환장치에 DVM 시스템을 구축할 때 아날로그 테이프 녹음 방식 대신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디지탈 데이터 직접 기록 방식을 채택하게 됨에 따라, DVM 보드 설계시 부호화/역부호화부(A/D컨버터 및 D/A컨버터)의 삭제에 따른 회로구성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품의 사이즈 축소와 원가절감 그리고 기계적 구성부분의 최소화에 의한 고장율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PCM/TDM 스위치에 의한 타임 슬롯에 DVM 시스템을 결합하게 되므로 다수의 국선 사용자(가입자)가 동시에 녹음하고 재생하는데 있어 시간차에 따른 결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PCM/TDM 방식의 전화교환장치를 고부가가치화 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1)

  1. 시간대 설정회로부, 부호화/역부호화부 및 CPU로 구성된 다수의 내선보드(10,20) 시간대 절체 회로부 및 주 CPU로 구성된 주제어부(40)를 포함하는 PCM/TDM 방식의 전화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선보드(10,20)와 주제어부(40) 사이의 PCM 데이터 송, 수신로 및 CPU 데이터 전송로에 시간대 설정회로부(52), 직렬-병렬 변환부(51), 병렬-직렬 변환부(53), PCM 데이터 메모리(56) 및 CPU(54)를 포함하는 DVM 보드(50)를 설치하여, 주 CPU(44)의 타임 슬롯 통제하에 입력되는 녹음용 디지탈 음성데이터는 주 CPU에서 일시저장된 후 다음 프레임의 타임 슬롯에서 직렬-병렬 변환부(51)를 거쳐 PCM 데이터 메모리(56)에 기록되게 하고, 상기 PCM 데이터 메모리(56)의 디지탈 데이터는 병렬-직렬 변환부(53)를 거쳐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 주 CPU(44)에 일시 저장된 후 다음 프레임의 할당 슬롯에서 해당 내선보드로 전송되게 하고, 상기 해당 내선보드에서 디지탈음성 데이터가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국선가입자에게 송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KR1019900018902A 1990-11-21 1990-11-21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KR015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902A KR0152770B1 (ko) 1990-11-21 1990-11-21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902A KR0152770B1 (ko) 1990-11-21 1990-11-21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91A KR920011191A (ko) 1992-06-27
KR0152770B1 true KR0152770B1 (ko) 1998-11-02

Family

ID=1930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902A KR0152770B1 (ko) 1990-11-21 1990-11-21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041B1 (ko) * 1996-10-30 1999-12-15 서평원 대기 우선순위에 의한 시분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91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355B1 (ko) 키폰시스템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방법
US4069399A (en) TDM PCM Communication system
US419074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rence connections in a PCM time multiplex switching system
JPS62159958A (ja) 留守番電話装置
KR0152770B1 (ko) Pcm/tdm 방식 전화교환장치의 dvm 시스템
KR0119151Y1 (ko) 자동중계장치의 음성녹음장치
KR10020823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 메시지 저장 및 독출 방법
CA1051998A (en) Tdm pcm communication system
KR100438436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의동화상메일링방법및시스템
KR970002355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음성 서어비스 장치
JPS61209498A (ja) 同時録音再生装置
JPH1098562A (ja) 通信端末装置
KR100207376B1 (ko) 시간 압축 주문형 비디오용 브이.씨.알의 데이타 오류 전파 방지 장치
JPS58196755A (ja) 公衆電話回線に接続する録音再生機
JPH02137458A (ja) 話中内線に対するメッセージ録音・再生方式
JPH05110749A (ja) 画像伝送装置
JPS5914768B2 (ja) 音声サ−ビス方式
KR20000044335A (ko) 교환시스템의 자동중계대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백업하는 방법및 장치
JPS645518B2 (ko)
JPH0388467A (ja) 通話音声録音方式
JPH0993554A (ja)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データ通信装置
JPS5854399A (ja) 音声蓄積試験方式
JPS58170270A (ja) 音声メツセ−ジ蓄積方式
JPH05236006A (ja) 音声ファイル再生方式
JPH01109860A (ja) 音声蓄積装置の音片合成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