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304B1 -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304B1
KR0151304B1 KR1019950006908A KR19950006908A KR0151304B1 KR 0151304 B1 KR0151304 B1 KR 0151304B1 KR 1019950006908 A KR1019950006908 A KR 1019950006908A KR 19950006908 A KR19950006908 A KR 19950006908A KR 0151304 B1 KR0151304 B1 KR 015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apacitor
transistor
turned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628A (ko
Inventor
문성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304B1/ko
Publication of KR96003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 H04N9/3123Driving therefor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펄스의 제어로 램프의 순간적인 점등/재점등이 가농토록 한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액정 프로젝터는 TV환경과 같은 순간적인 점등 및 재점등이 되지 않던 점을 감안하여 램프를 시동시키며 램프 시동시 시동펄스를 변화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펄스 변환수단,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의 시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시동 타이밍 제어수단, 램프를 초기에 DC로 구동시키며 이 DC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DC구동 타이밍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램프 시동펄스의 피크치 및 펄스폭과 펄스 갯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많은 에너지를 시동시에 램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램프의 순간점등 및 재점등이 가능토록하며, 이에 따라 액정 프로젝터의 퀵 스타트가 가능토록 하며 램프의 온/오프 실패로 인한 램프의 온/오프반복에 따른 램프의 수명단축 및 고장을 방지하며, 일반 유저의 환경에 적용하여 TV와 같이 순간적으로 화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제1도 (a)는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의 시동부의 회로도.
(b)는 (a)의 각부 파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
제4도 (a),(b)는 본 발명과 종래의 파형비교에 따른 펄스갯수와 펄스폭 증대현상 설명도.
제5도 (a)는 일반적인 메탈 헬라이드 램프의 외형도.
(b)는 램프 내부에서의 패스 형성도.
제6도 (a)-(f)는 본 발명의 각부 파형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시도펄스 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부 11 : 시동펄스 가변부
20 : 시동 타이밍 제어부 21,31 : 스위칭 제어부
30 : DC구동 타이밍 제어부 30a : DC구동 제어부
30b : 타이밍 제어부 40 : 인버터부
50 : 램프 구동부 TR1-TR10 : 트랜지스터
SD1 : 다이리스터 PC1, PC2 : 포토 커플러
T1, T2 : 트랜스 VC1 : 가변용량 콘덴서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동펄스의 제어로 램프의 순간적인 점등 및 재점등이 가능토록 한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프로젝터는 램프에서 빛을 투사하고 이 빛의 투사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스크린에 화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장치이며, 제1도 (a)는 종래 액정 프로젝터의 시동장치의 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전압원(VD)의 충전루프를 이루는 저항(Ra) 및 콘덴서(Ca), 상기 콘덴서(Ca)에 충전된 전하가 일정 전압에 도달하면 온되는 다이리스터(SDa),(SDb), 상기 다이리스터(SDb)의 스위칭시 2차측에 전압을 유기하는 트랜스(Ta), 상기 트랜스(Ta)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a) 및 콘덴서(Cb), 상기 다이오드(Da) 및 콘덴서(Cb)의 정류 및 평활전압이 일정전압에 도돌하면 온되는 보조 방전관(SGa), 상기 보조 방전관(SGa)의 스위칭시 고압을 램프(LAMPO)에 공급하는 트랜스(T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램프 시동장치는 시동시 상기 저항(Ra)과 콘덴서(Ca)에 의해 노드(a)의 전압이 다이리스터(SDa),(SDb)의 브레이크 오버(Breakover)전압이 되면 다이리스터(SDa),(SDb)이 온되어 상기 콘덴서(Ca)에 충전된 전하가 트랜스(Ta)의 1차측을 통해 방전되어 2차측에 유기된 후 다이오드(Da)와 콘덴서(Cb)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a)와 콘덴서(Cb)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된 전압이 일정전압(3KV)에 도달하면 상기 트랜스(Ta)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됨에 따라 보조방전관(SGa)이 온되어 상기 콘덴서(Cb)의 전하가 트랜스(Tb)의 1차측을 통하여 방전되어 트랜스(Tb)의 2차측에 턴비에 의한 만큼(수십 KV)의 고압이 유기되어 이 고압 피크펄스가 램프(LAMPO)에 공급되어 램프를 시동시킨다.
이때, 상기 램프(LAMPO)의 시동은 상기 다이리스터(SDa),(SDb)의 브레이크 오버전압 및 트랜스(Ta),(Tb)의 턴비의 제어로 트랜스(Tb)의 차측에 유기되는 고압펄스의 피크치를 높혀 램프(LAMPO)의 시동을 제어하였다(제1도 (b)).
그러나 상기의 램프 시동장치는 램프의 시동펄스의 피크치만을 높혀 램프를 구동하는 경우는 램프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램프의 순간점등 및 재점등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액정 프로젝터 시스템은 현재 150W용 안정기(Lamp and Ballast)를 이용해서 구동하고 있는데 향후 HD(High Definition)급이나 EWS(Engineering Workstation)급 액정 프로젝터 시스템에서는 400W급 이상의 안정기를 사용해서 구동하게 되며, 150W와 400W의 램프는 내부 압력차가 크게 따르면, 400W가 1500W보다 내부 압력이 매우 높다(광량을 많이 내기 위해서는 내부 압력이 높아야 함).
그리고 내부 압력이 높으면 램프를 시동/재시동시에 더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기 때문에 현재의 150W뿐만 아니라 향후의 보다 내부 압력이 높은 어떠한 램프를 시동시키기에도 상기 종래의 시동부와 같이 시동펄스의 피크치만을 높혀 구동하는 것은 램프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램프 시동시 순간점등 및 재점등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TV환경에 익숙해져 있는 유저는 순간점등 및 재점등이 불가능한 액정 프로젝터도 TV와 마찬가지로 순간적으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순간 온/오프를 반복해도 순간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실제 유저가 온/오프를 했을 경우 화상이 즉시 디스플레이 되지 않으므로 유저는 온/오프를 반복하게 됨에 따라 램프 및 셋트의 수명단축과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피던스의 변화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가시켜 램프의 시동을 용이하게 한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를 제어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가 DC로 시동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어느 순간에도 램프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시동이 용이하도록 한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 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스크린으로 빛을 투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시동시키며 램프 시동시 임피던스의 변화로 램프 시동펄스를 변화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과,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의 시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시동 타이밍 제어수단과, 램프를 초기에 DC로 구동시키며 이 DC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DC구동 타이밍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써, 램프(LAMP1)를 시동시키며 상기 램프(LAMP1) 시동시 임피던스의 변화로 시동펄스를 변화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부(10),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부(10)의 시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시동 타이밍 제어부(20), 상기 램프(LAMP1)를 초기에 DC로 구동시키기 위한 DC구동제어부(30a)와 이 DC구동제어부(30a)의 DC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30b)로 된 DC구동 타이밍 제어부(30), 상기 DC구동 타이밍 제어부(30)의 DC구동 타이밍 제어에 따라 시동시 램프를 DC로 구동하는 인버터부(40), 초기 램프의 DC구동 오프후 상기 인버터부(40)를 구동하는 램프 구동부(50)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로써,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부(10)는 전압원(VD)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R2),(R3) 사이에 베이스단이 접속되며 시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2), 상기 트랜지스터(TR2) 턴온시 시동펄스의 피크치, 펄스폭, 펄스갯수를 증대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펄스 가변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시동펄스 가변부(11)는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에 일측이 접속되어 인덕턴스의 변화도 시동펄스의 폭 및 갯수를 변화시키는 가변용량 콘덴서(VC1), 상기 가변용량 콘덴서(VC1) 및 전압원(VD)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가변용량 콘덴서(VC1)의 충전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R4), 상기 저항(R4)과 가변용량 콘덴서(VC1) 사이에 일측단이 접속된 양방향 다이리스터(SD1), 상기 양방향 다이리스터(SD1)의 타측단에 1차측(P1)이 접속되며 상기 다이리스터(SD1) 온시 2차측(P2)에 전압이 유기되는 트랜스(T1),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P2)에 유기되 전압을 정류 및 평화하는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 상기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3)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 전압이 일정전압이 이르면 온되는 보조방전관(SG1), 상기 콘덴서(C3)에 병렬로 1차측(P1)에 접속되고 2차측(P2)은 램프(LAMP1)에 접속되는 트랜스(T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동 타이밍 제어부(20)는 구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1),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이 일측단이 접속되고 타측단은 그라운드된 콘덴서(C2),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21)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21)는 전압원(Vcc)에 직렬로 접속된 시정수 조저용 저항(R1) 및 콘덴서(C1), 상기 저항(R1)과 콘덴서(C1) 사이에 애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1),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에 캐소드단이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DC구동 타이밍 제어부(30)의 DC구동제어부(30a)는 전압원(Vcc)에 접속된 저항(R5),(R6)에 베이스단이 접속되어 시동시 턴온되는 스위치용 트랜지스터(TR4), 상기 트랜지스터(TR4)의 턴온시 온되는 포토 커플러(PC1),(PC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30)는 시동후 구동시 터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3),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31)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31)는 상기 저항(R1) 및 콘덴서(C1), 상기 저항(R1)과 콘덴서(C1) 사이에 애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3), 상기 다이오드(D3)의 캐소드단에 캐소드단이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부(40)는 푸쉬풀로 동작하여 램프(LAMP1)를 구동시키는 트랜지스터(TR5-RT8)로 구성되며, 이 인버터부(40)는 시동후에는 램프 구동부(50)의 출력에 따라 램프(LAMP1)를 구동시키며, 이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동시 저항(R2),(R3)에 의한 제6도 (b)와 같은 전압 공급에 따라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가변용량 콘덴서(VC1)의 충방전 및 저항(R4)에 의해 제6도 (c)와 같이 충방전이 행해지며, 이에 따라 노드(a)의 전압이 양방향 다이리스터(SD1)의 브레이크 오버 전압이 되면 상기 다이리스터(SD1)는 온되어 상기 가변용량 콘덴서(VC1)에 충전돈 전하가 트랜스(T1)의 1차측(P1)을 통해 방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P1)에 수 KV 피크의 전압이 유기된다(제6도 (d)).
그리고 상기 트랜스(T1)의 2차측(P2)에 유기된 전압은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3)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되며, 이에 의해 보조방전관(SG1)이 온되어 상기 콘덴서(C3)의 전하가 트랜스(T2)의 1차측(P1)을 통해 방전됨에 따라 상기 트랜스(T2)의 2차측(P2)에 수십 KV 피크의 전압이 유기된다(제6도 (e)). 그리고 이 고압에 의한 고압펄스를 램프(LAMP1)에 공급하여 램프(LAMP1)를 시동시킨다.
이때, 종래는 다이리스터의 브레이크 오버 전압과 트랜스의 턴비에 의해 제1도(b)와 같이 펄스의 피크치만을 증대시켜 램프를 구동시켰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가변용량 콘덴서(VC1)의 용량의 가변에 따른 가변용량 콘덴서(VC)의 충방전 타이밍 가변으로 펄스의 갯수를 증대시켜 램프(LAMP1)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시동을 쉽게 한다(제4도 (a)).
또한, 가변용량 콘덴서(VC1)의 용량을 가변시켜 트랜스(T1)와의 인덕턴스를 변화시켜 트랜스(T1)의 2차측(P2)에 유기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크게하여 많은 에너지를 트랜스(T2)로 공급하여 램프(LAMP1)에 보다 많은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여 시동을 쉽게 한다(제4도 (b)).
한편, 램프(LAMP1)가 시동되고 나면 구동이 되는데 구동시에도 시동이 계속되면 고압 펄스가 다른 회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시동 타이밍 제어부(20)를 이용하여 구동됨과 동시에 시동이 차단되도록 한다.
즉, 시동후 구동시에는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켜 트랜지스터(TR2)를 턴온프시킴으로써 시동을 종료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TR1)를 저항(R1), 콘덴서(C1), 다이오드(D1), 제너 다이오드(ZD1)에 의해 일정시간(약 1-3초간) 턴온 지연후 턴온시켜 시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6도 (a)는 노드(d)의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5도 (a)는 메탈 헬라이드(Metal Helide) 램프의 외형도를 도시한 것으로, 램프는 부도체상태(초기)이나 시동 펄스를 가하면 전자방출에 의해 전극과 전극 사이에 패스가 형성되어 도체화 된다.
그리고 (+)극에서 (-)극으로 DC구동시키면 (-)극에 많은 열전자가 방출되어 많은 에너지가 중심(전극)으로 이동되어 쉽게 패스가 형성되어 시동이 쉽게 걸리게 되며, 외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차 가운데로 패스가 집중되어 쉽게 시동이 된다(제 5도 (b) 참조).
즉, 램프의 (-)극 전자방출을 많이 시키고 램프 내부에 온도를 높이게 되면 시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DC구동 제어부(30a)에서 램프를 시동시간 동안 DC로 구동시켜 순간적으로 램프(LAMP1)를 시동시킨다.
이때, 상기 DC구동 제어부(30a)의 DC구동은 시동시간 동안 트랜지스터(TR4)가 저항(R5),(R6)에 의한 제6도 (f)와 같은 전압으로 턴온됨에 따라 포토 커플러(PC1),(PC2)가 온되면 제6도 (g)와 같은 노드(b),(c)의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TR5),(TR6)가 턴온되어 제3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DC구동흐름도가 발생하게 되어 램프(LAMP1)를 쉽게 시동시킨다.
그리고 DC구동후 상기 트랜지스터(TR1)와 마찬가지로 저항(R1), 콘덴서(C1), 다이오드(D3), 제너 다이오드(ZD2)에 의해 트랜지스터(TR3)의 턴온/턴오프 시간이 조절되며, 상기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4)는 턴오프되어 DC는 차단되고 램프 구동부(50)에 의해 트랜지스터(TR5),(TR6)와 트랜지스터(TR7),(TR8)가 교대로 턴온/턴오프되어 램프(LAMP1)를 AC구동시키게 되며, 램프(LAMP1)의 AC구동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약한다.
한편, 제7도는 본 발명의 시동펄스 가변부(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써, 제3도의 실시예의 회로에서 가변용량 콘덴서(VC1)를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9), 상기 트랜지스터(TR9)의 콜렉터와 저항(R4)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4),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에미터단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C5)로 구성한 형태이며, 이는 상기 트랜지스터(TR9)의 턴온/턴오프에 따른 상기 콘덴서(C4),(C5)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의해 시동펄스의 펄스폭 및 펄스 갯수를 가변시키게 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즉, 시동시 상기 트랜지스터(TR9)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면 상기 콘덴서(C4)에는 전하가 충전되고 콘덴서(C5)에는 전하가 충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콘덴서(C4)와 트랜스(T1)와의 인덕턴스에 의해 트랜스(T1)의 2차측(P2)에 유기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변화시키게 되며, 상기 콘덴서(C4)에 의해 펄스 갯수가 변화된다.
그리고 시동시 상기 트랜지스터(TR9)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턴오프되게 되면 상기 콘덴서(C4),(C5)에 전하기 충전되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콘덴서(C4),(C5)와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한 트랜스(T1)의 2차측(P2)에 유기되는 전압의 펄스폭을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콘덴서(C1),(C2)에 의해 펄스 갯수가 변화되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제8도는 본 발명의 상기 시동펄스 가변부(11)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써, 제7도의 실시예의 회로에 다이리스터(SD1)와 트랜스(T1)의 1차측(P1)사이에 접속된 릴레이(RL1) 및 상기 릴레이(RL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1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이는 상기 콘덴서(C4),(C5) 및 릴레이(RL1)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펄스를 펄스폭 및 펄스갯수를 가변시키게 되며, 제7도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이의 동작을 트랜지스터(TR9),(TR10)의 턴온/턴오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1). 트랜지스터(TR9),(TR10) 턴온시
상기 트랜지스터(TR9),(TR10)가 외부제어신호에 의해 모두 턴온되면 콘덴서(C4)에는 전하가 충전되고 콘덴서(C5)에는 전하가 충전되지 않으며, 릴레이(RL1)가 온되므로 이 경우는 콘덴서(C4)와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 펄스폭이 결정되며, 콘덴서(C4)에 의해 시동 펄스 갯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4)와 트랜스(T1)에 의해 시동펄스폭과 펄스갯수를 증대시키게 된다.
2) 트랜지스터(TR9) 턴온, 트랜지스터(TR10) 턴오프시
상기 트랜지스터(TR9)가 턴온되면 콘덴서(C4)에는 전하가 충전되고 콘덴서(C5)에는 전하가 충전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TR10)가 턴오프상태이므로 릴레이(RL1)가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LT)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 경우에는 콘덴서(C4) 및 릴레이 코일(LT)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 펄스폭이 결정되며, 콘덴서(C4)에 의해 시동 펄스 갯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4), 릴레이 코일(LT)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펄스폭과 시동펄스의 갯수를 증대시키게 된다.
3). 트랜지스터(TR9) 턴오프, 트랜지스터(TR10) 턴온시
상기 트랜지스터(TR9)가 턴오프되면 콘덴서(C4),(C5)에 전하가 충전되며 트랜지스터(TR10)가 턴온되면 릴레이(RL1)가 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콘덴서(C4),(C5) 및 트랜스(T1)에 의해 시동 펄스폭이 결정되며, 콘덴서(C4),(C5)에 의해 시동펄스 갯수가 결정되므로, 콘덴서(C4),(C5)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펄스의 갯수 및 폭을 증대시키게 된다.
4). 트랜지스터(TR9),(TR10) 턴오프시
상기 트랜지스터(TR9)가 턴오프 상태이면 콘덴서(C4),(C5)에 전하가 충전되고, 트랜지스터(TR10)가 턴오프 상태이면 릴레이(RL1)가 오프되어 릴레이 코일(LT)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콘덴서(C4),(C5) 및 릴레이 코일(LT)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 펄스폭이 결정되며, 콘덴서(C4),(C5)에 의해 시동 펄스 갯수가 결정되므로, 콘덴서(C4),(C5) 및 릴레이 코일(LT) 및 트랜스(T1)의 인덕턴스에 의해 시동 펄스의 폭과 갯수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후의 동작은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램프 시동시 펄스 피크치 및 펄스폭 및 펄스 갯수를 증대시켜 많은 에너지를 시동시에 램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순간점등 및 재점등이 가능토록 됨으로써 TV와 같이 어떤 순간에도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액정 프로젝터의 퀵(Quick) 스타트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램프의 온/오프 실패로 인한 램프의 온/오프 반복에 따른 램프의 수명단축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스크린으로 빛을 투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시동시키며 램프 시동시 임피던스의 변화로 램프 시동펄스를 변화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과,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의 시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시동 타이밍 제어수단과, 램프를 초기에 DC로 구동시키며 이 DC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DC구동 타이밍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및 시동펄스 변환수단은 시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시동펄스의 피크치, 펄스폭, 펄스갯수를 증대시켜 시동펄스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시동펄스 가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펄스 가변부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접속되어 시동펄스의 폭 및 갯수를 변화시키는 가변용량 콘덴서와, 상기 가변용량 콘덴서의 일측단 및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가변용량 콘덴서의 충전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가변용량 콘덴서의 타측단에 접속된 양방향 다이리스터와, 상기 다이리스터의 타측단에 1차측이 접속되어 상기 다이리스터 온시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는 제 1 트랜스와,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 및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접속되어 상기 다이오드 및 콘덴서의 정류 및 평활전압이 일정전압에 도달하면 온되는 보조 방전관과, 상기 콘덴서에 병렬로 1차측이 접속되고 2차측은 상기 램프에 접속되며 상기 보조 방전관 온시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어 램프에 시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트랜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펄스 가변부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전압원에 접속된 저항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시동 펄스의 펄스폭 및 갯수를 결정하는 제 1 콘덴서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단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시동펄스의 펄스 폭 및 갯수를 결정하는 제 2 콘덴서와, 상기 저항과 제 1 콘덴서 사이에 일측단이 접속된 양방향 다이리스터와, 상기 다이리스터의 타측단에 1차측이 접속되어 상기 다이리스터 온시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는 제 1 트랜스와,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 및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접속되어 상기 다이오드 및 콘덴서의 정류 및 평활전압이 일정전압에 도달하면 온되는 보조 방전관과,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측 전압의 유기시 상기 램프에 시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트랜스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펄스 가변부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용 제 1, 제 2 트랜지스터와,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시동펄스의 펄스 갯수 및 펄스 폭을 결정하는 제 1 콘덴서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에미터단 사이에 접속되어 제 1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시동펄스의 펄스 갯수 및 펄스 폭을 결정하는 제 2 콘덴서와, 상기 저항과 제 1 콘덴서 사이에 일측단이 접속된 다이리스터와, 상기 다이리스터에 일측이 접속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온되어 시동 펄스의 펄스 폭을 결정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에 1차측이 접속되어 상기 다이리스터 온시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는 제 1 트랜스와,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 및 제 1 트랜스의 2차측에 접속되어 상기 다이오드 및콘덴서의 정류 및 평활전압이 일정전압에 도달하면 온되는 보조 방전관과, 상기 제 1 트랜스의 2차측 전압의 유사시 상기 램프에 시동전압을 공급하는 제 2 트랜스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타이밍 제어수단은 시동후 구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일측단이 접속되고 타측단은 그라운드된 콘덴서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구동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램프를 초기에 DC로 구동시키기 위한 DC구동 제어부와, 상기 DC구동 제어부의 DC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램프시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구동 제어부는 전압원에 접속된 저항 사이에 베이스단이 접속되어 시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턴온시 온되는 제1, 제 2 포토 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시동후 구동시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전압원에 직렬로 접속된 시정수 조정용 저항 및 콘덴서와, 상기 저항 및 콘덴서 사이에 애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캐소드단이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구동 타이밍 제어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램프를 DC구동시키는 인버터수단과, 램프시동후 상기 인버터수단을 구동하여 램프를 AC구동시키는 램프 구동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KR1019950006908A 1995-03-29 1995-03-29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KR015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908A KR0151304B1 (ko) 1995-03-29 1995-03-29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908A KR0151304B1 (ko) 1995-03-29 1995-03-29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28A KR960036628A (ko) 1996-10-28
KR0151304B1 true KR0151304B1 (ko) 1998-10-15

Family

ID=1941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908A KR0151304B1 (ko) 1995-03-29 1995-03-29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61B1 (ko) * 2005-07-12 2007-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Lcd 프로젝션 tⅴ의 램프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61B1 (ko) * 2005-07-12 2007-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Lcd 프로젝션 tⅴ의 램프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28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327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EP0671869B1 (en) Lamp ballast circuit
GB2319677A (en) Discharge lamp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KR0151304B1 (ko)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시동장치
EP0871349B1 (en) Discharge lamp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6936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directional switching, current limited cutoff circuit for an electronic ballast
US5694008A (en) Lamp star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projector
CN103120027B (zh) 用于启动和驱动高压放电灯的电路装置和方法
JP4544718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33998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59067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262112B1 (ko)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H06283285A (ja) 冷陰極放電管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2744009B2 (ja) 電力変換装置
KR0172573B1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JPH11135279A (ja) パルス発生装置及び放電灯点灯装置
JP2008084579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278049B1 (ko) 보조권선을 사용한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고압방전등 안정기의전력 변환 회로
JP3275507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JP3310314B2 (ja) 高圧放電灯用点灯装置
KR10031874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회로
KR100237610B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회로
KR20010028013A (ko) 압전 인버터를 이용한 냉음극관 구동장치
JPH0845682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308259A (ja) 電源装置、放電ランプ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