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920B1 - 차륜속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륜속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920B1
KR0150920B1 KR1019950011583A KR19950011583A KR0150920B1 KR 0150920 B1 KR0150920 B1 KR 0150920B1 KR 1019950011583 A KR1019950011583 A KR 1019950011583A KR 19950011583 A KR19950011583 A KR 19950011583A KR 0150920 B1 KR0150920 B1 KR 015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gnetic element
circuit board
board assembly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063A (ko
Inventor
조성호
두민수
이상권
신현정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5001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920B1/ko
Publication of KR96004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륜속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 대신에 자기소자를 이용하여 구형파신호를 직접 발생시켜 전체적인 조립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는 자동차의 차륜구동샤프트(1)에 축지되고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산과 골을 구비하는 톱니바퀴형상의 톤휠(2), 톤휠(2)의 외주면에 대하여 자기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30), 영구자석(130)과 톤휠(2) 사이에 존재하는 자기장내에서 톤휠(2)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자기소자(140), 자기소자(140)에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자기소자(14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기판조립체(150), 영구자석(130)과 자기소자(140) 및 회로기판조립체(15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0), 지지부재(120)를 길이방향으로 내장하여 영구자석(130) 및 자기소자(140)를 톤휠(2)에 대하여 고정하는 하우징(100) 및 회로기판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15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륜속도감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차륜속도감지장치의 기계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톤휠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센서조립체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4도의 a와 b는 종래 차륜속도감지장치의 주요부분에서의 출력파형도이다
제5도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의 센서조립체의 평단면도와 정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좌측면도, b는 정단면도, c는 평면도, d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외부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제8도의 a와 b는 제5도에 도시된 전선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와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제9도의 a와 b는 제5도에 도시된 자기소자의 구조를 보인 좌측면도와 정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의 출력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샤프트 2 : 톤휠
3 : 지지브라켓 4 : 볼트
10 : 센서조립체 11 : 보호하우징
12 : 외부하우징 13 : 보빈
14 : 자극편 15 : 코일
16 : 영구자석 17 : 전선
17A : 전선지지부재 18 : 리드프레임
19 : 부시 100 : 보호하우징
110 : 외부하우징 120 : 지지부재
130 :영구자석 140 : 자기소자
150 : 기판조립체 160 : 커넥터
본 발명은 차륜속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소자를 이용하여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에서는 급제동시 또는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제동할 때, 브레이크의 제동유압을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하여 조종성을 확보하고 또한 정지거리를 단축하기 위한 전자제어식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이 개발되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지 않은 자동차가 한쪽 바퀴가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을 주행중인 상태에서 제동을 걸 때, 한쪽 바퀴만 제동되기 때문에 미끄럽지 않은 노면쪽으로 자동차 바퀴가 쏠려 슬립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을 선회할 때 역시 급제동을 하면 그 접선방향으로 자동차가 흔들려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는 한쪽 바퀴만 제동되지 않게끔 제동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슬립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바퀴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차륜속도센서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 및 전자제어유니트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휠실린더에 가하는 유압을 제어하는 모듈레이터를 구비한다.
제1도는 종래 차륜속도감지장치의 기계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톤휠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종래 차륜속도감지장치의 기계적인 구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각각의 차륜 구동사프트(1)에 축지된 톱니바퀴형상의 톤휠(tone wheel, 2) 및 톤휠(2)의 톱니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센서조립체(10)를 구비하는데, 센서조립체(10)는 통상적으로 지지브라켓(3)상에 볼트(4)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센서 조립체(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방향의 자기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6)과 자기장내에 설치되는 자극편(4) 및 자기장내의 소정의 지점에서의 자속 변화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코일(15)을 구비한다. 이들 소자들간의 배치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하우징(11)내에 실패형상의 보빈(13)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보빈(13)의 외주면에는 코일(15)이 권취된다. 보호하우징(11)의 선단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부가 구비되는데, 자극편(14)은 돌출부내의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보빈(13)에 의하여 고정된다. 나아가 보호하우징(11)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속이 빈 지지체가 보빈(13)과 일체로 성형되는데, 지지체내에는 영구자석(16)이 삽입된다. 코일(16)은 그 단부가 인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어유니트의 해당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전선(17)과 함께 리드 프레임(18) 상에서 납땜 고정된다. 제 3도에서 미설명부호 17A는 전선(1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나타내며, 12는 보호하우징(11)의 단부를 밀폐하고 또한 전선(17)을 지지하여 보호하우징(11)에 고정하는 외부하우징을 나타내며, 19는 부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차륜속도감지장치에서 차륜이 회전함에 따라 톤휠(2)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자극편(14)이 톤휠(2)의 산부분(2a)과 정확하게 마주칠 때에는 영구자석(16)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이 자극편(14)을 경유하여 산부분(2a)에 집중되므로 코일(15)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유기된다. 반면에, 자극편(14)이 톤휠(2)의 골부분(2b)과 정확하게 마주칠 때에는 영구자석(16)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이 자극편(14)을 경유하여 골부분(2b)에서 분산되므로 코일(15)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유기된다. 이에 따라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정현파형의 전압이 유기되는데, 차륜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현파형의 주파수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현파형의 주파수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미도시)에 의해 구형파신호로 변환되고 전자제어유니트(미도시)로 전달되어 차량 제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륜속도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앞에서 설명한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는 전자제어유니트(미도시)에서 사용되지 못하므로 이를 제4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파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유니트에 제공하는 별도의 신호처리부가 요구됨으로써, 생산원가가 증가한다.
두 번째, 코일(15)이 매우 가늘기 때문에 쉽게 끊어져 조립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세 번째, 영구자석(16)과 자극편(14)이 크기 때문에 센서조립체의 전체적인 부피가 크다
네 번째, 감지장치가 -40oC의 저온환경에서부터 170oC (제동작업시)까지 올라가는 고온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코일(15)의 피복이 용융되어 코일(15)이 단락(SHORT)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다섯 번째, 코일(15)과 외부연결용 전선(17)의 연결시에 리드프레일(18)이 사용되는데, 여기에 코일(15)을 연결한 후에 외부하우징(12)을 삽입 사출성형할 때 코일(15)이 끊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여섯 번째, 종래 감지장치에서는 코일(15)에 유기되는 전압이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이를 증폭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증폭과정에서 외부의 전파에 의한 노이즈가 혼입되어 출력파형의 이상변형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코일 대체하여 자기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구형파신호를 직접적으로 발생시킬 수 잇도록 한 차륜속도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소자와 구형파 변환회로가 일체로 집적된 회로기판조립체를 사용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부피를 감소시킨 차륜속도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소자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구성하여 고온환경에서도 신뢰성이 높으며 외부의 전파에 의한 노이즈의 존재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며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산과 골이 이루어진 톱니바퀴형상의 톤휠, 톤휠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를 갖춘 차륜속도감지장치에 있어서,
센서조립체는 톤휠의 외주면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 영구자석과 톤휠의 외주면 사이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를 발생하도록 호올소자로 이루어진 자기소자, 자기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를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소자와 자기소자가 일체로 집적된 회로기판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의 a와 b는 센서조립체를 보인 것이고, 제6도는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제7도는 외부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제8도는 전선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제9도는 자기소자를 보인 것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의 출력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에서 자성체로 이루어진 톤휠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것은 제2도를 참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 감지장치의 센서조립체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소자(140), 영구자석(130)으로 이루어진 자기력 발생수단 및 기판조립체(150)가 지지부재(120)에 의하여 지지된 채로 앞부분이 막힌 누운 원통상의 보호하우징(100)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보호하우징(100)의 뒷부분에 차륜속도신호를 외부회로 즉 전자제어유니트(미도시)에 제공하기 위한 전선을 지지하고 있는 외부하우징(110)이 결합된다.
보호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앞부분에는 지지부재(120)의 선단부가 놓여질 자리(102)가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20)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실(1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자기력 발생수단으로서의 영구자석(130)이 끼워져 설치된다. 수납실(124)을 이루는 후벽면(123)은 수평으로 연장된 등(125)부분과 이어지는데, 등(125)에는 두 개의 돌기(126a, 126b)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126a, b)는 등(125)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기판 조립체(150)에 천공된 구멍들을 받들어서 기판조립체(150)의 전후 좌우의 유동을 방지한다. 즉 기판조립체(150)의 구멍에 돌기(126a, b)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로 노출된 돌기(126a, b) 선단부를 열융착 또는 초음파용착하면 기판조립체(150)의 이탈 및 상하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영구자석(130)의 크기는 지지부재(120) 등(125)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기판조립체(150)의 선단을 영구자석(130)의 선단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기판조립체(150)의 이탈 및 상하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뒤에 설명할 자기소자(140)의 단자핀과 영구자석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20)의 전면벽(121)에 형성된 홈(121a)에는 자기소자(140), 즉 호올소자 또는 자기저항소자가 설치된다. 그리고 홈(121a)의 전방에는 자기소자(14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자기소자(140)의 조립시에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자기소자 보호용 판재(127)가 지지부재(120)의 사출성형시에 함께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판재(127)는 비자성체이면 충분한데 양호하게는 동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자기소자(140)와 이로부터 출력되는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를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를 단일칩상에 함께 집적시킨 IC, 예를 들어 호올 I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호올 IC는 현재 시판 중에 있는데, 호올 IC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단일칩상에 집적하기 어려운 코일의 설치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회피할 수가 있다. 자기소자(140)의 단자핀(141)은 각각 전원선(141a), 접지선(141b) 및 감지신호출력선(141c)에 대응된다. 단자핀(141)은 기판조립체 (150)보다 높은 위치까지 수직으로 연장된 후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기판조립체 (150)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핀(141)을 이렇게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하는 것은 주위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단자핀(141)이 기판조립체 (1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판조립체(150)의 적소에는 도전물질로 에워쌓인 접속공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접속공들에는 외부의 전기회로와 연결된 단자핀(153)이 끼워지거나 또는 끼워진 상태에서 납땜작업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 단자핀(153)은 각각 전원선, 접지선 및 감지신호출력선에 대응된다. 단자핀(153)의 자유단은 수직을 향하며, 그의 중간은 소정지점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그의 고정단은 접속터미날(155) 상에서 전선(154), 즉 전원선(154a), 접지선(154b) 및 감지신호출력선(154c)과 각각 납땜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전선(154)은 다시 피복(156)에 넣어진 상태에서 피복(156)을 고정하며 외부의 장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지지부재(111)와 함께 삽입 사출성형되며, 다시 외부하우징(110)과 함께 삽입 사출성형되어 고정된다. 미설명부호 111a 전선지지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이다.
그리고 보호하우징(100)의 개방단에는 환상의 결합돌기(103)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보호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110)의 결합시 외부하우징(110)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보호하우징(100)과 상응하는 외부하우징(110)의 개구 입구부위에는 고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12)의 외측에 역시 고리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1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돌기(113)의 단면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110)을 초음파 용착시킬 때 용착재로 사용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03)를 홈(112)에 삽입결합하고 삼각형상의 돌기(113)를 융착하면 보호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110)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보호하우징(100)의 개방단 외측부에는 플랜지형상으로 몸체와 수직으로 외향 연장된 접속팔(104)이 마련되어 있어서 지지브라켓(3, 제1도참조)에 센서조립체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를 위해 접속팔(104)에는 이음부재로써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104a)이 천공되어 있으며, 통공(104a)의 내측에 부시(105)가 삽입되어 함께 사출성형된다. 이것은 접속팔(104)이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접속팔(104)의 사출성형시에 부시(105)가 접속팔(10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시(105)의 외주면을 따라 환상의 홈(105a) 또는 너얼링가공에 의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조립체(150)에 장착된 회로소자들위에는 습기침투를 방지하며 댐핑력을 갖는 방습용 레진(152)을 소정두께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진(152)에 의해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습기가 회로소자들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회로단락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아울러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탈락되지 않는데, 이것은 습기가 침투하지 않으며 댐핑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60은 출력단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톤휠(2, 제2도참조)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자기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정현파형의 전압신호가 단일칩상에 함께 집적된 호올IC에 의해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파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구형파신호는 감지신호출력선(141c, 154c)을 통해 전자제어유니트(미도시)로 전달된다. 이 때, 구형파신호의 주파수는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여 전자제어유니트로 전달되기 때문에, 전자제어유니트에서는 입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모듈레이터를 제어하고, 모듈레이터는 제어신호에 의해 휠실린더에 가하는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차량제동이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는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차륜속도감지용으로 양호하게 사용되는 것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다기통 엔진의 각각의 실린더 내에서 점화순서를 결정하는 크랭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륜속도감지장치는 코일을 대체하여 자기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이고 조립 작업성 및 이의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센서조립체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되어 공간의 이용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동차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며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산(2a)과 골(2b)이 이루어진 톱니바퀴형상의 톤휠(2), 상기 톤휠(2)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를 갖춘 차륜속도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톤휠(2)의 외주면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30), 상기 영구자석(130)과 상기 톤휠(2)의 외주면 사이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를 발생하도록 호올소자로 이루어진 자기소자(140), 상기 자기소자(140)로부터 출력되는 정현파형의 전압신호를 구형파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소자와 상기 자기소자(140)가 일체로 집적된 회로기판조립체(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조립체는 상기 영구자석(130)과 상기 자기소자(140) 및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가 지지되도록 지지부재(120)가 길이방향으로 내장된 보호하우징(100),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보호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15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는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130)이 끼워져 결합되는 수납실(124), 상기 수납실(124) 전면벽(121)에 상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상기 자기소자(140)의 측면이 지지되어 상기 자기소자(140)가 고정되는 수납홈(121a), 상기 수납홈(121a)의 전방에서 상기 자기소자(140)의 조립위치를 고정하며 이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판재(1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에는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등(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125)부분에는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에 천공된 위치공정용 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부로 노출된 선단부가 융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를 고정시키는 돌기(126a, 126b)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전단부에 인접한 표면에는 적어도 전원용 배선과 접지용 배선 및 감지신호용 배선이 마련되며, 상기 배선들에 대응하는 상기 자기소자(140)의 단자핀들은 적어도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절곡되어 상기 배선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 상부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조립체(150)에 장착된 회로소자의 이탈을 방지하며 수분 침투가 방지되도록 레진(152)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하우징(100) 후단의 개구부에는 상기 전선(154)을 감싸 보호하는 외부하우징(110)의 단부가 융착결합되며, 상기 보호하우징(100)의 개구부에는 고리형상의 결합돌기(103)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03)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리형상의 홈(112), 상기 보호하우징(1 00) 후단의 개구부와 융착결합되는 돌기(11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154)은 단일의 피복(155)에 의해 쌓여진 상태에서 전선지지부재(111)와 함께 사출성형되며, 상기 전선지지부재(11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용 돌기(111a)가 마련되어 상기 외부하우징(110)과 함께 삽입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륜속도감지장치.
KR1019950011583A 1995-05-11 1995-05-11 차륜속도 감지장치 KR015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583A KR0150920B1 (ko) 1995-05-11 1995-05-11 차륜속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1583A KR0150920B1 (ko) 1995-05-11 1995-05-11 차륜속도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063A KR960042063A (ko) 1996-12-19
KR0150920B1 true KR0150920B1 (ko) 1999-01-15

Family

ID=1941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583A KR0150920B1 (ko) 1995-05-11 1995-05-11 차륜속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103B1 (ko) * 2005-05-31 2007-03-14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피드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139621B1 (ko) * 2009-12-01 2012-04-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용 장력 측정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30B1 (ko) * 2006-11-23 2008-04-07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마그네틱 센서 구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103B1 (ko) * 2005-05-31 2007-03-14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피드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139621B1 (ko) * 2009-12-01 2012-04-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용 장력 측정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063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4937B2 (ja) 回転検出装置
US9513306B2 (en) Sensor unit for a vehicle
JP5414333B2 (ja)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US6157186A (en) Rotation detecting apparatus having a casing made of resin material and having a clearance groove for absorbing thermal radiation
JP4697597B2 (ja) ブスバーおよびモータ
HU223248B1 (hu) Műanyag tokú érzékelő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US20040150390A1 (en) Rotational speed detector having outer wall molded with resin
KR0150920B1 (ko) 차륜속도 감지장치
JP4207753B2 (ja) 電気回路機器の樹脂筐体構造
US20050126308A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992734A (en) Rotation det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processing circuit and a transducer element holder
US6025710A (en) Connection arrangement between a sensor and connection leads
JP4149698B2 (ja) 電流検出装置及びこの電流検出装置が用いられた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3871430B2 (ja) 圧力センサ
JP2002257663A (ja) 圧力検出装置
JP4135264B2 (ja) 圧力センサの固定構造
KR200471707Y1 (ko) 배터리 전류 검출 장치
JP2009281856A (ja) 回転センサ
JPH0979864A (ja) 回転位置検出装置
JP2000033848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2573917Y2 (ja) 回転検出装置
JP5720450B2 (ja) 圧力センサおよび圧力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JP2597510Y2 (ja) 磁気センサ
KR19980048482A (ko) 차륜속도 감지장치
JP2006145238A (ja) 電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