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273B1 -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273B1
KR0150273B1 KR1019940034307A KR19940034307A KR0150273B1 KR 0150273 B1 KR0150273 B1 KR 0150273B1 KR 1019940034307 A KR1019940034307 A KR 1019940034307A KR 19940034307 A KR19940034307 A KR 19940034307A KR 0150273 B1 KR0150273 B1 KR 015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box
box beam
support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521A (ko
Inventor
신장철
신유철
Original Assignee
신장철
신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철, 신유철 filed Critical 신장철
Priority to KR101994003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273B1/ko
Publication of KR960023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가(高架), 교량(橋梁) 등의 구축부재로 사용하는 강제 박스보(Steel Box Girder) 제작을 위한 터닝 방법과 터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한 바와 같이 강제 박스보의 제작 공정 중에서 가접된 박스보의 제반 접합부들을 필릿 본용접하는 공정은 용접결함에 의한 강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아래보기 자세로만 용접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반 접합부들을 단계적으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에 대응하도록 90도 회전시켜 작업대에 재정열하는 터닝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박스보는 거대한 부피의 고중량체(高重量體)이어서 터닝작업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대의 일측에 두 대 이상의 기중기에 체인블럭장치를 설치하여, 박스보의 양측단을 체인으로 감아 걸어 올린 후, 체인을 회전시켜 박스보를 90도 내외로 회전시키는 터닝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 터닝 작업은 수작업으로 체인을 감아걸고 풀러야하는 등 작업공수가 많고, 체인에 의하여 박스보의 양변부(Edge)가 파손되고 터닝작동과 양측 체인간의 동조작동이 불완전하여 품질관리가 어렵고 생산성이 낮으며, 자동화할 수 없으며, 설치공간과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터닝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터닝장치 전체를 지하에 내장한 출몰형으로 구성하여 작업장 점유율을 낮추고, 터닝장치에 유압장치로 작동 제어되어 박스보의 하단과 측단을 받쳐 후방으로 90도 회전시키는 위치변환형 박스보 받침수단들을 구비하여, 터닝작업을 보의 외형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며, 일괄적이고 용이하게 원격제어가 가능케하여 터닝작업의 자동화를 꾀하여 생산성과 품질관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터닝방법과 터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강제 박스보(Steel Box Girder)제작을 위한 터닝(Turning)방법과 터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터닝방법을 만족시키는 일 실시예의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 장치의 평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중 A-A선 단면상으로 본 일측 터닝장치의 종단면 측면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배면구성도이다.
제4도는 강제 박스보의 구성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 터닝장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 터닝장치의 단면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 터닝장치의 측면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 터닝장치의 평면구성도.
제9도는 제7도 중 B-B선 상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7도 중 C-C선 상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1도는 제6도 중 E-E선 상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제8도 중 F-F선 상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 터닝 장치의 작동 상태 개요도.
제14도는 박스보의 본용접공정간에 실시되는 박스보의 터닝작동 개요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1,3차 터닝 작업의 개요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2,4차 터닝작업의 개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G : 강제 박스보 Ga, Gb, Gc, Gd : 박스보의 상하좌우측판
Gx : 박스보의 보강판 B : 지층
CPU : 터닝머신 제어장치 T : 터닝머신
Ua, Ub : 좌우 맨홀 U1 : 맨홀의 바닥
U2 : 레일 U3 : 들춤식 커버
U4 : 펼침식 커버 U5 : 수직벽
W : 작업대 10 : 하부대차
11 : 승강용 유압실린더 12 : 실린더 고정힌지
13 : 하부대차의 안내레일 13a : 상부함체의 안내레일
13c : 보조판의 받침레일 14 : 하부대차의 상판
15 : 브라켓 15a : 맨홀 수직벽의 브라켓
16 : 보강부재 17 : 하부대차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더
17a : 작동로드 19 : 휠
20 : 상부함체 20a : 전방함체
20b : 후방함체 20c : 보강함체
21 : 고정브라켓 22 : 힌지
23 : 힌지축 24, 25 : 받침봉
26 : 2차 유압실린더 고정축 27 : 보강판
28 : 고정힌지 30 : 좌측 보받침대
31 ; 상판 32 : 돌기형 축수부재
33 : 실린더브라켓 33a : 힌지축
34 : 로드브라켓 35 : 2차 가변 유압실린더
35a : 로드 36 : 받침구
37 : 좌측 보받침대의 보강판 38 : 받침목
40 : 우측 보받침대 41 : 우측 받침대의 상판
42 : 우측 축수부재 43 : 로드브라켓
43a : 힌지축 44 : 1차 가변 유압실린더
44a : 로드 45 : 받침목
46 : 받침구 47 : 우측 받침대의 보강관
50 : 승강동조장치 51, 52 : 띠형 버팀간
53 : 회동축 54, 55 : 활차
56 : 보조판 58 : 연동관
본 발명은 고가(高架), 교량(橋梁) 등의 구축부재로 사용하는 강제 박스보(Steel Box Girder) 제작을 위한 터닝(Turning)방법과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가, 교량 등의 구축부재로 사용되는 강제 박스보(G)의 구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좁은 폭과 긴 길이를 갖는 네장의 띠형 강판부재로 형성된 상하, 좌우 측판(Ga)(Gb)(Gc)(Gd)들을 사각관형으로 맞추고 그 내부에는 보강판(Gx)들을 부착하여 제반 접합부(P1....P12)들을 용접으로 접합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강제 박스보(G)의 일반적인 제작공정은, 제작할 보의 규격에 맞추어 네 장의 띠형 강판부재를 상,하판(Ga)(Gb)용과 좌우측판(Gc)(Gd)용의 두 규격으로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상, 하판(Ga)(Gb)중에 하판(Gb)을 지층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작업대(W) 위에 평면으로 놓고, 하판(Gb)의 양측변에 걸쳐서 좌, 우측판(Gc)(Gd)들을 연차적으로 티(T)이음으로 세워 접합부(P1...P4)들을 부분적으로 가접한 후, 보강판(GX)을 세워 넣고 접합부(P5, P6, P12)들을 가접한 후, 세워진 좌우측판(Gc)(Gd)의 상면에 상판(Ga)을 덮어 그 접합부(P6...P9)들을 가용접하는 일차 가제작공정을 실시하고, 이 가제작 공정으로 형성된 가접 박스보(G)를 굴림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좌,우측판(Gc)(Gd) 상하 양단의 내외에 형성되는 상하판(Ga)(Gb)들과의 접합부와 보강판(Gx)들과의 접합부들 전체를 정상적으로 필릿 본용접하여 완성하는 공정으로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박스보(G)의 제작공정에 있어서, 상, 하판(Ga)(Gb)과 좌,우측판(Gc)(Gd)들과의 가접부를 본용접하는 공정과, 박스보(G) 의 내부에 고정하는 수개의 보강판(Gx)들의 본용접공정은 박스보(G)의 강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공정이므로, 용접자세의 불량과 용접 결함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반 접합부의 본용접 작업은 항상 아래보기 자세로만 용접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제발 접합부의 본용접작업을 아래보기 자세로 용접하기 위해서는 접합부(용접부)들의 위치를 용접기의 하방에서 용접구(용접봉, 용접팁, 용접전극, 용접토오치등)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에 대응하도록 작업대(W)에 졍열시켜야 하나, 강제 박스보(G)는 두꺼운 강판부재를 사용한 거대한 부피의 고중량(高重量) 구조물이며,
접합부들은 박스보(G)의 좌,우측판(Gc)(Gd) 상하양단의 내외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가접된 박스보(G)를 굴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접할 접합부를 용접단계별로 작업대(w)사에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정열하는 작업은 매우 난해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작업대의 일측방이나 상방에 두 대이상의 타워형 기중기나 천정형 기중기를 설치하고, 이 기중기들에는 체인을 달아 올리고 회전시킬 수 있는 체인블럭장치를 설치하여, 박스보의 본용접공정에서 용접단계별로 각 접합부들을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회전정열할 때에는, 가접된 박스보의 양측단을 각각 체인으로 감아 걸은 후 체인을 들어 올려 박스보를 작업대 상방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체인블럭에서 박스보를 감은 체인의 일측단은 감고, 타측단은 풀러주는 방식으로 체인을 회전시켜, 가접된 박스보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용접할 해당 접합부를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교정정열한 후, 다시 작업대에 박스보를 하강 안착시키는 방식의 체인걸이식 터닝머신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 체인걸이식 터닝머신들은 박스보의 외면을 체인으로 감아 걸어야 하므로, 박스보(G) 상하판의 양변부(Edge) 가 체인고리에 긁히고 짓눌려 파손되며 형상이 일그러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재가공하여야 되는 등의 품질관리가 어렵고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으며,
양측 기중기의 체인들을 박스보의 양측단에 감아 거는 작업은 반드시 수작업으로밖에 실시할 수 없어 비능률적이고 자동화를 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박스보를 체인으로 감아 걸은 상태에서 작업대의 상하방으로 승강시키는 작동제어가 부정확하고 동조제어가 어려워 승강작업이 불안정하고, 기중기의 조작에 숙련공이 요구되는 등 터닝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으며,
박스보의 작업대 측방과 상방으로 기중기의 설치공간과 장치비가 상당히 요구되고, 타워형 기중기는 항상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대의 측방에서 작업영역에 근접되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용접기 등의 작업기자재의 배치상 및 운용상에 많은 제약을 주고 작업자의 작업에 간섭을 주어 활동성을 저하시키는 단점 등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강제 박스보의 제작공정 중 주요 공정인 본용접 공정에 수반되는 박스보 터닝 작업상의 제반 문제점과 종래의 터닝 장치의 단점들을 해결하고자 제공되는 것으로서,
주요 목적은 강제 박스보의 터닝작업에 있어서 보의 외형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며 소음을 극소화하여 터닝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터닝장치 전체를 일괄적이고 용이하게 원격제어가 가능케하여 터닝작업의 자동화를 꾀하여 생산성을 높이며, 터닝 장치의 설치공간을 작업대의 측방 평면상이나 상방의 어느 측으로도 요구되지 않는 지하층에 형성할 수 있는 높은 공간 활용율을 갖는 터닝방법과, 상기 터닝방법을 만족시키는 자동화된 고성능 터닝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의 특징은,
박스보가 길이 방향에 걸쳐 평면상으로 얹혀지는 작업대의 양측 하방으로 두 곳의 침몰형 맨홀을 구비하고, 이 맨홀들내에는 각각 터닝머신을 구비하되, 각각의 터닝머신들은 터닝작동시에는 용접할 박스보의 하면과 측면을 각각 직각면으로 받쳐 일측으로 90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비 작동시에는 각각 평면상으로 펼쳐지는 유압식 위치가변형 받침수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가변형 받침수단들은 맨홀내에서 유압장치로 전후진 이동제어되는 하부대차의 상방으로 유압장치에 의하여 승강 제어되도록 지지되는 상부함체에 장치하며, 상기 좌우 두 대의 터닝머신은 유압 동조 제어장치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동조 제어하여서, 박스보의 본용접공정에 대응하여 용접할 해당접합부의 용접부를 용접단계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90더 회전시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로 위치되도록 작업대상에 재정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제 박스보의 본용접공정에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박스보의 터닝작업에 있어서, 보의 외형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터닝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터닝장치의 작동부재들을 유압장치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원격제어가 가능케하여 터닝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터닝장치의 설치공간을 작업대의 하방 지하층에 형성하므로서 작업장의 공간활용율을 대폭 높이고, 용접작업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터닝방법을 만족시키는 일 실시예의 강제 박스보 제작용 터닝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제2도는 제 1도중 A-A선 단면상으로 본 일측 터닝 장치의 종단면 측면구성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배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터닝장치 기본구성은, 박스보(G)가 길이방향에 걸쳐 수평상으로 얹혀지는 작업대(W)의 좌우양측으로, 지층(B)에서 지하로 침몰된 좌우 맨홀(Ua)(Ub)를 구비하고, 이 맨홀(Ua)(Ub)들내에는 각각 박스보(G)의 양측 하단과 일측단을 받쳐 회전시키는 터닝머신(T)을 구비하며, 상기 터닝머신(T)들은 하나의 유압회로에 의하여 동조제어할 수 있는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구비함에 특징이 있다.
좌우 맨홀(Ua)(Ub)은 박스보(G)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작업대(W)의 좌우 양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길게 침몰된 장방형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로 구축되고, 바닥(U1)에는 터닝머신(T)을 전후 길이방향으로 평면이동 안내하는 레일(U2)을 구비한다.
맨홀(Ua)(Ub)들의 좌우폭은 내설되는 터닝머신(T)의 좌우폭보다 작업자가 활동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부를 좌우로 두고 넓게 형성하여 공간부의 상부는 지층(B)면과 평평하게 위치하는 들춤식 커버(U3)를 설치하고, 맨홀(Ua)(Ub)의 전후길이는 후술하는 터닝머신(T)의 전후이동 작동구성에 맞추어 터닝머신(T)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펼침식 커버(U4)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좌우 맨홀(Ua)(Ub)들내에 각각 설치되는 터닝머신(T)의 일실시예 구성은 제5도 터닝머신(T)의 사시도 내지 제13도 작동상태 개요도 등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터닝머신(T)의 기본구성은 상기 좌우 맨홀(Ua)(Ub)의 바닥(U1)에 설치된 레일(U2)에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하부대차(10)와, 이 하부대차(10)의 상방으로 유압실린더로 지지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상부함체(20)와, 이 상부함체(20)의 중앙 상단에 힌지로 각각 축설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면서 박스보(G)를 받쳐 회전시키는 유압식 위치가변형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과, 상기 상부함체와 하부대차(20)(10)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함체(20)의 승강작동을 동조시키는 승강동조장치(50)로 구성된다.
하부대차(10)는 각각의 좌우 맨홀(Ua)(Ub)의 바닥(U1)에 설치된 레일(U2)위에 얹혀져 좌우로 평면이동할 수 있는 대차형 받침대로서, 레일(U2)에 활접되는 수개의 휠(19)들이 하단에 설치되고, 상판(14)의 네귀에는 상부함체(20) 승강용 유압실린더(11)들이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그 내측으로는 승강동조장치(50)의 일측 고정부재인 두대의 고정힌지(12)들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승강동조장치(50)의 활동부재인 두 개의 복수형 안내레일(13)들이 설치되며, 상판(14)의 중간 하단부 보강부재(16)에는 브라켓(15)이 설치되고 맨홀(Ua)(Ub)의 일측 수직벽(U5) 하단에는 브라켓(15a)이 고정설치되어 하부대차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더(17)와 그 작동로드(17a)가 연결된다.
상부함체(20)는 상기 하부대차(10)의 네귀에 설치된 승강용 유압실린더(11)들의 작동로드(11a)들의 상방에서 네귀의 전후방 고정브라켓(21)으로 지지되고 중앙부는 후술하는 좌우측 보받침대들의 일부 하단부재들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장방형의 강철제 함체로서, 좌우길이는 하부대차(10)의 길이와 같고 폭과 높이는 작업대상의 제작할 박스보의 중량과 이 박스보를 받치는 좌우측 보받침대들의 중량에 대응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박스보 형태의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 전후방에 두고 좌우 양단 사이에는 보강함체(20c)들을 일체로 고정부착한 구성이다.
상기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의 상단 중간에는 각각 전후 힌지(22)가 설치되어, 중앙부가 힌지축(23)의 중앙에 축설되게 돌기형 축수부재(32)를 갖는 좌측 보받침대(30)와, 이 돌기형 좌측 축수부재(32)를 외측으로 감싸는 유(U)자형의 우측 축수부재(42) 갖는 우측 보받침대(40)들을 하나의 힌지축(23)으로 축설한다.
상기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은 각각 중앙부가 전후방함체(20a)(20b)의 중간부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힌지(22)에 축설된 상태에서 각각 전후방함체(20a)(20b) 사이의 공간부내에 안착되는 정도의 폭과, 전후방함체(20a)(20b)의 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상판(31)(41)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이고 그 상면에는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개의 받침목(38)(45)들이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비작동 시에는 힌지(22)를 중심으로 좌우로 펼쳐져 보강함체(20c)들의 상단에 설치된 주와 받침봉(24)(25)들에 받침구(36)(46)들이 받쳐져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로 각각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유설되고, 작동시에는 우측 보받침대(40)가 90도 직립되는 1차 위치가변 작동구성과, 우측 보받침대(40)가 90도로 직립된 상태에서 좌우측 보받침대(30)(40)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2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을 갖는 위치가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가변형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 중에 우측 보받침대(40)만 90도로 직립되는 1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은, 우측 보받침대(40)의 유(U)자형 우측 축수부재(42)의 양단을 상판(41)면에 대하여 45도 하향가 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끝단부를 로드브라켓(43)으로 형성하고, 좌측 보받침대(30)의 좌측 하단에는 유(U)자형 실린더브라켓(33)을 부착시켜 1차가변 유압실린더(44)와 그 로드(44a)를 힌지축(43a)(33a)로 축설시킨 구성이다.
상기한 1차 가변작동 후,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좌우측 보받침대(30)(40)이 전체적으로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2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은 , 좌측 보받침대(30)의 우측편 전후외측면에는 각각 로드브라켓(34)들을 부착하고, 상기 전후방함체(20a)(20b)의 좌측편에는 함체의 일부를 상방으로 개구시켜서 2차 유압실린더 고정축(26)으로 각각 전후방 2차 가변 유압실린더(35)들을 축설시켜 내설하고, 그 로드(35a) 들은 상기 좌측보받침대(30)의 외측에 설치된 로드브라켓(34)에 힌지축(34a)으로 축설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27은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를 가로지르는 보강관들이고, 37은 좌측 보받침대(30)의 보강관, 47은 우측 보받침대(40)의 보강관이다.
상기한 구성의 상부함체(20)는 하부대차(10)와의 사이에 X자형으로 승강동조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승강동조장치(50)는 2개의 띠형 버팀간(51)(52)들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교차부를 회동축(53)으로 축설한 동조부재를 상부함체(20)와 하부대차(10) 사이의 공간부 전후방 양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설치하되, 전후방 버팀간(52)들의 좌측 하부단들은 하부대차(10)의 상판(14) 좌측 전후방에 고정설치한 고정힌지(12)에 각각 축설하고,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좌측 상부단들은 상부함체(20)의 좌측 전후방 하단에 고정힌지(28)를 설치하여 축설하며,
제11도에 도시한 확대단면도와 같이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우측 하부단들은, 하부대차(10)의 상판(14) 우측 전후방에 고정설치한 안내레일(13)에 복수의 활차(54)를 갖고 활접시키며, 전후방 버팀간(52)의 우측 상부단들은 상부함체(20)의 우측 전후방 하단에 설치한 안내레일(13a) 을 복수의 활차(55)를 갖고 활접시키되, 안내레일(13a)들의 외측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보조판(56)들을 부착하여 그 하단에 활차(55)의 하단을 받쳐 주는 받침레일(13c)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X자형의 동조부재는 전후방부재가 동일한 연동궤적으로 작동되게 전후방 버팀간(51)(52)들 사이에 수개의 연동관 (58)들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승강동조장치(50)에 의하면, 후술한 터닝작업을 위한 작동에서 하부대차(10)의 네귀에 설치된 상부함체(20) 승강용 유압실린더(11)를 가동시켜 상부함체(20)를 승강시킬때에, 네 개의 유압실린더(11)중에 어느 일측의 것들이 타측과의 동조작동이 불완전하여 상부함체(20)의 네귀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불안정되게 승하강되는 작동하자를 방지하는 승강동조작용을 한다.
그 승강동조작용은, 상부함체 승강용 유압실린더(11)를 가동하여 네귀에서 작동로드(11a)로 상부함체(20)를 상승시킬 때에는, 상승되는 상부함체(20)에 따라 좌측 고정 힌지(28)와 우측 안내레일(13a) 및 보조판(56)에 설치된 받침레일(13c)들도 상승하게 되는바, 좌측 상부 전후방 고정힌지(28)들은 축설된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상부단들을, 우측 상부 전후방 보조판(56)의 받침레일(13c)들은 활접된 전후방 버팀간(52)들의 상부단을 들어올리려는 모우멘트를 발생시켜, 이 모우멘트는 전후방 각각의 버팀간(51)(52)들을 회동축(53)을 중심으로 중앙측으로 오므리게 작용하고, 이에 따라 우측의 활차(54)(55)들은 안내레일(13)(13a) 및 받침레일(13c)에 내측으로 활접 이동하게 되어 상부함체(20)의 네귀를 수평을 유지하도록 동조시키면서 상승되게 하고,
상부함체(20)가 상승된 상태에서 하강시키고져 승강용 유압실린더(11)의 유압을 작동로드(11a)가 하강되게 제어하면, 하강되는 상부함체(20)에 따라 좌측 고정힌지(28)와 우측 안내레일(13a) 및 보조판(56)에 설치된 받침레일(13c)들도 하강하게 되는바, 좌측 상부 전후방 고정힌지(28)들은 축설된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상부단들을 , 우측 상부 전후방 안내레일(13a)들은 활접된 전후방 버팀간(52)들의 상부단들을 누르는 모우멘트를 발생시켜, 이 모우멘트는 전후방 각각의 버팀간(51)(52)들을 회동축(53)을 중심으로 외측방으로 눌러 벌리는 작용을 하고, 이에 따라 우측의 활차(54)(55)들은 안내레일(13)(13a)들에서 외측으로 활접 이동하게 되어 상부함체(20)의 네귀를 수평을 유지하도록 동조시키면서 상부함체(20)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또한 전후방 x자형의 내외측 버팀간(51)(52)들 간에는 각각 수개의 연동관(58)들을 고정설치하므로서, 전후방측으로의 수평불균일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좌우 맨홀(Ua)(Ub)들내에 설치된 좌우 2대의 터닝머신(T)들의 작동은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된 하나의 터닝머신 제어장치(CPU)에 의한 유압회로의 제어로, 좌우양측 각각의 유압실린더들을 작동행정별로 동조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터닝장치에 의하면 강제 박스보(G)의 제작 공정중에 본용접공정에 대응하여 용접할 해당 접합부의 용접부를 용접단계별로 순차적으로 90도 회전시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로 위치되도록 작업대(w) 상에 재정열하는 터닝작업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닝장치에 의한 좌우 맨홀(Ua)(Ub)내에 각각 터닝머신(T)을 설치하고, 각각의 터닝머신(T)에 설치된 제반 유압실린더들은 터닝머신 제어장치(CPU)에 유압회로로 연동시켜서,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는 터닝머신(T)을 비작동상태로 제어하면, 일차로 제 7도 및 제15-바도, 제16-바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대차(10)의 네귀에 설치되어 상부함체(20)를 받쳐 지지하고 있는 상부함체 승강용 유압실린더(11)의 유압회로를 작동로드(11a)가 하강되게 제어하여 상부함체(20)를 자중으로 하강시키고, 순차적으로 2차가변 유압실린더(35)와 1차 가변 유압실린더(44)들의 유압회로도 개방하여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을 상부함체(20)에 수평으로 펼쳐지게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터닝머신(T)이 비작동상태로 제어되면 터닝머신(T)의 상단은 맨홀(Ua)(Ub)내에 내장한 상태에서,
제작할 박스보(G)의 규격별로 가동된 네장의 상, 하판(Ga)(Gb)용과 좌우측판(Gc)(Gd)용 띠형 강판부재중에 하판(Gb)을 작업대(W)에 평면으로 놓고, 하판(Gb)의 양측변에 걸쳐서 좌우측판(Gc)(Gd)들을 연차적으로 티(T)이음으로 세워 모든 접합부들을 부분적으로 가용접한 후, 내부에 보강판(Gx)을 세워 가접하고, 세워진 좌우측판(Gc)(Gd)의 위에 상판(Ga)을 덮어 그 접합부들도 가용접하는 일차 가제작공정을 실시한다.
상기한 공정으로 가접한 박스보(G)의 접합부들의 본용접공정은 1차용접공정으로,
제14-가도와 같이 가접공정 위치 상태에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놓여진 하판(Gb)과 좌우측판(Gc)(Gd)들의 내외측 접합부(P1, P2, P3, P4)와, 하판(Gb)과 보강판(GX)의 접합부(P5)를 필릿 용접하여 본용접 1차 용접공정을 완료한다.
이와같은 본용접 1차 용접공정 완료 후에는 터닝머신(T)을 제어하여 박스보(G)를 제14-나도와 같이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는 1차 터닝작업을 실시한다.
1차 터닝작업은, 맨홀(Ua)(Ub)의 펼침식 커버(U4)를 열고,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여 제15-가도와 같이, 먼저 1차 가변 유압실린더(44)를 가동시켜 그 로드(44a)로 우측 보받침대(40)의 로드브라켓(43)을 밀어 올린다.
로드브라켓(43)을 밀어올리면 우측 보받침대(40)의 우측단이 힌지(22)의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점차 상방으로 올라가므로 우측 보받침대(40)의 상판(41)면이 좌측 보받침대(30)의 상판(31)과 직각이 되는 시점까지 제어하여 우측 보받침대(40)가 직립되는 1차 위치가변 작동상태로 제어한다.
이러한 우측 보받침대(40)가 직립되는 1차 위치가변 작동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터닝머신(T) 전체를 작업대(W)에 놓인 박스보(G)측으로 이동제어한다.
이 이동제어는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여 하부대차(10) 중간 하단부 보강부재(16)의 브라켓(15)에 작동로드(17a)가 연결되고 맨홀(Ua)(Ub)의 외측 수직벽(U5) 하단 브라켓(15a)에 고정된 하부대차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더(17)을 가동시키면, 하부대차(10)의 하단에 설치된 훨(19)들이 맨홀(Ua)(Ub)의 바닥(U1)에 설치한 레일(U2)을 타고 평면 이동되면서 실시된다.
상기한 작동으로 직립된 우측 보받침대(40)가 박스보(G)의 우측판(GD)에 거의 다다르면, 미리 설정된 박스보(G)의 위치 좌표치에 맞추어 미세작동으로 이동제어를 하면서 동시에 하부대차(10)의 승강용 유압실린더(11)도 미세하게 제어가동하여 상부함체(20)를 박스보(G)의 하단으로 승강시킨다.
제15-나도와 같이 박스보(G)의 하단으로 상부함체(20)를 승강시켜 수평상태인 좌측 보받침대(30)의 받침목(38)들이 박스보(G) 하판(Ga)의 하면에 접목되고, 직립된 우측 보받침대(40)의 받침대(45)들이 박스보(G) 우측판(GD)에 접목되면 하부대차(10)1의 평면 이동제어는 종료하고, 상부함체(20)의 승강제어는 일정 높이까지 계속하여 제15-다도와 같이 박스보(G)를 작업대(W)에서 리프팅한 후 정지시킨다.
제15-다도와 같이 박스보(G)가 작업대(W)에서 일정높이로 리프팅되면, 제13도 및 제15-라도와 같이 2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을 가동시켜 박스보(G)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 2차 위치가변 작동은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여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에 설치된 2차가변 유압실린더(35)를 가동시켜서 실시하는바.
2차가변 유압실린더(35)를 가동시키면 그 로드(35a)가 좌측 보받침대(30)의 측단에서 로드(35a)를 힌지축(34a)으로 축설한 로드브라켓(34)을 밀어올려 박스보(G)를 직각으로 받치고 있는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을 동시에 힌지(22)의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의 90도 회전작동은 중량물의 박스보(G)가 양측 터닝머신(T)에 받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제13도 및 제15-라도와 완전히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우측 보받침대(40)의 받침구(46)가 좌측 받침봉(25)에 안착되어서 우측 보받침대(40)의 상판(41)이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좌측 보받침대(30)의 상판(31)은 직립되는 위치까지 서서히 진행된다.
제15-라도와 같이 박스보(G)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는 2차 위치가변 작동이 완료되면, 제15-마도와 같이 직립된 좌측 보받침대(30)를 수평위치로 원위치시킨다.
이 작동은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여 2차 가변 유압실린더(35)들과, 1차가변 유압실린더(44)를 동시에 개방하여 좌측 보받침대(30)를 하강시켜 실시된다.
제15-마도와 같이 직립된 좌측 보받침대(30)가 수평위치로 원위치되면, 90도로 터닝되어 우측판(GD)이 우측 보받침대(40)상에 받쳐져 있는 박스보(G)를 작업대(W)위로 정열시키기 위한 터닝머신(T) 전체의 좌측으로의 평면이동 제어가 실시된다.
이 좌측 평면 이동제어는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제어하여 하부대차(10)의 하단브라켓(15)과 맨홀(Ua)(Ub)의 외측 수직벽(U5) 하단 브라켓(15a) 간에 설치된 하부대차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더(17)를 가동시켜서, 터닝머신(T) 전체를 미리 설정된 좌표치에 의한 작업대(W)상의 용접위치까지 좌측으로 평면이동시켜 실시된다.
상기한 좌측 평면이동제어로 박스보(G)가 미리 설정된 좌표치에 의한 작업대(W)상의 용접위치의 상방에 이르면,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를 비작동상태로 제어하여,
제15-바와 같이 하부대차(10)의 네귀에 설치되어 상부함체(20)를 받쳐 지지하고 있는 상부함체 승강용 유압실린더(11)를 작동로드(11a)가 하강되게 가동시켜 상부함체(20)를 자중으로 하강시킨다.
이러한 상부함체(20)의 하강에 의하면 우측 보받침대(40)에 우측판(GD)이 하단면으로 받쳐져 있던 박스보(G)는 자동적으로 작업대(W)위에 받쳐져 작업위치로 정열된다.
이와 같이 박스보(G)가 우측판(GD)을 하단면으로 작업대(W)위에 받쳐져 작업위치로 재정열되면, 이어서 터닝머신(T) 전체를 하부대차(10)의 하단 브라켓(15)과 맨홀(Ua)(Ub)의 외측 수직벽(U5) 하단 브라켓 간에 설치된 하부대차 좌우이동용 유압실린더(17)를 가동시켜서, 맨홀(Ua)(Ub)의 수직벽(U2) 측으로 원위치 평면이동제어한 후, 펼침식 커버(U4)를 펼쳐 맨홀(Ua)(Ub)들의 상방을 덮는다.
상기한 일련의 1차 터닝작업으로 제14-나도와 같이 작업대(W)위에 우측판(GD)을 하단면으로 박스보(G)가 재정열되면, 본용접 2차 용접공정으로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놓여진 우측판(GD)과 보강판(GX)의 내측 접합부(P6)를 2차 필릿 본용접공정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본용접 2차 용접공정 완료 후에는 다시 터닝머신(T)을 제어하여,
제14-나도의 위치의 박스보(G)를 제14-다도와 같이 상판(Ga)이 하단면으로 위치되게 우측으로 다시 90도 회전시키는 2차 터닝작업을 제16 가~바도와 같이 실시한다
제16 가~바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 터닝작업은 상술한 1차 터닝작업과 동일한 행정으로 실시하되, 터닝머신(T)의 좌우측 보받침대(30)(40)에 접목되는 박스보(G)의 형태는 우측판(GD)이 하단면이고 상판(Ga)이 우측단으로 세워진 형태만 상이하다.
2차 터닝작업이 1차 터닝작업과 동일한 행정으로 제 16도 가~바도와 같이 실시되면 박스보(G)는 작업대(W)위에 제14-다도와 같이, 상판(Ga)과 좌우측판(Gc)(Gd)들의 내외측 접합부(P7, P8, P9, P10)들과, 상판(Ga)과 보강판(GX)이 타측 접합부(P11)들이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 용접위치로 놓여지므로, 이 접합부들을 3차 필릿 본용접공정을 실시한다.
이와같은 본용접 3차용접공정 완료 후에는 터닝머신(T)을 제 1,2차 터닝작업과 동일하게 제어작동시켜, 제14-다도도 위치의 박스보(G)를 제14-라도와 같이 좌측판(Gc)이 하단면으로 위치되게 우측으로 다시 90도 회전시키는 3차 터닝작업을 실시하고,
3차 터닝작업의 완료로 박스보(G)가 작업대(W)위에 제14-라도와 같이 좌측판(Gc)이 하단면으로 위치되게 정열되면,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자세용접위치로 놓여진 좌측판(Gc)과 보강판(GX)의 타측 접합부(P12)를 4차 필릿 본용점공정으로 실시한다.
제14-라도의 위치에서 4차 필릿 본용접공정이 완료되면 상하좌우판(Ga)(Gb)(Gc)(GD)들과 보강판(GX)들의 제반 접합들의 본용접공정이 완료되므로,
상술한 2차 터닝작업과 동일한 행정으로 4차 터닝작업을 실시하여 제14-마도와 같이 박스보(G)를 본용접초기의 위치로 터닝시켜 상판(Ga)의 상면 수개소에서 행거(Gh)들을 접합하는 접합부(P13, P14)들을 필릿용접하는 5차 용접공정을 실시하여 박스보(G)의 제반 본용접공정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강제 박스보(G)의 제작동정 중의 주요 공정인 본용접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접합부들의 본용접공정에서 용접자세의 불량과 용접결함에 의한 강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1~5차에 걸친 본용접공정간에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박스보(G)의 상하좌우판(Ga)(Gb)(Gc)(GD)들과 보강판(GX)들 간의 내외측 접합부들을 용접구에 대하여 아래보기 용접위치로 단계적으로 90도 터닝하여 작업대(W)상에 정열시키는 터닝작업을, 본 발명의 터닝장치와 터닝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므로서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닝방법과 터닝장치에 의하면 강제 박스보(G)의 터닝장치 설비에 따른 작업장 공간점유율을 대폭 낮추어 작업장 공간활용율과 작업기자재의 배치 및 운용성을 대폭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닝장치는 작업대(W)의 좌우측이나 상방측으로의 공간점유없이 작업대(W)가 설치되는 지층(B)의 지하로 침몰된 적은 공간의 맨홀(Ua)(Ub)을 마련하고, 이 맨홀(Ua)(Ub)에는 비작동시에는 내장되고 작동시에만 일부부재만 지층(B)으로 돌출되는 터닝머신(T)을 설치하므로서,
종래의 체인과 체인블럭을 타워형 기중기나 천정형 기중기에 설치한 터닝머신(T)에 비할 때, 작업대의 측방에서 항상 고정된 위치로 작업영역에 근접되게 노출되어 용접기 등의 작업기자재의 배치 및 운용상에 제약을 주고 작업자의 작업에 많은 간섭을 주는 단점을 해결하여, 작업장의 작업대 배치 및 작업기자재 배치 및 운용상의 공간활용율을 대폭 높이고 작업자의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닝방법과 터닝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닝작업을 실시하는 터닝머신(T)의 작동장치들이 터닝머신 제어장치(CPU)로 제어되는 유압장치로 작동되고, 박스보(G)를 터닝시키는 받침수단들을 박스보(G)의 하단과 측단을 받쳐 지지하는 위치가변식 좌우측 보받침대로 구성하므로서,
종래의 체인과 체인블럭을 타워형 기중기나 천정형 기중기에 설치한 터닝머신에 비할 때, 수차례 실시되는 터닝작업시마다 양측 기중기의 체인을 박스보(G)의 양측단에 별도의 인원과 공수를 소모하여 수작업으로 감아걸어야 하고, 박스보(G)의 외면을 감아 걸은 체인에 의하여 터닝작동시 박스보(G) 상하판의 양변부(Edge)가 긁히고 짓눌려 외형이 일그러지고 파손되며, 손상부를 재가공하여야 되며, 박스보(G)를 체인으로 감은 상태에서 작업대의 상하방으로의 양측 체인의 승강작동제어와 터닝작동이 부정확하고 동조제어가 어려워 불안정한 등의 터닝작업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성이 낮아서 생산성과 품질관리성에서 매우 비능률적이고 비효율적인 단점을 해결하여,
강제 박스보의 터닝작업에 있어서 박스보의 외형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하나의 터닝머신 제어장치에 의하여 양측 터닝머신을 정밀하게 동조제어하면서 제반 작동부재 전체를 일괄적이고 용이하게 원격제어가 가능케하여, 터닝작업과 안전성과 신속성을 확보하면서 성력화, 자동화하여 품질관리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터닝장치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맨홀(Ua)(Ub)과 터닝머신(T)의 구성은 제작할 박스보(G)의 규격에 따라서 크기와 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동일한 크기의 터닝머신(T)에서도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의 길이와 폭 및 제반 유압실린더들의 작동행정도 임의의 규격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터닝머신의 비작동시 맨홀(Ua)(Ub)의 상면을 덮는 들춤식 커버(U3)와 펼침식 커버(U4)들의 구성은 도시한 일실시예의 구성외에 전체적으로 한가지 형식의 들춤식이나 펼침식, 또는 쟈바라식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며, 그 작동방식은 설명되지 않았으나 자동화측면에서 전동식이나 유압식등 원격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강제 박스보의 본용접공정간에 실시되는 터닝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박스보 작업대의 양측 하방 지하로 침몰된 좌우 맨홀에, 박스보의 폭방향으로 이동제어되는 하부대차와 이 하부대차의 상면에서 상하로 승강제어되는 상부함체와 이 상부함체의 상면 중앙에서 하나의 힌지축에 좌우로 축설되어 각각 수평, 수직으로 위치가변 작동제어되는 좌우 보받침대들을 구비한 터닝머신 2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2대의 터닝머신들을 하나의 터닝머신 제어장치에 의하여 동일 행정으로 동조제어시켜서, 상기 터닝머신들의 좌측 보받침대들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우측 보받침대들은 수직으로 세우는 1차행정과, 상기 1차행정으로 세팅된 터닝머신들을 작업대 위에 얹혀져 있는 박스보 좌우양측의 하단과 우측단측으로 평면 이동시켜 접목시키는 2차행정과, 상시 2차행정으로 터닝머신의 좌우 보침대들에 접목된 박스보를 수직으로 받쳐 들어 올리는 3차행정과, 상기 3차행정으로 박스보를 받쳐들고 있는 수평, 수직의 좌우 보받침대들을 동시에 수직의 우측 보받침대 후방측으로 90도 회전시키는 4차행정과, 상기 4차행정으로 90도 터닝된 좌우측 보받침대 중에 수직으로 위치변환된 좌측 보받침대는 수평으로 원위치시키고 수평으로 위치변환된 우측 보받침대만으로 박스보를 받친 상태에서 터닝머신 전체를 작업대측으로 평면이동시키는 5차행정과, 상기 5차행정으로 작업대의 지정된 정열위치 상방에서 우측 보받침대에 받쳐져 있는 박스보를 상부함체를 하강시켜 작업대 상면에 재정열하는 6차행정과, 상기 6차행정으로 상부함체가 하강된 상태의 터닝머신 전체를 우측으로 원위치시키는 7차행정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Turning) 방법.
  2. 강제 박스보의 본용접공정에 실시되는 터닝작업용 터닝장치의 구성으로, 궤도를 따라 유압식 평면이동제어 수단에 의하여 길이방형으로 이동제어되는 하부대차와, 상기 하부대차의 상면에 수개의 유압장치로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상하승강제어되는 상부함체와, 상기 상부함체의 중앙 상단에서 일측이 힌지로 각각 회동자유롭게 축설되고 타측은 유압장치에 의하여 수평, 수직방향으로 각각 위치변환 제어되면서 박스보를 하단과 측단을 받쳐 회전시키는 유압식 위치가변형 좌우측 보받침대들을 구비한 터닝머신을 형성하여, 상기 터닝머신 2대를 박스보 작업대의 길이방향 좌우양측 하방에서 지하로 침몰된 좌우 맨홀 내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두 대의 터닝머신들을 하나의 터닝머신 유압제어장치에 의하여 행정별로 동조제어시킴을 특징으로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터닝머신의 구성중 하부대차의 유압식 평면이동 제어수단의 구성을, 하부대차(10)의 중간 하단부에는 브라켓(15)을 설치하고, 맨홀(Ua)(Ub)의 익측 수직벽(U5) 하단에는 브라켓(15a)을 설치하여, 브라켓(15)에는 작동로드(17a)를 연결하고 브라켓(15a)에는 유압실린더(17)를 연결한 유압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터닝머신의 구성중 하부대차의 상면에 상부함체를 수평상태로 상하 승강작동구성을 갖고 지지시키는 유압장치의 구성을, 하부대차(10)의 네귀에 수직으로 유압실린더(11)들을 각각 고정설치하고, 상부함체(20)의 전후방 양측단에는 고정브라켓(21)을 고정설치하여, 유압실린더 작동로드(11a)들의 상단을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박스보들 하단과 측단을 받쳐 회전시키는 유압식 위치가변형 좌우측 보받침대들을 구비한 터닝머신의 구성을, 제작할 박스보와 좌우측 보받침대들의 중량들에 대응한 충분한 받침강도를 갖는 박스보 형태의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들을 좌우 양단사이에는 보강함체(20c)들을 연결 고정하고, 중앙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전후방으로 설치하여 장방형의 상부함체(20)을 형성하고 , 상기 전방함체(20a)와 후방함체(20b)의 상단 중앙에는 각각 힌지(22)를 돌출시켜 설치하여, 이 힌지(22)의 힌지축(23)에는 돌기형 축수부재(32)가 중앙측에 형성된 좌측 보받침대(30)와 상기 좌측 보받침대(30)의 돌기형 축수부재(32)를 외측으로 감싸는 유(U)자형의 우측 축수부재(42) 갖는 우측 보받침대(40)들을 일체로 축설하며, 상기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은 각각 중앙부가 전후방함체(20a)(20b)의 중간부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힌지(22)에 축설된 상태에서 각각 전후방함체(20a)(20b) 사이의 공간부내로 출입되는 폭과, 전후방함체(20a)(20b)의 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면서, 비작동시에는 힌지(22)를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펼쳐져 좌우측 보강함체(20c)들의 좌우 받침봉(24)(25)들에 수평으로 받쳐져 유지되고, 작동시에는 우측 보받침대(40)를 터닝시킬 박스보의 우측단에 접목되게 힌지축(23)을 중심으로 90도로 직립시키는 1차 위치가변 작동구성과, 상기 1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에 의해 우측 보받침대(40)가 터닝시킬 박스보의 우측단에 접목되고 좌측 보받침대(30)는 터닝시킬 박스보의 하단에 접목된 상태에서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을 전체적으로 동시에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는 2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을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터닝머신의 구성중 하부대차와 상부함체의 사이에는, 2개의 띠형 버팀간(51)(52)들을 X자형으로 교차시켜, 교차부를 회동축(53)으로 축설한 동조부재를 상부함체(20)와 하부대차(10)사이의 공간부 전후방 양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설치하되, 전후방 버팀간(52)들의 좌측 하부단들은 하부대차(1)의 상판(14) 좌측 전후방에 고정힌지(12)에 각각 축설하고,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좌측 상부단들은 상부함체(20)의 좌측 전후방 하단에 고정힌지(28)로 축설하여, 전후방 버팀간(51)들의 우측 하부단들은, 하부대차(10)의 상판(14) 우측 전후방에 고정설치한 안내레일(13)에 복수 활차(54)를 갖고 활접시키며, 전후방 버팀간(52)의 우측 상부단들은 상부함체(2)의 우측 전후방 하단에 설치한 안내레일(13a)에 복수의 활차(55)를 갖고 활접시키되, 안내레일(13a)들의 외측에서 각각 전후방으로 보조판(56)들을 부착하고 그 하단에 받침레일(13c)을 설치하여 활차(55)의 하단을 받쳐 활접시키며, 전후방 버팀간(51)(52)들 간에는 각각 전후방 부재가 동일한 연동궤적으로 작동되게 수개의 연동관(58)들을 고정부착시킨 승강동조장치(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터닝시킬 박스보의 측단을 받치는 1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을, 좌측 보받침대(30)의 좌측 하단에는 유(U)자형 실린더브라켓(33)을 부착시키고, 우측 보받침대(40)의 유(U) 자형 우측 축수부재(42)의 양단을 상판(41)면에 대하여 45도 하향각 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끝단부를 로드브라켓(43)으로 형성하여, 유압실린더(44)의 하단은 좌측 보받침대(30)의 실린더브라켓(33)에 힌지축(33a)으로 축설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44a) 단부는 우측 보받침대(40)의 로드브라켓(43)에 힌지축에(43a)로 축설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터닝시킬 박스보의 측단과 하단을 받쳐 좌우측 보받침대(30)(40)들을 전체적으로 동시에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키는 2차 위치가변 작동구성을, 좌측 보받침대(30)의 우측편 전후외측면에는 각각 로드브라켓(34)들을 부착하고, 박스보 형태의 전후방함체(20a)(20b)의 좌측편에는 각각 함체의 일부를 상방을 개구시킨 함실을 마련하여, 상기 함실내에는 2차 유압실린더 고정축(26)으로 각각 전후방 유압실린더(35)들을 축설시켜 내설하고, 그 로드(35a) 들은 상기 좌측 보받침대(30)의 전후외측면에 설치된 로드브라켓(34)에 힌지축(34a)으로 축설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장치.
KR1019940034307A 1994-12-15 1994-12-15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KR015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07A KR0150273B1 (ko) 1994-12-15 1994-12-15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307A KR0150273B1 (ko) 1994-12-15 1994-12-15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21A KR960023521A (ko) 1996-07-20
KR0150273B1 true KR0150273B1 (ko) 1998-10-15

Family

ID=1940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07A KR0150273B1 (ko) 1994-12-15 1994-12-15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87B1 (ko) * 2007-05-10 2007-11-13 (주)삼우기계 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된 슬래브용 턴 오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01B1 (ko) * 2001-12-31 2005-05-16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강제 박스보 제작용 터닝장치
CN117226388B (zh) * 2023-09-22 2024-04-12 浙江中侨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液压打桩锤的焊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87B1 (ko) * 2007-05-10 2007-11-13 (주)삼우기계 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된 슬래브용 턴 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21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273B1 (ko) 강제 박스보 제작을 위한 터닝방법과 터닝장치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JP2971042B2 (ja) 桁運搬機及び桁運搬方法
CN116145938A (zh) 基坑边坡喷浆支护导轨式可移动操作平台
JPH11147690A (ja) 低空頭鉄筋建込装置
JP3289420B2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の設置工法
CN110862019A (zh) 一种可同时解决材料垂直和水平运输的装置的安装方法
JP2985110B2 (ja) 鉄骨屋根の建方方法
JP3374150B2 (ja) 住宅ユニットの組立装置
JP7415657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CN219194250U (zh) 一种重型构件高空起重装置
CN212477430U (zh) 一种具有起吊装置的波形钢腹板scc工法挂篮
KR100489501B1 (ko) 강제 박스보 제작용 터닝장치
JPH0743366Y2 (ja) 移動式安全ネット架設装置
JP3675286B2 (ja) 重量物搬送機構
KR200197364Y1 (ko) 교량 점검 및 유지 보수용 이동식 작업 장치
JP2539142Y2 (ja) 仮設屋根の昇降装置
JPH0455569A (ja) 走行式型枠支保工
JPH052766B2 (ko)
KR20220120858A (ko)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CN118186912A (zh) 一种装配式梁柱式支架及支架的施工方法
JPH0891759A (ja) 柱材回転装置
JPH055366A (ja) 躯体施工方法
CN110835049A (zh) 一种可同时解决材料垂直和水平运输的装置的使用方法
JPH05239928A (ja) 建築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