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875B1 -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 Google Patents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875B1
KR0149875B1 KR1019920702586A KR920702586A KR0149875B1 KR 0149875 B1 KR0149875 B1 KR 0149875B1 KR 1019920702586 A KR1019920702586 A KR 1019920702586A KR 920702586 A KR920702586 A KR 920702586A KR 0149875 B1 KR0149875 B1 KR 014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air
rubber powder
stage
coo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273A (ko
Inventor
마크 베로 그레고리
죠오지 존스 브렌톤
챨스 코왈스키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마혼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마혼,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 제이. 마혼
Publication of KR93070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crude rubber, gutta-percha, or similar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4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cooling
    • B29B13/04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cooling of powders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고무 분말을 냉각시키기 위해 고온 습윤 제1단 기류를 함유한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 공급하는 고무 분말의 냉각방법. 고무 분말을 제1단 공기 콘베이어내에서 제1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고무 분말을 제1단 기류로부터 분리하고, 냉각 건조 공기의 제2단 기류에 공급한다. 제2단 공기 콘베이어는 추가의 냉각을 위해 제2단 기류중의 고무 분말을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광의로 무수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입자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유체류로부터 다른 유체류로부터 입자들을 이동시키는 단간 사이클론(interstage cyclone) 분리기에 의해 고온 습윤 기류를 갖는 1단 공기 콘베이어로부터 냉각 건조기류를 갖는 2단 공기 콘베이어로부터 고무 입자들을 이동시킴으로써 건조 고무분말을 냉각시키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원에서 종종 사용되는, 분리기를 변형시킨 사이클론이란 용어는 참고의 편의상 나타낸 것이지, 상기 용어에 의해 특정 요소를 한정하려함이 아니다.
전형적인 엘라스토머 건조 공정에서는 공기 운반시스템에 방출시킨 탈휘발 압출기를 이용한다. 고무 입자들을 상기 콘베이어에서 냉각시킨 다음, 이어 이들을 장착된 진동 콘베이어로 이동 및 방출시킨다. 고무 입자들을 진동 콘베이어에서 더 냉각시킨 다음, 이들을 일련의 개방 진동 콘베이어를 통해 베일링(baling) 영역 또는 포장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공기 콘베이어에서 배출시키기 전에 고무 분말을 냉각시킬 수 있는 양은 공기의 포화온도 및 공기 콘베이어중의 기류물에 의해 한정된다. 공기 온도를 포화온도 미만으로 낮추면, 엘라스토머성 생성물은 형성된 자유수(free water)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습윤된다.
고무 분말에 특성을 부여하는 독특한 특성과 함께 전술한 한계는 시스템의 성능 및 품질이 저하되는 몇가지 문제성 있는 결함을 발생시킨다. 공기 콘베이어로부터 장착된 진동 콘베이어로 들어오는 고무 입자들은 여전히 고온이기 때문에, 이들은 콘베이어 표면에 점착하여 응집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기 콘베이어 하부에 있는 장비들을 오염시킨다. 또한, 오염을 야기시키는 고온 고무들은 변화된 다음 파괴되어 그 결과 생성물을 오염시키는 경향이 있다. 더우기, 생성된 고무 응집물은 포장 영역에서 중량-조절 불규칙성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장착된 진동 콘베이어로 입자들을 이동시키전에, 공기 콘베이어에서 현재 성취할 수 있는 냉각수준 보다 큰 수준으로 고무 입자들을 엘라스토머 건조 시스템에서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독특한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고무를 제1단 공기 콘베이어의 수-포화된 기류로부터 제2단 공기 콘베이어의 냉각 건조 기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실현한다. 고무 입자들을 제2단 공기 콘베이어에 들어있는 냉각 건조 공기내로 유입시키면, 입자들은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얻을 수 있는 것 이외의 부가적인 냉각을 받게 된다. 사실상, 고무 입자들은 장착된 진동 콘베이어 및 그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단점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제2단 공기 콘베이어내에서 냉각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현재 이용되고 있는 추가의 냉각 및 운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엘라스토머 건조 시스템에서 고무 분말을 냉각하고, 이들을 공기 운반 시스템에서 베일링 또는 포장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진동 냉각 및 운반 장비와 관련된 생성물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우기, 2단 공기 운반방법은 탈휘발 압출기로부터 발생된 잠재적 독성 화합물을 방출 공기에 더욱 용이하면서도 성공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으며, 통상적인 냉각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한 등급의 고무 생성물에 적합해지는 미래의 잠재성을 제공한다.
[기술 정보의 개시]
미립 물질을 운반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 콘베이어를 이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68년 5월 21일자로 피스커스(Fiscus)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384,420호는 미립물질을 호퍼(hopper)에 공급한 다음, 기류로부터 미립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물질을 분리기로 운반하는, 기류를 함유한 관형 도관 시스템에 상기 미립물질을 공급하는 이동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1986년 7월 8일자로 멘뎀블릭(Mendemblik)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99,016호에는 기류에 의해 운반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제1사이클론 분리기, 및 기류로부터 분진 및 마모성 입자들을 제거하기 위한 제2사이클론 공기 세정기를 포함한 과립상 물질용 공기운반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과립상 물질은 기류에 의해 제1사이클론 분리기로부터 운반된다.
또한, 물질들을 무수 매질과 접촉시킴으로써 각종 물질을 건조하는 다른 방법 및 수단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46년 6월 5일자로 캐도트(Cadot)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2,436,355호는 생성물의 결정화 또는 분리를 수행하기 위해 냉각 공기를 유입시킨 챔버(chamber)내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디메틸올우레아의 분무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82년 12월 21일자로 사이토(Saito)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65,057호에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질소 기체를 접촉시키면서 폴리올레핀을 건조 장치내에서 강하시키는, 폴리올레핀의 건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1971년 12월 28일자로 데이비스(Davis)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29,951호에는 고온 공기를 분무-건조챔버에 공급하고, 건조된 과립들을 상기 챔버로부터 콘베이어상으로 이동시키는, 공기 취입 슬러리의 분무-건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립 물질을 냉각시키기 위한 각종 방법 및 수단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법의 실례는 1984년 4월 10일자로 벡크맨(Beckman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41,261호이다. 상기 특허 문헌은 냉각 기류를 냉각 벙커(bunker)를 거쳐 통과시킴으로써 고온괴상 물질을 냉각 벙커에서 냉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교시하고 있다.
1980년 11월 4일자로 뮬러(Mull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4,231,991호에는 냉각 타워내로 유입된 석회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냉각 공기는 냉각 타워내로 들어와서 하강하는 석회를 통해 위로 흐르게 된다.
1978년 2월 28일자로 가드너(Gardn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076,493호에는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쉘(shell), 및 물질의 흐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냉각 공기를 물질내로 방출시키기 위한 공기 분산 수단을 포함한, 미립 물질의 냉각 장치가 나타나 있다.
1966년 8월 9일자로 프리드리히(Fridrich)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265,775호는 용기내에서 과립상 물질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기체로 과립상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물질을 냉각 및/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1968년 2월 27일자로 에써(Ess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370,358호에는 고무 분말을 냉각 및 건조시키기 위한 2단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냉각 공기는 제1단을 통해 흐르고, 고온 공기는 제2단을 통해 흐른다.
본 발명에 이르러, 고온 습윤 기류로부터 냉각 건조 기류로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이동시키기 위한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와 함께 이용되는 2단 공기 운반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성 물질을 건조시키는 개선된 방법이 발견되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건조된 고무 분말을 밀폐식 표면처리 공정에서 포장 요건과 양립할 수 있는 온도로 냉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고온 고무 분말 및 증기를 제1단 기류를 함유한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 유입시키고, 여기서 고무 분말을 제1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1단 기류는 고무로부터의 증발에 의해 형성된 기류와 혼합되어 공기/수증기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이로 인해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얻을 수 있는 냉각온도는 제1단 공기의 포화온도로 한정된다.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포화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키려는 노력은 고무 분말상에서의 불필요한 응축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제1단의 고온 습윤 공기로부터 제2단 냉각 건조 기류로 고무 분말을 이동시키고, 고무 분말을 포장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제1단 기류에서 제2단 기류로 고무 분말을 이동시키는 것은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분리기로 고무 분말을 공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분리기에서, 고무 분말은 제1단 기류로부터 분리되고, 분리기의 고형물 방출구에서 이동 부재를 통해 유입된 제2단 기류에 의해 적출된다. 이동 부재는 고무 분말을 제2단 냉각 건조 공기를 함유한 제2단 공기 콘베이어(여기서, 고무는 추가로 냉각됨)로 이동시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고무 분말을 탈수시키고 건조하는 표면처리 공정은 전형적으로 분말 슬러리를 탈수 스크린상의 용매 스트리핑 부분에서부터 탈수 스크류 프레스(screw press)로 통과시킨 다음, 건조 압출기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건조 압출기에 들어온 고무는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10%의 휘발물질을 함유한다. 고무-물 혼합물은 압출기 다이(die)의 상부에서 기계적 일에 의해 압출기내에서 가열된다. 습윤 고무가 압출기 다이 판을 통과함에 따라 갑작스런 압력 방출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고무 분말에 함유된 물의 신속한 증발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건조 압출기의 방출구에서, 고무에 함유된 물은 증기로서 퍼지게 되고, 고무 분말의 건조 및 일부 냉각을 성취하기 위해 열이 고무로부터 물로 이동된다.
압출 다이에서 증발된 물은 무수 분말상에서 물의 재응축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 압출기의 방출구에 설치된 장치에서 공기와 혼합된다. 이러한 장치는 고온 고무 및 물이 통과하는 각종 다이 및 고무를 유동시키는 개방 챔버를 함유하며, 여기서 물은 추가의 열 제거를 위해 다이 및 운반 기류를 통해 제1공기 콘베이어에 통과할 때 기화된다.
압출기 다이 온도가 충분히 높다는 조건하에, 고무 분말의 건조는 고무-물 혼합물이 다이를 통과함에 따라 일어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있어서 압출기 다이에서 고무 분말의 온도는 생성물 품질 필수 요건이나, 또는 주위 환경 인자들에 의해 한정되며, 다이에서 불완전한 건조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고무 분말의 냉각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건조가 제1공기 콘베이어 내에서 일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제1공기 콘베이어에서 고무 분말을 냉각시킬 수 있는 정도는 압출기 다이에서 고무로부터 증발된 물 약 6 내지 약 10%에 대해서 제1공기 콘베이어에 대한 배출 공기 온도를 약 45 내지 약 60℃로 유지시키는 필수조건에 의해 한정된다. 열은 운반 공기에 대한 열 전달 형태의 자연 대류냉각 또는 운반 시스템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공기 및 고무의 손실에 의해, 또는 공기 콘베이어 파이프의 외부에서 냉각수 쟈켓을 이용한 강제 대류에 의해 제1단 공기 콘베이어 고무-물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운반 기류의 포화 온도 미만으로 고무를 냉각시키려는 노력은 건조된 고무 분말을 바람직하지 않게 응축시킬 뿐이다. 결국, 공기 콘베이어중의 고무 분말은 전형적으로 고무 분말을 베일링 온도 또는 포장 온도로 추가로 냉각시키기 위해 장착된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미 주지한 바와 같이,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에 들어은 고무 분말은 여전히 고온으로서 점착성을 띠고 있으므로, 최종 생성물 뿐만아니라 시스템 성분에 대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고무 미립자들은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내에서 금속 표면에 점착하므로, 장비를 세척하기 위해 과잉의 인력 및 시스템의 가동정지가 필요하다. 오염의 원인인 고온 고무는 변질 및 파괴되어, 그 결과 생성물의 오염을 초래한다. 또한, 생성물은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로부터의 배출 공기를 통해 손실될 수도 있다. 더우기, 응집된 고무 입자들은 베일링 및 포장 영역에서 중량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1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일반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고무 분말을 더 냉각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수많은 단점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도에 있어서, 적출장치(12)는 건조 압출기의 방출구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수 분말 입자를 운반하고, 상기 장치내에 수용된 무수 분말 입자상에서 증기의 재응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로부터 나온 공기를 적출장치내로 유입시킨다. 적출장치로부터, 고무 분말, 증기 및 공기는 제1단 공기 콘베이어(14)에 들어가서,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를 경유하여 상기 공기 콘베이어로부터 배출된다.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에는 제1단 증기-공기-고무 분말 혼합물의 도입을 위해 그의 상단부에 접선방향의 유입구 및 그의 하단부에 고형물 방출구가 제공되어 있다. 이동 부재(20)는 사이클론 분리기(16)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동 부재(20)와 함께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는 제1공기 콘베이어의 제1단 고온 습윤 기류로부터 고무 입자들을 분리시키고, 이들은 신선한 제2단 건조 냉각 기류로 이동시킨다. 고무 분말 입자들은 습윤 고온 기류내에 완전히 비말동반되면서, 접선방향 유입구를 통해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내에 유입된다.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 내에서 고무 입자들은 이동 부재(20)에 접근할 때 하부 방향으로의 나선형 이동을 수행한다. 이동 부재(20)는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의 하단부 또는 고형물 방출구 주위에 환형 틈새(22)를 형성하는 원추형 부재를 포함한다. 환형 틈새(22)는 제2단의 신선한 냉각 건조 공기에 대한 유입구로서 작용하며, 냉각 건조 공기는 환형 틈새(22)를 통해 들어오고, 고무 입자들이 사이클론 분리기(16)의 기부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이들을 적출시키고, 상기 고무 입자들을 제2단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로 이동시킨다. 이동 부재(20)는 다양한 가공 처리 필수 요건들을 충족시키고자 환형 틈새(22)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이클론 분리기(16)의 기부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특히, 환형 틈새(22)는 적절한 운반 속도로 이동 부재(20)의 둘레벽 주위에 제2단 공기를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환형 틈새(22)를 통한 냉각 건조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사이클론 분리기(16)의 고형물 방출구 근처에 있는 공기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결국, 이동 부재(20)의 벽을 따라서 냉각 건조 공기의 빠른 공기 속도는 고온의 점착성 고무 입자에 의해 이동 부재(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는 미소한 정압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제2공기 콘베이어(24)에서의 압력강하는 사이클론 분리기(16)에 배압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제1단의 습윤 고온 공기가 강제로 배출구(26)를 경유하여 사이클론 분리기(16)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속도는 사이클론 분리기(16)에 들어온 제1단 공기의 유입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미만이도록 밸브(28)로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사이클론 분리기(16) 및 이동 부재(20)로 인해, 약 10 내지 약 20%의 제1단 공기만을 누출시킨 채로 약 99% 이상의 고무가 생성되어, 이동 부재(20)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제1단 공기를 분리하기 위한 전형적인 양은 약 90%이다. 제1단 공기에 대한 적절한 배출 속도를 성취하는데 불충분한 압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단 공기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흡입장치를 사이클론 분리기의 배출구(26)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배출 속도가 약 60 내지 약 150kg/시간인 것은 통상적이다.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16)는 와류를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보편적으로 저속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영역내에 있는 사이클론 분리기(16)의 고형물 방출구 부근에 제1단 공기 일부가 항상 흐르고 있다. 더우기, 단간 사이클론 분리기 주위에 냉각수 쟈켓을 제공함으로써, 오염에 대한 잠재성을 실제로 없앨 수 있다.
이미 주지한 바와 같이, 제1단 공기 콘베이어(12)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고무 분말에 대한 온도의 감소는 제1단 공기의 이슬점에 의해 한정된다. 통상적인 고무 표면처리 시스템에서는 고무의 추가의 냉각이 필요하며, 포장 영역전에,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14)에 이어 이동 콘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에서 수득된 고무 분말의 추가의 냉각은 유동화 진동 콘베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2단 공기 콘베이어에서 고무 분말을 포장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는 제2사이클론 분리기(30)로 방출되며, 여기서 냉각된 고무는 제2단 기류로부터 분리되고 사이클론(30) 밑에 있는 베일러(baler) 천칭 콘베이어(32)에 공급된다. 그 다음, 고무는 필수적인 포장온도와 부합하여 베일러에 방출된다. 사실상, 본 방법에 있어서 고무의 최종 온도에 대한 제한은 고무 입자 크기,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및 제1 및 제2단 기류의 공기온도이다. 이러한 변수들은 제2사이클론 분리기(30)의 출구에서 목적하는 생성물 온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예시한다. 실시예 1 및 2에 나타낸 EP 고무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공급속도 250 내지 290kg/시간; 압출기 다이에서의 온도 205 내지 225℃; 제1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약 50M; 제1단 공기 속도 약 305kg/시간; 제2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35M; 30 내지 50℃에서의 제2단 공기속도 280 내지 440kg/시간; 및 단간 사이클론 배출속도 78 내지 150kg/시간의 EP 고무 등급의 경우, 단간 사이클론에서 130 내지 150℃의 고무 온도 및 제2사이클론에서 약 95℃의 고무 온도로 승온시킨다.
[실시예 2]
공급속도 90 내지 140kg/시간; 압출기 다이에서의 온도 200 내지 244℃; 제1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17 내지 50M; 제1단 공기 속도 약 305 내지 310kg/시간; 제2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33 내지 70M; 약 30℃에서의 제2단 공기속도 195 내지 280kg/시간; 및 단간 사이클론 배출속도 143 내지 310kg/시간의 EP 고무 등급의 경우, 단간 사이클론에서 85 내지 120℃의 고무 온도 및 제2사이클론에서 약 29 내지 69℃의 고무 온도로 승온시킨다.
[실시예 3]
공급속도 130 내지 135kg/시간; 압출기 다이에서의 온도 205℃; 제1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약 17M; 제1단 공기 속도 175 내지 310kg/시간; 제2단 공기 콘베이어의 길이 약 33M; 약 30℃에서의 제2단 공기속도 150 내지 260kg/시간; 및 단간 사이클론 배출속도 175 내지 310kg/시간의 고무 펠릿의 경우, 단간 사이클론에서 약 120의 고무 온도 및 제2사이클론에서 약 65℃의 고무 온도로 승온시킨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 및 바람직한 양태와 함께 기술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대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방법을 다양하게 변형 및 변화시킬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4)

  1. 제1단 공기 콘베이어(14), 상단부에 유입구 및 하단부에 고형물 방출구를 갖는 단간(interstage) 분리 수단(16),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 및 상기 단간 분리수단(16)의 하단부에 있는 상기 고형물 방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고형물 방출구에 대해 가변적인 개구인 환형 개구(22)를 한정하고, 상기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와 연통하고 있는 이동 부재(20)로 이루어진 엘라스토머 건조 시스템에서 고무 분말을 냉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고무 분말을 제1단 기류를 함유한 상기 제1단 공기 콘베이어(14)에 통과시키는 단계; (b) 습윤 고온 공기를 포함한 상기 제1단 기류중의 상기 고무 분말을 제1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이러한 냉각은 상기 제1단 기류의 포화온도에 의해 제한됨); (c) 상기 제1단 기류중의 상기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단간 분리수단(16)의 상기 유입구에 통과시키는 단계; (d) 상기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단간 분리수단(16)내에서 상기 제1단 기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e) 냉각 건조 공기를 함유한 제2단 기류를 상기 이동 부재(20)의 상기 환형 개구(22)를 통해 유입시키는 단계; (f) 상기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제1단 기류로부터 상기 단간 분리수단(16)의 상기 고형물 방출구와 인접해 있는 상기 제2단 기류로 이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제2단 기류층의 상기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제2단 기류중의 상기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제2단 공기 콘베이어(24)에서 제2온도로 추가로 냉각시키는 단계(상기 제2온도는 상기 제1온도보다 낮음)를 포함하는, 고무 분말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간 분리수단이 사이클론 분리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단간 분리수단의 상기 고형물 방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원추형 부재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제2단 기류중에 있는 상기 추가로 냉각된 고무 분말을 제2분리수단(30)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추가로 냉각된 고무 분말을 상기 제2분리 수단내에서 상기 제2단 기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20702586A 1990-04-20 1991-04-15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KR0149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2,246 1990-04-20
US07/512,246 US5070624A (en) 1990-04-20 1990-04-20 Two-stage pneumatic conveying process for rubber cooling
US512246 1990-04-20
PCT/US1991/002570 WO1991016185A1 (en) 1990-04-20 1991-04-15 Two-stage pneumatic conveying process for rubber coo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273A KR930700273A (ko) 1993-03-13
KR0149875B1 true KR0149875B1 (ko) 1999-05-15

Family

ID=2403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586A KR0149875B1 (ko) 1990-04-20 1991-04-15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070624A (ko)
EP (1) EP0528821B1 (ko)
JP (1) JP2588810B2 (ko)
KR (1) KR0149875B1 (ko)
AU (1) AU641107B2 (ko)
BR (1) BR9106361A (ko)
CA (1) CA2078993C (ko)
DE (1) DE69111442T2 (ko)
WO (1) WO1991016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9451A1 (de) * 1993-03-24 1994-09-29 Continenta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utschukmischungen
US5765728A (en) * 1995-03-27 1998-06-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hopped polyester scrap
DE19548515C1 (de) * 1995-12-27 1997-07-10 Buna Sow Leuna Olefinverb Gmbh Verfahren zur Trocknung und Konditionier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1999021902A1 (en) 1997-10-28 1999-05-06 Castrol Limited Processes for preparing grafted copolymers
US6112777A (en) * 1998-11-19 2000-09-0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bulk handling elastomeric materials via temperature control
US6298686B1 (en) 2000-07-05 2001-10-09 Fibrex Insulations, Inc. Multi-stage indexing cooler
US8578628B2 (en) * 2000-08-29 2013-11-12 Rich Technology Solutions Limited Milling and drying apparatus incorporating a cyclone
JP2005171043A (ja) * 2003-12-10 2005-06-30 Sumitomo Chemical Co Ltd エチレン−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ゴムの輸送方法
US7858735B2 (en) * 2009-05-29 2010-12-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astomer finishing
US8313269B2 (en) * 2010-03-03 2012-11-2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neumatic particulate material fill systems and methods
WO2013146530A1 (ja) * 2012-03-26 2013-10-0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ゴム状重合体の製造方法
EP2862687A1 (en) 2013-10-15 2015-04-22 Lanxess Elastomers B.V. Process for conveying of rubber
CN105682482B (zh) * 2013-10-31 2019-08-13 甜糖(曼海姆/奥克森富特)股份公司 改善的含有活性面筋的粒料及其生产方法
CN113891945A (zh) 2019-05-13 2022-01-04 艾布鲁有限责任公司 生产聚合物产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939A (en) * 1911-01-27 1911-05-23 Friedrich Adolf Buehler Apparatus for drying and conveying moist materials.
US2458357A (en) * 1944-02-19 1949-01-04 Socony Vacuum Oil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reactions in the presence of a contact mass
US2436355A (en) * 1946-06-05 1948-02-17 Du Pont Spray drying dimethylolurea
NL136768C (ko) * 1962-02-27
DE1262574B (de) * 1965-04-17 1968-03-07 Bayer Ag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Kautschukmassen
US3384420A (en) * 1966-08-02 1968-05-21 Cargill Inc Transfer system
US3629951A (en) * 1970-07-31 1971-12-28 Procter & Gamble Multilevel spray-drying method
US4076493A (en) * 1976-09-09 1978-02-28 Kennedy Van Saun Corporation Apparatus for cooling particulate material
DE2642102C3 (de) * 1976-09-18 1984-10-04 Bühler-Miag GmbH, 3300 Braunschweig Vorrichtung zum Kristallisieren von Kunststoffgranulat
US4189299A (en) * 1978-03-13 1980-02-19 Calcimatic International, Limited Direct cooler for calcining apparatus
JPS6045646B2 (ja) * 1978-06-29 1985-10-1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α−オレフインの乾燥法
EP0041941B1 (de) * 1980-06-06 1984-03-07 Waagner-Biro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gelung der Durchströmung eines Kühlbunkers
CA1161615A (en) * 1981-06-22 1984-02-07 James S. Nettleton Rubber recovery apparatus
US4599016A (en) * 1985-07-12 1986-07-08 Walinga Body & Coach Limited Cyclone apparatus for pneumatically moving granular ma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78993C (en) 1994-10-18
EP0528821A1 (en) 1993-03-03
JP2588810B2 (ja) 1997-03-12
US5070624A (en) 1991-12-10
DE69111442D1 (de) 1995-08-24
JPH05506194A (ja) 1993-09-16
AU7689091A (en) 1991-11-11
AU641107B2 (en) 1993-09-09
EP0528821B1 (en) 1995-07-19
BR9106361A (pt) 1993-04-27
DE69111442T2 (de) 1996-01-04
WO1991016185A1 (en) 1991-10-31
KR930700273A (ko) 1993-03-13
CA2078993A1 (en) 199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875B1 (ko) 고무를 냉각시키기 위한 2단 공기 운반 방법
KR0160143B1 (ko) 단간 분리기
US6161305A (en) Process and plant for mechanical and thermal dewatering of sludges
EP2932856B1 (en) Process for fluidized bed granulation of amino acid-containing fermentation broths
JPH0342029A (ja)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造粒コーティング方法
US51331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a particulate product
US3469323A (en) Process and device for screening and drying a plastics granulate obtained by wet granulation
EP0407876A3 (en) Method of and apparatur for drying and heating of polyamide granules
US40348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aper and plastic
AU119429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liquid-borne solid material
US3563006A (en) Separating and cooling device for plastic granules
JP3037680B1 (ja) 多室型流動層分級装置
US3831747A (en) Fluidized bed processing of carbon black
US4280903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and from botanical fines
US4036891A (en) Process for preparing paraformaldehyde
DE19729302A1 (de) Verfahren zur Desodorierung von Polypropylengranulat
US36434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epar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from an effluent stream
WO19910012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rifugal cooling and treating of solids in dilute phase solid-gas systems
US332813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acting carbon black pellets with bag filter efflux
RU227798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3259999A (en) Combination cooler-dryer
AU2006259214A8 (en) Method for making carbon powder and installation therefor
GB2124101A (en) Classification and recycling of fluidised bed material
RU2083490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ультрадисперсных алмазов из водной суспензии
JPH04330929A (ja) 流動層処理装置における排出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