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846B1 -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846B1
KR0149846B1 KR1019950013649A KR19950013649A KR0149846B1 KR 0149846 B1 KR0149846 B1 KR 0149846B1 KR 1019950013649 A KR1019950013649 A KR 1019950013649A KR 19950013649 A KR19950013649 A KR 19950013649A KR 0149846 B1 KR0149846 B1 KR 014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ipe connecting
connecting portion
valve body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208A (ko
Inventor
다까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최창선
Publication of KR9500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heck Valv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수회로의 하류단부에 설치한 배수관 접속부(76)내에 슬리브(9)를 하류단부 개방부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이 슬리브(9)에 역류방지용의 밸브체(94)를 장착시킨 역류방지기구에 있어서, 슬리브(9)의 외주와 배관접속부(76)를 밀폐하기 위한 특별한 밀폐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서 구조의 간략화와 조립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려고 한다.
배수관 접속부(76)의 전기 슬리브 수용부의 상류단부에는 환상벽(78)을 중심방향으로 돌출시켜서 그 하류측 벽면을 밸브시트부로서 그 밸브시트에 밸브체(94)를 대접시키고 이 밸브체(94)는 이것의 주연의 일부에 연설된 부착대(95)와 함께 고무등의 탄성재료에 의하여 일체형성되며 이 부착대(95)의 선단부를 슬리브(9)와 배관접속부(76)의 사이에 지지시키며 슬리브(9)를 배관접속부(76)에 이탈방지 상태로 결합시켰다.

Description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역류방지기구를 조립한 식기세정기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배수관 접속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요부의 분해단면도.
제4도는 슬리브의 정면도.
제5도는 밸브체의 정면도.
제6도는 슬리브 등을 장전한 상태에 있는 배수관 접속부 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 실시의 설명도.
제8도는 종래 실시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슬리브 74 : 하류단부 개방부
76 : 배관접속부 78 : 환상벽
94 : 밸브체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는 기구에 있어서의 배수회로의 역류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식기세정기에 구비시킨 배수회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 사용한 세정수의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회로를 구비한 식기세정기와 같은 물을 사용하는 기구 배수회로의 하류측 오수가 기구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구가 배수회로에 조립되어 있다.
제8도는 물을 사용하는 기구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식기세정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서는 개폐문(3)으로 개폐되는 세정실(2)내에는 다수의 노즐(60)(60)을 구비한 노즐아암(6)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세정실(2)의 저부에는 세정수 저류용의 저류조(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저류조(23)의 저벽에 연설된 여과용기(7)와 상기 노즐아암(6)은 세정펌프(62)를 구비한 통수로(F)로 연결되어 있다. 또, 저류조(23)의 저벽에는 배수펌프(75)를 구비한 배수회로(74)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에 위치하는 배수관 접속부(76)내에는 역류방지기구(77)가 조립되어 있다.
제7도는 종래의 역류방지기구(77)를 나타내고 있는바 배수관접속부(76)에 삽입된 원통상의 슬리브(9)에는 그 상류단부 외주에 오링(91)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9)의 상벽에는 삽입슬릿(9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슬릿(93)에는 고무제의 밸브체(94) 상부로 돌출한 역L자형의 부착대(95)가 삽입되어 상단굴곡부가 슬리브(9)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94)는 슬리브(9)의 내경을 좁혀서 형성한 밸브구멍(96)을 하류측으로부터 개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9)는 배수관 접속부(76)의 하류단부근방의 내부면으로 돌출된 환상벽(78)에 하류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그 슬리브(9)가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것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스위치를 조작하면 저류조(23)내의 세정수가 통수로(F)의 세정펌프(62)에 의하여 노즐아암(6)으로압송되고 그 세정수가 노즐(60)(60)로부터 식기류(M)(M)에 뿜어져서 그 식기류(M)(M)가 세정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동작이 종료하면 배수펌프(75)가 작동하여 저류조(23)내의 더러워진 세정수가 배수회로(74)의 배수관 접속부(76)에 설치된 역류방지기구(77) 부분을 통하여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즉, 배수회로(74) 하류측으로 흐르는 세정수는 그 수압으로 슬리브(9)내의 밸브체(94)를 하류측으로 개방시켜서 그 부분을 통과하여 기계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회로(74)에 역류방지기구(77)가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관 접속부(76)에 접속한 배수호스(도시하지 않음)내의 오수가 세정실(2) 측으로 역류하는 부적합한 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배수관접속부(76)의 내주면과 슬리브(P)의 경계부를 오링(91)으로 밀폐하지 않으면 이들 양자간의 간격을 통하여 오수가 역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게 되어 그 오링(91)이 필수적인것 만큼 부품개수가 많게 되고 구조가 복잡화되는 부적절한 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에 설치한 배수관 접속부(76)내에 슬리브(9)를 하류 단 개방부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이 슬리브(9)에 역류방지용의 밸브체(94)를 장착시킨 역류방지기구에 있어서 슬리브(9)의 외주면과 배관접속부(76)를 밀폐하기 위한 특별한 밀폐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서 구조의 간략화와 조립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수단은 배수관접속부(76)의 전기술리브 수용부의 상류단부에는환상벽(78)을 중심방향으로 돌출시켜서 그 하류측벽면을 밸브시트부로 하여 그 밸브시트에 밸브체(94)를 대접시키고 이 밸브체(94)는 이것의 주연의 일부에 연설된 부착대(95)와 함게 고무등의 탄성재료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이 부착대(95)의 선단부를 슬리브(9)와 배관접속부(76)의 사이에 지지시켜서 슬리브(9)를 배관접속부(76)에 이탈방지상태로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밸브체(94)의 부착대(95) 선단은 슬리브(9)와 배수관 접속부(76)의 사이에 압입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그 밸브체(94)가 슬리브(9)의 상벽으로부터 탈락함이 없이 이것에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착상태에서는 상기 슬리브(9)의 상류단부에 부착된 밸브체(94)는 배수관접속부(76)의중심방향으로 돌출시킨 환상벽(78)의 하류측벽면의 밸브시트에 대접되어 중앙공을 상류측으로부터 폐쇄한다. 다라서 배수회로(74)의 상류측으로부터 배수가 흘러오면 그 배수의 압력으로 밸브체(94)가 환상벽(78)로부터 하류측으로 이탈되도록 부착대(95)가 변형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환상벽(78)의 중앙공을 통하여 배수관 하류측으로 흐른다. 이와반대로 배수관 접속부(76)에 접속된 하류측의 배수호스측 압력이 높게 되었을 때는 그 압력으로 밸브체(94)가 환상벽(78)에 접촉된 상태로유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배수호스내의 오수가 역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배수관접속부(76)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벽(78)의 중앙공을 밸브체(94)로 개폐하므로 전술한 종래의 욍과 같은 특별한 밀폐재를 슬리브(9)의 외주면과 배수관접속부(76)의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없게된다. 다라서 그 특별한 밀폐재가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필요 부품 개수가 적게됨과 함께 그 조립작업이 간략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식기세정기는 하방으로 향하여 굴곡시킨 U자상의 봉수관(72)을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 근방에 설치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의 제8도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종래예에서 설명한 내용은 생략하고 기재한다.
케이싱(1)내에 형성된 세정실(2)의 저부에는 저류조(2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류조(23)에는 나머지 찌꺼기를 제거하는 여과용기(7)가 연설되어 있음과 함게, 다시 그 여과용기(7)의 저부에는 배수펌프(75)를 구비한 배수회로(7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근방에는 하방으로 만곡시킨 봉수부(720)를 형성한 봉수관(72)이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다시 그 봉수관(72)의 하류단부에는 배수관 접속부(7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 접속부(76)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착대(95)가 변형가능한 고무제의 밸브체(94)를 부착시킨 슬리브(9)가 내장되어 있으며 밸브체(94)는 원판형의 밸브부(941)와 그 상부로부터 돌출된 부착대(95)로 구성되고 그 부착대(95)의 상단부는 하류측으로 굴곡되어 굴곡결합부(9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굴곡결합부(94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공(942)이 뚫려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94)를 장전하기 위한 슬리브(9)의 상부에는 상류측을 향하여 개방된 절결부(90)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게 그 횡폭은 상기 밸브체(94)에 설치한 부착대(95)의 횡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슬리브(P)의 상면에는 상기 절결부(90)의 상류측 근방에 위치하는 결합돌기(99)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결합돌기(99)는 상기 밸브체(94)의 굴곡결합부(940)에 뚫은 결합공(942)이 밖에서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9)의 하부상류측에는 후술하는 배수관 접속부(76)의 구성벽과 결합되어 부착될 때에 밸브체(94)의 부착대(95)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 결정 기능을 가져다 주는 위치결정용 절결부(89)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슬리브(9)에는 그 하류단부측으로부터 절개하여 형성한 슬릿(88)(88)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8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탄성부(87)의 외면에는 돌기(97)가 돌출 형성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87)는 180°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보다도 하류측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돌출시키므로서 슬리브(9)를 배수관 접속부(76)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되어 있다.
배수관접속부(76)의 내주면에는 180°간격으로 형성된 결합요부(760)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환상벽(78)의 하류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내면에 결합단부(79)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각 부품을 사용하여 역류방지기구(77)를 조립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밸브체(94)로부터 돌출된 부착대(95)의 굴곡결합부(940)에 형성한 결합공(942)을 슬리브(9)의 상면으로 돌출시킨 결합돌기(99)에 밖에서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밸브체(94)의 굴곡결합부(940)는 슬리브(9)의 상부 상류단부에 형성한 절결부(90)내에 끼운 상태로 되고 밸브체(94)의 밸브부(941)가 슬리브(9)와 거의 동심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슬리브(9)를 이것에 장착한 밸브체(94)측으로부터 배수관접속부(76)에 삽입하면 슬리브(9)의 상류단부 하부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절결부(89)와 이것에 대응하는 배수관접속부(76)측의 결합단부(79)가 회전방지 상태로 결합함과 함께 슬리브(9)의 탄성부(87)에 돌출형성한 돌기(97)와 이것에 대응하는 배수관 접속부(76)측의 결합요부(760)가 제7도와 같이 결합되고 이것에 의하여 밸브체(94)를 구비한 슬리브(9)가 배수관 접속부(76)내에 고정된다. 또한 이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 접속부(76)의 환상벽(78)의 하류측벽면에는 그 하류측으로부터 밸브체(94)가 접촉된 밸브개방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것에서는 슬리브(9)의 상류단부에 부착된 밸브체(94)로 배수관 접속부(76)내의 밸브시트구멍(98)(환상벽(78)로 포위된 투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리브(9)의 외주면과 배수관 접속부(76)의 사이를 밀폐하지 않아도 그 부분을 통하여 배수관 접속부(76)와 봉수관(72)의 사이로 물이새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와 같이 슬리브(9)의 외주면에 밀폐용 오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필요부품의 개수가 적게 된다.
다음에 제1도에 있어서의 식기세정기의 다른 구조에 대하여 약술한다.
세정실(2)의 하부에 형성된 저류조(23)로부터 수직하방으로 돌출된 여과용기(7)의 몸통부에는 세정펌프(62)를 구비한 통수로(F)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통수로(F)의 하류단부에는 상하2단으로 배설된 노즐아암(6)(6)(제1도에서는 하방의 노즐아암(6)만큼 도시하고 있다)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게 그 노즐아암(6)의 상방에는 레일(R)로서 인출자재하게 지지된 식기바구니(4)가 장전되어 있다. 또한 세정실(2)의 후측벽(29)에는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팬(8)을 구비한 공기공급회로(83)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세정실(2)의 천정벽(28)에는 그 세정실(2)내의 습윤공기를 기계밖으로 배출하는 배기통로(5)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식기세정기의 사용의 실제를 설명한다.
식기바구니(4)내에 식기류(M)(M)를 수용하여 이 식기바구니(4)를 세정실(2)내에 장전하고 이 상태에서 세정작동을 실행시키면 세정실(2)의 후측벽(29)에 접속된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히터(20)로 데워진 저류조(23)내의 세정수가 여과용기(7)를 통하여 세정펌프(62)로 흡인되어 노즐아암(6)에 압송됨과 함께 그 노즐(60)(60)로부터 식기류(M)(M)에 뿜어져 이것들이 세정된다.
상기 세정동작이 종료하면 배수펌프(75)가 작동하여 저류조(23)내의 더러워진 세정수가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를 향하여 보내진다.
그렇게 하면 배수회로(74)내를 흐르는 세정수에 의하여 배수관 접속부(76)에 장전된 밸브체(94)에 수압이 작용하여 부착대(95)가 구곡되고 이것에 의하여 그 밸브체(94)가 제2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하류측으로 밀려서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그 세정수가 배수관 접속부(76)에 접속된 배수호스(도시하지 않음)등을 통하여 하수축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배수동작이 종료하면 밸브체(94)는 중력 및 부착대(95)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밸브시트구멍(98)을 닫은 밸브 폐쇄상태로 복귀하고 이것에 의하여 하수측의 오수가 세정실(2)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이 실시예에 서는 배수관 접속부(76)의 상류측에 접속한 봉수관(72)에는 봉수부(72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후의 봉수부(720)내에는 제2도의 가상선을 나타낸 바와 같이 봉수(W)가 저류하게 되어 하수측의 악취가 세정실(2)내로 흘러들어가는 부적합한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에에서는 슬리브(9)에 돌기(97)를 설치하고 이것이 결합되는 결합요부(760)를 배관 접속부(76)에 형성하였지만 이것과는 역으로 돌기(97)를 배관접속부(76)의 내면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결합요부(760)를 슬리브(9)의 외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에에서는 슬리브(9)의 상면에 돌출형성한 돌기(99)와 밸브체(94)의 부착대(95)의 굴곡결합부(940)에 형성한 결합공(942)을 결합시킴으로서 이것들을 결합시키려고 하였지만, 밸브체(94)의 부착대(95)로부터 굴곡된 굴곡결합부(940)에 하향돌기를 설치함과 함게 이것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슬리브(9)의 선단근방의 상벽에 뚫어도 좋다.

Claims (2)

  1. 배수회로(74)의 하류단부에 설치한 배수관 접속부(76)내에 슬리브(9)를 하류단부 개방부로부터 삽입함과 함께 이 슬리브(9)에 역류방지용의 밸브체(94)를 장착시킨 역류방지기구에 있어서 배수관 접속부(76)의 전기 슬리브 수용부의 상류단부에는 환상벽(78)을 중심방향으로 돌출시켜서 그 하류측 벽면을 밸브시트부로 하여 그 밸브시트에 밸브체(94)를 대접시키고 이 밸브체(94)는 이것의 주연의 일부에 연설된 부착대(95)와 함께 고무등의 탄성 재료에 의하여 일체형성되며 이 부착대(95)의 선단부를 슬리브(9)와 배관접속부(76)의 사이에 지지시키며 슬리브(9)를 배관접속부(76)에 이탈 방지상태로 결합한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 방지구조.
  2. 슬리브(9)의 하류측 단면부에 개방한 슬릿(88)(88)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외면에 돌기 또는 결합요부를 구비한 탄성부(87)와 배관접속부(76)의 내면에 형성된 결합요부 또는 돌기를 설치하여 슬리브(9)를 배관접속부(76)에 삽입하였을 때는 상기 돌기가 결합요부에 끼워져 들어가도록 하여 이것들을 이탈방지 상태로 결합하도록 한 청구범위 제1항기재의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 방지구조.
KR1019950013649A 1994-05-31 1995-05-29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KR0149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19173 1994-05-31
JP6119173A JP2973168B2 (ja) 1994-05-31 1994-05-31 器具の排水回路に於ける逆流防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208A KR950033208A (ko) 1995-12-22
KR0149846B1 true KR0149846B1 (ko) 1998-10-15

Family

ID=1475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649A KR0149846B1 (ko) 1994-05-31 1995-05-29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73168B2 (ko)
KR (1) KR0149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740A (ja) * 2011-10-19 2013-05-13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6655886B2 (ja) * 2015-05-25 2020-03-04 株式会社不二工機 逆止弁
CN112697852B (zh) * 2020-12-31 2023-03-24 苏州联点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感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73168B2 (ja) 1999-11-08
KR950033208A (ko) 1995-12-22
JPH07322991A (ja) 199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69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US8985128B2 (en) Dish washer
KR101044696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KR20030023600A (ko) 탱크레스 변기, 서양식 수세식변기, 국부 세정장치 및수세식 변기용 스퍼드
US6349731B1 (en) Water inlet system for dishwasher
KR0149846B1 (ko)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KR100701934B1 (ko) 드럼 세탁기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EP2128326A1 (en) Washer drain with valved vent, relevant manufacturing method and washer comprising such drain
KR100694323B1 (ko) 식기 세척기의 스크린 필터 체결 구조
CN214549329U (zh) 一种水阀集成组件及其洗碗机
KR200341843Y1 (ko)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CN111481136B (zh) 洗碗机
KR101053750B1 (ko) 식기 세척기의 유로 전환부 누수 방지 구조
JP3757348B2 (ja) 食器洗浄機用ポンプ
KR910006913Y1 (ko) 식시세척기의 급배수 장치
JP4161447B2 (ja) 食器洗い機
JP2003286999A (ja) ポンプ
KR100232275B1 (ko) 펌프 장치
CN219081908U (zh) 便于装配的蜗壳结构及开放式水泵、清洗机
JP3149322B2 (ja) 食器洗い機等のノズル開閉装置
KR101130426B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 호스 고정 구조
KR200243083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