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43Y1 -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43Y1
KR200341843Y1 KR20-2003-0035262U KR20030035262U KR200341843Y1 KR 200341843 Y1 KR200341843 Y1 KR 200341843Y1 KR 20030035262 U KR20030035262 U KR 20030035262U KR 200341843 Y1 KR200341843 Y1 KR 200341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valve assembly
dishwasher
drain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씨티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엠(주) filed Critical 씨티엠(주)
Priority to KR20-2003-003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 탄성체 재질로서 디스크부와 힌지부 및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역류방지구를 배수관 내의 장착공간에 장착함으로써, 오수의 역류를 기밀하게 방지할 수 있고, 역류방지구의 장착이 매우 용이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배수호수를 집수조(100)에 연결하고 있되, 상기 배수호스와 상기 집수조(100)사이의 배수관(120)에 관통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방지구장착부(121)와;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122a, 122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내주연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210)에 힌지부(220)와 디스크부(2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탄성체 형식의 역류방지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구(200)가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외주연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단턱을 형성한 방진고무홀더(300)에 의해서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되어 있어서 기밀한 개폐 작동 성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 밸브 조립체{DRAIN CHECK VALVE ASSEMBLY FOR DISH WASHER}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물, 전기, 세제를 이용하여 식기를 자동으로 씻어주고 건조 및 살균까지 시켜주는 주방가전제품이다.
이런 식기세척기는 음식용기와 접시류 등을 수납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거쳐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실 하부에는 집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조에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펌프에는 배수호스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펌프는 세척작업으로 혼탁해진 세척수와 헹굼작업으로 집수된 세척수를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집수조의 배수관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가동하면 집수된 오수가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수가 완료되고 배수펌프가 정지한 후 배수관의 압력이 배수호스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배수호스내의 오수가 배수펌프를 경유하여 배수관으로 역류되고 이로 인해 결국 오수가 세척실의 내부까지 진입하게 되어 세척을마친 식기들이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수펌프 구동시 진동이 크기 때문에 집수조와 세척실로 전달되어 식기들이 흔들리고 소음발생은 물론 고장의 주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수호스가 배수펌프에 연결된 상태에서 곧바로 외부로 빠져나왔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치시 외부에서 배수호스를 배수관보다 대략 40cm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런한 문제점을 고려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실(10)의 하부에 집수조(20)가 설치되어 이 집수조(20)의 배수관(21)에 배수펌프(30)가 연결되며, 배수펌프(30)에 연결된 배수호스(40)가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배수관(21)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편(60)을 설치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를 방진홀더(70)로 연결하고 상기 역류방지편(60)의 외측중앙부에는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61)가 돌출되며, 상기 세척실(10)과 케이싱(50)의 사이 공간(80)내에서 배수호스(40)를 ' ??'형으로 높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류방지편(60)은 힌지부(62)를 통해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고정부(63)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63)는 배수관(21)에 형성된 고정홀(21a)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방진홀더(70)는 고무재이며 양측으로 배수관(21)에 끼워지는 배수관연결구(71) 및 배수펌프(30)의 유입관(31)에 연결되는 펌프연결구(7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배수관연결구(71)의 직경이 펌프연결구(7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배수관연결구(71)와 펌프연결구(72)의 외주연에는 조임밴드(90, 91)가 각각 기밀하게 체결된다.
상기 배수호스(40)는 그 일단이 배수펌프(30)의 배출관(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 배수호스(40)는 세척실(10)과 케이싱(50) 사이에 형성된 공간(80)내에서 미리 ' ??'형으로 높게 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배수호스(40)는 배수관(21)보다 약 40cm정도 높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장치는 평상시에는 역류방지편(60)이 배수관(21)의 출구를 폐쇄시키므로 오수의 역류가 방지되고, 한편 배수펌프(30)가 구동되면 역류방지편(60)은 힌지부(62)를 축으로 회동하여 배수관(21)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집수조(20)에 집수된 오수는 배수호스(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역류방지편(60)의 개방시 돌기(61)에 의해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므로 역류방지편(60)의 닫히는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장치는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가 방진홀더(70)에 의해 기밀하게 연결되므로 배수펌프(3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홀더(70)가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아울러 종래의 배수장치는 배수호스(40)가 식기세척기(1)의 내부에서 미리 '??'형으로 배수관(21)보다 높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므로 설치시 사용자가 배수호스(40)를 외부에서 배수관보다 대략 40cm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는 작업공정이 삭제되므로 배수호스(40)를 종래에 비해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배수장치는 배수가 완료되고 배수펌프가 정지한 후배수 관(21)의 압력이 배수호스(40)의 압력보다 낮아 배수호스(40)내의 오수가 배수펌프(30)를 경유하여 배수관(21)으로 역류될 때 역류방지편(60)이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종래와 같이 오수가 내부까지 진입하게 되어 세척을 마친 식기들이 다시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고, 배수펌프(30)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홀더(70)가 흡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에서 역류방지편은 힌지부를 통해서 힌지 작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는 배수관에 형성된 고정홀에 단순히 끼워져서 고정되는 기계적 결합구조를 갖기 때문에, 오랜 시간 사용 후 고정홀에서 고정부가 흔들림에 따라 역류방지편과 배수관 사이에 형성되었던 수밀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았던 오수 역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세척을 마친 식기들이 다시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에서 역류방지편은 단순 힌지식 결합구조로서 체크변으로서 안정되고 견고한 기계적 지지구조를 갖지 못하고 있었으며 조립작업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에서 고정부는 고정홀에 끼워지는 구조로서 고정홀의 결합유격 사이로 오수가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무 탄성체 재질로서 디스크부와 힌지부 및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역류방지구를 배수관 내의 장착공간에 장착함으로써, 오수의 역류를 기밀하게 방지할 수 있고, 역류방지구의 장착이 매우 용이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결합된 역류방지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역류방지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수조 110 : 하부분사기 출수관
120 : 배수관 121 : 방지구장착부
122a, 122b : 가이드 고정단 210 : 고정부
220 : 힌지부 230 : 디스크부
200 : 역류방지구 300 : 방진고무홀더
211 : 사다리꼴 홈 124 : 경사 드레인 판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호수를 집수조에 연결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와 상기 집수조 사이의 배수관에 관통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방지구장착부와; 상기 방지구장착부의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방지구장착부의 내주연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에 힌지부와 디스크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탄성체 형식의 역류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구가 상기 방지구장착부의 외주연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단턱을 형성한 방진고무홀더에 의해서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은 상기 역류방지구의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달 단면 형상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방지구장착부 상단의 내주연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서 서로 대향적으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역류방지구는 상기 방지구장착부 내의 장착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반달형 상부 레이아웃과 사다리꼴형 하부 레이아웃을 갖도록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사다리꼴 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힌지부가 띠, 밴드 형상으로서 평상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디스크부를 'ㄱ'자 형상으로 유지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힌지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되, 상기 디스크부가 물의 역류 발생시 상기 고정부의 사다리꼴 홈과 상기 디스크부의 반구 형상의 일측 표면 사이에서 작용되는 물의 압력을 작용 받아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의 입수 부위에는 내경을 수직하게 구획하는 복수개의 경사 드레인 판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결합된 역류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역류방지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출수관(110) 일체형 집수조(100)에 역류방지구(200)를 삽입 조립시키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조(100)의 배수관(120) 내부에 형성된 방지구장착부(121)에 역류방지구(20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집수조(100)의 저면에서 입수관(104)의 반대측 방향으로 배수관(120)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것으로서, 배수관(120)의 끝단에는 배수관(12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관체 형상을 갖는 방지구장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방지구장착부(121)는 반달 단면 형상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122a, 122b)을 내주연 상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때, 가이드 고정단(122a, 122b) 각각은 서로 대향적으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고, 내주연 상부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거리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역류방지구(200)의 힌지부(220)의 폭에 대응한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가이드 고정단(122a, 122b)은 외측면 끝단에서 배수관(120)과 방지구장착부(121)가 상호 단턱을 이루는 곳(도 5의 도면부호 '123' 참조)까지 일자형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 방지구장착부(121)를 단순 삽입 방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집수조(100)의 외주연에는 수압을 체크하기 위한 수압 센서 장착용 제1장착단(101)이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장착단(101)은 집수조(100)의 내주연과 통공되어 있어서 수압을 작용 받게 되며, 이때 수압 센서(도시 안됨)는 제1장착단(10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를 통해서 외부에서 나사결합됨으로써, 작용 받는 수압을 체크하게 된다.
또한, 집수조(100)의 외주연 상단 부위에는 역시 통공된 상태의제2장착단(10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장착단(102)은 그의 주위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고정단에 지지되는 온도 센서(도시 안됨)를 장착하여, 역시 집수조(100) 내부의 물의 온도를 체크하게 된다.
또한, 집수조(100)의 개방된 상부 일측에 형성된 하부분사기 출수관(110)의 양측에는 하부 로터 취부구조를 고정 결합시키도록 복수개의 나사고정축(111, 112)이 집수조(100)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통해서, 본 고안의 역류방지구(200)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역류방지구(200)는 통상의 밸브 등에 사용되는 고무 재질, 폴리우레탄 재질, 실리콘재질 등의 탄성 재질로서, 고정부(210)와 힌지부(220)와 디스크부(2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그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장착이 편리한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고정부(210)는 앞서 설명한 방지구장착부(121) 내의 장착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반달형 단면 레이아웃을 갖는다. 특히, 물의 수압 작용에 따라서 체크 밸브와 같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디스크부(230)를 거의 수평에 가깝게 접어질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저면에는 사다리꼴 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고정부(210)의 전체 단면 형상은 대략 반달형 아치 형상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달형 상부 레이아웃과 사다리꼴형 하부 레이아웃을 갖는다.
이런 단면 형상은 고정부(210)의 축방향으로 일측 단부에서 고정부(210)의길이만큼 연장되고, 타측 단부 모서리 부위에 일체형으로 힌지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고정부(210)는 배수관(120)과 축심을 일치시키고 상호 관통하게 연결된 방지구장착부(121) 안쪽에 삽입 조립되기 때문에, 고정부(210)를 배수관(120) 또는 집수조(100)에 고정홀을 천공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서 더욱 기밀한 수밀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힌지부(220)는 띠, 밴드 형상으로서 평상시 고정부(210)와 디스크부(230)를 'ㄱ'자 형상으로 유지하며, 수압이 작용되었을 때 유연하게 접어지는 역할을 한다.
이런 힌지부(220)의 이점은 메커니컬 힌지에 비해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힌지부(220)는 디스크부(230)로 하여금 부드럽고 소음이 없는 탄성 힌지 작동을 수행케 함과 동시에, 디스크부(230) 또는 고정부(210)에 별도의 힌지 결합 공간을 요구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배수관(120)과 방지구장착부(121)가 상호 단턱을 이루는 곳에서 개폐 작동시 신뢰성 있고 수밀성 있는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크부(230)는 힌지부(220)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고정부(220)쪽 일측 표면(231)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 표면(232)이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구 형상의 일측 표면(231)이 타측 표면(232)으로부터 라운드 곡선을 그리면서 돌출된 높이는 적어도 고정부(210)의 사다리꼴 홈(211)의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정도의 돌출된 높이는 디스크부(230)로 하여금 정상적인 체크 밸브로서 개폐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디스크부(230)는 힌지부(220)에 의해서 평상시 고정부(210)와 수직한 상태로 되어 있다가, 수압이나 펌프 작용압력과 같은 외력(f1)이 인가될 경우, 외력(f1)의 작용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개방 작동(f2)을 수행한다.
이때, 디스크부(230)는 배수관(120)과 방지구장착부(121)가 상호 단턱을 이루는 곳(도 5의 도면부호 '123')에 지지됨으로써, 외력(f1)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개방 작동이 불가능하다.
이런 디스크부(230)는 물의 역류(f3)가 발생될 경우, 물이 고정부(210)의 사다리꼴 홈(211)과 반구 형상의 일측 표면(231) 사이에 압력을 작용하고, 반구 형상의 일측 표면(231)의 라운드 경사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디스크부(230)의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디스크부(23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배수관(120)을 밀폐시키는 밀폐 작동(f4)을 수행한다.
이하, 도 5를 통해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역류방지구(200)와 집수조(100)와의 결합관계 및 집수조(100)의 내부 형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류방지구(200)는 방지구장착부(121)에 삽입될 때, 역류방지구(200)의 고정부(210)가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122a)에 의해 가이드 및 지지되면서 수평하게 방지구장착부(121)의 내주연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방지구장착부(121)의 외주연에는 배수호스(도시 안됨)를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방진고무홀더(300)가 삽입된 후, 탄성 링 클립 또는 밴드 형식의 체결구(30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방진고무홀더(300)는 서로 다른 내경으로 단턱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역류방지구(200)가 삽입되었던 삽입 입구, 즉 방지구장착부(121)의 내주연과 가이드 고정단(122a) 사이의 부위를 밀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역류방지구(200)는 방지구장착부(121)의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는 역류방지구(200)의 고정부(210)의 수평길이는 방지구장착부(121)의 내부 수평길이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210)의 끝단에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힌지부(220)와 디스크부(230) 중에서 디스크부(230)의 평활한 타측 표면(232)은 배수관(120)과 방지구장착부(121)가 상호 단턱을 이루는 곳(123)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배수관(120)과 방지구장착부(121)가 상호 단턱을 이루는 곳(123)의 내경 구멍 형상은 하향 경사 구멍으로서, 디스크부(230)를 약간 경사지게 밀착시켜서, 개폐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배수관(120)의 입수 부위에는 내경을 수직하게 구획하는 복수개의 경사 드레인 판(124)들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 드레인 판(124)들은 세척수 또는 오수에 함유되어 배수관(120)의 내경을 막아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오물이 배수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오수나 세척수만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메커니컬 힌지 결합구조가 아닌 일체형 탄성 힌지 결합구조의 역류방지구를 배수관과 관통하는 관체형상의 방지구장착부 내부에 장착하고, 이후 방지구장착부에 끼워지는 탄성 링 클립 또는 밴드 형식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역류방지구가 요동하지 않게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삽입 조립이 매우 용이한 역류방지구에 의해서 기밀하게 배수관을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체결구를 방지구장착부에서 분리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역류방지구를 삽입시킬 수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제작시나 유지 보수시에 작업자로 하여금 매우 용이하게 역류방지구를 조립 및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고정부와 힌지부 및 디스크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역류방지구에 의해서 신뢰성 있게 배수관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어서, 더욱 고품질의 식기세척기의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서 역류방지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와 조립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는 배수관의 입수 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 드레인 판들에 의해서 오물이 배수관을 막아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배수호수를 집수조(100)에 연결한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와 상기 집수조(100) 사이의 배수관(120)에 관통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방지구장착부(121)와;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122a, 122b)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내주연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부(210)에 힌지부(220)와 디스크부(2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탄성체 형식의 역류방지구(200)를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구(200)가 상기 방지구장착부(121)의 외주연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단턱을 형성한 방진고무홀더(300)에 의해서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고정단(122a, 122b)은 상기 역류방지구(200)의 고정부(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달 단면 형상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방지구장착부(121) 상단의 내주연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서 서로 대향적으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구(200)는 상기 방지구장착부(121) 내의 장착공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반달형 상부 레이아웃과 사다리꼴형 하부 레이아웃을 갖도록 상기 고정부(210)의 저면에 사다리꼴 홈(2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힌지부(220)가 띠, 밴드 형상으로서 평상시 상기 고정부(210)와 상기 디스크부(230)를 'ㄱ'자 형상으로 유지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부(230)가 상기 힌지부(220)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원반 형상을 갖되, 상기 디스크부(230)가 물의 역류(f3) 발생시 상기 고정부(210)의 사다리꼴 홈(211)과 상기 디스크부(230)의 반구 형상의 일측 표면(231) 사이에서 작용되는 물의 압력을 작용 받아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20)의 입수 부위에는 내경을 수직하게 구획하는 복수개의 경사 드레인 판(124)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배수밸브 조립체.
KR20-2003-0035262U 2003-11-11 2003-11-11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KR200341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62U KR200341843Y1 (ko) 2003-11-11 2003-11-11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62U KR200341843Y1 (ko) 2003-11-11 2003-11-11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43Y1 true KR200341843Y1 (ko) 2004-02-14

Family

ID=4942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62U KR200341843Y1 (ko) 2003-11-11 2003-11-11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97B1 (ko) * 2008-11-10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기기
KR101711635B1 (ko) * 2016-09-09 2017-03-02 중앙컨설턴트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내부 청소장치
KR20180082782A (ko) * 2017-01-11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97B1 (ko) * 2008-11-10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기기
KR101711635B1 (ko) * 2016-09-09 2017-03-02 중앙컨설턴트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지하수 심정 내부 청소장치
KR20180082782A (ko) * 2017-01-11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1939084B1 (ko) * 2017-01-11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1894A1 (en) Washing machine
KR101248744B1 (ko) 세탁기
US5868011A (en) Water traps for washing machines
KR101864844B1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US7533836B2 (en) Splash guard for a garbage disposal unit
RU2006140245A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JP2008513092A5 (ko)
KR200341843Y1 (ko) 식기세척기용 배수역류방지밸브 조립체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20060041104A (ko) 세탁기
KR100786680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114365984A (zh) 水箱组件及洗地机
JP4299321B2 (ja) ドラム洗濯機
WO2007057833A1 (en) A washing machine
KR0149846B1 (ko)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KR940008040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펌프 취부 장치
KR200243083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JP4113630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KR102495348B1 (ko) 하수구 트랩 설치용 멀티탭
KR100829192B1 (ko) 세탁기
CN214157250U (zh) 洗碗机
KR920000179Y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고정장치
KR960011019A (ko) 공기압력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 세정용 급수탱크
KR101861336B1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