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083Y1 -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083Y1
KR200243083Y1 KR2019990010248U KR19990010248U KR200243083Y1 KR 200243083 Y1 KR200243083 Y1 KR 200243083Y1 KR 2019990010248 U KR2019990010248 U KR 2019990010248U KR 19990010248 U KR19990010248 U KR 19990010248U KR 200243083 Y1 KR200243083 Y1 KR 200243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ump
drainage
drain pip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397U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유병진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진,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유병진
Priority to KR2019990010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083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083Y1/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시 배수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척실(10)의 하부에 집수조(20)가 설치되어 이 집수조(20)의 배수관(21)에 배수펌프(30)가 연결되며, 배수펌프(30)에 연결된 배수호스(40)가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1)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편(60)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를 방진홀더(70)로 연결하며, 상기 세척실(10)과 케이싱(50)의 사이 공간(80)내에서 배수호스(40)를 '∩'형으로 높게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APPARATUS FOR DRAINING IN MACHINES FOR WASHING TABLEWARE}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시 배수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음식용기와 접시류 등을 수납하여 세척행정과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을 거쳐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체석기의 세척실 하부에는 집수조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조에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에는 배수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펌프에는 배수호스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펌프는 세척작업으로 혼탁해진 세척수와 헹굼작업으로 집수된 세척수를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집수조의 배수관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가동하면 집수된 오수가 배수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수가 완료되고 배수펌프가 정지한 후 배수관의 압력이 배수호스의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배수호스내의 오수가 배수펌프를 경유하여 배수관으로 역류되고 이로 인해 결국 오수가 세척실의 내부까지 진입하게 되어 세척을 마친 식기들이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수펌프 구동시 진동이 크기 때문에 집수조와 세척실로 전달되어 식기들이 흔들리고 소음발생은 물론 고장의 주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수호스가 배수펌프에 연결된 상태에서 곧바로 외부로 빠져나왔기 때문에,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치시 외부에서 배수호스를 배수관보다대략 40cm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오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시 배수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수관내에 역류방지편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고무재인 방진홀더로 연결하여 배수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며, 배수호스를 세척기의 내부에서 미리 ' ∩'형으로 높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배수호스를 별도로 높게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식기세척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도.
도 3은 역류방지편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역류방지편의 상세도.
도 5는 방진홀더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식기세척기 10 : 세척실
20 : 집수조 21 : 배수관
30 : 배수펌프 40 : 배수호스
50 : 케이싱 60 : 역류방지편
61 : 돌기 70 : 방진홀더
80 : 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척실(10)의 하부에 집수조(20)가 설치되어 이 집수조(20)의 배수관(21)에 배수펌 프(30)가 연결되며, 배수펌프(30)에 연결된 배수호스(40)가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1)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편(60)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를 방진홀더(70)로 연결하며, 상기 세척실(10)과 케이싱(50)의 사이 공간(80)내에서 배수호스(40)를 ' ∩'형으로 높게 설치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편(60)은 고무재이며 그 외측 중앙부에는 개폐시 신속하게 닫히도록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61)가 돌출되고, 역류방지편(60)의 상부에는 힌지부(62)와 고정부(6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63)는 배수관(21)에 형성된 고정홀(21a)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방진홀더(70)는 고무재이며 양측으로 배수관(21)에 끼워지는 배수관연결구(71) 및 배수펌프(30)의 유입관(31)에 연결되는 펌프연결구(7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배수관연결구(71)의 직경이 펌프연결구(7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배수관연결구(71)와 펌프연결구(72)의 외주연에는 조임밴드(90)(91)가 각각 기밀하게 체결된다.
상기 배수호스(40)는 그 일단이 배수펌프(30)의 배출관(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 배수호스(40)는 도 2에서와 같이 세척실(10)과 케이싱(50) 사이에 형성된 공간(80)내에서 미리 ' ∩'형으로 높게 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배수호스(40)는 배수관(21)보다 약 40cm정도 높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도 3의 실선과 같이 역류방지편(60)이 배수관(21)의 출구를 폐쇄시키므로 오수의 역류가 방지되고, 한편 배수펌프(30)가 구동되면 역류방지편(60)은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힌지부(62)를 축으로 회동하여 배수관(21)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집수조(20)에 집수된 오수는 배수호스(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역류방지편(60)의 개방시 돌기(61)에 의해 열리는 각도가 제한되므로 역류방지편(60)의 닫히는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가 방진홀더(70)에 의해 기밀하게 연결되므로 배수펌프(3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홀더(70)가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킨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수호스(40)가 식기세척기(1)의 내부에서 미리 '∩'형으로 배수관(21)보다 높게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므로 설치시 사용자가 배수호스(40)를 외부에서 배수관보다 대략 40cm정도 높게 설치해야 하는 작업공정이 삭제되므로 배수호스(40)를 종래에 비해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배수가 완료되고 배수펌프가 정지한 후 배수 관(21)의 압력이 배수호스(40)의 압력보다 낮아 배수호스(40)내의 오수가 배수펌 프(30)를 경유하여 배수관(21)으로 역류될 때 역류방지편(60)이 오수의 역류를 차단하므로 종래와 같이 오수가 내부까지 진입하게 되어 세척을 마친 식기들이 다시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배수펌프(30)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방진홀더(70)가 흡수하여 완화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집수조와 세척실로 전달되어 식기들이 흔들리고 소음발생은 물론 고장의 주요인이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호스가 세척기 내부에서 미리 배수구보다 높은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시 외부에서 배수호스를 배수관보다 대략 40cm정도 높게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시 배수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배수호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세척실(10)의 하부에 집수조(20)가 설치되어 이 집수조(20)의 배수관(21)에 배수펌프(30)가 연결되며, 배수펌프(30)에 연결된 배수호스(40)가 케이싱(50)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배수관(21)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편(60)을 설치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1)과 배수펌프(30)를 방진홀더(70)로 연결하고 상기 역류방지편(60)의 외측중앙부에는 열림각도를 제한하는 돌기(61)가 돌출되며,
    상기 세척실(10)과 케이싱(50)의 사이 공간(80)내에서 배수호스(40)를 ' ∩'형으로 높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2019990010248U 1999-06-10 1999-06-10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200243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48U KR200243083Y1 (ko) 1999-06-10 1999-06-10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48U KR200243083Y1 (ko) 1999-06-10 1999-06-10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97U KR20010000397U (ko) 2001-01-05
KR200243083Y1 true KR200243083Y1 (ko) 2001-09-25

Family

ID=5476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248U KR200243083Y1 (ko) 1999-06-10 1999-06-10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0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97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744B1 (ko) 세탁기
KR20080098952A (ko) 세탁기용 터브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20050106259A (ko) 배수 케이싱을 구비한 세탁기
KR20080093493A (ko) 세탁기
KR200243083Y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20040046945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장치
KR100786680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060041104A (ko) 세탁기
JP7162671B2 (ja) 洗濯機
KR10046569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이물질 거름 구조
CN108729148B (zh) 一种洗衣机泵及洗衣机
KR101165628B1 (ko) 세탁기의 배수용 벨로우즈관
KR101309297B1 (ko) 세탁기
KR20010088212A (ko) 드럼세탁기
KR940008040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펌프 취부 장치
KR920007574Y1 (ko) 식기 세척기의 잔수 제거 장치
CN218542743U (zh) 一种环保风机自清洁结构
CN111139626A (zh) 一种洗衣机的排水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219538188U (zh) 污水箱及洗地机
KR0121235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펌핑장치
KR100282144B1 (ko) 식기세척기의구조
KR19980057987U (ko) 첵크밸브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0794346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