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713B1 -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713B1
KR0149713B1 KR1019940040634A KR19940040634A KR0149713B1 KR 0149713 B1 KR0149713 B1 KR 0149713B1 KR 1019940040634 A KR1019940040634 A KR 1019940040634A KR 19940040634 A KR19940040634 A KR 19940040634A KR 0149713 B1 KR0149713 B1 KR 014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device
signal
vo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071A (ko
Inventor
신석철
김종태
박용욱
Original Assignee
김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덕 filed Critical 김정덕
Priority to KR101994004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713B1/ko
Publication of KR96002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통신선로의 온라인상태에서 원격으로 수신측 통신기기의 음성통신 모드상태를 메시지통신 모드로 또는 메시지통신 모드상태를 음성통신 모드로 필요에 따라 송신측 통신기기에서 절환시킬 수 있는 음성 및 메시지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 절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전화기부와 메시지정보 처리용 볍복조부를 구비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모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정보 송신이 필요할 경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절환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음성모드 및 메시지모드에따라 상기 음성 및 메시지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신호 검출부, 및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모드를 중단시키고 상기 메시지정보가 상기 절환수단을 경유해서 송수신되도록 상기 절환수단의 상태를 절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의 처리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 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의 또 다른 처리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크로컴퓨터 2,2' : 변복조부
3,3' : 모드절환신호 검출기 4,4' : 절환스위치
5,5' : 전화기부 6,6' : 래치
본 발명은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통신선로의 온라인상태에서 원격으로 수신측 통신기기의 음성통신 모드상태를 메시지통신 모드상태로 절환시킬 수 있고, 메시지통신 종료후에는 메시지 통신 모드상태가 음성통신 모드상태로 자동으로 절환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 절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기는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통신기기(예를 들면, 전화기)와, 문자, 도표, 사진등으로 이루어진 메시지정보(또는 화상정보)를 송수신하는 메시지통신기기(예를 들며, 팩시밀리)로 대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통신기기와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메시지통신기기는 각각에 연결된 개별적인 통신선로를 통해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동시에 송수신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음성통신기기와 메시지통신기기를 사용하여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동시에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개별 통신선로 및 음성통신기기를 통해 음성통신을 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 메시지통신기기를 조작해야 하고, 메시지통신기기를 조작하여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음성통신기기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된 음성통신기기와 메시지통신기기를 통합하여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한 장치내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장치(예를 들며,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는 단순하게 음성통신기기와 메시지통신기기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에 불과함으로 상기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에서 전화기 기능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는 도중에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전화기 기능을 팩시밀리 기능으로 절환하여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팩시밀리 기능을 사용하여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중에 음성정보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팩시밀리 기능을 전화기 기능으로 절환하여 음성정보를 교환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팩시밀리 기능을 사용하여 메시지정보를 교환하는 중에 음성정보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송수신되는 메시지정보의 교환을 중단하고, 즉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선로의 온라인 상태를 오프라인으로 한 후 전화기 기능을 선택하여 통화를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통화를 하는 도중에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전화기 기능을 팩시밀리 기능으로 절환하여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송.수화자 양측 모두는 자신의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를 전화기 기능에서 팩시밀리 기능으로 직접 절환해야만 했다. 만일, 어느 한측이 -통상, 메시지정보를 수신하는 측- 상기와 같이 기능 절환을 하지 않으면 메시지정보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를 처음부터 다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통화중에 수신측이 상기와 같은 기능 절환을 하지 않으면, 송신측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에서 메시지정보를 송신하고 싶어도 수신측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의 모드상태를 제어할 수 없어 메시지정보를 송신할 수 없었다. 이는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에서 메시지정보를 송신하고자 할 때, 메시지정보를 수신하여야 할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에서 소정의 인식신호(일명, ACK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를 송신측 전화기 겸용 팩시밀리에서 감지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통신선로의 온라인상태에서 원격으로 수신측 통신기기의 음성통신 모드상태를 메시지통신 모드상태로 절환시킬 수 있고, 메시지통신 종료후에는 메시지통신 모드상태가 음성통신 모드상태로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및 메시지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송신측 사용자가 수신측 통신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은,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보드를 메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보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모드시에 메시지송신이 필요할 경우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제1통신기기에서 소정의 모드절환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제1통신기기에서 발생된 상기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상기 제1통신기기 자신이 음성모드상태에서 메시지모드상태로 절환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신할 제2통신기기에 송신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통신기기가 음성모드상태에서 메시지모드상태로 절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가 상기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간에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1,2통신기기가 소정의 메시지통신완료 프로토콜을 교환한 후 메시지모드상태에서 음성모드상태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전화기부와 메시지정보 처리용 변복조부를 구비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모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모드 또는 메시지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또는 메시지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메시지정보 송신이 필요할 경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절환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신호 검출부 및,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모드를 중단시키고 상기 메시지정보가 상기 절환수단을 경유해서 송수신되도록 상기 절환수단의 상태를 절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은, 모든절환수단, 전화수단, 변복조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모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방법에 있어서,
상대방과 통화중에 메시지정보 송신이 필요할 경우 메시지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제1통신기기의 제어수단이 상기 모드절환수단을 제어하여 메시지송신상태로 절환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수단이 메시지송신상태로 절환된 후 상기 제1통신기기의 변복조수단이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1통신기기의 변복조수단에서 발생된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신할 제2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통신기기의 모드절환수단이 상기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메시지수신상태로 절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의 변복조수단을 통해 상기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간에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1,2통신기기가 소정의 메시지통신완료 프로토콜을 교환한 후 메시지모드상태를 음성모드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점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는, 상기 통신기기의 송신자측에서 수신자측의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통신선로 온라인상태의 중단없이 원격제어할 수 있고, 메시지통신 종료 후에는 메시지 통신 모드상태가 음성통신 모드상태로 자동으로 절환되는 것으로서,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전화기부(5)와 메시지정보 처리용 변복조부(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화기부(5)는 일반적으로 음성을 송수신하는 통상의 전화기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변복조부(2)는 메시지데이타 및 문서데이타 등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변복조처리하는 팩시밀리의 변복조기와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변복조기 및 컴퓨터 통신에 이용되는 데이타를 변복조하는 컴퓨터 변복조기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는 메시지정보 송신이 필요할 경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는, 상기 음성모드 및 메시지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및 메시지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절환되는 절환스위치(4)와, 상기 메시지송신이 필요할 경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화기부(5) 또는 변복조부(2)에서 모드절환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음성모드가 중단되도록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절환시호 검출부(3)와,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를 경유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래치(6), 및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에서 발생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면 사익 래치(3)에 저장된 모드절환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가 상기 전화기부(5)에서 발생된 신호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메시지정보가 상기 절환스위치(4)를 경유해서 송수신되도록 상기 절환스위치(4)의 상태를 절환시키는 마이크로컴퓨터(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1)의 프로그램 처리동작을 일시중단시키고 전화기부(5)에서 발생된 모드절환신호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인터럽트신호이며, 상기 절환스위치(4)는 릴레이를 구비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화기부(5)에서 발생되는 상기 모드절환신호는 전화기부(5)에 마련된 다이알버튼(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톤 신호로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TMF톤 신호는 아라비아 숫자에 해당하는 DTMF톤 신호가 아니고, 알파벳 A,B,C,D에 해당하는 DTMF톤 A,B,C,D 신호중의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드절환신호는 전화기부(5)에 소정의 버튼을 부가적으로 마련하여 이 버튼의 조작에 다라 발생되는 소정의 약정신호로 할 수도 있다.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는 상술한 DTMF 톤 신호 또는 상기 약정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처리를 하는 DTMF 톤 검출기 또는 약정신호 검출기(이하 모드절환신호 검출기로 통칭한다)로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장치의 작용과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부(5,5')에 의해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도중(단계18)에 메시지정보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가 발생하면, 메시지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통신기기(제1도 (a), 이하 제1통신기기라 약칭한다) 사용자는 전화기부(5)에 마련된 다이알 버튼 A,B,C,D 중의 어느 한 버튼 또는 소정의 약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전화기부(5)에 부가적으로 마련된 부가버튼(미도시)을 누른다. 예를 들어, 제1통신기기 사용자가 다이알 버튼 A를 누르면 소정의 톤주파수(697Hz 및 1633Hz)가 결합된 DTMF톤 A신호가 발생되어 릴레이(4) 및 국선(L)을 경유해서 메시지정보를 수신하게 될 통신기기(제1도 (b), 이하 제2통신기기라 약칭한다)에 송신된다(단계 20;제2도). 이 때, 제1,2통신기기의 릴레이(4,4')의 접점은 국선(L,L')을 통해 음성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전화기부(5,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통신기기에서 발생된 상기 DTMF톤 신호 또는 부가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약정신호(이하 상기 DTMF톤 신호 또는 약정신호를 모드절환시호로 통칭한다.)는 국선(L,L')을 통해 송신되어 제2통신기기에 수신된다(단계22).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제2통신기기에 수신되면,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가 이를 검출 수신한 후 래치(6')에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일시 저장시키고, 모드절환신호 수신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1')에 출력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입력받은 마이크로컴퓨터(1')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처리를 중단하고 래치(6')를 제어하여 래치(6')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판독한다. 마이크로컴퓨터(1')가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상기 제1통신기기의 전화기부(5)에서 발생된 모드절환신호로 판단하면 후술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모드절환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이전에 진행되고 있던 프로그램처리를 속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1')가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릴레이(4')를 제어하여 릴레이접점을 변복조부(2')에 연결시켜 메시지정보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24). 여기서, 릴레이(4')의 접점을 변복조부(2')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변복조부(2') 자체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컴퓨터(1)가 변복조부(2')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가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에서 출력되는 인터럽트신호를 입력받았을 때, 릴레이(4')를 제어하여 릴레이접점을 변복조부(2')에 연결시켜 메시지정보가 수신되게 할 수도 있다(단계24).
한편, 제1통신기기에서도 사용자가 전화기부(5)를 통해 모드절환신호를 발생시키면, 이 모드절환신호를 모드절환신호 검출부(3)가 수신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2통신기기와 관련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기로 릴레이(4)의 접점을 절환하여 메시지정보가 송신될 수 있도록 국선(L)를 변복조부(2)에 연결시킨다(단계 21).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4,4')의 접점이 각각 절환되어 국선(L,L')이 변복조부(2,2')에 각각 연결되면, 상기 메시지정보가 변복조부(2,2')를 통해 송수신된다(단계25). 여기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은 소정의 메시지정보 송수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G3-FAX 프로토콜)에 따라 송수신되는데, 단계26에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내용이 전부 송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단계26에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내용이 전부 송신되었음이 판단되면, 즉 제1통신기기에서의 메시지정보 송신이 종료되면,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의 메시지정보 송신종료 신호가 발생되어 제2통신기기에 송신된다(단계27). 상기 메시지정보 송신종료 신호를 제2통신기기가 수신하여 인식하면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 송신종료 신호를 수신했다는 소정의 확인신호를 제1통신기기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는 릴레이(4)를 제어하여 국선(L')이 전화기부(5')와 연결되도록 접점을 절환시킨다(단계 28,29). 제2통신기기에서 송신된 상기 확인신호를 제1통신기기가 수신하면, 제2통신기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1)가 릴레이(4)를 제어하여 국선(L)이 전화기부(5)와 연결되도록 접점을 절환시켜 음성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29,30). 따라서, 한 통신선로의 온라인상태에서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3도에 나타내 보였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화기부(5,5')에 의해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도중(단계31)에 메시지정보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 메시지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는 제1통신기기 사용자가 메시지정보 송신을 위한 선택수단(미도시)을 조작하면, 아미크로컴퓨터(1)가 릴레이(4)를 제어하여 국선(L)이 변복조부(2)와 연결되도록 절환시킨다. 즉, 제1통신기기 사용자가 소정의 선택버튼(미도시) 또는 소정의 메시지 송신메뉴를 선택하면, 마이크로컴퓨터(1)는 이를 인식하여 음성모드상태를 메시지모드상태로 절환한다(단계32,33). 단계32,33에서 상기 릴레이(4)가 절환되어 변복조부(2)가 국선(L)과 연결되면, 변복조부(2)는 소정의 모드절환신호,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부(5)에서 발생되는 것과 동일한 DTMF 톤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변복조부(2)에서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발생되면, 이 신호는 국선(L)을 통해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신할 제2통신기기에 송신된다(단계34). 제1통신기기에서 발생되어 송신된 모드절환신호를 상기 제2통신기기가 수신한 뒤의 단계과정(단계40)은 제2도의 단계22에서 단계30에 걸쳐 설명한 바와 같음으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및 메시지 송수신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업 및 장치는, 메시지 송신측 통신기기에서 메시지 수신측 통신기기를 원격제어하여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고, 메시지정보 송수신 종료 후에는 자동으로 음성모드로 변환됨으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모드를 매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모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모드시에 메시지송신이 필요할 경우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제1통신기기에서 소정의 DTMF 신호인 모드절환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제1통신기기에서 발생된 상기 모드절환신호에 의해 상기 제1통신기기 자신이 음성모드상태에서 메시지모드상태로 절환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상기 메시지정보를 수신할 제2통신기기에 송신되는 단계와,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통신기기가 음성모드상태에서 메시지모드상태로 절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가 상기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2통신기기간에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1,2통신기기가 소정의 메시지통신완료 프로토콜을 교환한 후 메시지모드상태에서 음성모드상태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신호는 A,B,C,D 톤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시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제1통신기기에서 발생된 상기 모드절환신호가 상기 전화기의 DTMF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1통신기기에서 상기 메시지정보의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송신종료신호를 상기 제2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종료신호를 수신한 제2통신기기는 상기 송신종료신호를 확인하여 확인신호를 상기 제1통신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신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5.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기기는 상기 확인신호에 수신할 때 음성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확인신호를 송신한 후에 음성모드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정보는 메시지정보 및 문자, 도표, 사진으로 구성된 문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는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약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약정신호는 상기 전화기에 부가적으로 마련되는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9. 음성 및 메시지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전화기부와 메시지정보 처리용 변복조부를 구비한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에서 음성모드를 메시지모드로 또는 메시지모드를 음성모드로 절환시키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모드 또는 메시지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또는 메시지정보가 송수신되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메시지정보 송신이 필요할 경우 소정의 DTMF 신호인 모드절환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절환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신호 검출부, 및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모드를 중단시키고 상기 메시지정보가 상기 절환수단을 경유해서 송수신되도록 상기 절환수단의 상태를 절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전화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저장하는 래치수단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2. 제9항, 제10항, 및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래치수단에 저장된 상기 모드절환신호를 입력받아 이 신호가 상기 전화기부에서 발생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릴레이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는 DTMF 톤 신호 A,B,C,D 신호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소정의 모드절환신호는 상기 전화기부에 부가적으로 마련된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신호 검출부는 DTMF 톤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이 절환되도록 하는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어수단 또는 상기 변복조부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정보는 메시지정보 및 문자, 도표, 사진으로 구성된 문서정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장치.
KR1019940040634A 1994-12-31 1994-12-31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KR014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634A KR0149713B1 (ko) 1994-12-31 1994-12-31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634A KR0149713B1 (ko) 1994-12-31 1994-12-31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71A KR960028071A (ko) 1996-07-22
KR0149713B1 true KR0149713B1 (ko) 1998-11-02

Family

ID=1940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634A KR0149713B1 (ko) 1994-12-31 1994-12-31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12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큐라이프 통화중 단문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20190055369A (ko) 2017-11-15 2019-05-23 박경일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21A (ko) * 2001-10-09 2003-04-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12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큐라이프 통화중 단문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기
KR20190055369A (ko) 2017-11-15 2019-05-23 박경일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071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4707B2 (ja) 複合通信端末装置
US5101427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ISDN
KR0149713B1 (ko) 음성 및 메시지정보 송수신용 통신기기의 모드절환 방법 및 그 장치
US5153912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P0450497B1 (en) Facsimile apparatus
KR0149714B1 (ko) 음성 및 화상 전송장치
JPS6218868A (ja) デ−タ通信装置
JP342685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763835B2 (ja) コードレス・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86511B1 (ko) 교환기의다중링신호발생및검출장치
JP3230824B2 (ja) 多回線収容型ファクシミリ装置
JPS6265553A (ja) 電話機内蔵のフアクシミリ装置
US70127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tilizing T.33 protocol to include both extensions and secondary phone numbers
JPH063016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14329B1 (ko)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폴링 수신 요구방법
JPH09149186A (ja) ビデオ電話装置
JPH09261362A (ja) データ通信装置
JPH1112728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36653A (ja) 通信端末
KR19980076472A (ko) 통신단말기에서 착신전환 방법
JPH0720306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H0317715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4585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57285A (ja) 通信装置
JPH0352441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