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084B1 -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84B1
KR0149084B1 KR1019950059812A KR19950059812A KR0149084B1 KR 0149084 B1 KR0149084 B1 KR 0149084B1 KR 1019950059812 A KR1019950059812 A KR 1019950059812A KR 19950059812 A KR19950059812 A KR 19950059812A KR 0149084 B1 KR0149084 B1 KR 014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eg
sp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224A (ko
Inventor
김두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084B1/ko
Publication of KR97004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의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장치는, 핸들장착공이 성형된 도어스크린과, 하단부에 일정간격의 돌기부가 성형된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장착공에 후진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두께의 삽입부와, 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핸들베이스와, 상기 핸들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핸들베이스의 고정수단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핸들의 레그부에 성형된 동공과,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그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스프링베이스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레그부의 상면과 스프링베이스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어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핸들의 저부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측면도, b는 그 저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핸들베이스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스프링베이스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방향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들어셈블리 12 : 핸들
12a : 걸이부분 12b : 플랜지부
12c : 레그 12d : 동공
12e : 돌기부 14 : 핸들베이스
14a : 삽입부 14b : 체결돌기
16 : 스프링베이스 16a:연장부
20 : 프레임 22 : 도어스크린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의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 등의 도어를 열기 위한 손잡이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레인지등과 같은 가전제품에서 도어를 여는 경우, 도어자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일측으로 돌리는 핸들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핸들은, 사용자가 손으로 당김으로서 실질적으로 도어가 열리도록 되어 있는 핸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도어 핸들에 대한 종래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외부에 부착되는 도어판넬(1)과, 상기 도어판넬의 이면에 장착되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로 성형되는 도어스크린(2)과, 상기 도어스크린(2)의 핸들공(2a)에 장착되는 핸들(3)과, 상기 핸들의 이면에 고정되는 핸들커버(4), 그리고 도어내부의 다른 구조물에 지지되는 도어프레임(5)으로 구성된다.
도어판넬(1)에는 이면의 도어스크린(2)이 들어갈 수 있는 스크린공(1a)가 성형되어 있고, 도어스크린(2)는 전자레인지의 내부 캐비티를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의 조립과정을 보면, 먼저 도어판넬(1)에 도어스크린(2)를 결합시키고, 핸들(3)을 핸들커버(4)에 스크류(6)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5)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도어판넬(1)에 고정하여 도어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종래의 핸들(3)의 형상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열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하게 성형된 반원형 오목부분(3a)와, 상기반원형의 오목부분(3a)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도록 성형될 걸이부(3b)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상기 반원형의 오목부분(3a)에 손을 집어넣어 상기 걸이부(3b)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열리도록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부분은 이와 같이 사용자측으로 잡아당겨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핸들(3)의 방향전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전자레인지의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를 닫거나 여는 구조에 관련된 체결부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는 무관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연결구성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핸들(3)의 걸이부(3b)를 당기면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체결부재(도시없음)가 전자레인지 본체와의 체결상태에서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핸들(3)은 핸들커버(4)와 같이 도어판넬(1)에 스크류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3)을 보면, 반원형의 오목부분(3a)으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오목한 부분(3a)는 항상 왼쪽 또는 오른쪽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한 부분(3a)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왼손을 사용하는 것이 상당히 불편하다. 그리고 만일 상기 오목한 부분(3a)를 왼쪽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오른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를 열기 위한 핸들의 걸이부분을 원하는 방향에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핸들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도어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핸들의 방향전환장치는, 핸들장착공이 성형된 도어스크린과, 하단부에 일정간격의 돌기부가 성형된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장착공에 후진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두께의 삽입부와 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핸들베이스와, 상기 핸들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핸들베이스의 고정수단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핸들의 레그부에 성형된 동공과,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그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스프링베이스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레그부의 상면과 스프링베이스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전환장치에 의하여, 사용자가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열기 위하여 당기는 핸들의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핸들의 방향전환장치는, 전면부에 위치하는 도어판넬(21)과, 상기 도어판넬의 이면에 결합되는 도어스크린(22)와, 상기 도어스크린(22)의 핸들공(22a)에 결합되는 핸들어셈블리(10)와, 상기 핸들어셈블리(10)가 삽입, 고정되는 도어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판넬(21)에는 이면에 장착되는 도어스크린(22)가 삽입되는 스크린공(21a)가 성형되고, 도어스크린(22)에는 핸들어셈블리(1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핸들장착공(22a)이 성형되어 있다. 핸들어셈블리(10)의 정면부는 상기 핸들장착공(22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면으로는 프레임(2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다음에는 핸들어셈블리(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어셈블리(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걸이부분(12a)을 전면에 구비하고 있는 핸들(12)와, 상기 핸들(1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핸들베이스(14)와, 핸들(12)에 전방으로 탄성을 주기 위한 스프링(18)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을 어셈블리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베이스(16)를 포함한다.
먼저 핸들(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의 전면부분에는 사용자가 손을 걸어서 당기기 위한 걸이부분(12a)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걸이부분(12a)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어스크린(22)의 핸들장착공(22a)의 이면에서 지지되는 플랜지부(12b)가 핸들(12)의 측면에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12)의 이면으로 연장성형된 레그(12c)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개구된 동공(12d)을 구비라고, 하단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돌출성형된 돌기부(12e)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동공(12d)는 레그(12c)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개구된 것으로, 후술하는 스프링(18)이 삽입되어 핸들(12)을 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핸들(12)는 도어스크린(22)에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일정구간 후퇴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베이스(14)는 정면에 상기 핸들(12)의 레그(12c)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4a)을 구비하고, 후방으로는 연장된 상태의 체결돌기(14b)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14a)은 핸들(12)의 레그(12c)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레그의 돌기부(12e)를 포함하는 레그(12c)가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한쌍의 체결돌기(14b)는 프레임(20)에 체결되어, 임의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된다.
다음에 스프링베이스(l6)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는 스프링(18)이 끼워질 수 있도록 연장된 연장부(16a)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18)은 연장부(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는 전방면(16c)에 의하여 상부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후방으로는 프레임(20)에 체결될 수 있는 한쌍의 체결돌기(16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18)은 핸들(12)의 동공(12d)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스프링베이스(16)의 연장부(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베이스(16)의 전방면(16c)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18)의 일단은 고정된 전방면(16c)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동공(12d)의 전방면에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핸들(12)을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고하면서 전체적인 구성 및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면에 걸이부분(12a)을 구비하는 핸들(12)가 도어스크린(22)의 후단부에서 삽입되어 플랜지부(12b)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12)의 돌기부(12e)는 핸들베이스(14)의 삽입홈(14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공(12d) 내부에는 스프링(18)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12)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돌기부(12e)는 핸들베이스의 삽입홈(14a)에서 후방으로 이탈되는 상태로 되고, 핸들(12)를 놓으면 다시 핸들베이스(14)의 삽입홈(14a)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핸들(12)의 돌기부(12e)는 각각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4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도 동형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2)를 눌렀다가 90도의 간격으로 돌린 상태에서 핸들을 놓아도 핸들은 처음위치에서 90도 회전한 상태로 다시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에 들어간다.
그리고 핸들베이스(14)는, 삽입홈(14a)에 핸들(12)의 돌기부(12e)를 삽입한 상태에서, 후방으로는 한쌍의 체결돌기(14b)가 프레임(20)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핸들베이스(14)의 내부에는 스프링베이스(16)가 위치하는데, 상기 스프링베이스(16)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6a)가 스프링(18)을 끼운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베이스(16)의 전면부(16c)는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즉 상기 스프링베이스(16)의 연장부(16a)는 단순히 스프링(18)이 핸들(12)의 동공(12d)에서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고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이고, 실질적으로 스프링(18)은, 동공(12d)의 상면과 스프링베이스(16)의 전면부(16c)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베이스(16)가 후방에서 프레임(20)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력은 핸들(12)를 상면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베이스(16)는 후방에서 프레임(2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핸들(12)를 상면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범위내에서 다른 부재에, 예를 들면 핸들베이스(14)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핸들(12)의 걸이부분의 위치를 바꾸는 과정을 제5도 및 제6도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핸들에서 사용자가 잡아서 당기기 위한 부분인 걸이부분(12a)는 반원형상으로 되고, 오른쪽 또는 왼쪽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걸이부분(12a)의 형상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사람이 왼손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핸들의 방향이 불편한 경우에는 핸들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2)를 조금 밀면, 핸들후단의 돌기부(12e)가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에서 빠지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핸들(12)을 원하는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켜서, 다시 놓게 되면, 핸들후방의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핸들(12)의 돌기부(12e)는 삽입부(14a)에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핸들(12)의 레그(12e)의 돌기부(12e)에는 4개의 돌기가 90도의 각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도 이와 같은 형상의 홈으로 성형되어 있어서,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의 두께내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 핸들의 조정이 가능한 각도는 각각 90도, 180도, 270도이다. 만일 상기 돌기부(12e)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이러한 형상에 맞도록 핸들베이스(14)의 삽입부(14a)를 형성하면 사용자에 따라 보다 적절한 각도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스프링(18)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베이스(16)은, 후방에서 프레임(20)에 지지되고, 실질적으로는 핸들(12)를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베이스(16)은 핸들베이스(14)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베이스(14)와 프레임(20)은 고정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스프링베이스(16)는 다른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스프링(18)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서 핸들(12)를 상면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베이스(1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18)이, 핸들의 후단 돌기부(12e)가 끼워지는 핸들하우징(14)과 관련하여, 상기 핸들(12)를 상부로 지지할 수 있다면 스프링베이스(1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스프링을 상기 핸들의 동공(12d)에 삽입하고, 핸들베이스(14)의 후방의 길이를 조금 짧게하여, 상기 스프링을 상기 동공(12d)와 프레임(20)의 상면 사이에 삽입함으로서 핸들을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핸들(12)에 동공(12d)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순히 핸들(12)의 후방과, 프레임(20) 사이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핸들을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스프링이 그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정위치에서 잡아 주기 위한 다른 지지구조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장착된 핸들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자레인지의 도어를 열기 위하여, 핸들의 걸이부분을 잡아당겨야 하는 구조에 있어서, 핸들의 걸이부분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핸들자체를 간단하게 조정함으로서 핸들의 걸이부분의 위치를 좌우로 또는 상하로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핸들의 후단부의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핸들베이스의 삽입부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임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임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도어의 핸들전환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4)

  1. 핸들장착공이 성형된 도어스크린과; 하단부에 일정간격의 돌기부가 성형된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장착공에 후진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긴 레그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두께의 삽입부와, 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핸들베이스와; 상기 핸들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핸들베이스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핸들의 방향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핸들의 레그의 하단과 프레임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프링인 핸들의 방향전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레그의 하단부에 성형된 동공과 프레임 사이에서 지지되는 핸들의 방향전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핸들의 레그부에 성형된 동공과;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레그부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스프링베이스와;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레그부의 상면과 스프링베이스부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핸들의 방향전환장치.
KR1019950059812A 1995-12-28 1995-12-28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KR014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12A KR0149084B1 (ko) 1995-12-28 1995-12-28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12A KR0149084B1 (ko) 1995-12-28 1995-12-28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224A KR970047224A (ko) 1997-07-26
KR0149084B1 true KR0149084B1 (ko) 1998-10-01

Family

ID=1944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812A KR0149084B1 (ko) 1995-12-28 1995-12-28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0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224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84B1 (ko) 도어손잡이의 방향전환 장치
USD337967S (en) Button
JP3588702B2 (ja) 情報処理用端末機における仰角可変部材の取付装置
US4185178A (en) Control cover for power window or power door lock
CA2289180A1 (en) Wall mount motion switch clip-on mounting bracket
KR012842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JP2597909Y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支持構造
KR900004814Y1 (ko) Tv의 손잡이 겸용 스피커 장착 장치
USD337278S (en) Show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D431639S (en) Shower control knob
WO1991012742A1 (fr) Attache et objet decoratif l'utilisant
JP3072498B2 (ja) ヒンジ
KR910005576Y1 (ko)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KR910006462Y1 (ko) 소형액정 tv의 화면각도 조절장치
KR200292179Y1 (ko) 휴대폰케이스 고정장치
USD470536S1 (en) Electronic device cover
KR200156507Y1 (ko) Tv의 리모콘 수납 구조
KR960006232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악보받침대
USD452656S1 (en) Clock incorporating a combination support leg/cover
KR200292433Y1 (ko) 리모컨의 버튼부 커버 결합구조
JPH0810298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とその支持部材
KR200210150Y1 (ko) 귀걸이형 이어폰 행거장치
KR200148558Y1 (ko) 캠코더의 사용설명서 내장장치
JPS6131441Y2 (ko)
JPS58787B2 (ja) 家具用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