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576Y1 -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76Y1
KR910005576Y1 KR2019890006804U KR890006804U KR910005576Y1 KR 910005576 Y1 KR910005576 Y1 KR 910005576Y1 KR 2019890006804 U KR2019890006804 U KR 2019890006804U KR 890006804 U KR890006804 U KR 890006804U KR 910005576 Y1 KR910005576 Y1 KR 910005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p
front cover
camera lens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829U (ko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송세창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6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76Y1/ko
Publication of KR900020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제 3 도는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에 관한 종래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커버 4 : 렌즈 캡
5 : 판스프링 6 : 공간
7 : 돌기
본 고안은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핸즈 캡이 핸즈의 전면에서 활동할수 있게 몸체 내에 설치된 형식의 카메라에 적합한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가볍고 작게 만들기 위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씌워지는 렌즈 캡도 카메라 몸체 내에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렌즈 캡을 카메라 몸체 내에 설치하려면, 사용시에 렌즈 캡을 열고, 비사용시는 렌즈 캡을 닫아 놓을수 있는 구조로 해야 하는데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는 제 3 도의 도시와 같이, 렌즈공(A)가 뚫려진 전면커버(B)의 내측으로, 렌즈 캡(C)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면커버(B)의 외부로 조작노브(D)가 노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노브(D)를 도면이 화살표방향으로 조작하여 렌즈 캡(B)의 개폐를 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 캡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렌즈 캡(B)는 각각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조로는 제 4 도의 도시와 같이 렌즈 캡(B)을 이면측에서 지지하여 주는 베이스플레이트(E)의 소정개소에 스프링 수납부(F)를 형성하고, 이 스프링 수납부(F)에 탄발스프링(G)와 보올(H)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한 렌즈 캡(B)의 이면측에 상기한 보올(H)와 일치하는 홈(I)를 각각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 형성하여 된 것이 실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는 렌즈 캡을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로 양호하게 가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조립과정에서 보올을 탄발스프링으로 지지시켜 놓을 때, 주의를 소홀히 하면 보올이 튕겨져 나가는 등, 조립의 어려움이 있고 또 부품수가 많이 필요한 구조이므로 조립생산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에서 볼 수 있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된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렌즈공이 뚫려있는 전면커버와, 그 내측으로 배치되는 렌즈 캡사이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된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판스프링은 윗면에 돌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 렌즈 캡은 이 돌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홈을 각각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 형성하고 있어서, 상기한 돌기와 함께 렌즈 캡에 크릭크(Crick)효과를 부여해 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로서, 카메라몸체의 전면커버(1)은 중앙에 렌즈공(2)을 보유하고, 또 하단부에 장공(3)이 수평으로 개설되어 있다.
상기한 전면커버(1)의 이면에는 렌즈 캡(4)가 판스프링(5)를 비채된다.
판스프링(5)는 전면커버(1)의 이면에서 고정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바, 이를 위하여 전면커버(1)에는 제 2 도의 도시와 같이 판스프링(5)가 수납되는 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5)에는 렌즈 캡(4)와 대향하는 면에 돌기(7)가 형성되어 있어, 이 돌기(7)가 렌즈 캡(4)가 보유하는 1쌍의 홈(8)(8')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한 1쌍의 홈(8)(8')는 각각 렌즈 캡(4)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다.
렌즈 캡(4)가 전면커버(1)의 이면에 배치되면, 그 하측에 돌출형성된 조작노브(9)는 전면커버(1)의 장공(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또 렌즈 캡(4)의 이면측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이 피복되어 전면커버(1)에 일체로 부착됨에 따라, 렌즈 캡(4)는 전면커버(1)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렌즈 캡(4)의 개폐는 조작노브(9)에 의해 행해져서 렌즈 캡(4)이 홈(8)(8')중의 어느 하나가 판스프링(5)가 보유하는 돌기(7)에 맞물려짐에 따라 렌즈 캡(4)는 열린 위치 혹은 닫힌 위치로 이전되는등, 종래의 렌즈 캡 개폐장치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면커버(1)의 내측 공간(6)에 판스프링(5)을 수납하고 렌즈 캡(4)를 배치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조립공정에서 보올이 탄발스프링에 의해 튕겨 나가는 등의 문제가 없이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할수있고, 또 판스프링은 보올과 탄발스프링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이어서 부품수를 절감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수 있다.

Claims (1)

  1. 전면커버의 내측에 렌즈 캡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전면커버(1)의 내측에 공간(6)이 형성되고, 중간부에 돌기(7)가 형성된 판스프링(5)가 상기한 공간(6)내에 수용되어, 상기한 전면커버(1)과 렌즈 캡(4)사이에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KR2019890006804U 1989-05-24 1989-05-24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KR910005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804U KR910005576Y1 (ko) 1989-05-24 1989-05-24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804U KR910005576Y1 (ko) 1989-05-24 1989-05-24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29U KR900020829U (ko) 1990-12-14
KR910005576Y1 true KR910005576Y1 (ko) 1991-07-27

Family

ID=1928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804U KR910005576Y1 (ko) 1989-05-24 1989-05-24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193B1 (ko) * 2005-11-28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보호캡을 구비한 카메라
KR100907128B1 (ko) * 2002-07-24 2009-07-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도브테일 핀 제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128B1 (ko) * 2002-07-24 2009-07-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도브테일 핀 제거 방법
KR100708193B1 (ko) * 2005-11-28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보호캡을 구비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29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3089A (en) Housing assembly for miniature radio apparatus with self contained battery
KR940001979Y1 (ko)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US5357376A (en) Vanity mirror
KR910005576Y1 (ko) 카메라렌즈 캡의 개폐장치
ATE210888T1 (de) Schalter mit einem temperaturabhängigen schaltwerk
MY118825A (en)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US4321442A (en) Small-sized switch with indicator
JPH10162694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US5155512A (en) Camera with handgrip
US4697513A (en) Belt stamp
US4737892A (en) Switch arrangements in portable flashlights
JP2000088028A (ja) エアダンパー
JPS5846494Y2 (ja) 車輌用灯具
JPS6131441Y2 (ko)
KR950034232A (ko) 테이프 카세트
JPH01174247U (ko)
KR0124427Y1 (ko) 휴대용 광디스크 장치의 도어 개폐장치
KR940007498Y1 (ko) 캠코더의 모드 전환 및 렌즈 보호 장치
KR960013528B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 구조
JPH0227469Y2 (ko)
KR100334708B1 (ko) 차량용 룸램프의 커버 취부구조
KR200148558Y1 (ko) 캠코더의 사용설명서 내장장치
KR930001139Y1 (ko) 콤팩트 용기
JPH11134969A (ja) スイッチのガード機構
KR94000548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조작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